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21Y1 - 설진기 - Google Patents

설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21Y1
KR200481621Y1 KR2020150001248U KR20150001248U KR200481621Y1 KR 200481621 Y1 KR200481621 Y1 KR 200481621Y1 KR 2020150001248 U KR2020150001248 U KR 2020150001248U KR 20150001248 U KR20150001248 U KR 20150001248U KR 200481621 Y1 KR200481621 Y1 KR 200481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angle
reflector
reflection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26U (ko
Inventor
편수범
이주호
Original Assignee
편수범
이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수범, 이주호 filed Critical 편수범
Priority to KR2020150001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2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설진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피검자의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반사부 및 상기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반사부와, 상기 피검자의 혀의 밑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진기{TONGUE DIAGNOSIS APPARATUS}
본 고안은 설진기(Tongue diagnosis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혀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 가능한 설진기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혀는 인체의 생리, 병리 상태를 반영하는 기관으로서 다른 인체 기관과 관련된 여러 생리 기능을 가지며 특히 설상(舌象)은 인체 내 각종 생리적, 병리적 변화를 객관적으로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한의학에서는 혀의 상태와 여러 특징 들의 진단에 있어 중요한 지표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즉 한의학에서 혀는 점막 상피가 얇고 투명하며, 혈관과 신경이 풍부하여 변화를 명확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체내의 각종 변화를 반영하는 매우 분명한 표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설상은 내장의 변화를 반영하는 창문의 역할을 한다고 하여 여러 가지 변증에서도 중요한 변증 지표로 삼고 있다.
혀를 진단할 때는 주로 진단자의 시각 정보에 근거하게 되는데, 혀의 색깔과 형태, 움직임, 설질과 설태 등을 주로 보게 되며, 특히 설태라 불리는 혓바닥에 이끼처럼 덮힌 물질은 그것의 색깔, 습윤 정도, 두께, 형태와 설태가 낀 범위 등을 통해 사기(邪氣)의 성질과 침입한 부위, 진액이 있고 없는 것을 가려볼 수 있다고 하여 설진에 중요한 진단요소로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진을 할 때에는 혀의 각 부위를 장부와 연결시켜 진단한다. 혀끝은 심폐(心肺), 혀 가운데는 비위(脾胃), 혀의 양쪽은 간담(肝膽), 혀의 뿌리 쪽은 신(腎)의 병리변화를 반영한다고 하여 각 부위별로 설태(舌苔, tongue coating)의 유무, 후박(厚薄), 부니(腐泥), 윤조(潤燥), 안색(顔色) 등을 먼저 보고, 그 후 설질(舌質, tongue substnace)의 색택(色澤), 영고(榮枯), 비수(肥瘦), 점자(点刺), 설하이맥(舌下二脈) 등을 보아 각 신체기관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여기에서 설질과 설태의 변화를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진(舌診)이라고 한다.
이러한 설진은 검사자의 육안검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사자의 주관이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카메라와 조명으로 사용되는 광원 등을 구비한 설진기를 이용하여 혀를 촬영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진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가 혀를 정면 방향으로 향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주로 촬영하는 혀의 정면(2)만을 촬영한다.
