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60Y1 - Cup lid - Google Patents

Cup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60Y1
KR200483160Y1 KR2020160004316U KR20160004316U KR200483160Y1 KR 200483160 Y1 KR200483160 Y1 KR 200483160Y1 KR 2020160004316 U KR2020160004316 U KR 2020160004316U KR 20160004316 U KR20160004316 U KR 20160004316U KR 200483160 Y1 KR200483160 Y1 KR 200483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inking
outflow
cup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3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Priority to KR2020160004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6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등 뜨거운 음료를 음용할 때 일부 음료만 뚜껑에 덜어서 적절한 온도로 식혀서 음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응용시 음료가 입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한 구조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을 덮는 중앙판(1)과 상기 중앙판(1)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며 융기되어 형성된 외벽부(2)와 컵의 입구 외주를 감싸며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테두리(3)를 포함하는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1)은 외벽부(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융기되어 형성된 유출부(11)와, 상기 유출부의 외벽(11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침강되어 형성된 저수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부(11) 상면에는 음료 유출을 위한 유출공(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12)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부(11)의 좌우측에 인접하여 한 쌍의 원형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2)는 상기 유출부(11)를 감싸며 타측보다 높게 외벽이 융기되어 형성된 음용벽(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and more particularly, when drinking hot beverages such as coffee,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ol some of the beverages into the lid and cool them to a proper temperature, but also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down to the mouth It is about the design of the structure.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ral plate 1 for covering a cup, an outer wall 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center plate 1 and an outer wall 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3), wherein the center plate (1) has an outlet (11)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2) and raised from the height of the plate surface, And an outlet hole (111) for discharging a bevera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11), and the reservoir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outer wall portion 2 includes a drinking wall 21 which surrounds the outlet portion 11 and is formed so that the outer wall is rais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wall portion 11, .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Cup lid {CUP LID}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등 뜨거운 음료를 음용할 때 일부 음료만 뚜껑에 덜어서 적절한 온도로 식혀서 음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응용시 음료가 입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한 구조의 고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and more particularly, when drinking hot beverages such as coffee,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ol some of the beverages into the lid and cool them to a proper temperature, but also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down to the mouth It is about the design of the structure.

테이크 아웃 커피를 마시기 위한 종이 컵에 사용되는 컵 뚜껑은 내부의 커피가 넘치지 않고 보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뚜껑을 닫은 채 뜨거운 커피를 음용할 경우 음료의 양이나 온도를 조절할 수 없어 입안이 뜨거움을 느끼거나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The cup lid used in the paper cup for drinking takeout coffee is mostly mad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preservation without overflowing the coffee inside. However, when drinking hot coffee with the lid closed, the volume or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an not be controlled, and the mouth may feel hot or burn.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컵 뚜껑의 외주를 둘러싸며 융기되어 형성된 외벽 중의 일부를 더 융기시킴으로써 유출하는 음료를 식힐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안한 바가 있다(공개특허 10-2013-0095217). 그러나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충분한 량의 음료를 식혀서 음용하기 어렵고, 음료가 다량 유출시 입가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야기하며, 소량 덜어먹서 나누어 먹고자 할 때 외벽 주위에 발생되는 음료의 유출문제, 음료의 양 조절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function of allowing the beverage to be cooled by further elevating a part of the outer walls formed by being rai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li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3-0095217). However, such a structure alone is difficult to drink a sufficient amount of the beverage and cause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flows down to the mouth when a large amount of the beverage is spilled out. When the beverage is divided into small portions, It is difficult to solve various problems.

