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46Y1 -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 Google Patents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46Y1
KR200481146Y1 KR2020160000581U KR20160000581U KR200481146Y1 KR 200481146 Y1 KR200481146 Y1 KR 200481146Y1 KR 2020160000581 U KR2020160000581 U KR 2020160000581U KR 20160000581 U KR20160000581 U KR 20160000581U KR 200481146 Y1 KR200481146 Y1 KR 200481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washing
main body
deterg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기철
Original Assignee
홍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철 filed Critical 홍기철
Priority to KR2020160000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4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4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02Shakers for dust-cloths or mops; Bump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대걸레의 헤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헤드가 거치되는 헤드 거치대를 구비하는 헤드 회전 지지부; 모터축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 하우징;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관;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으로 향하는 세척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수 밸브;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의 상부에 배치되되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타격되는 걸레 타격판;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세척에 사용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 배출관;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노즐과, 상기 세제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대와, 상기 노즐 지지대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지지대 구동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세제통을 구비하는 세제 공급부; 및 힌지에 의해 상기 세척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기 덮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et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ete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machine body having a washing space for forming a place where a mop part of a mache is cleaned by a centrifugal force; A head rotatable supporter provided in the cleaner space in the cleaner main body, the head rotatable supporter rotatably supporting the mop head;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connected to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motor shaft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rotating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 protective housing for protecting a motor area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A washing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in the dishwasher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sh water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A wash water valve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pipe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wash water toward the wash water supply pipe; A mopping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praying nozzle, wherein the mopping portion of the mop is struck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charging wastewater used for cleaning; A detergent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detergent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disposed in the cleaning space, a nozz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tergent spray nozzle, a support base driver for driving the nozzle suppo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detergent supply unit having a detergent dispenser dispos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And a washer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er body by a hinge.

Description

대걸레 세척기{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본 고안은,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대걸레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ete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achete cleaner which can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washing the machete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ejected from the nozzle, Which can be improved.

대걸레(mop)는 긴 막대 자루가 달린 걸레를 가리킨다. 즉 대걸레는 긴 막대 자루의 끝에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A mop refers to a mop with a long bar. That is, the mop has a structure in which a cloth or cloth mo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a long bar.

이러한 대걸레는 주로 바닥을 닦는 데 사용한다. 특히, 닦아야 할 공간이 많은 빌딩의 플로어나 로비 등의 바닥을 닦을 때, 대걸레가 많이 사용된다.These mops are mainly used to wipe the floor. In particular, mopping is often used when flooring of floors and lobbies such as buildings where there is much room to clean is wiped.

한편, 대걸레는 막대 자루를 잡고 천이나 헝겊으로 된 걸레를 바닥에 대고 밀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일반 걸레보다 청소효율이 높다.On the other hand, the mop does not need to bend because it grasps the rod of the rod and cleans the cloth or cloth rag by pushing it against the floor. Therefore, cleaning efficiency is higher than general mop.

하지만, 대걸레는 막대 자루가 달려 있기 때문에 걸레 부분을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막대 자루로부터 걸레 부분을 분리시키더라도 걸레 부분에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된 지지대가 있기 때문에 손쉽게 세척하기가 곤란하다.However, it is not easy to clean the mop part because the mop has a rod. Even if the mop part is separated from the bar sack, it is difficult to clean easily because there is a support made of plastic or metal in the mop part.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대걸레를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665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01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423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982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techniques for cleaning such mop-washing have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Office No. 10-2010-0066529,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019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42333, 20-2006-0023982, and the like.

하지만,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들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 대비 세척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cluding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 it is known that cleaning efficiency with respect to structure is not so high.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특허출원을 통해 새로운 타입의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지난번 등록 고안은 종전의 구조들에 비해 대걸레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실질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 예상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registered a technology for a new type of mop washing machine through the last patent application. The last registration design is intended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of the mop than to previous structures,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다만, 이번에는 지난번 등록 고안의 구조를 좀 더 개선하여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대걸레 세척기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However,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previous registration design is further improved, and the technique of the machete washing machine which can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cleaning the mop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66529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0-0066529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0191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0-009019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42333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2-004233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982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6-0023982

본 고안의 목적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대걸레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ete cleaner which can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washing the mop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will be.

