KR200483304Y1 -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04Y1
KR200483304Y1 KR2020140007904U KR20140007904U KR200483304Y1 KR 200483304 Y1 KR200483304 Y1 KR 200483304Y1 KR 2020140007904 U KR2020140007904 U KR 2020140007904U KR 20140007904 U KR20140007904 U KR 20140007904U KR 200483304 Y1 KR200483304 Y1 KR 200483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dog
wall
main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10U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140007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0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용 개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고, 장소이동이 가능하고, 환기수단으로 악취를 방지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개가 수시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결브라켓으로 판체를 끼임결합된 지붕과 코너브라켓으로 벽체가 결합되어 사면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바닥브라켓으로 바닥판이 결합되어 간단하게 조립토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는 구동과 멈춤 조작이 가능한 캐스터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된 벽체에는 개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와 보조출입구를 형성하고 양측면의 벽체에는 절첩으로 개폐되는 환기창을 형성하여 본체의 사면을 모두 개방시켜 통풍으로 환기가 가능토록 하면서 출입구와 보조출입구를 통해 개집을 통과하는 운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개집의 일측에 바닥에서 지붕까지 다단으로 된 계단을 탈,부착토록 하여 개가 계단오르기 운동을 좁은 공간에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The assembly is easy and removable attachment means play pet dog house}
본 고안은 애완용 개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부품의 교환이 용이하고, 실내 또는 실외의 어느 곳으로 장소이동이 가능하고, 환기수단을 형성하여 개의 몸에서 나는 악취를 방지하고, 계단을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애완용 개가 보금자리의 기능은 물론 개가 스스로 좁은 공간에서도 수시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과거에는 개가 주로 집 마당에 설치된 개집에서 생활하고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집을 지키는 방범의 목적으로 길렀으나 현재에는 개를 방범용이 아니라 애완용으로써 대형에서부터 소형의 다양한 품종의 개를 실외는 물론 집안 실내에서 많이 기르고 있게 되면서 애견문화가 점점 발전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애완용 개는 자신의 가족과 같이 생각하기 때문에 개에게 영양가가 좋은 품질의 개밥은 물론이고, 다양한 패션의 미용과 옷과 다양한 악세사리를 부착하여 실제 사람과 동일하게 외관을 꾸며주고 산책도 같이 하면서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매우 중요한 존재로 여기고 있으며, 심지어는 개주인이 개를 데리고 갈 수 없는 여행이나 외출을 할 때 개가 집안에 혼자 있지 않도록 고급스럽게 관리해 주는 개호텔도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와는 달리 애완용 개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애완용 개들은 대부분 보금자리로 지붕과 전방에 입구가 형성된 사면의 벽체로 된 개집에서 생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집은 대부분 개들이 잠만 자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입구를 제외한 사면이 막혀있기 때문에 개를 자주 목욕을 시켜도 개 몸에서 냄새가 발생되기 때문에 개집의 밀폐된 공간에서 이러한 냄새가 악취로 변하여 집안 실내로 퍼지게 되고, 특히 개 몸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여름철에 더욱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날이 흐린 날이나 겨울철에는 집 밖으로 나가 산책할 수 없기 때문에 운동부족이 발생되고, 이러한 운동부족은 개의 건강상태가 안 좋아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개집을 복층 구조로 형성하고 실내 및 실외에서 개들이 이동 및 거주할 수 있도록 계단과 오름판을 설치토록 함으로써 좁은 실내공간이나 실외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집은 복층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완성품으로 제조되어져 외관형상이 커서 제품판매를 위한 포장이 어렵고 제조도 어려우며 복층을 오르내리도록 형성된 계단과 오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개집을 설치하고 난 후에는 개집의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 손으로 들고 이동하기가 쉽지 않으며 이러한 문제는 집안의 실내구조 변경에 따라 이동을 하게 될 경우 매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되며 특히 힘이 약한 여성들이 애완용 개를 더 많이 기르기 때문에 개집의 이동이 더욱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들은 이빨을 갈기 위하여 개집의 어느 한 부분이나 출입문을 물어 갈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개집의 외관이 이빨자국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어 손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손상부위를 완성체로 조립된 개집일 경우에 고칠 수가 없기 때문에 새로 구입하거나 보기 흉하게 파손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941호(2007.08.28)
