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18Y1 - interception tool of virus - Google Patents

interception tool of vir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18Y1
KR200482618Y1 KR2020150005176U KR20150005176U KR200482618Y1 KR 200482618 Y1 KR200482618 Y1 KR 200482618Y1 KR 2020150005176 U KR2020150005176 U KR 2020150005176U KR 20150005176 U KR20150005176 U KR 20150005176U KR 200482618 Y1 KR200482618 Y1 KR 200482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virus
discharge
discharg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0560U (en
Inventor
황만수
Original Assignee
황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수 filed Critical 황만수
Priority to KR202015000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18Y1/en
Publication of KR20170000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6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1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러스 차단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11)를 갖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면에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기가 배출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21)가 구비되는 뚜껑(20)과;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뚜껑(20)의 외기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몸통(10)의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rtex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body (10)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 inner hollow portion and an outer air discharge portion (11) through which ambient air is discharge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 cover 2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having an outer inflow portion 2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out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of the body 10 is discharged by the outside air that is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of the lid 20 A virus blocking agent 31 is installed inside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to prevent the viruses from being inhaled by the user through the ventilator by discharging the virus blocking agen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to block various viruses distributed in the user's surrounding air And a virus discarding unit 30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바이러스 차단구{interception tool of virus}Interception tool of virus

본 고안은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자동차에 구비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에 의해 감기 등의 각종 바이러스가 접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살균이나 소독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viruses such as colds from being accessed by a virus carrier provided in a desk or an automobile, And to provide a disinfection and deodorizing effect.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서식하고 있는 바, 일상생활 중에서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세균을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흡입하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의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various bacteria are inhabited in the air, and bacteria in the air are inhaled without any filtration in daily life, and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nd elderly people is very bad.

예를 들어 감기나 메르스의 경우, 코나 목구멍 기관 등의 호흡기 계통에 의해 생기는 질병으로 원인이 바이러스나 세균 또는 먼지 등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원인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심할 경우 환자의 생명까지 위협받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ld or a moth, it is caused by a respiratory system such as a nose or throat organs, caused by a virus, a bacterium or dust, irregularity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 allergy cause, Life is threatened.

특히,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는 바이러스 중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나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감기를 발생하는 주된 바이러스로 대개, 재채기나 기침 등에 의해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다가 타인의 코나 입과 같은 호흡기를 통해 타인에게 유입되어 감기를 유발시키고 있다.In particular, rhinovirus or coronavirus in the air, which is distributed in the air, is the main virus that causes colds. It is usually distributed in the air by sneezing or coughing, It inflows to others and causes a cold.

또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ronavirus)는, 치사율이 30% 정도로 높은 편으로 대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고 고열, 흉통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폐렴 등의 심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며 신장기능 손상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증이 나타나기도 한다.In addition, MERS-Coronavirus has a high mortality rate of about 30%. It is usually infected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and causes severe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high fever, chest pain, cough, dyspnea and pneumonia. Acute renal failure may also occur.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인체에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block the inhalation of viruses and germs in the air.

일예로, 등록실용 20-0317757호인 공기 중의 부유세균 및 약품내성세균 살균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부로와, 상기 부로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필터, 흡입되는 공기와 마찰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켜 공기의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정전기 발생필름이 제1챔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전기 발생필름을 통하여 전위가 상승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중에 서식하는 세균의 세포보호막에 압력을 가하며 내부의 순동으로부터 동이온을 발생시키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램프 상기 자외선램프의 하단에 설치되어 광촉매 산화티탄을 반응시키기 위한 광촉매 세라믹필터 공기 및 양이온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압력밸브로 구성되는 동일 구성을 각각 갖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전공정의 반응에 의해 산화되었던 공기를 다시 환원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원 세라믹이 설치된 제3챔버와, 상기 제1챔버 내지 제3챔버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센서 전자변 및 물 공급 전자변, 수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결헤드, 물의 온도를 높여 살균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투입히터가 포함된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For example, airborne bacteria and drug-resistant bacteria sterilization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in the registration practice 20-0317757, which includes a section for sucking in air, a pre-filter for filtering the sucked air installed in the section, A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fil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for raising the electric potential of the air while rubbing against the sucked air while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so that the air having a raised potential through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film moves, A pressure chamber for generating copper ions from the inside of the cell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ell protective film of the living bacteria, and a pressure chamber provided in the pressure chamber for generating ultraviolet rays. The photocatalyst ceramic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ltraviolet lamp, Filter air and a pressure valve for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positive ions A third cha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chamber and provided with a reducing ceramic for reducing the air oxidized by the reaction of the previous process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 connecting hea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the third chamber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sensor, a connecting head for balanc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level, and an inlet heater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increase the sterilizing effect And a water tank included therein.