상기 목적은, 원심력에 의해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대걸레의 헤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헤드가 거치되는 헤드 거치대를 구비하는 헤드 회전 지지부; 모터축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 하우징;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관;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으로 향하는 세척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수 밸브;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의 상부에 배치되되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타격되는 걸레 타격판;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세척에 사용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 배출관;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노즐과, 상기 세제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대와, 상기 노즐 지지대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지지대 구동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세제통을 구비하는 세제 공급부; 및 힌지에 의해 상기 세척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기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er main body having a washing space forming a place where a mop part of a mop is cleaned by a centrifugal force; A head rotatable supporter provided in the cleaner space in the cleaner main body, the head rotatable supporter rotatably supporting the mop head;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connected to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motor shaft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rotating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 protective housing for protecting a motor area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A washing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in the dishwasher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sh water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A wash water valve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pipe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wash water toward the wash water supply pipe; A mopping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praying nozzle, wherein the mopping portion of the mop is struck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charging wastewater used for cleaning; A detergent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detergent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disposed in the cleaning space, a nozz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tergent spray nozzle, a support base driver for driving the nozzle suppo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detergent supply unit having a detergent dispenser dispos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And a dishwasher rotatably coupled to the dishwasher body by a hinge.

상기 세척기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동용 휠; 상기 이동용 휠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하로 동작되면서 상기 세척기 본체의 위치 이동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스토퍼;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도어; 및 상기 세척기 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대걸레의 자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루 회전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oving wheel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washer main body to move the washer main body; A plurality of stoppers disposed around the moving wheel and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dishwasher main body while being operated up and down; A door that is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sher main body and discharges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washing space in the washer main body; And a bag rotation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dishwasher lid to rotatably support the sack of the mop.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수 밸브,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세제 공급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leaning the mop;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wash water valve,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컨트롤을 통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고 이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여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에 묻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컨트롤을 통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연속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세척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for washing the mop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rotates the head rotation support part through the motor control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by on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n by on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is continuously rotated through a motor control of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lean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water spray nozz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Can be controlled to be washed.

상기 보호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폐수 배출관 측이 낮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top surface of the protective housing may form a low inclined surface on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side.

본 고안에 따르면,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s well as the electronic mobility can be implement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대걸레 세척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대걸레 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세척기 덮개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1 and 2 are structural diagrams of a mash-up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machete washing machine, respectively.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mop washing machine.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ash-up was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asher lid area in Figure 11;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대걸레 세척기의 사용 상태도, 그리고 도 5는 대걸레 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FIGS. 1 and 2 are respectively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a state of use of the mop washing machine, and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mop washing machin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세척기 본체(110), 헤드 회전 지지부(1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걸레 타격판(160), 폐수 배출관(156), 그리고 세제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mop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by washing the mop 1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s,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20,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the mop striking plate 160,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156. [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70.

세척기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의 외관을 이룬다. 도면에는 세척기 본체(110)가 상부에 경사가 있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나 세척기 본체(11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각통 형상 등으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washer main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mop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washing machine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clination at the top, the shap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0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a rectangular tube shape or the lik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이러한 세척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이동용 휠(111)과 스토퍼(112)가 마련된다. 이동용 휠(111)은 세척기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스토퍼(112)는 상하로 동작되면서 세척기 본체(110)의 위치 이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처럼 다수의 이동용 휠(111)과 스토퍼(112)가 마련되면 비교적 무거운 대걸레 세척기(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바 대걸레 세척기(100)에 이동용 휠(111)과 스토퍼(112)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1 and a stopper 112 are provided under the washer main body 110. The moving wheel 111 serves to move the washer main body 110 and the stopper 112 serves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washer main body 110 while being operated up and down. If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111 and stoppers 112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relatively heavy mop washing machine 100 can be easily move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and therefore the moving wheel 111 and the stopper 112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pplied to the mop washing machine 100.

