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79Y1 - Faucet connector - Google Patents

Faucet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79Y1
KR200483179Y1 KR2020160005523U KR20160005523U KR200483179Y1 KR 200483179 Y1 KR200483179 Y1 KR 200483179Y1 KR 2020160005523 U KR2020160005523 U KR 2020160005523U KR 20160005523 U KR20160005523 U KR 20160005523U KR 200483179 Y1 KR200483179 Y1 KR 200483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astener
inlet
hose connection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재
Original Assignee
신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재 filed Critical 신승재
Priority to KR2020160005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수전 연결구는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와 연결되고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유입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와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전 호스 연결부, 유입부와 수전 호스 연결부를 서로 연통시켜 유체를 수전 호스 연결부로 전달하고 일단이 유입부와 연결되어 유입부로부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수전 호스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유입관, 일단이 수전 호스와 체결되며 타단은 수전 호스 연결부에 축 방향 또는 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구, 및 수전 호스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 및 체결구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The water inlet conne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male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has an internal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is connected to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e inlet connection part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art. The hos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inlet portion and the hose connec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transmit the flui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one end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porti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 fastening portion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hose hose and the other end movably connected to the hose hose connecting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xial direction, And a radially opposit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astener Extend in the direction including avoidance comprising a fastening projection protruding parts.

Description

수전 연결구{FAUCET CONNECTOR}Faucet Connections {FAUCET CONNECTOR}

본 고안은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 호스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ucet connec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receptacle connecting a water hose to a water pipe.

수전 연결구는 수도관과 수전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수전 호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전 연결구에 부착되는 유량 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수전 호스로 전달되는 상기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냉수를 위한 수전 연결구 또는 온수를 위한 수전 연결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inlet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supply hose,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ter supply hose. Generally, the amount of water transferred to the water hose can be adjusted by using a flow rate control valve attached to the water inlet connection port, and a water reception connection port for cold water or a water reception connection port for hot water, respectively.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전 연결구는 수전 연결구 몸체, 상기 수전 호스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연결구 몸체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구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receptacle body,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receptacle hose,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fastener to the fastener body so that the fastener does not come off the receptacle body .

상기 수전 연결구에 상기 수전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구에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걸림구에 나사산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가 칠해진다. 또한, 상기 수전 연결구에 의하면, 상기 체결구를 상기 수전 연결구 몸체에 배치하는 과정, 상기 걸림구에 오링을 배치하고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 및 상기 걸림구를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수전 연결구 몸체에 체결하는 과정 등의 다수의 공정들을 필요하다.In order to connect the water hose to the receptacle, an O-ring is fitted in the hole and an adhesive for preventing oil leakage is applied to the thr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connector, comprising the steps of: disposing the fastener in the receptacle body; disposing an O-ring in the fastener and applying an adhesive; And the like.

이에 의해, 작업 시간이 증가되고, 상기 접착제 및 상기 오링으로 인해 소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전 연결구의 새로운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dhesive and the O-r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new structure of the receptacle is required.