KRKR 10201300952171020130095217 AA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뜨거운 음료를 충분한 양으로 컵 뚜껑에 덜어서 먹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음용시 음료가 입가로 흘러 내리거나 음료를 덜어 먹을 때 음료가 뚜껑면과 용기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컵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hot drink can be eaten in a cup lid in a sufficient amount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the drink falls down to the mouth or drink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lid structure that prevents the liquid from flowing down along the container surface.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을 덮는 중앙판(1)과 상기 중앙판(1)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며 융기되어 형성된 외벽부(2)와 컵의 입구 외주를 감싸며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테두리(3)를 포함하는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1)은 외벽부(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융기되어 형성된 유출부(11)와, 상기 유출부의 외벽(11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침강되어 형성된 저수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부(11) 상면에는 음료 유출을 위한 유출공(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12)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부(11)의 좌우측에 인접하여 한 쌍의 원형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2)는 상기 유출부(11)를 감싸며 타측보다 높게 외벽이 융기되어 형성된 음용벽(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ral plate 1 for covering a cup, an outer wall 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center plate 1 and an outer wall 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3), wherein the center plate (1) has an outlet (11)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2) and raised from the height of the plate surface, And an outlet hole (111) for discharging a bevera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11), and the reservoir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outer wall portion 2 includes a drinking wall 21 which surrounds the outlet portion 11 and is formed so that the outer wall is rais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wall portion 11, .

또한, 상기 저수부(12)는 저수된 음료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내주 벽면이 계단식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servoir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forms a stepped wall for smooth drainage of the stored bever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유출부(11)와 음용벽(21)이 연접하는 부분에는 저수부(12)와 연결되어 골을 형성하는 저수유출가이드(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ater outlet guide 13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outflow portion 11 and the drinking wall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ater outlet guide 13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2 to form a valley.

또한, 상기 중앙판(1)은 저수부(12)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며 중앙판(1)을 가로질러 길게 융기되어 격벽(14)을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보조플레이트(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plate 1 is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reservoir portion 12 is formed and a portion where the reservoir portion 12 is not formed and is protruded across the center plate 1 to form the partition wall 14. The reservoir portion 12, And an auxiliary plate (15)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uxiliary plate (15) is not formed.

또한, 상기 음용벽(21)은 상기 유출부(11)와 연접된 부분 내측벽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골을 형성하며 음용가이드(2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nking wall 21 forms a bone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wall connected to the outflow portion 11, and forms a drinking guide 211.

또한, 상기 음용벽(21)은 외벽부(2)의 내측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음용가이드(211)는 음료 유출이 시작되는 하부 하부보다 입이 닿는 상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경계에 횡방향의 음용가이드턱(2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nking wall 21 is formed thick inside the outer wall part 2, and the drinking guide 21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contacting the mouth, And a drinking guide guide 2111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t a boundary separating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음용가이드(211)는 음용벽(21)의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부리(21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nking guide 2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nking wall 21 protrudes outward to form a beak 2112.

또한, 상기 외벽부(2)는 유출부(11)가 형성된 반대 위치에 보조유출공(221)이 형성된 보조유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wall part 2 is formed with an auxiliary outflow part 22 formed with an auxiliary outflow hole 221 at an opposite position where the outflow part 11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뜨거운 커피 등의 음료를 음용시 충분한 양의 음료를 컵 뚜껑에 덜어서 식혀서 음용할 수 있어 뜨거운 음료로부터 느끼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고, 화상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iscomfort felt from hot beverages and avoid the risk of burning by allowing a sufficient amount of beverage to be cooled by cooling the beverage into a cup lid when drinking a beverage such as hot coffee.

또한, 음용시 음료가 입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시 청결을 유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음료를 소량 덜어서 마시고자 하거나 다른 사람과 음료를 나누어 먹고자 할 때도 다른 용기에 음료를 따를 때 용기 주변으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beverage from flowing into the mouth when drinking, so that it not only keeps cleanliness while being used, but also when it is desired to drink a small amount of beverage or to divide drinks with another per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down.