따라서 본 고안은 개집을 간단한 조립구조로 하여 제조를 용이토록 하면서 부품의 파손시에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장소의 구분없이 어디에든 이동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면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환기수단을 형성하여 개방토록 함으로써 개집의 밀폐된 공간에서 개가 장시간 머무를 경우에도 환기가 자동적으로 되어 악취발생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실외에 나가지 않고도 계단이나 개집을 관통하는 운동 및 운동를 동시에 하여 개의 건강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브라켓의 양측으로 판체가 각각 끼임결합된 지붕과 코너브라켓으로 벽체가 결합도어 사면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바닥판이 결합되어 간단하게 조립토록 하여 부품의 파손이 교환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에는 구동과 멈춤 조작이 가능한 캐스터를 구비토록 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된 벽체에는 개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의 벽체에는 절첩으로 문이 개폐되는 보조 출입구가 형성되고, 양측면의 벽체에는 절첩으로 개폐되는 환기창을 형성하여 본체의 사면을 모두 개방시켜 통풍되도록 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캐스터의 구비로 인해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는 개집의 출입구와 보조출입구의 바닥에는 개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오름판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개집의 지붕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계단을 탈,부착할 수 있게 설치하여 개가 보조출입구에 형성된 문을 열은 상태에서는 출입구와 보조출입구를 통해 개가 집을 통과하거나 계단을 통해 오르락 내리락 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의 간소화로 대량물량의 공급이 가능하고 포장상태에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판매가 용이하고 부품이 파손시 파손된 부부품만 구매하여 조립함으로써 제품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캐스터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되어 설치공간의 다변화가 가능하며 이동된 상태에서 캐스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가 되는 것이고, 개집의 본체에 출입구는 물론 환기창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악취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붕으로 탈,부착되게 형성되는 계단과 출입구와 후방의 보조출입구를 관통되게 개방시켜 개가 스스로 계단의 오르내림과 개집을 통과하는 등의 실외의 산책이 아니더라도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개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개집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개집에 운동을 위한 계단과 오름판이 결합되는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계단과 오름판이 설치된 개집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개집의 환기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출입문과 보조출입문을 통하여 개가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집의 구조는 중앙의 연결브라켓(11) 양측으로 판체(12)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끼임결합 된 지붕(10)과 상기 지붕(10)의 하단으로 코너브라켓(22)으로 벽체(21a,21b,21c,21d)가 사면으로 결합된 본체(20)가 결합수단(27)으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바닥면에는 바닥판(30)이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30)의 각 모서리에는 이동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캐스터(31)가 장착되고, 상기 지붕(10)의 일측에는 바닥에서 지붕(10)까지 다단으로 된 계단(40)이 걸림수단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전,후방에 위치된 벽체(21a,21b)에는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 위치된 벽체(21c,21d)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악취방지를 위한 환기창(25)이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지붕(10)과 본체(20)와 바닥판(30)이 연결브라켓(11)과 코너브라켓(22)과 바닥브라켓(31)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끼임에 의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이고 개가 이빨을 갈아 지붕(10)이나 본체(20)의 벽체(21a,21b,21c,21d)에 파손이 발생될 경우 파손된 부품만 별도로 구입하여 재조립하여 개집의 용이한 사후관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집의 부피가 크거나 작을 경우에도 바닥판(30)에 설치된 캐스터(32)에 의해 남녀노소 누구나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동시켜 장소의 구분없이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날이 흐린 날이나 추운 겨울철 등의 실외의 출입이 어려울 때 개집의 일측에 형성된 계단(40)의 오르내림과 출입문(23)과 보조출입문(24)을 통과하는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스스로 운동할 수 있게 되어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붕(10)의 판체(12)와 본체(20)의 벽체(21a,221b,21c,21d)와 바닥체(30)는 두툼한 두께의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10)은 양측으로 끼임부(11a)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브라켓(11)에 판체(12)가 끼임결합되고, 상기 본체(20)는 끼임부(22a)가 직교되게 형성된 코너브라켓(22)이 코너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체(21a,21b,21c,21d)가 