세척기 본체(110) 내에는 원심력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공간(11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세척공간(110a)에 헤드 회전 지지부(1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세제 공급부(170) 등의 구성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A washing space 110a is formed in the washer main body 110 to form a place where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cleaned by the centrifugal force. A portion of the head rotating support unit 120,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the detergent supply unit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cleaning space 110a.

세척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세척기 덮개(1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세척기 덮개(115)는 힌지(116)에 의해 세척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세척기 덮개(115)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세척 대상의 대걸레(1)의 세척이 완료된 대걸레(1)를 꺼내기가 용이해진다. 세척기 덮개(115)는 2개의 분할된 단위 덮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asher lid 11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er main body 110. At this time, the washer lid 115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er body 110 by the hinge 116. When the dishwasher lid 115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remove the mop 1 from which the cleaning mache 1 is to be cleaned. The washer lid 115 may be composed of two divided unit covers.

세척기 덮개(115)의 중앙 영역에는 대걸레(1)의 자루(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루 회전 지지부재(117)가 마련된다. 세척기 덮개(115)가 2개의 분할된 단위 덮개로 이루어지고, 세척기 덮개(115)의 중앙에 자루 회전 지지부재(117)가 마련되면, 우선 세척기 덮개(115)를 열어 대걸레(1)를 제자리에 배치하고, 이어 2개의 분할된 단위 덮개를 하나씩 조립하면서 자루 회전 지지부재(117)가 마치 베어링처럼 자루(4)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entral area of the washing machine lid 115, a bag rotation support member 117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ag 4 of the mache 1 is provided. When the washing machine cover 115 is composed of two divided unit covers and the washing machine support lid 117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ashing machine lid 115, the washing machine lid 115 is first opened to put the mache 1 in place And then, the two divided unit covers are assembled one by one, so that the bag rotating support member 117 can be rotatably supported while wrapping the bag 4 like a bearing.

헤드 회전 지지부(120)는 세척기 본체(110) 내의 세척공간(110a)에 마련되어 대걸레(1)의 헤드(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헤드 회전 지지부(120)는 일종의 회전판 구조일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 회전 지지부(12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rotation support part 120 is provided in the cleaning space 110a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rotatably support the head 3 of the mache 1. The head rotation support 120 may have a rotary plate structure. The head rotation support 12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헤드 회전 지지부(120)에는 대걸레(1)의 헤드(3)가 거치되는 헤드 거치대(121)가 마련된다. 헤드 거치대(121)는 고리 혹은 후크 타입으로 헤드 회전 지지부(120) 상에서 대걸레(1)가 회전될 때, 대걸레(1)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킬 수 있다.The head rotating base 120 is provided with a head base 121 on which the head 3 of the mache 1 is mounted. The head rest 121 can prevent any deviation of the mop 1 when the mop 1 is rotated on the head rotation support 120 in the form of a loop or a hook.

회전 구동부(130)는 헤드 회전 지지부(120)를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130)는 모터축(132)이 헤드 회전 지지부(120)에 연결되는 모터(131)와, 모터축(132)과 헤드 회전 지지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is means for rotating the head rotation support unit 120. [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includes a motor 131 to which the motor shaft 132 is connected to the head rotation support unit 120 and a connection unit 133 to connect the motor shaft 132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unit 120 .

한편, 모터(131)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모터(131)의 주변으로 모터(131)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하우징(140)이 마련된다. 이때, 보호 하우징(140)의 상면은 상기 폐수 배출관(156) 측이 낮은 경사면(141)을 형성한다. 따라서 걸레 부분(2)을 세척한 폐수는 보호 하우징(140)의 경사면(141)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후, 폐수 배출관(15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tective housing 140 for protecting the area of the motor 131 around the motor 131 is provided so that the motor 131 is not immersed in water.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using 140 forms a lower inclined surface 141 on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156 side. Therefore, the wastewater from which the mop part 2 is cleaned can flow naturally along 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protective housing 140, and the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세척수 공급관(150)은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예컨대 수돗물을 공급한다.The wash water supply pipe 150 supplies wash water for washing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such as tap water.