이러한 종래 기술은, 레지오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의 약품 내성이 있는 세균 및 공기층 부유세균 등을 살균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Such prior art is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sterilizing drug resistant bacteria such as Legionella,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airborne airborne bacteria.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자외선램프와 세라믹필터, 정전기발생필름 등에 의해 세균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질 수 밖에는 없고 이에 따른 생산단가의 증대는 물론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designed to sterilize bacteria by means of an ultraviolet lamp, a ceramic filter, and an electrostatic discharge film, the construction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resulting in not only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but also a heavy burden on the purchase cost of the consumer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17757호(2003.06.13. 등록)Korea Registered Practitioner 20-0317757 (Registered on June 13, 2003)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68053호(2005.07.0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68053 (published on May 5, 2005)

본 고안은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외기의 유입 및 배출에 의해 바이러스차단체 성분이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은 물론 소비자의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바이러스 차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is design makes it possible to block the harmful viruses to the human body a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viral compound components by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outside air. By the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o minimize the purchase cost of the consum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를 갖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면에 상기 외기배출부를 통해 외기가 배출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가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몸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뚜껑의 외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몸통의 외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가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al screening devic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open top, a hollow interior, and an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 lid having an outer inf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of the li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of the body to discharge the antiviral agen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by the outside air, And a viral car which is equipped with a virus-blocking agent in the inside in order to prevent the viruses from being inhaled by the user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by blocking various distributed viruses.

나아가, 상기 바이러스차단제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antiviral agent is provided as a virus-blocking powder containing chlorine dioxide.

나아가, 상기 뚜껑에 구비되는 외기유입부는,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둘레부를 따라 통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의 바이러스차단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외기배출부는, 상기 몸통에 통공되는 제1배출구멍과; 상기 제1배출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Further,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provided in the lid is formed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lid, and the outside air vent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virus block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rst discharge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radially pierced radially around the first discharge hole,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provided along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And a plurality of vortex-type guide protrusions for facilitating discharge of the vortex.

본 고안은 몸통의 내부에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바이러스차단체가 구비되어 있고 바이러스차단체의 바이러스차단제가 뚜껑의 외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몸통의 외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기와 같이 배출되어 사용자 주변에 잔류하는 유해바이러스를 차단하여 줄 수 있으며, 와류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배출구멍과 와류형 가이드돌기에 의해 바이러스차단제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in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virus carrier which blocks harmful viruses to the human body and the virus blocker of the virus carri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portion of the lid through the outside air outlet portion of the lid, The virus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second discharge hole and the vortex-type guide protrusion of the vortex type.

도 1은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us block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rus-block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rus block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irus-block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rus blockin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상부를 덮는 뚜껑(20)과, 몸통(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iral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a lid 20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virus body 30 provided inside the body 10 .

상기 몸통(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11)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n outer air discharge portion (11)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 inner hollow portion and an outer air discharge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이 때, 상기 몸통(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body 10 is shown as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통(10)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는 외기배출부(11)는,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제(30)의 바이러스차단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몸통(10)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짐이 당연하다.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0 penetrates the body 10 so that the antiviral agent of the antiviral agent 30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course.

상기 뚜껑(20)은, 상기 몸통(10)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면에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기가 배출되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2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cover 2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has an outer inflow portion 2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on the upper surface.

상기 몸통(10)과 뚜껑(20)의 결합은 나사방식의 결합 또는 끼움방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 and the lid 20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screw type or a fit type.