본 고안의 과제는 일체화된 구조를 통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apable of enhancing work efficiency through an integrated structur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ut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고안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는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와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유체를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 전달하고 일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유입관, 일단이 상기 수전 호스와 체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축 방향 또는 상기 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구, 및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체결구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은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연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 및 상기 체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male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a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a female screw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n inlet hose connecting the inlet hose and the inlet hose connection, the inlet hose connec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let hose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 inlet pip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inlet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portion and having an opposit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se connection portion, one end being fastened to the hose hos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movably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xial direction And a coupling projection protruded radi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hose connection portion and a coupl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ho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And an escape preventing portion that is larger than or equal to an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so that the fastener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to the power hos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astener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wer hose connecting portion. The inlet portion, the hose connection portion, the inlet pipe,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astener and the fastener are integrally form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상기 일단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수전 호스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 방향과 다른 제2 나사 방향을 갖는 제2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 방향을 갖고 상기 제2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2 암나사 및 상기 연결 돌출부의 수나사를 통하여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2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2 암나사 및 상기 연결 돌출부의 상기 수나사에 의해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fastener may include a first female screw having a first screw direction, and may be fastened to a male screw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And a second female screw having a second screw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screw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projection. And a 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screw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rotates the fasten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through the male screw of the second female screw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so that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se connecting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se connection portion by the male screw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male screw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fter the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체결구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on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수전 호스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금속링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체결구의 외면과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상기 금속링을 압축하고 상기 제1 안착홈 내에서 상기 금속링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금속링이 상기 제2 안착홈에 걸려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a first female screw having a first screw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astener, and may be fastened to a male screw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seat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artially opened and having a resilient metallic ring, and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nnecting protrusion may have a second seating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compresses the metal r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metal ring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first seating groove, so that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hose connec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metal ring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coupling projection after the coupling hole is connected to the water hose coupling portion is hooked by the second seating groove so that the coupling hole is not separated from the water hose coupling portion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체결 전에 제1 외경을 갖는 상기 금속링이 상기 제2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게 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삽입된 후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3 외경을 가질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metal ring having the first outer diameter is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before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astener is disposed in the axial hose connection portion The metal ring having a second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by inserting the metal ring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after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may have a third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second outer diameter by the elastic force and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의 내경은 상기 금속링의 상기 제3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내주면의 내경은 상기 금속링의 상기 제2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is the same as the third outer diameter of the metal ring,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outer diameter of the metal ring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는 수전 호스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 및 체결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삽입 연결되고 이탈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돌출부 및 체결 돌출부에 각각 배치되는 수나사 및 암나사 또는 제1 및 제2 안착홈과 금속링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receptacle hose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astener, A new structure can be realized in which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is not released. For example, the above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using male and female screws or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and a metal ring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connection projection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특히, 상기 수전 연결구에 의하면,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를 따라 돌리거나 상기 금속링을 밀어서 상기 체결구를 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끼우기면 하면 상기 구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걸림구에 오링을 배치하고 나사산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상기 걸림구를 종래의 체결구를 관통하여 수전 연결구 몸체에 체결하는 과정을 모두 생략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since the structure can be realized by rotating the male screw and the female screw or by pushing the metal ring and inserting the fasten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dispense with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threads and fastening the fastener through the conventional fastener to the bod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따라서, 수도관과 수전 호스를 연결하는 공정을 매우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추가 비용 소요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simplify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hos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ditional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의 수전 연결구를 조립할 때 금속링 및 체결구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들 및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종래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4;
6 to 10 are partial plan views and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a metal ring and a fastener when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receiving connector.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mere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s. 2 and 3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10)는 유입부(100), 수전 호스 연결부(200), 유입관(300), 체결구(400), 및 이탈 방지부(500)를 포함한다.1 through 3, the receptacl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n inlet 100, a receptacle hose connection 200, an inlet pipe 300, a fastener 400, (500).

유입부(100)는 일단(110)의 외주면에 수나사(112)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120)의 내주면에 암나사(122)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20, 도 12 참조)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켜 후술되는 유입관(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11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110 and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a female screw 12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120 to connect the flow control valve 20 And the fluid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to the inflow pip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도관은 벽에 매설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를 상기 유입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 밸브(20)는 유입부(100)의 타단(120)에 연결되어 유입부(100)로부터 유입관(300)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water pipe may be embedded in the wall and may supply the fluid to the inlet 100. The flow control valve 2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120 of the inlet 100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inlet 100 to the inlet pipe 300.

수전 호스 연결부(200)는 유입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30, 도 12 참조)와 연결되고 축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 호스 연결부(200)는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부(100)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관(300)에 의해 유입부(100)와 연통될 수 있다.The water hose connection part 200 is disposed apart from the inlet part 100 and connected to the water hose 30 (see FIG. 12) and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z. For example, the water hose connection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00 and below the inlet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00 by the inlet pipe 300.

예를 들어, 유입관(300)의 일단(310)은 유입부(100)와 연결되고,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일단(210)은 유입관(300)의 타단(3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타단(220)은 수전 호스(30)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310 of the inlet pip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00, and one end 210 of the hose connecto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320 of the inlet pipe 300 . The other end 220 of the water hose connection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hose 30.

이에 따라,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유체는 유량 조절 밸브(20), 유입관(300), 및 수전 호스 연결부(200)를 통하여 수전 호스(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inflow section 100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hose 30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20, the inflow pipe 300, and the water hose connection section 200.