이러한 세척수 공급관(150)의 일부는 세척기 본체(110) 내의 세척공간(110a)에 배치되는데, 세척공간(110a)에 배치되는 세척수 공급관(150)에는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수 분사노즐(151)이 마련된다. 도 4처럼 세척수 분사노즐(151)들을 통해 세척수가 상향 분사됨으로써, 회전 중인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wash water supply pipe 150 is disposed in the wash space 110a in the washer main body 110. The wash water supply pipe 150 disposed in the wash space 110a is provided with a A plurality of wash water spray nozzles 151 for spraying wash water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4,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upward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s 151, so that the mop portion 2 of the rotating mop 1 can be cleanly cleaned.

세척기 본체(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세척수 공급관(150)에는 세척수 밸브(152)가 마련된다. 세척수 밸브(152)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개폐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A wash water valve 152 is provided in the wash water supply pipe 150 disposed outside the washer main body 110.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wash water valve 152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90.

세척수 분사에 의한 걸레 부분(2)의 세척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대걸레 타격판(160)이 마련된다.The mopping striking plate 160 is provided so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mop part 2 by the washing water injection can be enhanced.

걸레 타격판(160)은 세척수 분사노즐(15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에, 도 4처럼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회전 중인 상태에서 세척수 분사노즐(151)들을 통해 세척수가 상향 분사되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상부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그 상부에는 걸레 타격판(16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은 걸레 타격판(160)에 타격되면서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The mop striking plate 160 is disposed above the washing water spraying nozzle 151. 4,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upward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s 151 in the state where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rotating,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pressed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At this time, the mop striking plate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p, so that the mop part 2 of the mop 1 can be cleaned while striking the mop striking plate 160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hus,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very high.

폐수 배출관(156)은 세척기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세척에 사용된 폐수가 배출되는 장소를 이룬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폐수 배출관(156)에도 컨트롤러(19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는 개폐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sher main body 110, and is a place where wastewater used for washing is discharged. Although not shown, an open / close valve (not shown),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9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156.

폐수 배출관(156)의 반대편 세척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세척기 본체(110) 내의 세척공간(110a)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도어(157)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어(157)를 열고, 세척기 본체(110) 내의 세척공간(110a), 특히 바닥에 쌓인 모래 등의 이물질을 걷어낼 필요가 있다.A door 157 for discharging foreign materials accumulated in the cleaning space 110a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opposite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156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open the door (157) and remove foreign matter such as sand accumulated on the washing space (110a) in the washing machine body (110), especially the floor.

한편, 세척수만으로 대걸레(1)를 세척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를 사용해서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을 세척한다. 따라서 세척수만을 사용하는 것보다 세척효율이 뛰어나다. 이를 위해 세제 공급부(17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p 1 may be cleaned only by the washing water, but in this embodiment,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is cleaned using a detergent. Therefore, cleaning efficiency is superior to using only washing water. A detergent supply unit 170 is provided.

세제 공급부(170)는 세척공간(110a)에 배치되는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을 향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노즐(171)과, 세제 분사노즐(171)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대(172)와, 노즐 지지대(172)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지지대 구동부(173)와, 세척기 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세제통(174)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unit 170 includes a detergent dispensing nozzle 171 for spraying the detergent toward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disposed in the cleaning space 110a and a nozzle support 171 for supporting the detergent dispensing nozzle 171 A support table driving part 173 for driving the nozzle support table 172 forward and backward and a detergent container 174 disposed outside the cleaner main body 110. [

이러한 세제 공급부(170)의 지지대 구동부(173)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처럼 세제 분사노즐(171)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에 인접되어 세제를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arm driving portion 173 of the detergent supply portion 17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90. 3 and 4, the detergent spray nozzle 171 is adjacent to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to allow the detergent to drop.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100)에는 대걸레(1) 세척에 따른 전자동 진행을 위해 입력부(180)와 컨트롤러(190)가 더 갖춰진다.Meanwhile, the mower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80 and a controller 190 for fully automatic progression according to washing of the mower 1.