상기 뚜껑(20)에 구비되는 외기유입부(21)는,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외기가 뚜껑(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몸통(10)의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뚜껑(20)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짐이 당연하다.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provided in the lid 20 receives out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so that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lid 20, And a hole penetrating the lid 20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1. [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는,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뚜껑(20)의 외기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몸통(10)의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virus cushion 3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so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of the lid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of the body 10 The viru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art 11 by the outside air discharged when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to block various viruses distributed in the user's surrounding air and prevent the user from inhaling the virus through the respirator And a virus blocking agent 31 is provided therein.

이 때,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는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제(31)가 상기 외기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되어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쉽게 배출됨이 가능하도록 미세구멍(미도시)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irus master 30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outlet portion 11 Woven fabric having fine holes (not shown).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이러스차단분말(312)에 이산화염소(311)를 포함하는 방법은, 가스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이산화염소를 공기로 희석하여 즉시 스크류 컨베이어식 교반기에 공급하여 소맥분과 접촉 첨가시킴으로서 이산화염소(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을 얻을 수 있다.The virus blocker 31 provided inside the virus disc holder 30 is provided with a virus blocking powder 312 containing chlorine dioxide 311 and the virus blocking powder 312 The chlorine dioxide 311 is diluted with air using a gas generator and immediately supplied to a screw conveyor type agitator to be contacted with the wheat flour to form a virus blocking powder 311 containing chlorine dioxide 311 (312) can be obtained.

이산화염소는 주지된 바와 같이, 환경부에서 고시한 수처리제의 기준과 규격에서 살균, 소독제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먹는 물에 대한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중이며, 할로겐원소 함유 유기화합물이 없으며 할로겐원소 비함유 유기화합물도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일 및 야채로부터 치명적인 유해 세균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며 탄저균, 리스테이라균, 대장균, 살모네라균을 최소 10만분의 1수준까지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As is well known, chlorine dioxide has been designated as a disinfectant and disinfectant in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water treatment agent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is being used as a disinfectant for water to be consumed. There is no halogen element-containing organic compound and no halogen element- Is known to be presently nonexistent and is highly effective in removing deadly harmful bacteria from fruits and vegetables and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anthrax, rustella, E. coli and Salmonella by at least a factor of 100,000.

구분division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염소(차아염소산나트륨 등)Chlorine (sodium hypochlorite, etc.) 반응성
(pH 살균력)
Reactivity
(pH sterilization power)
넓은 pH(2-10) 범위내에서 살균력 유지Maintain sterilization power within a wide pH range (2-10) pH가 증가하면 살균력 급격히 감소
차아염소산은 pH에 따라 해리되어 차아염소산염이온으로 변함
Sterilization abruptly decreases with increasing pH
Hypochlorous acid dissociates to hypochlorite ion depending on pH
선택성Selectivity 이산화염소는 유기물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음Chlorine dioxide rarely reacts with organics and produces no by-products. 염소는 거의 모든 화합물과 반응하여 산화반응, 치환반응, 첨가반응이 일어나므로 오염도가 높은 곳에서 활용력이 떨어짐Chlorine reacts with almost all the compounds, resulting in oxidation, substitution, and addition reactions. 소독지속성Persistence of disinfection 박테리아 등의 재 번식을 크게 억제하고 미생물의 멤브레인 침투력이 강하여 세균막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음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reproductive growth of bacteria and so on and removing the bacteria membrane by strong microorganism permeability of membrane. 박테리아가 재번식하는 현상이 많이 나타남Bacteria reproduce a lot. 소독부산물Disinfection byproduct 소독부산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음Fewer disinfection byproducts 발암성 소독부산물인 트리알로페만(THMs), 할로아세틱에시드(HAAs), 할로아세토니트릴(HANs) 등 600여종 생성More than 600 kinds of carcinogenic disinfection by-products such as trialopenic (THMs), haloacetic acid (HAAs), and haloacetonitrile (HANs) 원생생물 및 중금속 제거능력Ability to remove protists and heavy metals 미생물 제어능력은 염소에 비해 5배 정도 강함, 식품에 잔류하는 농약 등을 분해하며 철, 망간, 페놀 및 독성물질 제거함Microbial control ability is 5 times stronger than chlorine, decomposes pesticide residues in food, removes iron, manganese, phenol and toxic substances 원생생물불활성화 및 중금속 제거능력 미미함 또한 페놀에 염소소독제 사용시 악취를 유발함Minimal activation of raw flora and removal of heavy metals It also causes odor when chlorine disinfectant is used in phenol

