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894Y1 -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894Y1
KR200482894Y1 KR2020160006377U KR20160006377U KR200482894Y1 KR 200482894 Y1 KR200482894 Y1 KR 200482894Y1 KR 2020160006377 U KR2020160006377 U KR 2020160006377U KR 20160006377 U KR20160006377 U KR 20160006377U KR 200482894 Y1 KR200482894 Y1 KR 200482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ring
ring groove
rop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김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일 filed Critical 김한일
Priority to KR202016000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줄넘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를 지지함과 더불어 줄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회전부재(130) 및 내부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제 2 케이스(120)는 내측면이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포개져 체결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부재(130)는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상측과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되고,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 체결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내부케이스(14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측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130)에 삽입 체결된다.

Description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Handle of jump-rope having inner case}
본 고안은 줄넘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를 지지함과 더불어 줄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손잡이와 줄넘기 줄이 구비된 간단한 구성,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사용이 가능한 편의성 그리고 여러 종류의 동작이 가져오는 전신 운동의 효과로 인해 스포츠의 트레이닝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 간단한 구성으로 구비된 줄넘기는, 단순히 반복되는 줄의 회전을 통한 운동 기능만이 제공되던 것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발광기능, 칼로리 소모량 계산기능 및 줄넘기 횟수 측정기능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줄넘기 손잡이는 내부에 PCB(Printed Circuit Board : PCB) 등의 전자회로가 수용되어 줄넘기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도록 줄넘기 줄과 사용자 단말기 간의 매개체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공지된 선행문헌들(문헌 1 내지 문헌 4 참조)은 무게추 장착 기능, 미끄럼방지 기능, 줄꼬임 방지 기능 및 범용 파지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회로의 구성을 고려한 기능은 구현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선행문헌들은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수용된 전자회로를 지지하거나 전자회로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이 단선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줄넘기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줄넘기 손잡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987호(공고일 2000년 03월 15일) (문헌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385호(공고일 2005년 08월 01일) (문헌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8981호(공고일 2007년 05월 17일) (문헌 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4255호(공개일 2015년 07월 22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를 지지함으로써,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전자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줄넘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전체와 맞닿는 부분이 테프론 코팅됨으로써, 사용자가 줄넘기를 할 때, 회전체가 부드럽게 회전되어 줄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줄넘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100)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회전부재(130) 및 내부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제 1 케이스(110)는 상측면에 제 1 고정링홈(111)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 2 고정링홈(112)이 형성된다. 제 2 케이스(120)는 내측면이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포개져 체결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상기 제 1 고정링홈(111)과 마주보는 제 3 고정링홈(121)이 형성되며, 하측면에 상기 제 2 고정링홈(112)과 마주보는 제 4 고정링홈(122)이 형성된다. 회전부재(130)는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상측과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되고,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 체결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내부케이스(14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측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130)에 삽입 체결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연결부(131), 샤프트부(132), 이탈방지부(133) 및 상측 고정링(134)을 포함한다.
연결부(131)는 내주면에 상기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연결관(131a)이 형성된다. 샤프트부(132)는 상기 연결부(131)의 하부에 종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이 평평한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133)는 상기 샤프트부(132)의 하단부에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측 고정링(134)은 내주연의 일측 둘레에 턱이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연이 상기 이탈방지부(133)의 외주연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고정링홈(111)과 상기 제 3 고정링홈(121)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제 1 케이스(110) 및 상기 제 2 케이스(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연결부(131)는 내주면에 상기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연결관(131a)이 형성된다. 샤프트부(132)는 상기 연결부(13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주연의 양측이 평평한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133)는 상기 샤프트부(132)의 하단부에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측 고정링(134)은 내주연의 일측 둘레에 턱이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연이 상기 이탈방지부(133)의 외주연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고정링홈(111)과 상기 제 3 고정링홈(121)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제 1 케이스(110) 및 상기 제 2 케이스(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내부케이스(140)는 걸림부(141), 안착홈(142) 및 하측 고정링(143)을 포함한다.