끼워져 본체(20)의 사면을 이루게 되고 상기 벽체(20)의 하단에 바닥판(30)의 사변에 수직과 수평으로 직교되게 끼임부(31a)가 형성된 바닥브라켓(3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벽체(21a,21b,21c,21d)의 하단에 결합되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브라켓(11)과 코너브라켓(22)과 바닥브라켓(31)에 형성된 끼임부(11a,22a,31a)는 판체(12)와 벽체(21a,21b,21c,21d)와 바닥판(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가압에 의해 빡빡하게 끼워지도록 하고 이러한 끼임부(11a,22a,31a)는 판체(12)와 벽체(21a,21b,21c,21d)와 바닥판(30)이 끼워질 수 있게 끼임공간을 갖도록 상,하로 대칭된 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끼임부(11a,22a,31a)에 끼워진 판체(12)와 벽체(21a,21b,21c,21d)와 바닥판(30)을 더욱 튼튼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박음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 전방의 벽체(21a)에는 출입구(23)가 형성되고 후방의 벽체(21b)에는 보조출입구(24)가 형성되어 개가 개집의 일측에 설치된 계단(40)을 오르락 내리락 운동을 하도록 하면서 선택적으로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를 통과하여 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30)에 개집의 이동을 용이토록 구비된 캐스터(31)에 의해 바닥판(30)이 바닥의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개가 개집에 들어가거나 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의 벽체(21a,21b)에 형성된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의 바닥으로 단턱(28)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28)에 끼워지도록 결합부(51)가 형성된 오름판(50)을 탈,부착되게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캐스터(32)에는 스토퍼(32a)장치를 구비하여 개집을 설치하고자 한 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개집이 캐스터(32)에 유동되지 않도록 스토퍼(32a)를 작동시켜 고정토록 하고 이동할 경우에는 스토퍼(32a)를 해제하여 간단하게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오름판(50)을 이용하여 크기가 작은 개도 쉽게 개집에 들어가거나 개집을 통과하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출입구(24)가 형성된 후방의 벽체(21b)와 환기창(25)이 형성된 양 측면의 벽체(21c,21d)에는 절첩수단으로 개폐되는 문(26)을 구비하여 개집을 밀폐되게 사용하거나 문을 열어 환기토록 하고 상기 문(26)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문(26)에는 끈이나 걸이구가 장착된 걸이공과 벽체(21b,21c,21d)에는 끈이나 걸이구가 걸려지는 걸이핀으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벽체에 형성된 보조출입구의 문이나 환기창에 형성된 문을 개방함으로써 본체의 사면이 모두 개방되어 환기가 이루어져 냄새로 인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계단(40)은 하나의 얇은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맨 상단부의 계단 양측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손잡이(42)를 형성하여 계단을 지붕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계단(40)을 지붕(10)에 장착하기 위한 걸이수단으로 지붕(10)의 일측에 걸이홈(13)을 형성하고 계단(40)의 맨 상측에 위치된 계단(40)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끼임판(41)을 형성하여 걸이홈(13)에 끼임판이 끼임으로 간단하게 결합되고 탈거할 수 있게 되어 개를 운동시킬 때만 계단을 장착시켜 설치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철판으로 절곡된 계단(40)에 형성된 손잡이(42)에는 운반시에 손 부상을 방지하면서 파지를 위한 그립감을 갖도록 안전캡(43)이 결합하여 운반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집은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개집의 본체 벽면 사방을 출입구와 보조출입구와 환기창으로 사용에 따라 개방토록 함으로써 악취방지를 위한 환기는 물론이고 개가 개집을 통과하는 운동뿐만 아니라 일측에 형성되는 계단을 통해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좁은 실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지붕 11: 연결브라켓
12: 판체
20: 본체 21a,21b,21c,21d: 벽체
22: 코너브라켓 23: 출입문
24: 보조출입문 25: 환기창
26: 문 27: 결합수단
28: 단턱 29: 걸이수단
30: 바닥판 31: 바닥브라켓
32: 캐스터
40: 계단 41: 끼임판
42: 손잡이 43: 안전캡
50: 오름판 51: 결합부

Claims (5)

  1. 삼각형 형상으로 된 지붕(10)과 상기 지붕(10)의 하단으로 사면의 벽체로 되어 전방에 출입구(23)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닥판(30)으로 구성된 애완용 개집에 있어서,
    상기 지붕(10)은 중앙의 연결브라켓(11) 양측으로 판체(12)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끼임결합되고,
    상기 지붕(10)의 하단으로 코너브라켓(22)으로 벽체(21a,21b,21c,21d)가 사면으로 결합된 본체(20)가 결합수단(27)으로 결합되어 본체(20)의 전,후방에 위치된 벽체(21a,21b)에는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 위치된 벽체(21c,21d)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악취방지를 위한 환기창(2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하단으로 바닥브라켓(31)으로 바닥판(30)이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30)의 각 모서리에는 이동을 용이토록 하는 스토퍼(32a) 기능이 구비된 캐스터(32)가 장착되고,