이러한 촬영 구조로 인해서 혀의 측면(4), 밑면(3)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따라서 혀를 전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하기 때문에 설진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즉 설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혀의 측면(4)을 촬영할 수 없기 때문의 혀의 색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없게 되고 또한 혀의 밑면(3)을 촬영할 수 없기 때문에 혀의 밑면(3)에 설자(혓바늘)가 나타났는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혀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혀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 가능한 설진기가 요구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5275호(등록일자: 2008년 10월 20일)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혀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 가능한 설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설진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피검자의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반사부 및 상기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반사부와, 상기 피검자의 혀의 밑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혀의 우측면에 대한 우측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우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우측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각도 조절부는 상기 우측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기준부재; 상기 우측 반사부와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우측 각도조절부재;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우측 각도조절부재의 나사산과 결합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우측 반사부에 결합되는 우측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우측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우측 각도조절부재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우측 반사부와 우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우측 반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혀의 좌측면에 대한 좌측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좌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좌측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각도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기준부재; 상기 우측 반사부와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좌측 각도조절부재;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좌측 각도조절부재의 나사산과 결합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좌측 반사부에 결합되는 좌측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측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좌측 각도조절부재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좌측 반사부와 좌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좌측 반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혀의 밑면에 대한 밑면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밑면반사각도를 조절하는 밑면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밑면 각도 조절부는 상기 밑면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밑면 기준부재; 중공을 가진 원기둥 형상이고 원기둥의 겉면(surface)이 상기 밑면 반사부와 밑면 기준부재와 접하는 편심추와, 상기 중공에 삽입 결합되는 밑면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밑면 반사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중심과 관심추의 중심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밑면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변하는 편심추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밑면 반사부와 밑면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설진기는 상기 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반사부와 상기 피검자의 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진기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검자의 혀의 정면, 상기 우측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우측면, 상기 좌측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좌측면 및 상기 밑면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반사부, 좌측 반사부 및 밑면 반사부는 거울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설진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피검자의 혀의 우측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카메라 및 혀의 좌측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카메라와, 상기 피검자의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상기 피검자의 혀의 정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면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에 따르면, 혀를 여러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의사 등과 같은 검사자가 피검자의 혀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정확한 설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혀의 설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반사부 및 간격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좌(우)측 반사부와 좌(우)측 각도 조절부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밑면 반사부와 밑면 각도 조절부 간 연결관계 및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반사부 및 간격 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좌(우)측 반사부와 좌(우)측 각도 조절부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밑면 반사부와 밑면 각도 조절부 간 연결관계 및 작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300)와,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혀의 우측면, 좌측면 및 밑면을 반사하는 반사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100)는 몸체부(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반사부(10) 및 상기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반사부(30)와 상기 혀의 밑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반사부(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우측 반사부(10)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고 상기 좌측 반사부(30)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고 상기 밑면 반사부(50)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혀의 좌측면을 반사한다.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0)의 전면판에 형성된 안면 고정부(310)를 통해서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판, 즉 전면판, 후면판, 상면판, 저면판,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이 결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 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몸체부(300)는 지지부(4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에 따르면, 반사부(100)에 의해서 반사되는 혀의 우측면, 좌측면 및 밑면뿐만 아니라 혀의 정면을 후술할 촬상부(320)에 의해서 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한의사 등과 같은 검사자는 촬영된 피검자의 혀의 우측면, 좌측면, 밑면 및 정면을 통해서 피검자의 혀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정확한 설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100)는 상기 혀의 우측면에 대한 우측 반사부(10)의 반사각도인 우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우측 각도 조절부, 상기 혀의 좌측면에 대한 좌측 반사부(30)의 반사각도인 좌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좌측 각도 조절부, 상기 혀의 밑면에 대한 밑면 반사부(50)의 반사각도인 밑면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밑면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각도 조절부, 좌측 각도 조절부, 밑면 각도 조절부의 조절을 통해서 상기 우측 반사 각도, 좌측 반사 각도, 밑면 반사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혀를 전체적으로 정확하고 세밀하게 설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우측 각도 조절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기준부재(13), 우측 각도조절부재(17) 및 우측 회전 부재(19)를 포함한다.
우측 기준부재(13)는 우측 반사부(10)와 힌지 결합된다. 즉 우측 반사부(10)는 우측 기준부재(13)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측 반사부(10)의 회전을 통해서 우측 반사 각도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우측 반사부(10)와 우측 기준부재(13)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암(14)(15)이 힌지축(힌지핀)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우측 반사부(10)는 힌지축(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우측 기준부재(13)와 결합된다. 이때 우측 반사부(10)는 상기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는 우측 반사부재(11)와, 상기 우측 반사부재(11)와 결합된 우측 반사부재 지지판(12)을 포함한다. 나아가 우측 반사부재(11)는 거울 또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사물을 반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우측 반사부재(11)로 이용될 수 있다.
