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30Y1 - Folded type display stand - Google Patents

Folded type display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30Y1
KR200481630Y1 KR2020160002796U KR20160002796U KR200481630Y1 KR 200481630 Y1 KR200481630 Y1 KR 200481630Y1 KR 2020160002796 U KR2020160002796 U KR 2020160002796U KR 20160002796 U KR20160002796 U KR 20160002796U KR 200481630 Y1 KR200481630 Y1 KR 200481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foldable
shelf
supporting
pane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관
Original Assignee
권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관 filed Critical 권영관
Priority to KR2020160002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3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76Display stands with fixed brackets or hooks for suspend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개선 및 접이선을 따라 간편하게 접이식으로 조립되고, 특히 접이식 조립에 의해 상품 진열부 양 측으로 상품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품 진열 시 상품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접이식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상품 진열부용 천공부를 구비한 중앙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패널이 휘어져 중공부를 갖는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천공부가 상품 진열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품 진열부 양측에 상품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roduct shelf having improved convenience,
And a center panel having a perforation for a commodity display part, wherein the central panel is bent to constitute a body having a hollow part, the perforated part constitutes a commodity display part, and a commodity supporting par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modity display part .

Description

상품 지지부를 구비한 접이식 상품 진열대{FOLDED TYPE DISPLAY STAN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roduct display stand having a product supporting part,

본 고안은 마트, 백화점, 편의점 등 상품 판매지에서 상품을 진열하기 위해 설치되는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rchandise display stand installed to display merchandise at a merchandise store such as a mart, a department store, a convenience store,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선 및 접이선을 따라 간편하게 접이식으로 조립되고, 특히 접이식 조립에 의해 상품 진열부 양 측으로 상품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품 진열 시 상품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접이식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ed And a folding merchandise display shelf with improved convenience.

마트, 백화점, 편의점 등의 상품 판매지에서는 다수의, 그리고 단위 포장된 상품들을 진열 및 판매할 수 있도록 진열대를 구비하고 있다.In a merchandise store such as a mart, a department store, or a convenience store, a shelf is provided to display and sell a large number of units and packaged goods.

이러한 진열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4-0021319호(2014년02월20일)[접이식 상품 진열대](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에는 접철식으로 편리하게 설치 및 설치 해제가 가능한 진열대를 제시하고 있다.[0003]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such a shelf, there is a folding merchandise display shelf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olding merchandise shelves ")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21319 (Feb. 20, 2014) Which are available on the market.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은 진열대에 단위 포장된 상품들을 여러 층으로 쌓아 놓는 경우, 소비자의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시인성을 위해 정면(상품명 및 로고가 새겨진 면)으로 세워놓는 경우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stacking products packed in a unit on a shelf such as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consumers, and when the product is placed in front (a product name and a logo are engraved) for visibility, space utilization is not efficient There is a disadvantage.

때문에 시인성 및 공간 활용성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상품을 정면으로 삽입 및 고정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진열대의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비용 절감 및 설치 편의성을 위해 한 장의 판지(소재 무관, 지류 또는 합성수지가 적절)를 접어서 완성하고 설치하는 접이식 진열대의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stand so that the product can be inserted and fixed on the front so that both the visibility and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satisfied. In particular, a single sheet of paper (suitable for material, tributary or synthetic resin) There is a need for a folding shelf that is folded and completed and installed.

더불어 상품 진열부에 삽입되어 진열된 상품의 삽입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품 지지부를 구성하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품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한 장의 판지에 절개선 및 접이선을 구비하여 적절한 상품 지지부를 형성하는 기술의 필요성 역시 재고되는 바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product supporting structure for inserting a commodity into a commodity display part so as to continuously maintain an inserted state of a commodity displayed on the commodity display part. The need for a technique for providing a suitable article support portion is also reexamined.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절개선 및 접이선을 따라 간편하게 접이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상품의 크기가 제각각인 경우, 하나의 진열대에 다수, 다종의 상품을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진열 공간에 따라 진열대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easily fold and fold the product along folding lines and folding lines. For example, when a product size is different, when a plurality of products are to be displayed on one shelf, Such as a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또한 접이식 조립에 의해 상품 진열부 양 측에 상품 지지부가 바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품 진열 시 상품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duct supporting section directly on both sides of a merchandise display section by folding and assembling,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a merchandise at the time of merchandise display.