* 녹색환경 블로그 발췌* Green environment blog excerp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greene&logNo=140175587920)(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greene&logNo=140175587920)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효과를 갖고 있는 이산화염소를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를 구비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에 포함함에 따라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에 의해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어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hlorine dioxide having such an effect is included in the virus blocking powder 312 having the virus blocking agent 31 so that the virus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into the surrounding air of the user by the virus blocking agent 31 It is possible to block various distributed viruses,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inhaling the viru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는, 사용자의 책상이나 또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또는 식탁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이 때 책상이나 자동차의 대시보드, 식탁 등에 올려진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통(10)의 하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방지패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antiviral block,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on a user's desk or a dashboard or dinner table of a car. At this tim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to prevent slippage.

이와 같이 책상이나 또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또는 식탁 등에 올려진 본 고안인 바이러스 차단구는, 외기가 상기 뚜껑(20)에 구비된 외기유입부(21)를 통해 뚜껑(20)의 내부로 유입되고 뚜껑(2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몸통(10)에 구비되는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는 바, 이 때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를 통과한 후 배출됨에 따라 몸통(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외기와 같이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된다.In this way, the virus block,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desk or an automobile dashboard or a kitchen tabl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lid 20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provided in the lid 20, 20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provided in the body 10. During the discharge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The virus blocker 31 of the virus cushion 30 provided in the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like the outside air as a result of passing through the virus cushion unit 30 provided inside the body 10, ≪ / RTI >

따라서, 사용자의 주변에 잔류하는 각종 인체 유해바이러스가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는 바이러스차단제(31)에 의해 차단되어 감기나 메르스의 경우, 코나 목구멍 기관 등의 호흡기 계통에 의해 생기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various harmful viruses remaining in the vicinity of the user are blocked by the virus blocking agent 31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and in the case of winding or mailing, the viruses generated by the respiratory system such as the nose or throat organs The virus that causes the diseas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본 고안의 상기 뚜껑(20)에 구비되는 외기유입부(21)는, 상기 뚜껑(20)의 가장자리 둘레부를 따라 통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10)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외기배출부(11)는, 상기 몸통(10)에 통공되는 제1배출구멍(111)과, 상기 제1배출구멍(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10)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112)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112)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air inflow portion 21 provided in the li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manner to penetrate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lid 20 and is provided in the body 10,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through which the virus blocking agent 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111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10 and a second discharge hole 111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111 radially And a plurality of second exhaust holes 112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exhaust holes 112. The second exhaust holes 11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long the plurality of second exhaust holes 112, A plurality of vortex-type guide protrusions 40 for guiding the release of the barrier agent can be further provided.

이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4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112)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기에 의해 배출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의 배출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a plurality of vortex guiding protrusions 40,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the virus blocker 31 of the virus disc 30 discharged by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ing portion 11 can be greatly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몸통 11 : 외기배출부
20 : 뚜껑 21 : 외기유입부
30 : 바이러스차단체 31 : 바이러스차단제
40 : 가이드돌기
111 : 제1배출구멍 112 : 제2배출구멍
311 : 이산화염소 312 : 바이러스차단분말
10: body 11:
20: lid 21: outside air inlet
30: Antivirus 31: Antiviral agent
40: guide projection
111: first discharge hole 112: second discharge hole
311: Chlorine dioxide 312: Virus blocking powder

