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53Y1 -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53Y1
KR200482753Y1 KR2020160006891U KR20160006891U KR200482753Y1 KR 200482753 Y1 KR200482753 Y1 KR 200482753Y1 KR 2020160006891 U KR2020160006891 U KR 2020160006891U KR 20160006891 U KR20160006891 U KR 20160006891U KR 200482753 Y1 KR200482753 Y1 KR 200482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preventing member
disinfection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현
Original Assignee
서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현 filed Critical 서수현
Priority to KR2020160006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류연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생성된 역류연을 용이하게 다시 배출할 수 있는 방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연막방역기의 분사구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분사구 출구 측에 결합하는 역류방지부재 및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역류방지부재 타측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소정각도를 갖게 단계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소독연이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전환관을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방향전환관(120) 내벽에 의해 소독연 일부가 역류하는 역류연이 상기 분사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에서 와류(渦流) 하여 다시 상기 방향전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내부 지름은 역류연의 유입이 용이하게 상기 방향전환관의 내부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로 유입된 역류연의 와류가 용이하도록 구(球)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Sterilizer use Auxiliary equipment}
본 고안은 역류연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생성된 역류연을 용이하게 다시 배출할 수 있는 방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 연막방역장치는 차량이나 손수레에 탑재하거나,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좁은 골목길에서는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하수구 등에 존재하는 유해 해충을 박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무 연막방역장치는 연료탱크를 구비한 내연기관 및 가압펌프와 약액통을 구비해 휘발유나, 경유, 등유, LPG와 같은 내연기관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고열의 연소열로 약품을 기화시키거나, 증발시키는 방식과 가압분사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들, 분무 연막방역장치는 보편적으로 일직방향으로 설치된 분사관을 통해 일 방향으로만 분무 연막소독작업이 실시되며, 또 손수레에 탑재하는 일반 분무 방역장치의 손수레는 단순히 장비를 탑재해 인력으로 끌고 가는 이동수단에 불과하고, 손수레의 방향을 틀어 좌우로 분사방향을 변경하지만 비좁은 골목에서는 이도 사정이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한편,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36427호에 개시된 하수관덮개나 맨홀덮개를 통한 연막소독기의 연결장치로 특정모양의 하수관덮개를 통한 곡면분사를 통한 연막소독은 가능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하수관덮개나 맨홀덮개의 구조에 맞는 또 다른 역류방지막을 구비해야 하는 구조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주택가나 골목 양쪽의 각 세대별 출입구를 향한 연막소독시는 이와 같은 곡면 분사장치의 사용은 오히려 거추장스럽거나, 사용에 제한이 된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8-0003137호에 개시된 바로는 호차가 구비된 베이스에 약품 저장통을 안치하고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한 지지대에 회전수단으로 하우징이 구비된 회전부와 연무팬과 확산팬으로 구비된 연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이동식 연무장치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연무소독은 유효하다.
그러나, 하수관덮개나 맨홀덮개 등 지면을 지향하는 방역소독시에는 효율이 떨어지며, 내연기관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소열로 분사관을 통해 약품을 기화시키거나, 증발시켜 가압분사하는 수단이 일체인 분무 연막소독작업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173003호(2012.08.09)인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연막소독기의 분사구 방향을 수평,좌우,지면 등 여러 방향을 동시에 선택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선택하여 연무 연막 소독을 용이하게 하는 다발관부와 연료 및 약액통 수납과 분무 연막방역장치를 탑재하는 주행대차부와 충전에 의한 전동구동시키는 구동륜부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연막소독기의 분사구 방향을 수평,좌우,지면 등 여러 방향을 동시에 선택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선택하여 연무 연막 소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수의 분사구를 통해 다발성으로 약제를 분하거나 어느 하나의 분사구만 개방하여 약제를 분무하는 장점은 있으나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되는 약제가 다수의 분사구들이 이어지는 부분에서 서로 충돌하여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역류된 약제는 다시 그 배출압력과 서로 충돌하여 심한 경우에는 연막소독기 자체의 내구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독하고자 하는 구역으로 약제의 분무가 용이하도록 절곡된 부분에 의해 약제의 역류 형상이 발생하여도 연막소독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그 역류된 약제를 다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방역기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는 일측이 연막방역기의 분사구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분사구 출구 측에 결합하는 역류방지부재 및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역류방지부재 타측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소정각도를 갖게 단계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소독연이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전환관을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방향전환관(120) 내벽에 의해 소독연 일부가 역류하는 역류연이 상기 분사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에서 와류(渦流) 하여 다시 상기 방향전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의 내부 지름은 역류연의 유입이 용이하게 상기 방향전환관의 내부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 내부로 유입된 역류연의 와류가 용이하도록 