도 1은 종래 컵 뚜껑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핵심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을 컵에 장착한 상태도,
도 8a 내지 8c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up li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re par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up,
8A to 8C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Specific details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테이크 아웃용 커피 등의 음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종이 컵과 컵 뚜껑에 대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용 종이컵의 기본적인 구성은 컵을 덮는 중앙판(1)이 있고, 상기 중앙판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며 약간 융기되어 테두리 즉, 외벽부(2)가 형성되고, 컵의 입구 외주를 감싸며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테두리(3)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컵 뚜껑들은 외벽부(2)의 일측 상단에 타공된 유출공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유출공이 있는 부분에 입을 대고 음용을 하게 되는데, 커피 등 뜨거운 음료를 음용시 충분히 식혀지지 않은 음료가 즉시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기 때문에 음용자의 입술 등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aper cup and a cup lid used for a beverage such as a conventional take-out coffee. The basic configuration of such a take-out paper cup includes a center plate 1 covering the cup, a peripher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late and slightly protruding to form an outer wall 2, The frame 3 is formed so as to be fix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cup lids have an outflow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outer wall part 2, and the user wears the mouth part with the outflow hole to drink. When drinking hot drinks such as coffe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rink of the drinker may be burned because the unused beverage immediately flows out through the outflow hole.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위와 같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앙판(1) 및 외벽부(2)의 구조에 변경을 가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앙판(1)은 외벽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판면의 높이보다 일정 높이로 융기되어 형성된 유출부(11)와 상기 유출부의 외벽(112)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판면의 높이보다 현저히 침강되어 형성된 저수부(12)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는 음료 유출을 위한 유출공(111)이 하기하는 음용가이드(211)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외벽이 아닌 중앙판(1)에 형성된 유출부(11)의 상면에 유출공(111)형성되는 것이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enter plate 1 and the outer wall part 2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djacent to an outer wall. The center plate 1 has an outflow portion 11 protrud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late surface, And includes a reservoir portion 12 formed to be significantly more than a height of the plate surface. Since the outflow hole 111 for the beverage outflow is guided by the drinking guide 211 described below, the outflow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flow portion 11 formed on the center plate 1, not on the outer wall will be.

상기 유출부(11)가 판면보다 융기되고, 외벽(112)이 형성되는 것은 도8a 내지 8c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지만, 저수부(12)에 저수된 음료가 음용 단계에서 컵 내부로 다시 다량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한 쌍의 원형 저수부(12)가 좌우로 인접되어 있어 양 저수부와 음용벽의 3면이 연접되므로 삼각 형상을 하고 있다.8A to 8C, the outflow portion 11 is raised from the plate surface and the outer wall 112 is formed. However, when the beverage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12 flows into the cup again from the drinking stag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air of circular reservoir portions 12 are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three sides of the drinking wall and the two reservoir portions are connect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상기 저수부(12)는 유출공(111)으로부터 유출된 음료를 저장하고 공기와 접촉을 통해 식히기 위한 구조로 판면보다 침강되어 오목한 그릇의 형상을 취한다. 도2, 3 및 도5, 7,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된 저수부가 유출부(11)의 좌우에 연접하여 한 상의 원경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 저수부(12)의 평면 형상은 원형 이외에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reservoir 12 has a structure for storing a beverage flowing out from the outflow hole 111 and cooling it through contact with air, and sinking from the plate surface to take the shape of a concave bowl.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and Figs. 5, 7 and 9 shows that the water storage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a plane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of the outflow portion 11 to have a singl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only a preferred example, and the planar shape of the reservoir 12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본 고안의 저수부(2)의 특징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의 벽면이 계산식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컵을 너무 많이 기울이지 않고도 저수부(12)에 저정된 음료가 내부의 뜨거운 음료보다 먼저 음용가이드(211)로 흘러나올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feature of the reservoi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ner wall surface can form the computed wall surface as shown. This is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reservoir portion 12 to flow out to the drinking guide 211 before the hot beverage therein without tilting the cup too much.