유입관(300)은 유입부(100)와 수전 호스 연결부(200)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유체를 수전 호스 연결부(200)로 전달하고, 유입관(300)의 일단(310)은 유입부(100)와 연결되고 유입관(300)의 타단(320)은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일단(2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300)은 유입부(100)로부터 축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관(300)은 유입부(100)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inlet pipe 300 communicates the inlet portion 100 and the outlet hose connection portion 200 to transfer the flui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200. One end 310 of the inlet pipe 300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320 of the inflow pipe 30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210 of the water hose connec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inlet pipe 300 may extend from the inlet 10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z. For example, the inflow tube 300 may extend downwardly of the inflow section 100.

체결구(400)는 일단(410)이 수전 호스(30)와 체결되며, 타단(420)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축 방향(z) 또는 축 방향(z)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400)는 수전 호스(30)와 연결되도록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가질 수 있다.One end 410 of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30 and the other end 420 of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ing part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z or the axial direction z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fastener 400 can have a clearance to rotate or mov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hose 30. [

이탈 방지부(500)는 연결 돌출부(510), 및 체결 돌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 돌출부(520)의 내경은 연결 돌출부(51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가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 가능하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500 may include a connecting protrusion 510 and a locking protrusion 520.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protrusion 52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The fastener 40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z.

예를 들어, 체결구(400)의 일단(41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412)가 구비되어 수전 호스(30)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고, 체결 돌출부(5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 방향과 다른 제2 나사 방향을 갖는 제2 암나사(522)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female thread 412 having a first thread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410 of the fastener 400 so as to be fastened to a male thread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30, A second female screw 522 having a second screw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screw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520.

또한, 연결 돌출부(5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 방향을 갖고 제2 암나사(412)에 대응되는 수나사(5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나사 방향은 오른 나사 방향이고, 상기 제2 나사 방향은 왼 나사 방향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나사 방향은 왼 나사 방향이고, 상기 제2 나사 방향은 오른 나사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a male screw 512 having a second screw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screw 41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510. [ For example, the first screw direction may be a right screw direction, and the second screw direction may be a left screw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screw direction may be a left screw direction and the second screw direction may be a right screw direction.

이탈 방지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를 체결할 때, 체결 돌출부(520)의 제2 암나사(522) 및 연결 돌출부(510)의 수나사(512)를 통하여 체결구(500)를 상기 제2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가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ion part 200, the departure preventing part 50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female thread 522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510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The fastener 5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through the male thread 512 of the threaded hose coupling part 200 so that the fastener 40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z.

또한, 이탈 방지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를 체결한 후에는, 제2 암나사(522) 및 수나사(512)가 걸림턱 역할을 제공할 수 있어 체결 돌출부(520)의 제2 암나사(522) 및 연결 돌출부(510)의 수나사(512)에 의해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3, after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ion part 200, the second female screw 522 and the male screw 512 are fastened to the hitch coupling part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er 4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se connecting portion 200 by the second female thread 522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and the male screw 512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510 have.

특히, 체결구(400)와 수전 호스(30)가 체결되는 경우에, 체결구(400)가 상기 제1 나사 방향을 따라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방향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갖기 때문에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astener 400 and the water hose 30 are fastened, even if the fastener 400 is rotated along the first screw direc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crew direction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The fastener 400 may not be detached from the hose connecting portion 20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외경은 체결 돌출부(52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연결 돌출부(510)의 외경은 체결구(40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구(400)는 수전 호스(30)와 체결되도록 회전하거나 이동 가능한 유격을 가질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on part 200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510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er 400. [ Accordingly, the fastening tool 400 can be rotated or mov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water hose 30.

또한, 유입부(100), 수전 호스 연결부(200), 유입관(300) 및 연결 돌출부(510)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구(400) 및 체결 돌출부(520)도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100, the hose connection 200, the inlet pipe 300,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5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fastener 40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may be integrally formed .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의 수전 연결구를 조립할 때 금속링 및 체결구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들 및 부분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체결구가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금속링 및 체결구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체결구가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 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체결구가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된 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B 방향에서 바라본 금속링 및 체결구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수전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수전 연결구에서 이탈 방지부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4; 6 to 10 are partial plan views and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a metal ring and a fastener when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Specifically,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er before being connect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FIG. 7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etal ring and a fastener viewed from the direction A in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stener being connect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stener after the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FIG. 10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metal ring and the fastener viewed from the direction B in FIG. The receptacle connector shown in Figs. 4 to 1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nd / or structure except for the escape preventing portion in the receptacle connec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dundant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12)는 유입부(100), 수전 호스 연결부(200), 유입관(300), 체결구(400), 및 이탈 방지부(502)를 포함한다.4 to 10, the receptacle connector 1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n inlet 100, a receptacle hose connection 200, an inlet pipe 300, a fastener 400, (502).