우측 각도조절부재(17)는 우측 반사부(10), 더 정확하게는 우측 반사부재 지지판(12)에 겹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1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우측 회전 부재(19)는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 나사산(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18)이 우측 각도조절부재(17)의 나사산(16)과 결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우측 기준부재(13)에 결합된다. 즉 우측 회전 부재(19)는 우측 기준부재(1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일측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18)과 우측 각도조절부재(17)의 나사산(16)의 나사결합시 상기 우측 기준부재(13)에 형성된 홀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 회전 부재(19)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우측 각도조절부재(17)가 직선 이동되어 우측 반사부(13)와 우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우측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우측 회전 부재(19)의 타측은 몸체부(300)의 우측면판에 형성된 제1가이드 홈(330)까지 연장되고, 상기 우측 회전 부재(19)의 타측단에는 우측 각도 조절 머리부(20)가 형성된다. 우측 각도 조절 머리부(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우측 회전 부재(19)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우측 반사부(13)와 우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우측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좌측 각도 조절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기준부재(33), 우측 각도조절부재(37) 및 우측 회전 부재(39)를 포함한다.
좌측 기준부재(33)는 좌측 반사부(30)와 힌지 결합된다. 즉 좌측 반사부(10)는 좌측 기준부재(33)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측 반사부(30)의 회전을 통해서 좌측 반사 각도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좌측 반사부(30)와 좌측 기준부재(33)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암(34)(35)이 힌지축(힌지핀)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좌측 반사부(30)는 힌지축(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좌측 기준부재(33)와 결합된다. 이때 좌측 반사부(30)는 상기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는 좌측 반사부재(31)와, 상기 좌측 반사부재(31)와 결합된 좌측 반사부재 지지판(32)을 포함한다. 좌측 반사부재(31)는 거울 또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사물을 반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좌측 반사부재(31)로 이용될 수 있다.
좌측 각도조절부재(37)는 좌측 반사부(30), 더 정확하게는 좌측 반사부재 지지판(32)에 겹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3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좌측 회전 부재(39)는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 나사산(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38)이 좌측 각도조절부재(37)의 나사산(36)과 결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좌측 기준부재(33)에 결합된다. 즉 좌측 회전 부재(39)는 좌측 기준부재(33)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일측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38)과 좌측 각도조절부재(37)의 나사산(36)의 나사결합시 상기 좌측 기준부재(33)에 형성된 홀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회전 부재(39)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각도조절부재(37)가 직선 이동되어 좌측 반사부(30)와 좌측 기준부재(33) 간 각도인 좌측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좌측 회전 부재(39)의 타측은 몸체부(300)의 좌측면판에 형성된 제2가이드 홈(332)까지 연장되고, 상기 좌측 회전 부재(39)의 타측단에는 좌측 각도 조절 머리부(40)가 형성된다. 좌측 각도 조절 머리부(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측 회전 부재(39)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좌측 반사부(33)와 좌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좌측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이제 상기 혀의 밑면에 대한 밑면 반사부(50)의 반사각도인 밑면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밑면 각도 조절부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밑면 각도 조절부(6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 기준부재(61), 편심추(62)와 밑면 회전부재(63)를 포함한 밑면 반사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밑면 기준부재(61)는 밑면 반사부(50)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밑면 반사부(50)는 상기 혀의 밑면을 반사하는 밑면 반사부재(51), 상기 밑면 반사부재(51)와 결합된 밑면 반사부재 지지판(52)을 포함한다. 밑면 반사부재(51)는 거울 또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물을 반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밑면 반사부재(51)로 이용될 수 있다.
밑면 반사 각도 조절부의 편심추(62)는 중공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겉면(surface)이 상기 밑면 반사부재 지지판(52) 및 밑면 기준부재(61)과 접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추(62)이 중심과 편심추(62)에 형성된 중공은 상이하여, 편심추(62)에 중공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밑면 회전부재(63)는 상기 편심추(62)의 중공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밑면 회전부재(63)의 회전방향에 따라 변하는 편심추(62)의 높이에 따라 밑면 반사부(50)와 밑면 기준부재(61) 간 각도인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즉 편심추(62)의 높이 변화에 따라 밑면 반사부재(51)의 높이도 변화된다.