입력부(180)는 대걸레(1)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부(180)는 세척기 본체(110)의 외면에 버튼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리모콘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80 inputs a signal for cleaning the mop 1. The input unit 180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er main body 110 in the form of a button or may be provided in a remote control type.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수 밸브(152),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2,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part 170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part 180. [

즉 입력부(180)을 통해 대걸레(1)의 세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때, 본 실시예에서 따른 컨트롤러(190)는 회전 구동부(130)의 모터(131) 컨트롤을 통해 헤드 회전 지지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고 이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여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에 묻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후, 회전 구동부(130)의 모터(131) 컨트롤을 통해 헤드 회전 지지부(120)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연속 회전되도록 하면서 세척수 분사노즐(15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세척되도록 컨트롤한다. 물론, 세척수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세척되기 전, 컨트롤러(190)가 세제 공급부(170)를 컨트롤하여 세제가 미리 일정량만큼 투입되도록 한다.That is, when a signal for cleaning the mache 1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80, the controll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head rotation support unit 120 through the control of the motor 131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 So as to remove foreign matter such as sand from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and then to control the motor 131 of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So that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is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51 while the head rotation supporting portion 120 is continuously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f course, before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etergent supply part 170 so that the detergent is put in a predetermined amount beforehand.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performing such a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71 (CPU), a memory 17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7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수 밸브(152),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1 is connected to various computers that can be industrially appli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2,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unit 170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180 in this embodiment. Lt; / RTI > processors.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The memory 17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1. The memory 172 may b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OM, a floppy disk,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7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7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a support circuit 17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수 밸브(152),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0)가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수 밸브(152),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2,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part 170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part 180. [ At this time, a series of processes or the like in which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2,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170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180 is stored in the memory 172 .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memory 17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대걸레 세척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op-washing machine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3처럼 대걸레(1)를 설치하고, 입력부(180)를 터치하여 대걸레(1) 세척 신호를 발생시킨다.First, the mop 1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3, and a mop 1 washing signal is generated by touching the input unit 180.

그러면, 컨트롤러(190)는 우선, 회전 구동부(130)의 모터(131) 컨트롤을 통해 헤드 회전 지지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고 이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여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에 묻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Then, the controller 190 firstly rotates the head rotation support part 120 clockwis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motor 131 of the rotation drive part 130 and then makes on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mop part 1 (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그런 다음, 컨트롤러(190)는 세제 공급부(170)를 컨트롤하여 도 3처럼 걸레 부분(2)으로 세제가 미리 일정량만큼 투입되도록 한다.Then,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etergent supply unit 170 so that the detergent is put into the mop part 2 by a predetermined amount as shown in FIG.

세제의 투입이 완료되면, 컨트롤러(190)는 세척수 밸브(152)와 회전 구동부(130)를 컨트롤한다. 즉 세척수 밸브(152)를 개방하여 세척수 분사노즐(151)들을 통해 세척수가 상향 분사되도록 하는 한편, 회전 구동부(130)의 모터(131) 컨트롤을 통해 헤드 회전 지지부(120)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연속 회전되도록 한다.When the introduction of the detergent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washing water valve 152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130. The washing water valve 152 is open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be injected upward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s 151 while the head rotating support unit 120 is driven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controlling the motor 131 of the rotary driving unit 130 .

도 4처럼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회전 중인 상태에서 세척수 분사노즐(151)들을 통해 세척수가 상향 분사되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상부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그 상부에는 걸레 타격판(16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은 걸레 타격판(160)에 타격되면서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세척에 사용된 폐수는 폐수 배출관(15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4, 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upward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s 151 in the state where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rotating,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directed upward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At this time, the mop striking plate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pping plate 160, so that the mop part 2 of the mop 1 can be cleaned while being struck by the mop striking plate 160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hus,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very high. The wastewater used for cleaning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미리 세팅된 시간이 경과하면 장치의 동작이 오프(off)되며, 이후에 깨끗하게 세척된 대걸레(1)를 빼내면 된다.When the preset time elapses,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n the cleaned mops 1 are taken ou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The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제어블록도이다.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ash-up was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컨트롤러(290) 역시, 입력부(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수 밸브(152),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2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2,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part 170 based on the signal of the input part 180. [