아울러 직립형 상품 지지부를 통해 상품의 양측을 지지함은 물론, 상품의 양 측단부가 삽입되는 지지결합공을 상품 지지부에 추가로 더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진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duct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a product through an upright product supporting part and a supporting part for inserting both ends of the product into a product supporting part so that a more stable display state can be maintained .

나아가 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를 구비하여 상품 진열부에 상품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본 진열대를 상품 진열용 테이블(또는 다이)에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테이블 옆에 직립시켜 진열할 수도 있고, 테이블에 기댄 형태로 걸어서 진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helf protruding rearward so that the shelf can be directed to the front in a state that the merchandise is inserted into the merchandise display part. The shelf can be inserted into a table (or die) for merchandise display, Or it may be displayed on the table in a leaning manner, so that various types of display are possible.

상기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상품 진열부용 천공부를 구비한 중앙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패널이 휘어져 중공부를 갖는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천공부가 상품 진열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품 진열부 양측에 상품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enter panel having a perforation for a commodity display part, wherein the central panel is bent to constitute a body having a hollow part, the perforated part constitutes a commodity display part, and a commodity supporting par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modity display part .

또한 상기 중앙패널은 상기 천공부 양측에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상품 지지부용 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상품 지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enter panel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wings for supporting the commodity supporting portions, which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ion so as to protrude in mutual directions, wherein the commodity support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the wings.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지지결합공용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와 상기 천공부의 경계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절개선이 구비되어, 상기 상품 지지부는 상기 상품 진열부 양측에서 직립되고, 상기 통공에 의해 지지결합공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engagement, and a first incision is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wing portion and the perfora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commodity supporting portion is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commodity display portion, And a support coupling hole is formed.

나아가 상기 중앙패널의 양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부용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2절개선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몸체 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anel, a protrusion for the receiving part protruding outwardly and a second section for forming the protrusion are provided, and the protruding part constitutes a receiving part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body.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up of the above-

상품의 크기가 제각각인 경우, 하나의 진열대에 다수, 다종의 상품을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진열 공간에 따라 진열대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또한 상품 진열 시 상품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생략을 통한 비용적 구조적 이득을 갖고, 아울러 직립형 상품 지지부 및 지지결합공을 통한 보다 안정적인 진열 상태가 유지를 제공하고, 나아가 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를 구비하여 상품 진열부에 상품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본 진열대를 상품 진열용 테이블(또는 다이)에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테이블 옆에 직립시켜 진열할 수도 있고, 테이블에 기댄 형태로 걸어서 진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진열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product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a large number of products are to be displayed on one shelf, when the size of the shelf i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play spa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st-effective structural gain by omitting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a product and provides a more stable display state maintenance through the upright product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engagement hole and further has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rearward, The display shelf can be inserted into a table (or a die) for displaying merchandise, or can stand upright on the side of a table or can be displayed on a table in a leaning manner.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types of displays, for exampl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도(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고안은 절개선 및 접이선을 따라 간편하게 접이식으로 조립되고, 특히 접이식 조립에 의해 상품 진열부 양 측으로 상품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품 진열 시 상품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접이식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able Folded merchandise display shelf with improved convenie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상품 진열대(이하 본 진열대(D))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olding merchandise display shelf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helf D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품 진열부(10) 측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 하를 나누며, 좌우 방향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따른다. 또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n the approximate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s specified, the side of the merchandise display section 10 is set forward and the opposite side is set rearward on the basis of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llow the state shown in each drawing. Unless otherwise noted, the claims are also followed.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열대(D)는 몸체(1), 버팀면(2), 상품 진열부(10), 상품 지지부(20), 받침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he shelf D includes a body 1, a support surface 2, a merchandise display unit 10, a merchandise support unit 20, and a support unit 30. As shown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1)는 굴곡형 표면을 갖고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데, 이는 본 고안의 핵심 특징인 중앙패널(P)(도 2 참조)을 휘어서 몸체(1)를 구성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to each configuration, the body 1 has a curved surface and a hollow portion in the interior, which bends the central panel P (see FIG. 2), which is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mes from constructing.