도3은 컵 뚜껑의 유출부(11), 저수부(12) 및 저수유출가이드(13)를 상세히 참조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인바, 저수유출가이드는(13) 1차로 컵을 기울일 때 유출부의 유출공(111)에서 흘러나온 음료를 저수부(1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2차 음용시 유출공(111)을 통해 나올 뜨거운 음료보다 먼저 저수부(12)의 식은 음료가 음용가이드(21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utlet 11 of the cup lid, the reservoir 12 and the water outlet guide 13 in detail. The water outlet guide 13 is formed by the outflow of the outflow portion when the cup is firstly tilted The beverage is guided to the drinking water guide portion 211 before the hot drink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hole 111 at the time of the second drinking and serves to guide the beverage flowing from the hole 111 to the storage portion 12, ) To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중앙판(1)의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과자, 스낵 등 작은 물건을 일시에 올려 놓을 수 있게 하는 보조플레이트(15)를 제공하는바, 도2, 5 내지 7,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12)에 고인 음료가 침범하지 않도록 격리를 할 필요가 있어 저수부(12)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여 중앙판(1)을 가로질러 길게 융기된 격벽(14)을 형성한다.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uxiliary plate 15 that allows small articles such as sweets, snacks, and the like to be placed at a time by utilizing the free space of the center plate 1, as shown in detail in Figs. 2, 5-7, and 9 It is necessary to isolate the bottom portion 12 from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2 is formed and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portion 12 is not formed so that the partition wall 14 protruding long from the center plate 1, .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외벽부(2)의 일부분을 융기시켜 응용벽(21)을 형성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2)의 음용벽(21)은 타측에 비해 상당한 높이로 융기되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차 컵 기울임에 음료를 저수하는 과정에 음료를 쏟기 않기 위함이고, 2차 컵 기울임을 통해 음료를 음용할 때 천천히 조심스럽게 음료를 음용하기 위함이다.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ises a portion of the outer wall 2 to form the application wall 21.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drinking wall 21 of the outer wall part 2 is formed to be elevated to a considerable height as compared with the other side. This is to avoid spilling beverages in the process of storing beverages in the first cup tilting, and to drink slowly and carefully when drinking beverages through the second cup tilting.

종래 융기된 형태의 외벽을 지닌 컵 뚜껑들과 큰 차이는 도2 및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부(11)에 연접된 부분에 내측벽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골을 형성하며 음용가이드(211)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음용가이드(211) 음용시 음료가 입가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2 and 7, the cup lid having the outer wall of the raised shape of the prior art is formed with a valle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outflow portion 11, (211).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flowing down into the mouth when drinking the drinking guide 211.

도면에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음용벽(21)은 상당한 두께로 두툼하게 형성되는바, 이는 다량의 음료를 음용 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가이드 하기 위하여 음용가이드(211)가 충분한 깊이와 폭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경우 유출되는 음료가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서는 음용가이드(211)의 낙폭이 갑자기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렇다고 너무 두툼한 음용가이드(211)는 사용을 불편하게 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로 음료가 유출이 시작되는 부분 즉, 음용가이드 하부는 다소 두툼하게 유지하고, 입이 닿는 상부쪽은 얇게 형성하여, 그 경계에 상부 하부를 구분하는 음용가이드턱(2111)을 횡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inking wall 21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ickly formed with a considerable thickness, which means that even if a large amount of drink is consumed, the drinking guide 211 has sufficient depth and width Lt; / RTI > In this case, it is not desirable that sudden dropping of the drinking guide 211 suddenly increases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outflowed beverage. However, the too thick drinking guide 211 is inconvenient to use. Therefore,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above is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everage flows out,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drinking guide is kept somewhat thic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inking guide is thin, Can b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도8a 내지 8c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사용 방법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을 위해 1차 및 2차 기울임을 통해 식힘과 음용을 할 것을 권한다. 도8a는 음료(D)를 저수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컵(C)을 1차 기울인 상태이다(1차 기울임). 음용가이드(211) 외측단으로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기울이면 내부의 음료가 유출되어 음용벽에 고이게 된다. 도8b는 다시 컵을 바로 세우면, 음료(D)의 일부는 컵 내부로 다시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저수부(12)에 고이게 되는데, 컵 내부로 다량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유출부(11)가 어느정도 융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부(12)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음료는 1회 음용 양만큼 충분한 양이 고이게 된다. 도8c는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컵을 기울이면(2차 기울임) 저수부(12)에 고인 식은 음료가 먼저 음용가이드(211)쪽으로 유출되게 되는데, 내부의 음료의 양은 도면의 화살표(M)에서와 같이 외부에 고인 음료의 양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컵을 1차로 기울일 때와 같은 각도로 기울이더라도 내부의 음료는 유출되지 않고 외부에 고인 음료가 먼저 음용가이드(211)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저수유출가이드(13)는 저수부(12)에 고인 음료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게 한다.8A to 8C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and function of using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appliance be cooled and drunk through first and second tilts for use.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up C is first inclined (first tilted) in order to store the beverage D in the reservoir portion. When the drink is til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beverage can not flow down to the outer end of the guide 211, the drink inside is leaked to the drinking wall. 8B shows that when the cup is set up again, a part of the beverage D flows back into the cup and the rest is floated in the reservoir 12. In order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the beverage D from flowing into the cup, . The bottom portion 12 is formed to be deeply concave, so that the amount of the drink is sufficient by one drinking amount. 8C shows that when the cup is tilted (second tilted) in order to drink the beverage, the beverage first flows out toward the drinking guide 211, Even if the cup is tilted at the same angle as when the cup is firstly tilted, the beverage inside is not discharged but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drinking guide 211 first. 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and discharge guide 13 allows the pooled beverage 12 to be supplied more smoothly.