구(球)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구(球) 형상을 갖되 역류연이 와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류생성체와, 상기 와류생성체와 상기 분사구가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와류생성체 외면에 후크(hpck)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고리 및 일단이 상기 고정고리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분사구 또는 상기 연막방역기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전환관을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상기 분사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와 밀폐결합하는 상기 연결관 내부에는 링 형상의 가스킷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체는 상기 연막방역기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고, 분리되지 않도록 탄력재질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관은 원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역류방지체와 연통되게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이 1차로 그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관 및 원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제1관 타측과 연통되되 타측은 소독구역에 삽입설치되며,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관을 통해 1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소독연이 2차로 방향전환 하여 상기 소독구역 내부로 소독연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관을 포함하며, 소독구역에 삽입되는 상기 제2관은 상기 분사구와 직각을 이루어 소독연이 상기 소독구역 내측으로 깊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분사구와 역류방지부재를 통해 소정압력을 갖도록 배출되는 소독연이 단계별로 절곡 형성된 방향전환관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관 내벽과 충돌하여 생성되는 역류연의 생성이 적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방향전환관의 내벽과 충돌하여 생성되는 역류연은 와류생성부재 내부로 로 유입되어 와류되며, 와류되는 역류연은 소독연의 배출압력에 의해 다시 상기 방향전환관을 통해 소독구역 내부로 배출되어 연막방역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약제분사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와 연막방역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역류방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의 연결관 다른 실시예.
도 7은 도 3에 대한 방향전환관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의 플랜지 다른 실시예.
도 9a 및 도 9c는 도 8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의 작용관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이하, 간략하게 '분사보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연막방역기(10)는 인화성 연료의 연소를 통해 약품액을 기화시켜 생성한 소독액을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배출하는 통상의 휴대가능한 방역기(STERILIZER)를 의미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사보조장치(100)는 크게 역류방지부재(110) 및 방향전환관(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역류방지부재(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구(11)를 통해 소독연이 소정의 배출압력을 갖도록 배출시에 후술하는 방향전환관(120) 내벽에 의해 역류하는 역류연이 분사구(11)에 유입되지 않게 와류에 의해 방향전환관(120)으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와류생성체(111), 연결관(113), 고정고리(115) 및 이탈방지체(11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와류생성체(111)는 전체적으로 구(球)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은 연결관(113)을 통하여 분사구(11)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하는 방향전환관(120)의 구성인 제1관(121) 일측과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와류생성체(111)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손잡이(111a)가 형성되어 연막방역기(10)의 위치변화에 따라 연막방역기(10)의 연소열에 의해 본 고안인 분사보조장치(100)를 안전사고 없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류생성체(111)가 구 형상을 갖는 이유는 제1관(121)을 통해 소독구역(Z)으로 배출되고자 분사구(11) 내부에서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배출되는 소독연(S1)이 제1관(121) 어느 내벽에 의해 부딪쳐 역류연(S2)이 생성되어도 와류생성체(111) 내면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와류 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은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와류생성체(111)의 내부 지름은 방향전환관(120)을 이루는 제1관(121)의 내부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생성된 역류연이 와류생성체(111)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와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와류하는 역류연과 소독연이 서로 합쳐져 그 배출압력에 의해 방향전환관(120)으로 다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 참조)
연결관(113)은 상술한 와류생성체(111)와 분사구(11)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밀폐결합하되 상기 분사구(11)에서 배출되는 소독연이 외부로 배기되지 않게 와류생성체(111) 또는 제1관(121) 내부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113)은 관 형태를 갖는 소정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두 분체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밀폐 결합하여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길이연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직진유지판(113a)이 돌출형성되어 소독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직진유지판(113a)은 분사구(11)에서 와류생성체(111) 방향으로 돌출길이가 전진적으로 더 길어지되 일 방향으로 굴곡지게 돌출형성되어 회오리 형태로 소독연의 직진성을 더욱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사구(11)와 연결되는 연결관(113) 일측에는 링 형태의 가스킷이 더 구비되어 분사구(11)와 연결관(113) 사이의 이음부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고정고리(115)는 와류생성체(111) 또는 연결관(113) 상부에 후크(hpck)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후술하는 이탈방지체(117)와 일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고정고리(115)는 후크(hock: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이탈방지체(117)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면 가능하다.