    상기 지붕(10) 일측에는 걸림수단으로 바닥에서 지붕(10)의 높이까지 다단으로 이루어진 계단(4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출입구(24)가 형성된 후방의 벽체(21b)와 환기창(25)이 형성된 양 측면의 벽체(21c,21d)에는 절첩수단으로 개폐되는 문(26)을 형성하여 사용에 따라 밀폐토록 하고 상기 문(26)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이수단(29)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에 구비된 캐스터(32)에 의해 바닥판(30)이 지면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후방의 벽체(21a,21b)에 형성된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의 바닥에 단턱(28)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28)에 끼워지도록 결합부(51)가 형성된 오름판(50)을 탈,부착되게 설치하여 개가 출입구(23)와 보조출입구(24)를 오름판(50)을 이용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 운동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40)은 하나의 얇은 철판을 절곡시켜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맨 상단부 양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된 손잡이(42)를 형성하고, 이러한 계단(40)을 지붕(10)에 설치하기 위한 걸이수단으로 지붕(10)의 일측에 걸이홈(13)을 형성하고 계단(40)의 맨 상측에 위치된 계단(40)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끼임판(41)을 형성하여 끼임결합으로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설치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40)에 형성된 손잡이(42)에는 손 부상을 방지하면서 그립감을 갖도록 안전캡(4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KR2020140007904U 2014-10-30 2014-10-30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KR200483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04U KR200483304Y1 (ko) 2014-10-30 2014-10-30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04U KR200483304Y1 (ko) 2014-10-30 2014-10-30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0U KR20160001510U (ko) 2016-05-11
KR200483304Y1 true KR200483304Y1 (ko) 2017-04-25

Family

ID=5602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904U KR200483304Y1 (ko) 2014-10-30 2014-10-30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5271A (zh) * 2017-09-29 2017-12-12 浙江宏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宠物房
CN113575443A (zh) * 2021-07-10 2021-11-02 连城县丰海竹木业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除尘及异味的宠物屋及其实施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734A (en) 1994-06-08 1995-11-21 Ho; Ying-Kuon Movable animal house
KR100963272B1 (ko) 2008-02-14 2010-06-11 (주)트라메이드 조립식 소형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665U (ko) * 1989-11-22 1991-07-24
KR20070000941U (ko) 2007-02-23 2007-08-28 정명구 다층구조의 개집
KR20090074856A (ko) * 2008-01-03 2009-07-08 강민호 조립식 애완용 개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734A (en) 1994-06-08 1995-11-21 Ho; Ying-Kuon Movable animal house
KR100963272B1 (ko) 2008-02-14 2010-06-11 (주)트라메이드 조립식 소형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366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0U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138B1 (en) Pet enclosure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US11330794B2 (en) Window mounted pet litter housing and pet shelter device
KR200483304Y1 (ko) 조립이 용이하고 운동수단이 부설된 이동식 애완용 개집
US20160192616A1 (en) Modular dog house
US9901069B2 (en) Selectively concealed animal crate
US8863696B1 (en) Pet shelter incorporating food and water dispensers
US20070131178A1 (en) Safety gate ladder for small pets
US5431129A (en) Transparent pet cage with pivoting top panels
US20160113238A1 (en) Multi-Level, Pet Accessible Home
CA2668848C (en) Portable and collapsible housing for poultry or other animals
US20130220230A1 (en) Outdoor protective structure for cats
JP2519076Y2 (ja) ペットハウス
JP6479494B2 (ja) 猫用ケージ
KR20220002062U (ko) 반려동물 비상출입문을 갖는 도어
KR20100007869U (ko) 애완동물 출입 실내문
JP4079784B2 (ja) 屋外遊び場付ペット住宅
WO2016162730A1 (en) Enhancement in mobile shelter for dogs
CN212487866U (zh) 一种狗窝
US10448613B2 (en) Securing assembly for supporting and selectively concealing an animal crate
KR200433194Y1 (ko) 이동식 애완용 개집
FR3077953A1 (fr) Armoire pour chats
KR200493166Y1 (ko) 방묘문
JPS6142370Y2 (ko)
CN208625026U (zh) 一种卡扣拆装式公寓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