다음으로, 버팀면(2)은 몸체(1)의 후방 양단부에 이어진 구성으로, 몸체(1)의 굴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버팀면(2)의 구성은 중앙패널(P)이 지류,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몸체(1)가 굴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철과 같이 중앙패널(P)이 자체 강성을 가져 굴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되어도 무방할 것이다.Next, the supporting surface 2 is formed to extend to both rear ends of the body 1 so that the bending of the body 1 can be maintained.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surface 2 may be provided only when the center panel P is made of a tributary flow, a plastic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can not maintain the bent state of the body 1, ) May be omitted if they can maintain a bent state due to their own rigidity.

다만 본 고안의 주 효과가 중앙패널(P)을 휘어서 간편하게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에 비추어 볼 때, 버팀면(2) 역시 하나의 주된 특징으로 기인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ai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easily form a shelf by bending the central panel (P), the support surface (2) can also be attributed to one main feature.

다음으로, 상품 진열부(10)는 상품이 수납되고 진열되는 구성으로, 상품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Next, the merchandise display unit 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rchandise is stored and displayed, and the merchandise is inserted and fixed.

다음으로, 상품 지지부(20)는 상품 진열부(10) 양측에 구비되어 진열된 상품의 삽입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Next, the commodity supporting portion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modity display portion 10 to support the displayed commodity so that the commodity can be inserted and fixed.

다음으로, 받침부(30)는 몸체(1) 후방에 구비되어 버팀면(2)과 함께 본 진열대(D)를 받쳐주는 구성이다.Next, the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1 to support the shelf D together with the support surface 2.

이러한 본 진열대(D)의 각 부는 몸체(1)와 상품 진열부(10)와 상품 지지부(20)를 기본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Each part of the main shelf D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s required based on the body 1, the merchandise display part 10, and the merchandise support part 20. [

도 2는 본 고안의 핵심특징인 중앙패널(P)에 관한 전개도이다.Figure 2 is a developed view of a central panel (P),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패널(P)은 천공부(100), 날개부(200), 돌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center panel P includes a perforation 100, a wing 200, and a protrusion 300.

각 부 별로, 먼저 천공부(100)는 중앙패널(P)을 휘어서 몸체(1)를 구성할 때, 상품 진열부(10)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천공부(100)는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진열 대상인 상품을 컵라면 등과 같은 ‘용기형 상품’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에 의해 진열 대상이 용기형 상품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perforating unit 100 is a part constituting the merchandise display unit 10 when the body panel 1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anel P.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 100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product to be display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duct to be displayed is described as a 'container-shaped product' . Therefore, the object to be displayed by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ainer type product.

또한 중앙패널(P)을 휘어서 몸체(1)를 구성한다는 것은 본 고안의 주 특징으로, 압출 또는 사출을 통해 진열대를 구성하는 것에 비해, 예를 들면 상품의 크기가 제각각인 경우, 하나의 진열대에 다수, 다종의 상품을 진열하고자 하는 경우, 진열 공간에 따라 진열대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entral panel P is bent to form the body 1 is that the display panel is formed by extrusion or injection.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a product is different, If you want to display a large number of products, if you have to adjust the size of the shelves according to the display space, you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진열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품 진열부(10)의 개수를 조정하거나 또는 상품 진열부(10)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진열대의 크기를 변경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금형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는 비용적, 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helf is formed by extrusion or injection, when a situation occurs such as adjusting the number of the merchandise display units 10, changing the shape of the merchandise display unit 10, or changing the size of the shelf, It is a burden to pay for costly and time-consuming losses.

