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08Y1 - Terminal for current sensor - Google Patents
Terminal for current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908Y1 KR200482908Y1 KR2020120002623U KR20120002623U KR200482908Y1 KR 200482908 Y1 KR200482908 Y1 KR 200482908Y1 KR 2020120002623 U KR2020120002623 U KR 2020120002623U KR 20120002623 U KR20120002623 U KR 20120002623U KR 200482908 Y1 KR200482908 Y1 KR 2004829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ixed body
- current sensor
- pcb substrat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으로, 전류센서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커넥터로부터 전류를 통전시키는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격벽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한 결합 밀착면을 높일 수 있어 유동현상 없인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B substrate mounted in a case of a current sensor, and which conducts current from a power source connector, the terminal terminal comprising: a plate-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narrower width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PCB substrate; And a power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narrow width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nec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gaging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of the cas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fixing force without flow phenomen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센서의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를 간단한 조립식 체결구조로 개선하여 고정 능력 및 제품의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B substrate of a current sensor by a simple assembly type fastening structure, and a current sensor Terminal terminal.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전기부품들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따라서 차량 배터리에서의 전력소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increasingly equipp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vehicle navigation systems, and therefore power consumption in vehicle batteries is increasing.
자동차 시동시 또는 주행중 피크전류(peak current)는 수 백 암페어(empere)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배터리로부터 각 부하로 분기되는 도선에 흐르는 전류를 정확히 측정하여 부품의 고장이나 불량을 확인하고 있다.Peak currents at the time of vehicle start-up or driving may reach hundreds of ampere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current flowing in a lead wire branched from a battery to each load is accurately measured to check the failure or failure of the component.
이를 위해 전류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To this end, a current sensor is used, which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a conductor u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
이하,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Hereinafter,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10)는 차량의 배터리(미도시)와 차량의 전장품(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류버스바(bus bar, 미도시)가 관통하는 케이스(11) 및 덮개(4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수납되는 코어(31)와, 상기 코어(31)에 형성된 갭(S)부분에 배치되는 홀센서(미도시)가 장착된 PCB기판(Printed Circuit Board, 23)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그리고, 상기 PCB기판(23)에는 외부의 전원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터미널 단자(50)가 연결된다.A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전류센서(10)에 따르면, 전류버스바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어(31)에 발생된 자속을 홀센서가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홀전압(hall voltage)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홀전압을 이용하여 전류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이러한 상기 전류센서(10)를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 먼저 케이스(11) 내에 PCB기판(23)과 코어(31)를 배치시킨 후 상기 PCB기판(23)에 연결되어 전원커넥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기 위한 터미널 단자(50)를 연결한다.A process of assembling the
그 다음, 상기 PCB기판(23)과 코어(3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내부에 엑폭시 등 젤타입의 경화성 밀봉재를 충전한다.Next, in order to prevent the
이후, 상기 밀봉재가 완벽히 경화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41)로 밀봉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한다.Thereafter, when the sealing material reaches a completely cured state, the upper part of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10)의 경우 상기 터미널 단자(50)는 PCB기판(23)에 대하여 납땜공정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납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1)의 일부분을 착탈 조립식 구조로 설계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류센서의 전체 제조공정에 있어 남땜을 위한 공정이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또한, 상기 케이스(11)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50)를 지지하는 결합공(12a)을 형성한 격벽(12)의 단면 두께가 제한적인 얇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원커넥터와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단자(50)가 쉽게 유동하여 접속 배열위치의 변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센서의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를 간단한 조립식 체결구조로 개선하여 고정 능력 및 제품의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fixing ability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termin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substrate of the current sensor to a simple assembly type fastening structure. And to provide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전류센서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커넥터로부터 전류를 통전시키는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A terminal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B substrate provided in a case of a current sensor to conduct current from a power source connector,
상기 터미널 단자는,The terminal terminal includes: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A fixed body portion of a plate shape;
상기 고정 몸체부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narrower width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PCB substrate;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ower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narrow width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nector.
특히, 상기 연결 단자부는 PCB기판의 연결공 진입시, 상기 연결공의 직경 크기에 대응하여 좌,우측면이 탄성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변형유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articularly,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deformation inducing hole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when the connection hole of the PCB substrate is entered.
또한, 상기 변형유도공은 연결 단자부의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formable guide hole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부의 선단부는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ip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여기서,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원 단자부는 상기 고정 몸체부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power terminal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body portion.