유입부(100)는 일단(110)의 외주면에 수나사(112)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120)의 내주면에 암나사(122)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20, 도 12 참조)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켜 후술되는 유입관(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inlet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11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110 and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a female screw 12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120 to connect the flow control valve 20 And the fluid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to the inflow pip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수전 호스 연결부(200)는 유입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30, 도 12 참조)와 연결되고 축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 호스 연결부(200)는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부(100)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관(300)에 의해 유입부(100)와 연통될 수 있다.The water hose connection part 200 is disposed apart from the inlet part 100 and connected to the water hose 30 (see FIG. 12) and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z. For example, the water hose connection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00 and below the inlet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00 by the inlet pipe 300.

유입관(300)은 유입부(100)와 수전 호스 연결부(200)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유체를 수전 호스 연결부(200)로 전달하고, 유입관(300)의 일단(310)은 유입부(100)와 연결되고 유입관(300)의 타단(320)은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일단(2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300)은 유입부(100)로부터 축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관(300)은 유입부(100)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inlet pipe 300 communicates the inlet portion 100 and the outlet hose connection portion 200 to transfer the flui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200. One end 310 of the inlet pipe 300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320 of the inflow pipe 30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210 of the water hose connec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inlet pipe 300 may extend from the inlet 10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xial direction z. For example, the inflow tube 300 may extend downwardly of the inflow section 100.

체결구(400)는 일단(410)이 수전 호스(30)와 체결되며, 타단(420)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축 방향(z) 또는 축 방향(z)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400)는 수전 호스(30)와 연결되도록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가질 수 있다.One end 410 of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30 and the other end 420 of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ing part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z or the axial direction z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fastener 400 can have a clearance to rotate or mov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hose 30. [

이탈 방지부(502)는 연결 돌출부(510), 및 체결 돌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 돌출부(520)의 내경은 연결 돌출부(51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가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 가능하다.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502 may include a connecting protrusion 510 and a locking protrusion 520.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ing protrusion 5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The fastener 40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z.

예를 들어, 체결구(400)의 일단(41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412)가 구비되어 수전 호스(30)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female thread 412 having a first thread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410 of the fastener 400, and may be fastened to a male thread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30.

또한, 체결 돌출부(520)의 내주면(528)에는 원주 방향(θ)을 따라 연장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금속링(530)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524) 및 체결구(400)의 외면(402)과 체결 돌출부(520)의 내주면(528)을 연결하는 경사면(526)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돌출부(510)의 외주면(518)에는 원주 방향(θ)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안착홈(514)이 구비될 수 있다.A first seating groove 524 and a fastening hole 40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28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and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partially opened to receive a metal ring 530 having elasticity. And an inclined surface 526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402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28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18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51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groove 514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탈 방지부(502)는 경사면(526)을 통하여 금속링(530)을 압축하고 제1 안착홈(524) 내에서 금속링(530)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통해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가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02 compresses the metal ring 53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526 and the metal ring 530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first seating groove 524, The fastener 40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z.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체결구(400)가 체결되기 전에 제1 외경(D1)을 갖는 금속링(530)이 제2 안착홈(514)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링(530)의 제1 외경(D1)은 연결 돌출부(510)의 외경보다 커서, 금속링(530)이 연결 돌출부(510)의 제2 안착홈(5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6 and 7, before the fastener 400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or 200, the metal ring 530 having the first outer diameter D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 groove 514 As shown in FIG. The first outer diameter D1 of the metal ring 53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510 so that the metal ring 530 can be disposed on the second seating groove 514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510.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때, 경사면(526)에 의해 금속링(530)은 제1 외경(D1)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삽입되는 힘에 의해, 금속링(530)에 압축력이 가해질 수 있다.8, when the fastener 400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xial direction z to the hose connector 200, the metal ring 530 is inclined by the inclined surface 526, Lt; RTI ID = 0.0 > D1. ≪ / RTI > The compression force can be applied to the metal ring 530 by the force that the fastener 400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art 200. [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삽입된 후, 금속링(530)은 제1 안착홈(524)에 안착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외경 보다 크고, 제1 외경(D1)보다 작은 제3 외경(D3)을 가질 수 있다. 금속링(530)의 제1 외경(D1)보다 작은 제3 외경(D3)을 가짐으로 금속링(530)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1 안착홈(524)에 고정될 수 있다.9 and 10, after the fastener 400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art 200, the metal ring 53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524, (D3) larger than the second outer diameter and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D1). The metal ring 530 has a third outer diameter D3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D1 of the metal ring 530 so that the metal ring 530 can be fix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524 by the elastic force.