걸림부(141)는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에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132)의 일측과 상기 샤프트부(132)의 타측에 맞물리며,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안착홈(142)은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하측 고정링(143)은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하측에 위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링홈(112)과 상기 제 4 고정링홈(122)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141)는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에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132)의 내주연의 양측에 맞물리며,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안착홈(142)은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하측 고정링(143)은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하측에 위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링홈(112)과 상기 제 4 고정링홈(122)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내부가 테프론 코팅되어, 상기 회전체(200)와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고, 내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체(200)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는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를 지지함으로써,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전자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는 회전체와 맞닿는 부분이 테프론 코팅됨으로써, 사용자가 줄넘기를 할 때, 회전체가 부드럽게 회전되어 줄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내부케이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줄넘기 손잡이가 적용된 스마트 줄넘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줄넘기의 궤적 상의 알림 및 메시지의 내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 상부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줄넘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내부케이스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줄넘기 손잡이가 적용된 스마트 줄넘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부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줄넘기의 궤적 상의 알림 및 메시지의 내용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 손잡이(100)는 줄넘기의 반복되는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를 지지함과 더불어 줄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줄넘기 손잡이(100)는 회전체(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호 연동되어 스마트 줄넘기(10)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줄넘기 손잡이(100)는 내부가 테프론 코팅되어 있어, 회전체(200)와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줄넘기 손잡이(100)는 내부가 테프론 코팅되어 있어, 내부에 안착된 전자회로와 내부에 삽입 체결된 회전체(200) 간의 전자기장 발생을 억제하여 스마트 줄넘기(10)의 작동 상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줄넘기 손잡이(100)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회전부재(130), 내부케이스(140), 진동부(150), 손잡이 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줄넘기 손잡이(100)는 2 개로 구비되어 회전체(200)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케이스(110)는 내측면이 제 2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포개져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케이스(110)는 내부에 회전부재(130), 내부케이스(140), 진동부(150), 손잡이 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조작부(18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케이스(110)는 상측면에 제 1 고정링홈(111)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 2 고정링홈(112)이 형성된다.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와 더불어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와 나사 체결 등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렇듯,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와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줄넘기 손잡이(100) 내부에 삽입 체결된 회전체(200)의 양끝단의 길이가 조정되거나 구성요소들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케이스(120)는 상측면에 제 3 고정링홈(121)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 4 고정링홈(122)이 형성된다.
회전부재(130)는 제 1 케이스(110)의 상측과 제 2 케이스(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된다. 또한, 회전부재(130)는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 체결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130)는 회전체(200)가 삽입되면, 회전체(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부재(130)는 연결부(131), 샤프트부(132), 이탈방지부(133) 및 상측 고정링(134)을 포함한다.
연결부(131)는 내주면에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연결관(1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관(131a)은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연결부(131)의 둘레의 일부위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관(131a)은 줄넘기 손잡이(100)로부터 30도 내지 45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부(132)는 연결부(13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부(132)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다. 즉, 샤프트부(132)는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샤프트부(132)의 내부에서 일정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린다. 이때, 샤프트부(132)는 내주연의 일측이 곡면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타측 또한 곡면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샤프트부(132)의 일측과 샤프트부(132)의 타측은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샤프트부(132)에 일정한 회전 범위, 예컨대 180도 등의 회전 범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샤프트부(132)의 내부에서 360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3)는 샤프트부(132)의 하단부에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33)는 회전부재(130)가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제 1 고정링홈(111)과 제 3 고정링홈(121)에 위치된다.
상측 고정링(134)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연의 일측 둘레에 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측 고정링(134)은 제 1 고정링홈(111)과 제 3 고정링홈(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측 고정링(134)은 내주연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턱이 이탈방지부(133)의 외주연에 걸림으로써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20) 사이에 삽입된 회전부재(130)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측 고정링(134)은 회전부재(130)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링홈(111) 및 제 3 고정링홈(121)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회전부재(130)의 내부는 테프론 코팅되어, 작은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부재(130)의 내부에 삽입된 회전체(200)가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140)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내부케이스(140)는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진동부(150), 손잡이 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조작부(180)가 삽입 고정되도록 반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부케이스(140)는 걸림부(141), 안착홈(142) 및 하측 고정링(143)을 포함한다.