한편, 상기 전류센서의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의 고정 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후면이 PCB기판 쪽으로 연장되어 일정 폭 이상의 단면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ase of the current sensor, a partition wall having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fixing body of the terminal terminal is formed, and the rear wall extends toward the PCB substrate and has a thickness of a certain width or mor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의 폭 방향 양면에는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밀착하는 상태로 접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전달하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oth of the widthwise sides of the fixed body portion are formed with projecting tabs which are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and which transmit a firm fixing force.
그리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고정 몸체부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topper for limiting a coupling depth of the fixed body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측 둘레에는 이물질 차단턱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foreign matter blocking jaw is additionally formed arou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body part.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PCB기판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 및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를 구성함으로써, 케이스의 격벽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한 결합 밀착면을 높일 수 있어 유동현상 없인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since the plate-shaped fixed body portion having a certain area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PCB substrate and the power source terminal portion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and to stably maintain the fixing force without flow.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에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격벽의 결합공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그에 따른 고정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errated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ed body portion, the fixing body can be press-fitted into the engaging hole of the partition wall,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fixing force.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에는 변형유도공을 형성함으로써, PCB기판에 대한 착탈식 결합구조가 가능하여 기존 남땜공정을 배재시킬 수 있어 전류센서의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땜공정을 위한 상기 케이스를 착탈식 구조로 설계해야 했던 복잡한 조립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deformation inducing hole i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to the PCB substrate is possible, and the existing soldering process can be dispensed with, thereby reduc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current sensor and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It is possible to simplify a complicated assembling structure in which the case for the case is designed to be detachabl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측 둘레에는 이물질 차단턱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 몸체부와 격벽의 결합공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oreign matter blocking jaw is additionally provided arou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body portion,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fixing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partition wall.
도 1a와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의 구성 및 터미널 단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의 구성 및 터미널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터미널 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 coupling structure of a terminal terminal.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urrent sensor and a termi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terminal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rminal terminal for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ttached hereto.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300)는 전류센서의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PCB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전류를 통전시키는 것으로,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310)와,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200)의 연결공(210)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320)와,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3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먼저, 상기 전류센서 케이스(10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진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300)의 고정 몸체부(310)가 결합되는 결합공(111)을 형성한 격벽(110)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격벽(110)은 후면이 PCB기판(200) 쪽으로 연장되어 일정 폭 이상 늘어난 단면 두께로 이루어진다.Here, the
즉, 상기 격벽(110)이 일정 두께 이상의 크기를 가지면 그에 따른 결합공(111)의 깊이도 함께 연장되어 상기 고정 몸체부(3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면적이 늘어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력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전원커넥터의 반복적인 착탈결합에 대하여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단자(300)가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f the
또한, 상기 결합공(111)에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1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스토퍼(112)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가 결합공(111)을 벗어나 상기 PCB기판(200) 쪽으로 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한편, 상기 고정 몸체부(31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전기 전도율이 높은 황동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금속에 은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특히,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폭 방향 양면에는 상기 결합공(111)의 내주면에 대하여 밀착하는 상태로 접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전달하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311)이 돌출형성된다.Particular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즉, 상기 걸림턱(311)은 상기 고정 몸체부(310)가 결합공(1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공(111)의 내면에 압입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고정 결합력을 한층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이러한 상기 걸림턱(311)은 후술할 연결 단자부(320)로부터 전원 단자부(330)를 향하여 상향경사지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몸체부(310)의 타단측 둘레에는 이물질 차단턱(313)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foreign
즉, 상기 이물질 차단턱(313)은 상기 고정 몸체부(310)와 상기 격벽(110)의 결합공(111)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물질에 의한 전기적 숏트현상 등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foreign
한편, 상기 연결 단자부(320)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200)의 연결공(21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The
상기 연결 단자부(320)는 PCB기판(200)의 연결공(210) 진입시, 상기 연결공(210)의 직경 크기에 대응하여 좌,우측면이 탄성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변형유도공(321)이 형성된다.The