구체적으로, 제1 안착홈(524)의 내경은 금속링(530)의 제3 외경(D3)과 동일하며, 체결 돌출부(520)의 내주면(528)의 내경은 금속링(530)의 상기 제2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524 is the same as the third outer diameter D3 of the metal ring 5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28 of the coupling projection 52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etal ring 530, 2 It can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또한,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연결된 후 체결 돌출부(520)의 제1 안착홈(524)에 안착된 금속링(530)이 제2 안착홈(514)에 걸려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The metal ring 530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524 of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is hooked on the second seating groove 514 after the fastener 400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ng portion 200, (4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ater hose connection part (200).

또한, 유입부(100), 수전 호스 연결부(200), 유입관(300) 및 연결 돌출부(510)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구(400) 및 체결 돌출부(520)도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100, the hose connection 200, the inlet pipe 300,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5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fastener 40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20 may be integrally formed .

도 11은 종래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receiving connector.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전 연결구(14)는 수전 연결구 몸체(40), 수전 호스(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50) 및 체결구(50)가 수전 연결구 몸체(40)로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구(50)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구(60)를 포함한다.11 and 12,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14 includes a receptacle body 40, a fastener 50 for fastening the receptacle hose 30, and a fastener 50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40 And a latch 60 for providing a latching jaw to the fastening hole 50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the fastening hole 60. [

수전 연결구(14)에 수전 호스(30)를 연결하기 위해서, 걸림구(60)에 오링(도시되지 않음)이 끼워지고 걸림구(60)의 나사산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가 칠해진다. 또한, 종래의 수전 연결구(14)에 의하면, 체결구(60)를 수전 연결구 몸체(40)에 배치하는 과정, 걸림구(60)에 상기 오링을 배치하고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 및 걸림구(60)를 체결구(50)를 관통하여 수전 연결구 몸체(40)에 체결하는 과정 등의 다수의 공정들을 필요하다. 이에 의해, 작업 시간이 증가되고, 상기 접착제 및 상기 오링으로 인해 소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An o-ring (not shown) is fitted in the latch 60 to connect the receptacle hose 30 to the receptacle 14, and the thread of the latch 60 is coated with an adhesive for preventing oil leakag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14,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fastening tool 60 in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40,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O-ring in the fastener 60 and applying the adhesive, And a step of fastening the fastener 60 through the fastener 50 and fastening the fastener 60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40. As a result,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required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dhesive and the O-r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들(10, 12)은 수전 호스 연결부(200)의 타단(220)으로부터 반경 방향(r)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510) 및 체결구(400)의 타단(420)으로부터 반경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520)를 이용하여 체결구(400)가 수전 호스 연결부(200)에 삽입 연결되고 이탈되지 않는 새로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돌출부(510) 및 체결 돌출부(520)에 각각 배치되는 수나사(512) 및 제2 암나사(522) 또는 제1 및 제2 안착홈들(524, 514)과 금속링(530)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The receptacle connectors 10 and 1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re formed by connecting protrusions 510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other end 220 of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art 200, The fastener 400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art 200 using a fastening protrusion 520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420. For example, the male screw 512 and the second female screw 522 or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524 and 514 and the metal ring 530,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coupling protrusions 510 and the locking protrusions 520, The above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전 연결구들(10, 14)에 의하면, 수나사(512) 및 제2 암나사(522)를 따라 돌리거나 금속링(530)을 밀어서 체결구(400)를 축 방향(z)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끼우기면 하면 상기 구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걸림구(60)에 상기 오링을 배치하고 상기 나사산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며 걸림구(60)를 종래의 체결구(50)를 관통하여 수전 연결구 몸체(40)에 체결하는 과정을 모두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ale thread 512 and the second female thread 522 are rotated or the metal ring 530 is pushed in order to move the fastener 400 in the axial direction z The O-ring is disposed on the conventional fastener 60,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thread, and the fastener 60 is fastened to the conventional fastener 50 So that it is possible to omit the entire process of fastening the body 40 to the receptacle connector body 40 through the through hol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10, 12: 수전 연결구 20: 유량 조절 밸브
30: 수전 호스 100: 유입부
200: 수전 호스 연결부 300: 유입관
400: 체결구 412: 제1 암나사
500: 이탈 방지부 510: 연결 돌출부
514: 제2 안착홈 520: 체결 돌출부
522: 제2 암나사 524: 제1 안착홈
530: 금속링
10, 12: Fault connector 20: Flow control valve
30: Hose for water supply 100:
200: Suspension hose connection part 300: Inflow pipe
400: fastener 412: first female thread
500: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510: connection protrusion
514: second seating groove 520: fastening protrusion
522: second female screw 524: first seat groove
530: metal ring