이탈방지체(117)는 소정길이를 갖되 일단이 고정고리(11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단은 분사구(11)를 포함하는 연막방역기(1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분사구(11)와 본 고안인 분사보조장치(100) 간의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이탈방지체(117)는 바람직하게 연막방역기(10)의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관(12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구(11)에서 배출되는 소독연 방향을 전환하여 소독구역(Z) 내에 용이하게 소독연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관(121) 및 제2관(123)을 포함한다.
제1관(121)은 전체적으로 관 형태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일측이 와류생성체(111) 내부와 연통되게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후술하는 제2관(123) 일측과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제1관(1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생성체(111) 타측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와류생성체(111)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독연이 1차적으로 방향전환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관(121)의 기울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구(11)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0°)으로 상기 분사구(11)과 130±5°의 설정각도를 갖도록 하여 제1관(121) 내부로 유입되는 직진성을 갖는 소독연(S1)이 상기 제1관(121) 내벽에 의해 역류하는 역류연(S2)이 최소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되 생성된 역류연이 용이하게 와류생성체(111) 내에서 와류 하여 제1관(1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관(121)의 설정각도 치수는 그 이상이거나 그 이하인 경우에 발생한 역류연이 와류생성체(11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1관(121) 내면과 부딪쳐 다시 역류하게 되므로 원활한 소독연 및 역류연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설정각도를 유지하게 한다.
제2관(123)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가 제1관(121) 타측과 이어져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관 연결되며, 하부는 소독구역(Z)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관(121)을 통해 이동하는 소독연이 제2관(123)을 통해 소독구역(Z) 내부로 용이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관(123)은 제1관(121) 하부와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관(121)을 통해 1차 방향 전환된 소독연이 2차로 방향전환 하여 소독구역(Z) 내부로 용이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적정각도는 상술한 분사구(11)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것을 기준(0°)으로 하여 상기 분사구(11)와 직각(90°)을 이루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관(123)을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이 수직방향으로 소독구역(Z) 내에 살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관(123) 외면에는 소독구역(Z)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2관(123)의 삽입길이를 제한하는 플랜지(1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5)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상을 갖도록 제2관(123) 외면과 이어지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그 하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덮개판(127)이 구비되어 지면 상에 개방된 소독구역(Z)의 입구를 폐쇄하여 상기 소독구역(Z) 내부로 살포된 소독연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8 참조)
이때, 플랜지(125) 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덮개판(127)은 상기 플랜지(125) 외측 방향으로 점차 그 넓이가 넓어지게 형성되어 그 양끝단이 서로 포개져 원판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소독구역(Z)의 개방된 입구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판(127)에 의해 소독구역(Z)의 입구가 폐쇄된 제2관(123)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자바라 등의 관이 더 연결되어 상기 소독구역(Z) 내로 소독연이 곧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a 및 도 9b 참조)
아울러 다수의 덮개판(127)은 상술한 소독구역(Z)의 입구를 폐쇄하는 기능 이외에 상기 덮개판(127)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소독구역(Z) 내부로 유입시에는 하나의 파이프(pipe)처럼 사용되어 실제 소독하고자 하는 곳이 입구보다 깊게 형성된 경우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덮개판(127) 내부를 따라 소독연이 용이하게 소독구역(Z)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도 9c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분사조절장치(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분사구(11)와 역류방지부재(110)를 통해 소정압력을 갖도록 배출되는 소독연이 단계별로 절곡 형성된 방향전환관(12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관(120) 내벽과 충돌하여 생성되는 역류연의 생성이 적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방향전환관(120)의 내벽과 충돌하여 생성되는 역류연은 역류방지부재(110)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 하며, 와류 하는 역류연은 소독연의 배출압력에 의해 다시 상기 방향전환관(120)을 통해 소독구역 내부로 배출되어 연막방역기(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110: 역류방지부재 111: 와류생성체
113: 연결관 115: 고정고리
117: 이탈방지체 120: 방향전환관
121: 제1관 123: 제2관
125: 플랜지 127: 덮개판
S1: 소독연 S2: 역류연
Z: 소독구역

Claims (3)

  1. 일측이 연막방역기(10)의 분사구(11)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분사구(11) 출구 측에 결합하는 역류방지부재(110); 및
    상기 역류방지부재(110)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역류방지부재(110) 타측에 형성되되 서로 다른 소정각도를 갖게 단계별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부재(110)를 통해 유입되는 소독연이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전환관(120);을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110)는 상기 방향전환관(120) 내벽에 의해 소독연(S1) 일부가 역류하는 역류연(S2)이 상기 분사구(11)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상기 역류방지부재(110) 내부에서 와류(渦流) 하여 다시 상기 방향전환관(1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110)의 내부 지름은 역류연의 유입이 용이하게 상기 방향전환관(120)의 내부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상기 역류방지부재(110) 내부로 유입된 역류연의 와류가 용이하도록 구(球)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110)는