Claims (3)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기가 배출되고 제1배출구멍(111)을 갖는 외기배출부(11)를 갖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면에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기가 배출되도록 가장자리 둘레부를 따라 통공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21)가 구비되는 뚜껑(20)과;
상기 몸통(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뚜껑(20)의 외기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몸통(10)의 외기배출부(11)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11)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10)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외기배출부(11)는,
상기 제1배출구멍(1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11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몸통(10)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112)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112)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차단구.
A body (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n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having a first discharge hole (111) through which ambient air is discharged along a peripheral surface;
A cover 2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having an outer air inlet 2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o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outer air outlet 11, ;
The out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portion 11 of the body 10 is discharged by the outside air that is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21 of the lid 20 A virus blocking agent 31 is installed inside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to prevent the viruses from being inhaled by a user through a respirator by discharging a virus blocking agen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to block various viruses distributed in the user's surrounding air (30), and the virus-
The outside air discharge unit 11, which is provided in the body 10 and through which the virus blocker 31 of the virus carrier 30 is discharge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112) penetrating radially in the form of a vortex about the first discharge hole (111)
A plurality of vortex-type guide projections (40) provided along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holes (11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guiding the release of the virus blocking agent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s (112) Wherein the virus block is further provided with a virus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차단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viral agent (31)
And a virus blocking powder (312) containing chlorine dioxide (311).
삭제delete
KR2020150005176U 2015-08-03 2015-08-03 interception tool of virus KR2004826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76U KR200482618Y1 (en) 2015-08-03 2015-08-03 interception tool of vir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76U KR200482618Y1 (en) 2015-08-03 2015-08-03 interception tool of vir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60U KR20170000560U (en) 2017-02-13
KR200482618Y1 true KR200482618Y1 (en) 2017-02-15

Family

ID=5840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76U KR200482618Y1 (en) 2015-08-03 2015-08-03 interception tool of vir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1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510B2 (en) 2003-08-08 2008-11-05 高橋 早苗 Disinfectant / deodorant, disinfectant / deodorant solution, and disinfectant / deodorant method using the same
JP2014233544A (en) * 2013-06-04 2014-12-15 新光株式会社 Box type air cleaning implement
JP2015137256A (en) 2014-01-22 2015-07-30 清勝 小田根 Sterilizing agent and container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011U (en) * 1990-02-01 1991-10-22
KR200317757Y1 (en) 2003-03-21 2003-06-25 서정수 sterilization device of the air
KR20050068053A (en) 2003-12-29 2005-07-05 이원철 Material for preventing bad smell and propagation of cell having multi purpo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510B2 (en) 2003-08-08 2008-11-05 高橋 早苗 Disinfectant / deodorant, disinfectant / deodorant solution, and disinfectant / deodorant method using the same
JP2014233544A (en) * 2013-06-04 2014-12-15 新光株式会社 Box type air cleaning implement
JP2015137256A (en) 2014-01-22 2015-07-30 清勝 小田根 Sterilizing agent and contain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60U (en)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436B1 (en) Portabl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20160101202A1 (en) System for Sterilizing Objects Utilizing Germicidal UV-C Radiation and Ozone
CN205106453U (en) Protective facial mask with deactivation pathogenic organism function
KR101703922B1 (en) Air cleaning mask for having liquid appratus
CN111165940A (en) Mask based on ultraviolet and photocatalyst sterilization
KR20150126045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Matys et al. Disinfectants and devices for surface and air disinfection in dental offices
CN206026742U (en) Multilevel processing air disinfection device
KR101528110B1 (en) portable type interception tool of virus
JP2010017496A (en) Antimicrobial deodorizing mask
KR200482618Y1 (en) interception tool of virus
KR200484164Y1 (en) interception tool of virus
JP2008228597A (en) Isolation device for preventing infection
US20210275713A1 (en) Personal air purification mask sterilizing insert
CN108266793A (en) A kind of air-conditioning
CN109288168A (en) Mask sanitation valve
KR200357824Y1 (en) Air sterilizer
CN202061132U (en) Air purifier for hospitals
WO2007055430A1 (en) Air purifier with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absorbing toxic materials
KR20220052129A (en) HEPA filter with antibacterial function
JP2007143526A (en) Animal cage
KR102210239B1 (en) Anti-virus filter mask using bronze sintered filter
KR200350010Y1 (en) Mask have function quality
JP7478436B2 (en) Air Purifier
RU201261U1 (en) PORTABLE AI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