이때, 컨트롤러(290)에는 대걸레 거치 감지부(295)가 연결된다. 대걸레 거치 감지부(295)는 대걸레(1, 도 3 참조)가 해당 위치에 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대걸레(1)가 거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류에 의해 세척수 밸브(152)가 온(on)되어 세척수가 분사되거나 회전 구동부(130) 및 세제 공급부(170)가 동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90 is connected to the sewing machine detection unit 295. The megalith rest position sensing unit 295 senses whether or not the mop (1, see Fig. 3) is moun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even though the mop 1 is not mounted, the washing water valve 152 is turned on due to an error, thereby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being sprayed or the rotation driving part 13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part 170 being operat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in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7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300) 역시, 세척기 본체(110), 헤드 회전 지지부(1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걸레 타격판(360), 폐수 배출관(156), 그리고 세제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machete clea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0, a head rotation support unit 120, a rotation drive unit 130, a wash water supply pipe 150, a mopping plate 360, A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70.

이와 같은 구조에서 걸레 타격판(360)에는 세척수 공급관(150)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타격 돌기(361)가 마련된다. 이러한 타격 돌기(361)들은 일률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는데,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밀리는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걸레 타격판(360)을 비롯하여 걸레 타격판(360)의 타격 돌기(361)들에 강하게 타격됨에 따라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structure, the mopping striking plate 3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iking projections 361 protruding towar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The impact protrusions 361 may have a uniform height and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which is pushed by the pressure of the wash water may contact the impact protrusion 360 of the mop impact plate 360 361),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doubl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in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8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400) 역시, 세척기 본체(110), 헤드 회전 지지부(1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걸레 타격판(460), 폐수 배출관(156), 그리고 세제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mop washing machin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washing machine body 110, a head rotating support unit 120, a rotation driving unit 130, a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a mop striking plate 460, A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70.

이와 같은 구조에서 걸레 타격판(460)에는 세척수 공급관(150)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타격 돌기(461,462)가 마련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타격 돌기(461,462)들은 일률적이지 않은 높낮이를 가질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mop striking plate 4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iking projections 461 and 462 protruding towar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At this time, the striking projections 461 and 462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non-uniform heigh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in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9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500) 역시, 세척기 본체(110), 헤드 회전 지지부(1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걸레 타격판(560), 폐수 배출관(156), 그리고 세제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machete washing machine 500 includes a washing machine main body 110, a head rotating support unit 120, a rotation driving unit 130, a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a mopping plate 560, A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70.

이와 같은 구조에서 걸레 타격판(560)에도 세척수 공급관(150)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타격 돌기(561)가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밀리는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걸레 타격판(560)을 비롯하여 걸레 타격판(560)의 타격 돌기(561)들에 강하게 타격됨에 따라 세척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structure, a plurality of striking projections 561 protruding towar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are also provided on the mop striking plate 560. As described above, the mop portion 2 of the mop 1, which is pushed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strongly struck against the striking projections 561 of the mop striking plate 560 including the mop striking plate 56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oubl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걸레 타격판(56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모듈(567)이 연결되고, 슬라이딩 모듈(567)은 레일(566)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슬라이딩 모듈(567)은 컨트롤러(190, 도 5 참조)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The sliding module 56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ake striking plate 560 and the sliding module 567 is slidably supported on the rail 566. In this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liding module 567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90 (see FIG. 5).