Claims (6)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와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유체를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 전달하고, 일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유입관;
일단이 상기 수전 호스와 체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축 방향 또는 상기 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구; 및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체결구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은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연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 및 상기 체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의 상기 일단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수전 호스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 방향과 다른 제2 나사 방향을 갖는 제2 암나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 방향을 갖고 상기 제2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구비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2 암나사 및 상기 연결 돌출부의 수나사를 통하여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2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결구의 상기 제1 암나사를 상기 수전 호스의 상기 수나사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1 나사 방향으로 회전시킬때 상기 제1 나사 방향과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는 상기 제2 나사 방향을 갖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2 암나사 및 상기 연결 돌출부의 상기 수나사에 의해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구.
An inflow part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having a female scre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a flow rate control valve and having a fluid inlet from the water pipe;
A water hose conn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flow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ater hose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hose connection part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hose connection part to transmit the fluid to the hose connection part, one end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part, An inlet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water ho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vably connected to the water hose connection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hol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an escape preventing portion that is larg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hole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events the fastening hol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s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water hose connection portion, the inlet pipe,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astener and the fastener protrusion are integrally provided,
A first female screw having a first screw direc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fastener and is fastened to a male screw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hose,
A second female screw having a second screw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screw direction is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projection,
A male screw having a second screw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screw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rotates the fastener through the male screw of the second female screw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so that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hose connecting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fasten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so as to fasten the first female screw of the fastener with the male screw of the water hose after the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on part, And the male screw of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male screw of the coupling projection prevent the coupling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hose connection part by the second female screw of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male screw of the coupling projection. Faucet connect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체결구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구.
The hos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er.
일단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구비되어 수도관과 연결되며 타단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구비되어 유량 조절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전 호스와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를 서로 연통시켜 상기 유체를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 전달하고, 일단이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유입관;
일단이 상기 수전 호스와 체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축 방향 또는 상기 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구; 및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결 돌출부 및 상기 체결구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은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서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연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 및 상기 체결 돌출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 방향을 갖는 제1 암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수전 호스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나사와 체결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탄성력을 갖는 금속링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체결구의 외면과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내주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경사면을 통하여 상기 금속링을 압축하고 상기 제1 안착홈 내에서 상기 금속링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상기 축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금속링이 상기 제2 안착홈에 걸려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체결구가 체결 전에 제1 외경을 갖는 상기 금속링이 상기 제2 안착홈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상기 축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게 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수전 호스 연결부에 삽입된 후 상기 금속링은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3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구.
An inflow part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having a female scre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a flow rate control valve and having a fluid inlet from the water pipe;
A water hose connec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flow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ater hose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hose connection part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hose connection part to transmit the fluid to the hose connection part, one end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part, An inlet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water ho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vably connected to the water hose connection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xi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hol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an escape preventing portion that is larg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hole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events the fastening hol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s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water hose connection portion, the inlet pipe,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astener and the fastener protrusion are integrally provided,
A first female screw having a first screw direc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astener and is fastened to a male screw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hose,
A first seating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ject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artially opened to receive a metal ring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tool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jection,
And a second seat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compresses the metal r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metal ring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in the first seating groove, so that the fastening hole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ng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metal ring,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fter the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is hooked by the second seating groove so that the fastener is detached from the receptacle hose connection portion However,
Wherein the metal ring having the first outer diameter is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before the fastener is fastened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fastener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metal ring has a second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by an inclined surface and the metal ring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fter 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hose connection portion, And has a third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second outer diameter and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so as to stably contact the first receiving groove.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의 내경은 상기 금속링의 상기 제3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의 상기 내주면의 내경은 상기 금속링의 상기 제2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연결구.The metal r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ting groove is equal to the third outer diameter of the metal ring,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jection is equal to the second outer diameter of the metal ring Connector.
KR2020160005523U 2016-09-23 2016-09-23 Faucet connector KR2004831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23U KR200483179Y1 (en) 2016-09-23 2016-09-23 Faucet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23U KR200483179Y1 (en) 2016-09-23 2016-09-23 Faucet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79Y1 true KR200483179Y1 (en) 2017-04-13