물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접이식으로 조립 가능한 진열대를 제시하고 있는 바,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진열대를 구성하는 것 역시 반드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shelf that can be assembled by folding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it should also be construed that constituting a shelf by extrusion or inje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중앙패널(P)이 휘어져 몸체(1)를 구성’한다는 표현은 물리적인 외력이 작용하여 휘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용융, 소성 상태에서 휘어지는 것 역시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e central panel P is bent to form the body 1' should be construed a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bending due to a physical external force but also bending in a melted state and a fired state.

그러나 평판 형태의 중앙패널(P)에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작용하여 각 구성(몸체(1), 상품 진열부(10), 상품 지지부(20)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가 될 것이다.However, it is most preferable for the user to directl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flat panel-shaped central panel P to have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body 1, the merchandise display part 10, the product support part 20, etc.).

추가적으로, 본 고안에서 중앙패널(P)에 각 부를 형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특히 중앙패널(P)의 각 부 구성은 톰슨 가공(Thompson Press, 속칭: 도무송 가공)을 통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the parts in the central panel P can be done in various ways, but in particular, each part of the central panel P is provided by Thompson Press (also known as Thompson Press) .

이러한 톰슨 가공으로 인해 일체인 중앙패널(P)에 각 부 구성을 모두 구비할 수 있는데, 톰슨가공은 프레스기와 인쇄기의 원리를 조합한 것으로, 인쇄물에 맞춰 원하는 모양으로 합판위에 칼을 꽂아서 만든 목형을 이용하여 ‘찍어내는’형태를 갖는다.Thompson processing is a combination of the principle of press machine and printing machine, and it is possible to make a wooden mold made by inserting a knife on plywood in desired shape according to the printed matter. And 'take out' form.

이 톰슨가공의 칼날의 길이를 조절하여 잘라내야 하는 부분(절개선 포함)은 칼날을 길게, 접이선이 필요한 부분은 칼날을 짧게 구성하여 중앙패널(P)에 각 부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 part to be cu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hompson processing blade (including the section cut) can be provided in the center panel P by configuring the blade to be long and the part where the fold line is required to be short.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패널(P)의 일 구성인 날개부(200)는 천공부(100) 양측에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한 쌍이 세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wing portions 200, which are a constitution of the center panel P,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ion 100 so as to protrude from each other, and a pair is formed as a set .

날개부(200)는 중앙패널(P)을 휘어서 몸체(1)를 구성할 때 상품 지지부(20)를 구성하며, 날개부(200)가 천공부(100) 양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품 지지부(20)는 상품 진열부(10)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다.The wing part 200 constitutes the product supporting part 20 when the body panel 1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anel P. Since the wing part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ion 100,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display section 10.

상기한 날개부(200)를 통한 상품 지지부(20)의 구성 특징을 통해, 본 진열대(D)는 상품 지지를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단순한 구조적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제작 비용면에서도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rough the features of the merchandise support 20 through the wing 200, the shelf 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merchandise, and can have a simple structural advantage, .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패널(P)의 일 구성인 날개부(200)는 지지결합공(21)용 통공(210)을 구비하고, 날개부(200)와 천공부(100)의 경계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절개선(c1)이 구비한다.2, the wing portion 200,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central panel P, has a through hole 210 for the support coupling hole 21 and has a wing portion 200 and a perforation 100, (C1) in the outward direction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section (c1).

이에 본 진열대(D)는 상품 지지부(20)가 상품 진열부(10) 양측에서 직립되고, 통공(210)에 의해 지지결합공(2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elf 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20 is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display portion 10 and the support hole 21 is formed by the through hole 210. [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인해 본 진열대(D)는 상품 진열부(10)에 삽입 고정된 상품의 양측을 상품 지지부(20)가 지지하고, 지지결합공(21) 내에 상품의 양 측단부가 삽입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진열될 수 있다.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the shelf D is provided with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20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product inserted and fixed in the merchandise display portion 10, and both ends of the product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engaging hole 21 And can be displayed more stably.