걸림부(141)는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에 내부케이스(14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141)는 외주연의 일측이 곡면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샤프트부(132)의 내주연의 일측과 타측에 맞물려 일정 범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41)는 회전부재(130)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부재(1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과 더불어 일정 회전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어 내부케이스(140)에 안착된 구성요소들이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걸림부(141)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체(200)에 대응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회전체(200)의 줄꼬임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안착홈(142)은 내부케이스(140)에 형성되고, 진동부(150), 손잡이 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조작부(180)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하측 고정링(143)은 내부케이스(140)의 하측에 위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측 고정링(143)은 제 2 고정링홈(112) 및 제 4 고정링홈(1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내부케이스(140)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하측 고정링(143)은 제 2 고정링홈(112) 및 제 4 고정링홈(122)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진동부(150)는 안착홈(142)의 중앙에 설치 고정되며, 예를 들어 모터, 추 등의 진동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에 따라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20)에 진동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줄넘기를 하고 있을 때에도 연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 제어부(160)는 안착홈(142)의 일측면에 설치 고정되고, 예컨대 PCB(Printed Circuit Board : PCB)로 구비되어 진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화 연결 신호 및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를 사용자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진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수신되는 전화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셋 등의 무선 음향송수신장치에 전달하여 무선 통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손잡이 제어부(160)는 전화 알림, 사용자 단말기(300)로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회전체(200)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체(200)의 궤적 상에 문자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로 입력된 알림메시지의 내용, 예를 들어 응원 문구 등의 내용을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체(200)의 궤적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안착홈(142)의 하측에 부착 고정되고, 내부케이스(140)에 설치된 진동부(150), 손잡이 제어부(160)의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70)는 예를 들어 AA전지, AAA전지 및 이차전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제 1 케이스(110)의 외측 또는 제 2 케이스(120)의 외측 중 어느 하나에 버튼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조작부(180)는 손잡이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8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손잡이 제어부(160)로 전달되는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가 진동부(150)에 의해 감지되거나 전화 알림,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이 회전체(200)의 궤적 상에 출력되면, 진동부(150) 및 회전체(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조작하거나 무선 음향송수신장치가 전화 연결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조작부(180)는 전화 연결 또는 전화 알림 종료, 문자메시지의 내용 또는 알림메시지의 내용 차단, 그리고 전원 온오프 3 개의 버튼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200)는 양끝단이 2 개의 줄넘기 손잡이(100) 각각의 연결부(131)에 삽입 체결되고,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200)는 와이어(210)와 발광부(220)를 포함한다.
와이어(210)는 회전체(200)의 몸체로써 줄넘기 줄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210)는 끝단이 회전부재(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되고, 손잡이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부(220)는 와이어(210)의 중앙에 형성되고, 와이어(210)를 통해 줄넘기 손잡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발광부(22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의 내용, 전화 알림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220)는 하우징(221), 복수의 LED(222) 및 충격완화부재(223)를 포함한다.
하우징(221)은 발광부(220)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에 복수의 LED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복수의 LED(222)는 하우징(22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LED(222)는 와이어(21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송된 전화 알림,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손잡이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223)는 하우징(221)의 겉면에 하우징(22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완화부재(223)는 예를 들어 투명 실리콘 등의 외부 충격이 흡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줄넘기를 할 때, 발광부(220)에 가해지는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여 하우징(221)과 LED(222)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망을 통해 줄넘기 손잡이(1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 전화 알림,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단말기 제어부(330) 및 입출력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매개체와 정보를 공유하고 매개체를 제어하며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제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컨대, 블루투스 등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 전화 알림,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전송하고, 줄넘기 손잡이(100)와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헤드셋 등의 무선 음향송수신장치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을 저장한다.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은 줄넘기 손잡이(100)와의 접속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은 사용자 단말기(300)로 수신된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로 입력된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은 예를 들어 줄넘기 연결부, 전화 알림부, 문자메시지 알림부 및 알림메시지 전송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은 줄넘기 횟수와 줄넘기 운동 시간에 따라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해낼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와 통신부(310)를 제어하고, 줄넘기 애플리케이션(321)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수신된 전화 연결 신호, 문자메시지 알림 신호, 문자메시지의 내용 및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줄넘기 손잡이(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입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줄넘기 손잡이(100)가 통신망으로 연결된 연결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알림메시지의 내용, 예컨대 응원 문구, 이모티콘, 영어단어, 한자 등의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줄넘기를 할 때, 회전체(200)의 궤적 상에 나타나는 단어들을 암기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줄넘기
100 : 줄넘기 손잡이
110 : 제 1 케이스
111 : 제 1 고정링홈
112 : 제 2 고정링홈
120 : 제 2 케이스
121 : 제 3 고정링홈
122 : 제 4 고정링홈
130 : 회전부재
131 : 연결부
131a : 연결관
132 : 샤프트부
133 : 이탈방지부
134 : 상측 고정링
140 : 내부케이스
141 : 걸림부
142 : 안착홈
143 : 하측 고정링
150 : 진동부
160 : 손잡이 제어부
170 : 전원공급부
180 : 조작부
200 : 회전체
210 : 와이어
220 : 발광부
221 : 하우징
222 : LED
223 : 충격완화부재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통신부
320 : 저장부
321 : 줄넘기 애플리케이션
330 : 단말기 제어부
340 : 입출력부

Claims (4)

  1. 상측면에 제 1 고정링홈(111)이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 2 고정링홈(112)이 형성된 제 1 케이스(110);
    내측면이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포개져 체결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손잡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상기 제 1 고정링홈(111)과 마주보는 제 3 고정링홈(121)이 형성되며, 하측면에 상기 제 2 고정링홈(112)과 마주보는 제 4 고정링홈(122)이 형성된 제 2 케이스(120);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상측과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체결되고,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 체결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130); 및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측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130)에 삽입 체결되는 내부케이스(14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130)는,
    내주면에 상기 회전체(2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연결관(131a)이 형성된 연결부(131);
    상기 연결부(13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주연의 양측이 평평한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이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부(132);
    상기 샤프트부(132)의 하단부에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33); 및
    내주연의 일측 둘레에 턱이 형성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연이 상기 이탈방지부(133)의 외주연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고정링홈(111)과 상기 제 3 고정링홈(121)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재(130)가 상기 제 1 케이스(110) 및 상기 제 2 케이스(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측 고정링(13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140)는,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상측에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측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132)의 내주연의 양측에 맞물리며, 상기 회전체(200)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일정 범위 미만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걸림부(141);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홈(142); 및
    상기 내부케이스(140)의 하측에 위치되고,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링홈(112)과 상기 제 4 고정링홈(122)의 사이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40)가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하측 고정링(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30)는,
    내부가 테프론 코팅되어, 상기 회전체(200)와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고, 내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체(200)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손잡이.