즉, 상기 변형유도공(321)에 의해 연결 단자부(320)의 좌,우측면이 상기 PCB기판(200)의 연결공(210)에 대응하는 크기로 탄성 압입되는 구조의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PCB기판(200)에 연결 단자부(320)를 연결하기 위한 남땜공정을 배재시킬 수 있으므로 전류센서의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땜공정을 위한 상기 케이스(100)를 착탈식 구조로 설계해야 했던 복잡한 조립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변형유도공(321)은 연결 단자부(320)의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320)의 선단부는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PCB기판(200)의 연결공(2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한편, 상기 전원 단자부(330)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하는 구성이다.The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 단자부(330)의 선단부도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w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320)와 전원 단자부(330)는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PCB기판(200)의 연결공(210)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320) 및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310)를 구성함으로써, 케이스(100)의 격벽(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대한 결합 밀착면을 높일 수 있어 유동현상 없인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310)에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311)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격벽(110)의 결합공(11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그에 따른 고정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또한, 상기 연결 단자부(320)에는 변형유도공(321)을 형성함으로써, PCB기판(200)에 대한 착탈식 결합구조가 가능하여 기존 남땜공정을 배재시킬 수 있어 전류센서의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땜공정을 위한 상기 케이스(100)를 착탈식 구조로 설계해야 했던 복잡한 조립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또한, 상기 고정 몸체부(310)의 타단측 둘레에는 이물질 차단턱(313)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 몸체부(310)와 격벽(110)의 결합공(111)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foreign
100 : 케이스
110 : 격벽
111 : 결합공
112 : 스토퍼
200 : PCB기판
210 : 연결공
300 : 터미널 단자
310 : 고정 몸체부
311 : 걸림턱
313 : 이물질 차단턱
320 : 연결 단자부
321 : 변형유도공
330 : 전원 단자부100: Case
110:
111: coupling ball
112: Stopper
200: PCB substrate
210: connecting ball
300: Terminal terminal
310: fixed body portion
311:
313: Foreign body blocking chin
320: connection terminal portion
321: Deformation inducer
330: Power supply terminal
Claims (9)
상기 터미널 단자는,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측 둘레에는 이물질 차단턱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
A terminal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CB substrate provided in a case of a current sensor to conduct current from a power source connector,
The terminal terminal includes:
A fixed body portion of a plate shape;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in a narrower width structure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PCB substrate;
And a power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body portion to have a narrower width a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nector,
And a foreign matter blocking jaw is additionally formed arou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body part.
상기 전류센서의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의 고정 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후면이 PCB기판 쪽으로 연장되어 일정 폭 이상의 단면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sensor includes a case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for coupling a fixing body of the terminal terminal to the case, and a back surface of the current sensor extends toward the PCB substrate and has a thickness of at least a certain width. Terminal terminal.
상기 고정 몸체부의 폭 방향 양면에는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대하여 밀착하는 상태로 접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전달하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rrated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in a width direction thereof 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in a tight contact state and to transmit a firm fixing force.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고정 몸체부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topper for limiting a coupling depth of the fixed body is formed on the coupl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623U KR200482908Y1 (en) | 2012-03-30 | 2012-03-30 | Terminal for current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623U KR200482908Y1 (en) | 2012-03-30 | 2012-03-30 | Terminal for current sen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901U KR20130005901U (en) | 2013-10-10 |
KR200482908Y1 true KR200482908Y1 (en) | 2017-03-16 |
Family
ID=5243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2623U KR200482908Y1 (en) | 2012-03-30 | 2012-03-30 | Terminal for current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90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1271B1 (en) * | 2023-11-02 | 2024-11-18 | 주식회사 에스엠씨테크 | Terminal limited to automotive sensor applicatio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6845B1 (en) * | 2017-05-15 | 2022-03-2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onnector and convert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1329U (en) * | 2008-07-28 | 2010-02-0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KR20100114363A (en) * | 2009-04-15 | 2010-10-2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
-
2012
- 2012-03-30 KR KR2020120002623U patent/KR200482908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1271B1 (en) * | 2023-11-02 | 2024-11-18 | 주식회사 에스엠씨테크 | Terminal limited to automotive sensor applicat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901U (en) | 201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4195B1 (en) | Type-c-based usb connector capable of delivering high current | |
CN107403889B (en) | Battery connection module | |
US10224532B2 (en) | Detection module | |
US20220183140A1 (en) | Metal member-equipped circuit board,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 |
CN106207669B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cable retention | |
US20180331440A1 (en) | Battery wiring module | |
CN105449398A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for socket | |
US7563139B1 (en) | Connecting arrangement of electrical adapter | |
US10707628B2 (en) | Noise filter and noise reduction unit | |
US8366457B2 (en) | Wir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with an insulating sleeve in a terminal insertion hole | |
KR20130103552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 |
JP5543793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10582632B2 (en) | Board unit | |
CN104466510A (en) | Socket connector | |
KR200482908Y1 (en) | Terminal for current sensor | |
KR101518141B1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y line | |
KR102396103B1 (en) | Connector and converter | |
US11982712B2 (en) | Terminal module | |
JP2013115338A (en) | Fitting structure for diode | |
KR200481954Y1 (en) | Screw bushing for car battery | |
JP5303251B2 (en) | Power supply member and vehicle lamp | |
TWM499672U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633725B2 (en) | Circuit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 |
JP4640426B2 (en) | Receptacle | |
KR20140008778A (en) | Teminal for electric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