특히 용기형 상품의 경우, 상품 진열부(10) 내측에서 움직이면서 상품 진열부(10) 밖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는데, 용기의 양 측단부가 지지결합공(21)에 끼움 결합되면서 움직임이 제한되어 안정적인 결합(진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type merchandi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erchandise is moved out of the merchandise display section 10 while moving inside the merchandise display section 10. Since both ends of the container are fitted to the support hole 21, The binding (display) state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패널(P)의 일 구성인 돌출부(300)는 중앙패널(P)의 양 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중앙패널(P)의 양 단부에는 이 돌출부(300)를 형성하는 제2절개선(c2)이 구비된다.2, protrusions 300, which are a constitution of the center panel P,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panel P so as to protrude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t both ends of the center panel P, And a second sectioning c2 for forming the projection 300 is provided.

이에 본 진열대(D)는 돌출부(300)가 몸체(1) 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3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elf 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300 constitutes a receiving portion 30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body 1.

이러한 돌출부(300) 및 제2절개선(c2)은 중앙패널(P)을 휘어서 몸체(1)를 구성할 때, 받침부(30)를 구성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패널(P)의 양 단부에 구비된 돌출부(300)가 몸체(1) 후방에 구비되는 받침부(3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protrusion 300 and the second section c2 constitute the receiving portion 30 when the body 1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ral panel P.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3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1 constitutes a receiving portion 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1.

이러한 받침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진열대(D)의 후방을 받쳐주어 상품이 전방을 향하도록 진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부(30)의 구비를 통해 본 진열대(D)는 상품 진열을 위한 테이블(또는 다이)에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테이블 옆에 직립시켜 진열할 수도 있고, 테이블에 기댄 형태로 걸어서 진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진열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ortion 30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shelf D so that the product can be displayed frontward. In addition, the shelf D can be inserted into a table (or a die) for displaying merchandise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receiving unit 30, and can be displayed upright on the side of the table or can be displayed on a table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types of display such as a display screen.

도 3은 본 고안의 부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parti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More detaile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FIG.

먼저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중앙패널(P)의 양측에는 일 측 제1패널(P1)과 타 측 제2패널(P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은 상기한 버팀면(2)을 구성하여 몸체(1)의 굴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팀면(2) 구성을 위해 각각 제1체결부(50) 및 제2체결부(60)를 구비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nel P.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The panel P2 can form the support surface 2 so as to maintain the bending state of the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50 and 50 60 may be provided.

이러한 제1패널(P1)은 제1접이선(f1)에 의해 중앙패널(P)과 구분되고, 제2패널(P2)은 제2접이선(f2)에 의해 중앙패널(P)과 구분되며, 제1접이선(f1) 및 제2접이선(f2)을 접는 과정을 거쳐, 버팀면(2)을 구성하고, 몸체(1)는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panel P1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panel P by the first folding line f1 and the second panel P2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panel P by the second folding line f2 The first folding line f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2 are folded to form the supporting surface 2 so that the body 1 can be bent.

몸체(1)의 굴곡을 위해 당연하게도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폭 합은 중앙패널(P)의 폭 합보다 작아야 할 것이다.The width of the first panel P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anel P2 should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center panel P for the bending of the body 1.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팀면(2)의 구비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구비 역시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ovision of the support surface 2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and the provision of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can also be selectively implemented.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인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의 실시를 설명한다.3, a more detailed first panel P1 and a second panel P2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열대(D)를 구성하는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은 상호 결합되는 제1체결부(50) 및 제2체결부(60)를 각각 구비하고, 버팀면(2) 구성 시 상호 일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constituting the shelf D ar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5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60, An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surface (2).

도 3의 실시에서는 제1체결부(50)는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돌기을 갖고, 제2체결부(60)는 체결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을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 및 체결홈은 상호 치환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3, the first fastening portion 50 has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by cutting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0 has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These fastening projections and fastening grooves can be mutually displaced.