한편 밑면 회전부재(63)의 일측은 몸체부(300)의 우측면판에 형성된 제3가이드 홈(334)까지 연장되고, 상기 밑면 회전 부재(63)의 일측 끝단(오른쪽 끝단)에는 제1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4)가 형성된다. 제1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밑면 회전 부재(63)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밑면 반사부(50)와 밑면 기준부재(61) 간 각도인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밑면 회전부재(63)의 타측은 몸체부(300)의 좌측면판에 형성된 제4가이드 홈(336)까지 연장되고, 상기 밑면 회전 부재(63)의 타측 끝단(왼쪽 끝단)에는 제2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5)가 형성된다. 제2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5)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밑면 회전 부재(63)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밑면 반사부(50)와 밑면 기준부재(61) 간 각도인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된다.
즉 제1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4) 및 제2 밑면 각도 조절 머리부(65)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게 되면 밑면 회전 부재(63)도 회전하게 되어 밑면 반사부(50)와 밑면 기준부재(61)가 각도인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는 반사부(100)와 몸체부(3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피검자의 혀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부(200)를 포함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200)는 일단이 반사부(100)에 연결된 제1연결부재(210), 상기 제1연결부재(210)와 수직하게 상기 제1연결부재(210)의 타단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212), 제2연결부재(212)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에 각각 형성된 제1간격 조절 머리부(214) 및 제2 간격 조절 머리부(216)를 포함한다. 이때 제2연결부재(212)의 일측은 연장되어 제5가이드 홈(338)을 관통하고 이렇게 제5가이드 홈(338)을 관통한 제2연결부재(212)의 일측 끝단에는 제1간격 연결 조절 머리부(214)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212)의 타측은 연장되어 제6가이드 홈(340)을 관통하고 이렇게 제6가이드 홈(340)을 관통한 제2연결부재(212)의 타측 끝단에는 제2간격 연결 조절 머리부(21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간격 조절 머리부(214) 및 제2간격 조절 머리부(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간격 조절부(2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간격 조절 머리부(214) 및 제2간격 조절 머리부(216)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통해서 반사부(100)와 몸체부(3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피검자의 혀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때 제1간격 조절 머리부(214)의 이동경로는 제5가이드 홈(338)에 의해서 가이드 되고, 제2간격 조절 머리부(216)의 이동경로는 제6가이드 홈(340)에 의해서 가이드 된다.
이러한 간격 조절부(200)를 통해서 반사부(100)와 상기 피검자의 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반사부(100)를 통한 혀의 측면(우측면, 좌측면) 및 밑면의 반사부분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설진기는 몸체부(3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피검자의 혀의 정면, 상기 우측 반사부(10)에서 반사된 혀의 우측면, 상기 좌측 반사부(30)에서 반사된 혀의 좌측면 및 상기 밑면 반사부(50)에서 반사된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촬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부(320)는 피검자의 혀의 정면, 상기 우측 반사부(10)에서 반사된 혀의 우측면, 상기 좌측 반사부(30)에서 반사된 혀의 좌측면 및 상기 밑면 반사부(50)에서 반사된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320)는 상기 혀의 정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면 카메라(미도시), 상기 우측 반사부(10)에서 반사된 혀의 우측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카메라(미도시), 상기 좌측 반사부(30)에서 반사된 혀의 좌측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카메라(미도시), 상기 밑면 반사부(50)에서 반사된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카메라(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정면 카메라, 우측 카메라, 좌측 카메라 및 밑면 카메라는 모두 촬상부(320)가 형성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면 카메라는 혀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우측 카메라는 우측 반사부(1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좌측 카메라는 좌측 반사부(3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밑면 카메라는 밑면 반사부(5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정면 카메라는 촬상부(320)가 형성된 곳에 배치되고, 우측 카메라는 우측 반사부(10)를 설치하지 않고 우측 반사부(10)의 설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좌측 카메라는 좌측 반사부(30)를 설치하지 않고 좌측 반사부(30)의 설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밑면 카메라는 밑면 반사부(50)를 설치하지 않고 밑면 반사부(50)의 설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촬상부(320)에는 촬상부(320)에 구비된 카메라마다 카메라의 촬영각도에 맞게 혀의 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구비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피검자의 혀의 우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측 반사부 및 상기 혀의 좌측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측 반사부와, 상기 피검자의 혀의 밑면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밑면 반사부와, 상기 혀의 우측면에 대한 우측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우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우측 각도 조절부와, 상기 혀의 좌측면에 대한 좌측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좌측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좌측 각도 조절부와, 상기 혀의 밑면에 대한 밑면 반사부의 반사각도인 밑면반사각도를 조절하는 밑면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반사부와 상기 피검자의 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여서,