상기 구조로 음용시 절절한 양을 컵 뚜껑에 일시 덜어서 음용할 수 있고, 음용시 입가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용기에 음료를 덜어서 마시는데도 도움을 준다. 그런데 본 고안은 다른 용기로 음료를 덜어서 먹는 경우 등에 더욱 도움을 주는 개선된 구조를 제안하는바, 도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가이드(211)의 음용벽(21)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고, 내부의 골은 더 깊게 형성되어, 커피포트의 주둥이와 비슷한 형상의 부리(2112)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음료를 다른 종이 컵이나 용기에 덜어서 사용하는 경우 음료가 컵 뚜껑의 외벽과 용기를 따라 흘러내리는 현상을 현저히 막을 수 있어 컵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drink an amount of drinking water in the cup lid for drinking,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flowing down to the mouth when drinking, and to help drink the beverage in another container.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nking wall 21 of the drinking guide 211 protrudes outwardly,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the inner valley is formed deeper to form a beak 2112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spout of the coffee pot. In this case, when the beverage is used in another paper cup or container, the phenomenon that the beverage flows dow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up lid and the container can be significantly prevented, and the cup can be cleanly used.

부수적인 구성으로 상기 외벽부(2)의 상단에는 상기 유출부가 형성된 반대 위치에 보조유출공(221)이 형성된 보조유출부(22)를 형성할 수 있다.An auxiliary outlet 22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 with an auxiliary outlet hole 221 formed at an opposite position where the outlet is formed.

상기 내용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내용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은 물론 이와 균등한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 will.

1: 중앙판 11: 유출부
111: 유출공 12: 저수부
13: 저수유출가이드 14: 격벽
15: 보조플레이트 2: 외벽부
21: 음용벽 211: 음용가이드
2111: 음용가이드턱 2112: 부리
22: 보조유출부 221: 보조 유출공
3: 테두리
1: central plate 11: outlet
111: outflow hole 12:
13: water storage guide 14: partition wall
15: auxiliary plate 2: outer wall part
21: drinking wall 211: drinking guide
2111: drinking guide chin 2112: beak
22: auxiliary outlet portion 221: auxiliary outlet portion
3: Border

Claims (9)