상기한 ‘제1체결부(50) 및 제2체결부(60)의 구성’과 ‘상호 중첩’의 특징을 통해, 본 진열대(D)는 보다 강화된 내구성을 갖는데, 즉 제1패널(P1)과 제2패널(P2) 간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되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e features of the 'first fastening part 5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60' and 'mutual overlapping', the shelf D has a more enhanced durability, that is,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are increased, so that they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추가적으로, 체결돌기는 원형 절단부(c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원형 절단부(c0)는 체결돌기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구성으로, 원형 절단부(c0)의 구비를 통한 내구성 강화에 대한 설명은 이하 날개부(200)의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has a circular cut portion c0. Such a circular cut portion c0 is configured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durability enhancement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circular cut portion c0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덧붙여, 제2체결부(60)(체결돌기)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강성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강성부(70)는 제1체결부(50) 및 제2체결부(60) 결합 시 제1패널(P1)과 제2패널(P2)이 중첩되는 부위를 확대시키고, 제1체결부(50)와 제2체결부(6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0 (fastening projection) further includes a rigid portion 70 formed outwardly. The rigid portion 70 enlarges a portion where the first panel P1 and the second panel P2 overlap 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50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0 are coupled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5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60 and serves as a stopping function to prevent the fastening protrusion from being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도 1 내지 도 3(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0)는 단부에 라운드(R)를 구비하고, 이 날개부(200)에 의해 구성된 상풍 지지부(20) 역시 단부에 라운드(R)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to 3 (particularly, FIG. 3), the wing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round R at its end, and the upper wind supporting portion 20 constituted by the wing portion 200 also has round (R).

본 고안은 라운드(R)의 구비를 통해, 본 진열대(D)를 사용하는 사용자(판매자, 관리자 또는 소비자 등등)가 상품 지지부(20)의 첨예한 단부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user (seller, manager, consumer, or the like) who uses the shelf D from being injured by the sharp end of the product support unit 20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round R.

덧붙여 라운드(R)의 구비를 위해 제1절개선(c1) 역시 굴곡형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ction improvement (c1) is also formed by the bending-type section reduction for the provision of the round (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열대(D)는 제1절개선(c1)의 단부에 원형 절단부(c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shelf D is characterized in that a circular cut portion c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c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부(200)와 천공부(100)에 형성된 제1절개선(c1)에 의해 상품 지지부(20)가 직립되는데, 이 제1절개선(c1)의 단부, 즉 상품 지지부(20)와 상품 진열부(10)의 경계 부위는 외력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이 높다.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20 is uprighted by the first section reduction c1 formed on the wing portion 200 and the perforation 100.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c1, that is,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20 and the merchandise display part 10 are likely to be torn by an external force.

이에 본 고안은 제1절개선(c1)의 단부, 즉 상품 지지부(20)와 상품 진열부(10)의 경계 부위에 원형 절단부(c0)를 구비하였고, 이를 통해 상품 지지부(20)와 상품 진열부(10)의 경계에 가해지는 외력(뒤틀림, 찢김 등)을 분산하여 내구성을 강화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ircular cut portion c0 at the end of the first section improvement c1, that i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20 and the merchandise display portion 10, The external force (warping, tearing, etc.) applied to the boundary of the portion 10 is dispersed to enhance the durability.

도 4는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예(상기 기본 실시들을 제1실시에로 통칭)에 관한 것이다.Fig. 4 relates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implementation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진열대(D2)는 받침부(30)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 돌출 길이가 점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A, the shelf D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30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ength of the rear protruding portion increases gradually toward the lower side.

다시 말해, 상측 제1받침부(31)의 후방 돌출 길이보다 하측 제2받침부(32)의 후방 돌출 길이가 더 큰 것이다. 여기에서 제1받침부(31)와 제2받침부(32)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특정 받침부(30)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In other words, the rear protruding length of the lower second receiving portion 32 is larger than the rear protruding length of the upper first receiving portion 31. Here,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do not refer to the specific support portion 30 in a relative concept.

본 고안은 상기한 ‘돌출 길이 점증형 받침부’구조를 통해, 테이블(또는 다이)에 본 진열대(D2)를 기대어 설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된 직립 상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단순히 수직으로 직립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진열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elf D2 is laid on the table (or di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length accumulating type support structure', it naturally has an upright state protruding forward as it goes downward, It is possible to display more stable than when standing upright vertically.