    구(球) 형상을 갖되 역류연이 와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류생성체(111);
    상기 와류생성체(111)와 상기 분사구(11)가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113);
    상기 와류생성체(111) 외면에 후크(hpck)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고리(115); 및
    일단이 상기 고정고리(115)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분사구(11) 또는 상기 연막방역기(10)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전환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역류방지부재(110)가 상기 분사구(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체(117);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11)와 밀폐결합하는 상기 연결관(113) 내부에는 링 형상의 가스킷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체(117)는 상기 연막방역기(10)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고, 분리되지 않도록 탄력재질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관(120)은
    원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역류방지부재(110)와 연통되게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연이 1차로 그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관(121); 및
    원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제1관(121) 타측과 연통되되 타측은 소독구역(Z)에 삽입설치되며,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관(121)을 통해 1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소독연이 2차로 방향전환 하여 상기 소독구역(Z) 내부로 소독연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관(123);을 포함하며,
    소독구역(Z)에 삽입되는 상기 제2관(123)은 상기 분사구(11)와 직각을 이루어 소독연이 상기 소독구역(Z) 내측으로 깊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KR2020160006891U 2016-11-28 2016-11-28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KR200482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91U KR200482753Y1 (ko) 2016-11-28 2016-11-28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91U KR200482753Y1 (ko) 2016-11-28 2016-11-28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53Y1 true KR200482753Y1 (ko) 2017-03-02

Family

ID=5841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91U KR200482753Y1 (ko) 2016-11-28 2016-11-28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77B1 (ko) * 2020-07-06 2021-05-04 주식회사 일광바이오 냉각부가 구비된 밴드장착형 연막기
KR20220167576A (ko) * 2021-06-14 2022-12-21 이영기 승용형 멀티 방역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94Y1 (ko) * 2004-03-15 2004-12-17 서울특별시 성동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KR20050036427A (ko) * 2003-10-16 2005-04-20 서울특별시 성동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KR101173003B1 (ko) *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427A (ko) * 2003-10-16 2005-04-20 서울특별시 성동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KR200370894Y1 (ko) * 2004-03-15 2004-12-17 서울특별시 성동구 우수관 및 하수관 내부의 연막살충소독을 위한 곡면분사장치 및 역류방지막
KR101173003B1 (ko) *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77B1 (ko) * 2020-07-06 2021-05-04 주식회사 일광바이오 냉각부가 구비된 밴드장착형 연막기
KR20220167576A (ko) * 2021-06-14 2022-12-21 이영기 승용형 멀티 방역 장치
KR102534769B1 (ko) * 2021-06-14 2023-05-26 이영기 승용형 멀티 방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753Y1 (ko) 휴대가능한 방역기용 분사보조장치
JP2012527258A5 (ko)
KR20030015832A (ko) 고온 배기가스의 냉각방법 및 그 장치, 및 연소처리장치
JP6289467B2 (ja) 車両燃料付属品
KR20170042814A (ko) 차량용 유체 용기를 위한 개선된 충전 시스템
KR101322407B1 (ko) 연막기
CN101907287B (zh) 带有泄压装置的发热芯
CN105665174A (zh) 一种轴流诱导型喷雾装置
KR200482754Y1 (ko) 차량방역기 장착용 분사보조장치
CN202479078U (zh) 背负式可伸缩自动喷雾器
JP5315343B2 (ja) 消火用噴霧ノズルおよび消火設備
CN201731469U (zh) 带有泄压装置的发热芯
KR101173003B1 (ko)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CN205782988U (zh) 高流量文丘里燃烧器结构
KR100601586B1 (ko) 회전식 방역장치
KR101042853B1 (ko) 초미립자 분무기
ES2301308B1 (es)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la desgasificacion y la eliminacion de atmosferas explosivas en recintos confinados de almacenamiento de productos petroliferos liquidos y similares y dispositivo correspondiente.
AU2014230794B2 (en) A mist-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RU18506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распыления жидкости
PL229600B1 (pl) Urządzenie zapewniające przepływ dwufazowy w rozpylaczu cieczy oraz rozpylacz cieczy zawierający takie urządzenie i sposób modyfikowania rozpylacza cieczy
JP5177872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全量噴射機構および、この全量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製品
KR100757993B1 (ko) 무소음 기능성 액체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세척방법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CN104099137A (zh) 气化炉焦油分离初级防爆装置
KR102380146B1 (ko) 소독 약제용 스프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