    피검자의 혀의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인 혀의 우측면, 좌측면 또는 밑면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되는 혀와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피검자의 혀 상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세밀하고도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도록 하는, 설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각도 조절부는
    상기 우측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기준부재;
    상기 우측 반사부와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우측 각도조절부재;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우측 각도조절부재의 나사산과 결합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우측 반사부에 결합되는 우측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우측 각도조절부재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우측 반사부와 우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우측 반사각도가 조절되는 설진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각도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기준부재;
    상기 우측 반사부와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좌측 각도조절부재; 및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좌측 각도조절부재의 나사산과 결합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좌측 반사부에 결합되는 좌측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좌측 각도조절부재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좌측 반사부와 좌측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좌측 반사각도가 조절되는 설진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면 각도 조절부는
    상기 밑면 반사부와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밑면 기준부재;
    중공을 가진 원기둥 형상이고 원기둥의 겉면(surface)이 상기 밑면 반사부와 밑면 기준부재와 접하는 편심추와, 상기 중공에 삽입 결합되는 밑면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밑면 반사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중심과 관심추의 중심이 상이하며,
    상기 밑면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변하는 편심추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밑면 반사부와 밑면 기준부재 간 각도인 상기 밑면 반사각도가 조절되는 설진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검자의 혀의 정면, 상기 우측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우측면, 상기 좌측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좌측면 및 상기 밑면 반사부에서 반사된 혀의 밑면을 촬영하는 촬상부를 더 포함하는 설진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반사부, 좌측 반사부 및 밑면 반사부는
    거울 또는 프리즘인 설진기.
  11. 삭제
  12. 삭제
KR2020150001248U 2015-02-26 2015-02-26 설진기 KR200481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8U KR200481621Y1 (ko) 2015-02-26 2015-02-26 설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48U KR200481621Y1 (ko) 2015-02-26 2015-02-26 설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26U KR20160003026U (ko) 2016-09-05
KR200481621Y1 true KR200481621Y1 (ko) 2016-10-21

Family

ID=5695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48U KR200481621Y1 (ko) 2015-02-26 2015-02-26 설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476B (zh) * 2016-10-28 2024-03-29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舌象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75B1 (ko) 2007-04-23 2008-10-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진 영상의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KR100971541B1 (ko) * 2008-09-02 2010-07-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영상 촬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26U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8062B2 (ja) 全眼の生体測定変数を確実に判定するための装置
CA259532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canning
US20150342460A1 (en) Imaging and visualization systems, instruments, and method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S2946253T3 (es) Aparato oftalmológico
CN104958061A (zh) 双目立体视觉三维成像的眼底oct成像方法及其系统
KR101787973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US9622656B2 (en) Ophthalmological apparatus, comparis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9427147B2 (en) Direction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s and methods
JP2021525578A (ja) 角膜の生体力学的反応の生体内測定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3961062B (zh) 光学断层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325101B (zh) 用于眼角膜的高分辨率地形图的方法和装置
KR200481621Y1 (ko) 설진기
US9737208B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thod and system
US85679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amining the eye fundus, especially the photoreceptors
CN110215183A (zh) 固视光学装置、眼科测量系统及成像方法
CN111671390A (zh) 一种小梁网络脉动参数提取方法
CN204909390U (zh) 基于双空间载频技术拓展oct成像深度的系统
CN107115096A (zh) 眼底光学成像系统
WO2010113459A1 (ja) 眼科観察装置
CN102599883A (zh) 用于早期病变检测的双频带光学相干层析成像系统
CN115944267A (zh) 一种眼科测量装置
JP2021191552A (ja) 眼科検査装置
JP2020195883A (ja) 眼科検査装置
TW201921023A (zh) 干涉物鏡模組和光學裝置,以及彼等的使用方法
WO2019133548A1 (en) Patterned beam analysis of the iridocorneal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