특히 본 진열대(D2)가 마트, 백화점 등 다수의 사용자가 몰리는 공간에 배치될 것을 감안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진열대가 쓰려지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상품이 상품 진열부(10)를 이탈할 우려가 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shelf D2 is disposed in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such as a mart, a department store, and the like are disposed, the shelf may be lost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or a product may leave the merchandise display unit 10 .

이 때 ‘돌출 길이 점증형 받침부’구조를 갖는 본 진열대(D2)는 테이블의 벽면에 각 받침부(31)(32)가 접촉한 채로 기대어 설치되기 때문에 쉽게 쓰러지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외력(본 진열대(D2)와 충돌하거나 상품을 꺼내기 위해 잡아당기는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직립 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shelf D2 having the structure of 'protruding length incremental support portion' structure is provided by leaning against the wall surface of the table with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31 and 32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not easily collapsed, An upright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collision with the shelf D2 or pulling for pulling out a product acts.

한편,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본 진열대(D3)의 중앙패널(P)은 돌출부(300)가 돌출부(300)의 내측에서 시작하여 중앙패널(P)을 침범하여 구비된 제3절개선(c3)에 의해 형성되는 서포터용 돌기부(400)를 포함한다.4 (B), the central panel P of the main display panel D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sion 300 starts from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00, And a supporter protrusion 400 formed by the third fold improvement (c3) which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third fold improvement (c3).

이에 본 진열대(D3)는 돌기부(400)가 받침부(30)를 지탱하는 서포터부(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elf D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400 constitutes a supporter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receiving portion 3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출부(300)에 의해 구성되는 받침부(30)는 본 진열대(D3)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30 constituted by the protrusion 300 maintains the upright state of the shelf D3.

그러나 얇은 중앙패널(P)에 제2절개선(c2)을 통해 형성된 돌출부(300) 역시 중앙패널(P)의 두께와 동일하기 때문에 무거운 상품을 진열하는 경우 또는 본 진열대(D3)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받침부(30)가 파손(구겨짐, 구부러짐, 찢어짐 등)되어 적절한 버팀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However, since the protrusion 300 formed through the second section c2 on the thin central panel P is also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anel P,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eavy product from being displayed or a strong external force on the shelf D3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pport portion 30 may be damaged (wrinkled, bent, torn, etc.) when it is applied, and the proper supporting force can not be provid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받침부(30)를 합지(Lamination)하거나 강성 부재를 덧대어 받침부(30)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기본 컨셉이 간편한 제작과 간편한 조립 및 간편한 사용인 바, 이러한 시도는 별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upport portion 30 may be laminated or a rigid member may be attached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ortion 30. However,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easy to assemble, and easy to use. Attempts are not very desirabl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서포터부(40)를 구비하여 받침부(30)를 지지하였고, 이에 받침부(30)의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unit 40 is provided to support the supporter 30, so that sufficient rigidity of the supporter 30 can be secured.

도 4 [B]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서포터부(40)는 일단이 받침부(30)와 이어지고 타단이 버팀면(2)에 접하면서 받침부(30)재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4 [B], the supporter unit 40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one end of the supporter 30 whil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30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2.

특히 받침부(30)를 적절하게 지탱하기 위해 서포터부(40)는 받침부(30)와 버팀면(2) 간의 대각선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돌기부(400)를 형성하는 제3절개선(c3)은 돌출부(300)의 내측에서 시작하여 중앙패널(P)을 침범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order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support portion 30, the supporter portion 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agonal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30 and the support surfac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al improvement c3 is provided so as to start from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00 and to penetrate the center panel P. [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 본 진열대
1: 몸체
10: 상품 진열부 20: 상품 지지부
21: 지지결합공 30: 받침부
P: 중앙패널
100: 천공부 200: 날개부
210: 통공 300: 돌출부
c1~c3: 제1 내지 제3절개선 f1, f2: 제1 및 제2접이선
D: This shelf
1: Body
10: merchandise display section 20: merchandise support section
21: support coupling hole 30:
P: Central panel
100: perforation 200: wing part
210: through hole 300: protrusion
c1 to c3: first to third improvements f1, f2: first and second fold lines

Claims (4)

