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15Y1 - 조절핀 분해공구 - Google Patents

조절핀 분해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15Y1
KR200483015Y1 KR2020160000128U KR20160000128U KR200483015Y1 KR 200483015 Y1 KR200483015 Y1 KR 200483015Y1 KR 2020160000128 U KR2020160000128 U KR 2020160000128U KR 20160000128 U KR20160000128 U KR 20160000128U KR 200483015 Y1 KR200483015 Y1 KR 200483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ing
adapt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85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60000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1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hock-absorber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B64F2700/6226
    • B64F2700/62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Chuck) 형태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핀을 빼낼 수 있어 다양한 조절핀의 크기에 적용가능하며, 적은 외력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핀을 빼낼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조절핀 분해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 분해공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죠가 방사상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척킹부와 이러한 척킹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와, 이 축부에 삽입되기 위한 중공홀을 구비하며,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이 타부재의 일측에 끼워져 상기 타부재에 고정되는 어댑터부와 내주면에 축부의 나사산으로 회전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며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손잡이부는 나사회전에 의해 축부의 나사산을 이동하여 어댑터부의 일면상에 손잡이부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핀 분해공구{A Tool for Disjointing Metering Pin}
본 발명은 실린더 또는 피스톤 내부의 유량조절핀을 실린더 또는 피스톤에서 빼내어 분해하기 위한 조절핀 분해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랜딩기어 피스톤 내부의 유량조절핀을 분해공구의 일단부로 척킹한 후, 손잡이를 회전하여 유량조절핀을 잡아 빼도록 설계된 조절핀 분해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항공기의 이착륙, 특히 착륙 시 항공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착륙 후 활주 시에 받는 진동하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공기에는 랜딩기어(Landing Gear) 형태의 현가장치(Suspension)가 구비되며, 이러한 항공기의 랜딩기어에는 완충장치가 구비된다.
완충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바퀴가 힘을 받으면 피스톤을 밀어올려 실린더 내 오일과 압축가스가 밀폐되며, 실린더 내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오일이 공기실로 유입되면서 공기압축에 의한 유체마찰 에너지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조절핀은 이러한 랜딩기어의 완충장치에서 유량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니들 밸브(Needle Valve)로써, 항공기의 랜딩기어 점검을 위해서는 조절핀을 랜딩기어로부터 분해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조절핀을 랜딩기어에서 분해하기 위해 랜딩기어의 일측에서 에어건(Air Blow Gun)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주입된 공기압으로 조절핀을 분해하였다. 그러나, 주입되는 강한 공기압으로 인해 조절핀 또는 랜딩기어 내부의 부속품이 예기치 않게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공기압으로 배출되는 조절핀의 배출방향을 제어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절핀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빼내는 공구가 필요하나, 조절핀이 완충장치의 깊숙한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공구로는 조절핀을 분해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완충장치 내부에 고정된 조절핀을 공기압이 아닌 기계적인 공구를 이용해 적은 힘을 들여서 쉽게 조절핀을 분해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조절핀 분해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절핀 분해공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죠가 방사상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척킹부와 이 척킹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와 이러한 축부에 삽입되기 위한 중공홀을 구비하며,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이 타부재의 일측에 끼워져 타부재에 고정되는 어댑터부와 내주면에 축부의 나사산으로 회전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손잡이부는 나사회전에 의해 축부의 나사산을 이동하여 어댑터부의 일면상에 손잡이부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척킹부의 외면상에서 슬라이드되어 죠의 이격거리를 좁히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가 죠의 이격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축부에 삽입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부와 손잡이부 사이에서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쇠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어댑터부는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이 타부재에 삽입되어 타부재의 내측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삽입부와 이러한 삽입부로부터 연장하되 삽입부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면이 타부재의 일측 원주둘레와 맞닿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척(Chuck) 형태의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핀을 빼낼 수 있어 다양한 조절핀의 크기에 적용가능하며, 적은 외력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핀을 빼낼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가 조절핀을 척킹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를 사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를 사용함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가 조절핀을 척킹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척킹부(100)는 조절핀(200)의 외면상에 마찰력을 제공해 조절핀(200)을 척킹(Chucking)하는 조절핀분해공구(10)의 구성이다.