Family

ID=586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23U KR200483179Y1 (en) 2016-09-23 2016-09-23 Faucet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7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908A (en) * 2018-04-04 2019-10-14 송병규 A method for manufacturing fauset connectors and fauset connectors thereby
KR20210069993A (en) * 2019-12-04 2021-06-14 송병규 A Eccentric Connector For Hot And Cold Water Mixing Fauce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39Y1 (en) * 2002-11-18 2003-02-19 황희수 Anglevalve for thing made of waterpipe
KR100786331B1 (en) * 2006-08-14 2007-12-18 오승근 Hose connecting structure
KR200437907Y1 (en) * 2007-02-02 2008-01-07 김환영 Pipe connec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39Y1 (en) * 2002-11-18 2003-02-19 황희수 Anglevalve for thing made of waterpipe
KR100786331B1 (en) * 2006-08-14 2007-12-18 오승근 Hose connecting structure
KR200437907Y1 (en) * 2007-02-02 2008-01-07 김환영 Pipe connec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908A (en) * 2018-04-04 2019-10-14 송병규 A method for manufacturing fauset connectors and fauset connectors thereby
KR102109806B1 (en) * 2018-04-04 2020-05-12 송병규 A method for manufacturing fauset connectors and fauset connectors thereby
KR20210069993A (en) * 2019-12-04 2021-06-14 송병규 A Eccentric Connector For Hot And Cold Water Mixing Faucets
KR102271056B1 (en) 2019-12-04 2021-06-30 송병규 A Eccentric Connector For Hot And Cold Water Mixing Fauc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37B2 (en) Male coupling for connecting to female threaded coupling
US5375887A (en) Plumbing hookup kit
US20120031515A1 (en) Shutoff Valves for Fluid Conduit Connectors
US82720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ucet installations
CA2661948C (en) Adjustable locking spout shank
AU2007300473B2 (en) Male coupling for connecting to female threaded coupling
US20080048440A1 (en) Direct port connection for tubes
KR200483179Y1 (en) Faucet connector
WO2019009049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uid device
KR101757575B1 (en) Quick coupling device
JP5269178B2 (en) How to assemble pipe fittings
KR20170002509U (en) Piping valve assembly with a locking structure
JP2008106920A (en) Pipe joint
JP2006307872A (en) Faucet joint
CN209856404U (en) Water supply pipeline connecting structure
JP4926566B2 (en) Holder device for connecting water faucet and water supply hose
KR101973260B1 (en) A coupling joint for A rotatable high pressure hose
US10648601B2 (en) Quick connect system for a fluid coupling
US7108296B2 (en) Fluid quick connector for threaded fluid components
KR20160002519U (en) Cam lock type coupling for pipe
EP3757440B1 (en) Rotatable connection assembly for metal water tubes
US11002388B2 (en) Fire hydrant nozzle
JP2006189159A (en) Connection structure of hose
CN220814104U (en) Water outlet assembly of wall-buried faucet
JP7281284B2 (en)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