상품 진열부용 천공부를 구비한 중앙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패널이 휘어져 중공부를 갖는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천공부가 상품 진열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품 진열부 양측에 상품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패널은
상기 천공부 양측에 서로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상품 지지부용 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에 의해 상기 상품 지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지지결합공용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와 상기 천공부의 경계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절개선이 구비되어,
상기 상품 지지부는 상기 상품 진열부 양측에서 직립되고, 상기 통공에 의해 지지결합공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A center panel having perforations for merchandise display part;
, ≪ / RTI >
The center panel is bent to form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the perforation portion constitutes a merchandise display portion,
A product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display portion,

The center panel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wing parts for supporting the article supporting part, the wing parts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ion,
Wherein the article support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the wing portion,

Wherein the vane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engagement,
Wherein a first incision is provided in an outer direction at a boundary between the wing portion and the perforation,
Wherein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is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merchandise display portion, and the supporting hole is formed by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널의 양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부용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2절개선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몸체 후방으로 돌출된 받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anel, a projecting portion for the receiving portion projecting outwardly and a second sectioning forming the projecting portion are provided,
And the protruding portion constitutes a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60002796U 2016-05-23 2016-05-23 Folded type display stand KR2004816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96U KR200481630Y1 (en) 2016-05-23 2016-05-23 Folded type display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96U KR200481630Y1 (en) 2016-05-23 2016-05-23 Folded type display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30Y1 true KR200481630Y1 (en) 2016-11-09

Family

ID=5748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96U KR200481630Y1 (en) 2016-05-23 2016-05-23 Folded type display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3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865B1 (en) * 2020-03-18 2020-08-25 김보성 Packing box
AU2018420624B2 (en) * 2018-04-27 2022-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Modular point-of-sale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787A (en) * 2004-02-06 2005-08-18 Shingo Tsunoda Product fixing mount paper sheet
JP2005304733A (en) * 2004-04-20 2005-11-04 Chuo Kogei Kikaku Kk Mounting stand made of paper
KR20140136342A (en) * 2013-05-20 2014-11-28 김형태 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787A (en) * 2004-02-06 2005-08-18 Shingo Tsunoda Product fixing mount paper sheet
JP2005304733A (en) * 2004-04-20 2005-11-04 Chuo Kogei Kikaku Kk Mounting stand made of paper
KR20140136342A (en) * 2013-05-20 2014-11-28 김형태 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420624B2 (en) * 2018-04-27 2022-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Modular point-of-sale display
US11337531B2 (en) 2018-04-27 2022-05-24 Colgate-Palmolive Company Modular point-of-sale display
AU2018420624C1 (en) * 2018-04-27 2022-11-10 Colgate-Palmolive Company Modular point-of-sale display
KR102147865B1 (en) * 2020-03-18 2020-08-25 김보성 Pack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350B2 (en) Information display unit support having at least one presentation face
US20170236452A1 (en) Foldable information display unit
KR200481630Y1 (en) Folded type display stand
US20180233070A1 (en) Corrugated signage
EP2298129B1 (en) Product display case
KR101668836B1 (en) Folded type display stand
KR200483311Y1 (en) Folded type display stand
JP2008000272A (en) Display shelf made of paper
US9743782B1 (en) Retail upright shelf extender
JP2012135472A (en) Display stand
US20170265656A1 (en) Cascading display
JP2019521797A (en) Clothes hanger
JP2005296031A (en) Paper box for displaying rolled object
KR200420225Y1 (en) Show case
JP5076028B2 (en) Display with stand
KR100774976B1 (en) Show case
JP3186695U (en) Display tools
EP3669708A1 (en) Foldable display made of laminar material and assembly method of such foldable display
JP3141794U (en) Product display shelf
JP5871043B2 (en) Exhibition stand
JP4797532B2 (en) Carton with POP function
JP4603302B2 (en) Composite slide structure and display for display
IT201800011166A1 (en) FOLDING DISPLAY WITH STEPS
DE202007003165U1 (en) Retail sales presentation tray for e.g. toothbrushes in blister packs has profiled side-tabs
JP6326792B2 (en) Advertis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