컵을 덮는 중앙판(1)과 상기 중앙판(1)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며 융기되어 형성된 외벽부(2)와 컵의 입구 외주를 감싸며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테두리(3)를 포함하는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1)은 외벽부(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융기되어 형성된 유출부(11)와, 상기 유출부의 외벽(112)에 인접하여 판면의 높이보다 침강되어 형성된 저수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부(11) 상면에는 음료 유출을 위한 유출공(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12)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부(11)의 좌우측에 인접하여 한 쌍의 원형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2)는 상기 유출부(11)를 감싸며 타측보다 높게 외벽이 융기되어 형성된 음용벽(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A cup (1) comprising a center plate (1) covering a cup, an outer wall part (2) formed by protru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late (1) and a frame (3) In this case,
The center plate 1 has an outflow portion 11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portion 2 so as to protrude from the plate surface and a bottom portion 12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112 of the outflow portion, The outflow hole 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flow portion 11. The outflow hole 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flow portion 11. The outflow hole 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formed as a pair of circular structures,
Wherein the outer wall part (2) comprises a drinking wall (21) which surrounds the outflow part (11) and is formed by elevating an outer wall higher than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12)는 저수된 음료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내주 벽면이 계단식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ervoir portion (12) forms a stepped wall surface for the inner wall surface for smooth drainage of the stored wa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1)와 음용벽(21)이 연접하는 부분에는 저수부(12)와 연결되어 골을 형성하는 저수유출가이드(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 outlet guide (13)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outflow portion (11) and the drinking wall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valley by being connected to the reservoir portion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1)은 저수부(12)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며 중앙판(1)을 가로질러 길게 융기되어 격벽(14)을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보조플레이트(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plate (1) is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reservoir portion (12) is formed and a portion where the reservoir portion is not formed, And an auxiliary plate (15)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handle (12) is no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벽(21)은 상기 유출부(11)와 연접된 부분 내측벽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골을 형성하며 음용가이드(2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nking wall (21) forms a corrugation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side wall connected to the outlet (11) and forms a drinking guide (2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벽(21)은 외벽부(2)의 내측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음용가이드(211)는 음료 유출이 시작되는 하부 하부보다 입이 닿는 상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경계에 횡방향의 음용가이드턱(2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7. 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inking wall (21) is formed thick inside the outer wall part (2), and the drinking guide (211)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a lateral drinking guide tab (2111) is formed at a boundary separat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가이드(211)는 음용벽(21)의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부리(21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inking guide (211) is protruded out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nking wall (21) to form a beak (21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2)는 유출부(11)가 형성된 반대 위치에 보조유출공(221)이 형성된 보조유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The cup l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wall part (2) is formed with an auxiliary outflow part (22) formed with an auxiliary outflow hole (221) at an opposite position where the outflow part (11) is formed.

KR2020160004316U 2016-07-27 2016-07-27 Cup lid KR2004831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16U KR200483160Y1 (en) 2016-07-27 2016-07-27 Cup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16U KR200483160Y1 (en) 2016-07-27 2016-07-27 Cup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60Y1 true KR200483160Y1 (en) 2017-04-10

Family

ID=5860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316U KR200483160Y1 (en) 2016-07-27 2016-07-27 Cup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6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28Y1 (en) * 2018-07-20 2018-12-17 준일산업주식회사 A cup lid
KR102021440B1 (en) * 2018-10-30 2019-09-18 한국피엘에이 주식회사 Disposable plastic cup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54A (en)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A cup cover
KR20090000477U (en) * 2007-07-12 2009-01-15 박금덕 A cup lid
KR20130002161U (en) * 2011-09-28 2013-04-05 김영진 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KR20130095217A (en)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케이앤랩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54A (en) * 2001-09-03 2003-03-08 김성일 A cup cover
KR20090000477U (en) * 2007-07-12 2009-01-15 박금덕 A cup lid
KR20130002161U (en) * 2011-09-28 2013-04-05 김영진 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KR20130095217A (en)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케이앤랩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28Y1 (en) * 2018-07-20 2018-12-17 준일산업주식회사 A cup lid
KR102021440B1 (en) * 2018-10-30 2019-09-18 한국피엘에이 주식회사 Disposable plastic cup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US8469227B2 (en) Device to enhance and prolong a hot beverage drinking experience
KR101460705B1 (en)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US9387961B2 (en)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7992741B2 (en)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160045054A1 (en) Portable Cooking Container
US7641070B2 (en) Low cost spill-resistant cup for liquids
US20080087037A1 (en) Food chilling apparatus and method
US6991128B1 (en) Splash inhibiting beverage container lid
US6905044B1 (en) Splash inhibiting beverage container lid
US9795241B2 (en) Food pans and related systems
KR200483160Y1 (en) Cup lid
US20110309092A1 (en) Drink container with ice flow dam
US20140007777A1 (en) Liquid overflow capture device for small appliances
US2263947A (en) Combined sipping and drinking vessel
CN110035956B (en) Dispos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
KR20140040117A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
CA2625050A1 (en) Measuring bowl having handle
KR20130002161U (en) 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JP2002284296A (en) Overflow preventive device of drain pan
US20050011901A1 (en) Beverage container
KR102110236B1 (en) Easy to drink cup lid of hot drink
JP2005087313A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 and cooling container
US1962997A (en)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