척킹부(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죠(Jaw)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죠가 조절핀(200)의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조절핀(200)을 척킹한다.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죠에는 조절핀(200)의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거나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척킹부(100)는 바람직하게는 4개의 죠가 방사상으로 상호간에 서로 이격하여 이격공간을 구비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공간으로 조절핀(200)이 삽입된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죠가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조절핀(200)을 척킹함으로써, 조절핀(200)으로 제공되는 마찰력의 균형이 이루어져 조절핀(200)이 척킹부(100)에 보다 잘 고정될 수 있다.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죠는 탄성을 지닌 부재로 형성되어, 조절핀(200)을 척킹하는 동작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은 조절핀(20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죠의 일단부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외력의 제거로 복원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슬라이드부(110)는 척킹부(100)의 외면상에서 슬라이드하여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죠 사이의 이격공간을 좁히거나 넓히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부(110)의 내경은 척킹부(1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부(110)가 척킹부(100)의 외면상으로 슬라이드하면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죠가 휘어져 이격공간을 좁히게 된다. 슬라이드부(110)가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죠 사이의 이격공간을 좁히면, 도 3과 같이 조절핀(200)이 척킹부(100)에 척킹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110)가 척킹부(100)의 외면을 벗어나도록 슬라이드되면, 휘어졌던 척킹부(10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죠가 이루는 이격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슬라이드부(110)의 내경의 크기에 따라 척킹부(100)의 이격공간이 좁아지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조절핀(200)의 지름에 맞추어 내경이 서로 다른 슬라이드부(110)가 척킹부(100)의 외면으로 삽입되어 척킹부(100)의 이격공간을 좁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경이 서로 다른 슬라이드부(110)를 조절핀(200)의 지름에 맞게 교체하면, 척킹부(100)의 이격공간이 좁혀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지름의 조절핀(200)을 척킹할 수 있다.
축부(120)는 척킹부(100)의 단부에서 연장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핀분해공구(10)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 축부(120)는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핀분해공구(10)의 다른 구성들이 축부(12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를 사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핀분해공구를 사용함에 따라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어댑터부(130)는 어댑터부(130)의 중앙으로 중공홀을 구비하여, 중공홀로 축부(120)를 수용하여 축부(120)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중공홀은 축부(1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아, 어댑터부(130)는 축부(120)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어댑터부(130)는 외주면에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가 형성된다. 어댑터부(130)는 실린더 또는 피스톤과 같은 타부재(300)의 일측 내부에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이 끼워져 타부재(300)의 일측에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어댑터부(130)는 타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외주면을 구비한 삽입부(131)와, 삽입부(131)보다 큰 외경을 갖고 삽입부(131)로부터 연장하며 일면이 타부재(300)의 일측 원주둘레와 맞닿아 어댑터부(130)를 고정하는 고정부(133)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어댑터부(130)가 삽입부(131)와 고정부(133)로 구성되면, 삽입부(131)가 타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타부재(300)의 내측에 삽입부(131)의 외주면이 1차적으로 마찰력을 제공하고, 고정부(133)의 일면이 타부재(300)의 일측 원주둘레와 맞닿게 되어 2차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삽입부(131)와 고정부(133)로 어댑터부(130)가 구비되면, 삽입부(131)의 마찰력과 고정부(133)의 지지력으로 어댑터부(130)가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내주면에 축부(120)의 나사산에 끼워지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한 구성이다.
손잡이부(140)는 손잡이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축부(120)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손잡이부(140)가 회전함에 따라 손잡이부(140)는 축부(120)의 나사산을 따라 나사회전하며 축부(1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나사회전이라 함은 나사산을 따라 나사홈이 끼워지면서 나사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손잡이부(140)가 축부(120)의 나사산을 따라 나사회전하며 이동하면서, 도 5와 같이 타부재(300)에 고정된 어댑터부(130)와 맞닿을 수 있다. 축부(120)는 어댑터부(130)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어댑터부(130)가 타부재(300)에 고정됨에도 축부(120)는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부(140)가 어댑터부(130)와 맞닿은 상태에서 나사회전하면, 손잡이부(140)는 어댑터부(130)의 일면상에 손잡이부(14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며, 외력의 제공에 의한 반작용으로 축부(120)가 손잡이부(140)의 바깥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척킹부(100)에 물려있는 조절핀(200)이 축부(120)의 이동에 따라 타부재(300)의 내측에서 바깥방향으로 빠져나와 조절핀(200)이 분해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를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어댑터부(130)에 외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외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조절핀(200)을 분해하는 방법으로 적은 외력으로도 조절핀(200)을 분해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조절핀(200)을 분해할 수 있다.
고정너트(150)는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죠 사이의 이격거리를 슬라이드부(110)가 좁힌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10)를 고정하기 위해 축부(120)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슬라이드부(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고자, 고정너트(150)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구비되어, 나사회전을 통해 축부(1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슬라이드부(110)는 복수 개의 죠의 이격공간을 좁히고자 척킹부(100)의 외면상으로 슬라이드되나, 척킹부(100)에 구비되는 죠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척킹부(100)의 외면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너트(150)가 축부(120)와 나사결합하여 슬라이드부(110)의 일단부에 고정력을 제공하면 슬라이드부(110)는 척킹부(100)의 외면 밖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고, 조절핀(200)을 척킹한 상태로 유지된다.