KR2020160006377U 2016-11-01 2016-11-01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KR200482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77U KR200482894Y1 (ko) 2016-11-01 2016-11-01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77U KR200482894Y1 (ko) 2016-11-01 2016-11-01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94Y1 true KR200482894Y1 (ko) 2017-03-13

Family

ID=5841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77U KR200482894Y1 (ko) 2016-11-01 2016-11-01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94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139Y1 (en) * 1984-07-19 1986-11-12 Kil I Ok Skipping rope
JPH05200130A (ja) * 1991-09-13 1993-08-10 Asics Corp トビナワ
KR200175987Y1 (ko) 1999-10-16 2000-03-15 이성열 발광다이오드 줄넘기
KR200391385Y1 (ko) 2005-05-20 2005-08-01 민병문 잔상을 이용한 다기능 줄넘기
KR100718981B1 (ko) 2005-01-31 2007-05-17 김수열 착시 현상을 이용한 가상스크린을 갖는 줄넘기 타입의 휴대용 러닝머신
JP2014015210A (ja) * 2013-10-15 2014-01-30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用トルク伝達装置
KR20150084255A (ko) 2014-01-13 2015-07-2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줄넘기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101615637B1 (ko) * 2014-12-10 2016-04-26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스마트 줄넘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139Y1 (en) * 1984-07-19 1986-11-12 Kil I Ok Skipping rope
JPH05200130A (ja) * 1991-09-13 1993-08-10 Asics Corp トビナワ
KR200175987Y1 (ko) 1999-10-16 2000-03-15 이성열 발광다이오드 줄넘기
KR100718981B1 (ko) 2005-01-31 2007-05-17 김수열 착시 현상을 이용한 가상스크린을 갖는 줄넘기 타입의 휴대용 러닝머신
KR200391385Y1 (ko) 2005-05-20 2005-08-01 민병문 잔상을 이용한 다기능 줄넘기
JP2014015210A (ja) * 2013-10-15 2014-01-30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用トルク伝達装置
KR20150084255A (ko) 2014-01-13 2015-07-22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줄넘기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101615637B1 (ko) * 2014-12-10 2016-04-26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스마트 줄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311B2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able therein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with same
US9813799B2 (en) Modular headset with pivotable boom and speaker module
CN105517656B (zh) 拨轮组件、遥控器以及无人机控制方法
US8922488B2 (en) Pen mouse
US9459657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apparatus
CN105206916A (zh) 一种电子设备
WO2011070522A3 (en) Inner-sensor based pointing device
KR200482894Y1 (ko) 내부케이스를 갖는 줄넘기 손잡이
JP200509442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482893Y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줄넘기
CN103871764A (zh) 按键总成以及手持电子装置
CN110622271B (zh) 一种操作键结构及电子装置
US20210281937A1 (en) Loudspeaker device
EP3682315B1 (en) A controllable device and a knob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controllable device
KR102162383B1 (ko) 이어폰
US20040155822A1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9217182U (zh) 智能通讯设备及其智能终端机天线结构
EP1995658B1 (en) Touch pen having a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en
JP2008215537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KR200451975Y1 (ko) 멀티 전원 어댑터
CN211198240U (zh) 一种耳机线卷线器
US20110122010A1 (en) Flexible annular protection of a remote control
US20070085756A1 (en) Attaching device for antenna
JP4523036B2 (ja) 二軸ヒンジ装置
JP2009027475A (ja) Uwb送受信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