와셔(160)는 어댑터부(130)와 손잡이부(140) 사이에서 손잡이부(140)가 회전하면서 손잡이부(140)와 어댑터부(13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줄이고자, 축부(120)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와셔(160)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구비되지 않아, 축부(120)의 외주면에서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와셔(160)는 어댑터부(130)의 중공홀에 와셔(16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타부분이 중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중공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와셔(160)가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부(140)는 어댑터부(130)와 맞닿은 상태에서도 마찰을 최소화하며 회전할 수 있어 손잡이부(140)의 나사회전에 따른 외력이 어댑터부(130)로 전달되기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절핀분해공구 100 : 척킹부
110 : 슬라이드부 120 : 축부
130 : 어댑터부 131 : 삽입부
133 : 고정부 140 : 손잡이부
150 : 고정너트 160 : 와셔
200 : 조절핀 300 : 타부재

Claims (4)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죠가 방사상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척킹부;
    상기 척킹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중공홀을 구비하여 상기 축부를 삽입하고,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은 타부재의 일측에 끼워져 상기 타부재에 고정되되 상기 축부는 상기 중공홀의 내외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어댑터부;
    상기 척킹부의 외면상에서 슬라이드되되 상기 척킹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죠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드부;
    내주면에 상기 축부의 나사산으로 회전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나사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나사회전에 의해 상기 축부의 나사산을 이동하여 상기 어댑터부의 일면상에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어댑터부는 마찰력을 갖는 외주면이 상기 타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타부재의 내측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하되 상기 삽입부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면이 상기 타부재의 일측 원주둘레와 맞닿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핀 분해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죠의 이격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축부에 삽입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핀 분해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쇠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핀 분해공구.
  4. 삭제
KR2020160000128U 2016-01-08 2016-01-08 조절핀 분해공구 KR200483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28U KR200483015Y1 (ko) 2016-01-08 2016-01-08 조절핀 분해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28U KR200483015Y1 (ko) 2016-01-08 2016-01-08 조절핀 분해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80 Division 201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5U KR20160003485U (ko) 2016-10-10
KR200483015Y1 true KR200483015Y1 (ko) 2017-03-28

Family

ID=5713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28U KR200483015Y1 (ko) 2016-01-08 2016-01-08 조절핀 분해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2102A (zh) * 2017-01-16 2018-07-24 北海和思科技有限公司 一种拔模具定位销装置
CN113104231A (zh) * 2021-03-26 2021-07-13 陕西飞机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飞机整体框定位的装置及方法
CN114952709B (zh) * 2022-06-29 2023-09-26 中国航发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销更换装置及方法
CN115255886B (zh) * 2022-07-29 2024-05-0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销拔取装置及圆柱销拔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79Y1 (ko) * 1999-09-14 2000-03-15 전유배 자동차용 흡배기밸브 스템실 탈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81U (ko) * 2008-12-17 2010-06-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사이런서 그리드 취외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79Y1 (ko) * 1999-09-14 2000-03-15 전유배 자동차용 흡배기밸브 스템실 탈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5U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015Y1 (ko) 조절핀 분해공구
AU2017232222B2 (en) Hole saw arbor assembly
US6007268A (en) Radial and axial locking release collar
US20140345100A1 (en) Pin puller
US20200041055A1 (en) Quick-disassembly nipple connector structure
US9759301B2 (en) Clamping apparatus
US20140353929A1 (en) Expanding arbor
US10005133B2 (en) Auto sizing chuck
TWI535510B (zh) Elastic chuck
TWI622464B (zh) Tool chuck for power tools
US7104389B2 (en) Conveying drum with clamping device
US9770798B2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workpiece
CN202518940U (zh) 吊装专用工具
JP2015208794A (ja) ホーニングヘッド
EP3707487A1 (en) A balancing machine having a blocking of vehicle wheels on the balancing shaft
US20120013081A1 (en) Clamping and releasing assembly
KR101548192B1 (ko) 성형 연삭기용 상하이동 핸들장치
US20150258601A1 (en) Drilling-out aid device for assisting in drilling out a rivet
US201502907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xpansion arbor
US9707626B2 (en) Hole saw assembly
JP7319659B2 (ja) フィンガーチャックの連結装置
SE538901C2 (sv) Rolleranordning
CA3022283A1 (en) Holder for a rotary tool comprising with radially and axially movable restriant elements
TWI840190B (zh) 磁力驅動裝置
CN217328719U (zh) 一种高寿命的气动执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