이처럼 걸레 타격판(560)이 상하 반복적으로 동작될 경우, 대걸레(1)의 걸레 부분(2)이 걸레 타격판(560)을 비롯하여 걸레 타격판(560)의 타격 돌기(561)들에 타격되는 위치와 강도가 달리지기 때문에 세척효율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When the mop striking plate 560 is vertically and repeatedly operated, the mop part 2 of the mop 1 is struck against the striking projections 561 of the mop striking plate 560 including the mop striking plate 560 It is expected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will be better because the position and strength are differen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in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다.10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약간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600)는 세척기 본체(610)와, 다수의 통공(621)이 형성되고 세척기 본체(610) 내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식 통돌이(620)와, 회전식 통돌이(620)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630)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has a slightly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mops washing machin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shing machine main body 610, a rotary pail 62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21 formed therein and rotated within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610, And a rotation driving unit 630 for rotationally driving.

회전식 통돌이(620)의 상부에는 세척수 분사노즐(651)이 형성되는 세척수 공급관(650)이 마련되며, 그 주변에는 세제 공급부(670)가 마련된다. 이때의 세제 공급부(670)에서는 세제 대신에 살균제, 향기제 등을 넣어도 무방하다.A washing water supply pipe 65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tary valve 620 to form a washing water spray nozzle 651 and a detergent supply unit 670 is provided aroun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650. In this case, the detergent supply unit 670 may be filled with a disinfectant, a perfume, etc. instead of the detergent.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식 통돌이(620) 내에서의 대걸레 세척은 회전식 통돌이(620)의 원심력과 물의 고압분사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p cleaning in the rotary channel 620 can be performed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rotary channel 620 and the high pressure jet of water.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도 11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의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세척기 덮개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 11 is a structural view of a mo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ashing machine cover area in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세척기(700) 역시, 세척기 본체(710), 헤드 회전 지지부(720), 회전 구동부(130), 세척수 공급관(150), 걸레 타격판(760), 폐수 배출관(156), 그리고 세제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mop washing machin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washing machine main body 710, a head rotation supporting portion 720, a rotation driving portion 130, a washing water supply pipe 150, a mop striking plate 760, A wastewater discharge pipe 156,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70.

이와 같은 구조에서 걸레 타격판(760)은 약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 회전 지지부(720) 역시, 대걸레가 배치되기 용이한 구조로 일부 변경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mop striking plate 760 may be slightly inclined,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ing portion 720 may also be partially modifi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mop can be easily disposed.

그리고 세척기 덮개(715)는 고정 부분(P1)과 개폐 부분(P2)으로 되어 있어서 손잡이(701)를 잡고 개폐 부분(P2)만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cover 715 is composed of the fixing part P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P2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P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holding the handle 701. [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압과 원심력을 이용해서 대걸레(1, 도 4 참조)를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자동화를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ashing the mop (1, Fig. 4) by using the water pressure and the centrifugal force injected from the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realizing the electrophoresis have.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대걸레 2 : 걸레 부분
3 : 헤드 4 : 자루
100 : 대걸레 세척기 110 : 세척기 본체
110a : 세척공간 111 : 이동용 휠
112 : 스토퍼 115 : 세척기 덮개
116 : 힌지 117 : 자루 회전 지지부재
120 : 헤드 회전 지지부 121 : 헤드 거치대
130 : 회전 구동부 131 : 모터
132 : 모터축 133 : 연결부
140 : 보호 하우징 141 : 경사면
150 : 세척수 공급관 151 : 세척수 분사노즐
152 : 세척수 밸브 156 : 폐수 배출관
157 : 도어 160 : 걸레 타격판
170 : 세제 공급부 171 : 세제 분사노즐
172 : 노즐 지지대 173 : 지지대 구동부
174 : 세제통 180 : 입력부
190 : 컨트롤러
1: mop 2: mop part
3: Head 4: Sack
100: Mops washing machine 110: Washer main body
110a: Cleaning space 111: Movable wheel
112: Stopper 115: Washer cover
116: hinge 117:
120: head rotating support part 121: head holder
130: rotation driving part 131: motor
132: motor shaft 133:
140: protective housing 141: sloped surface
150: wash water supply pipe 151: wash water spray nozzle
152: wash water valve 156: waste water discharge pipe
157: door 160: mop striking plate
170: Detergent supply part 171: Detergent spray nozzle
172: nozzle support 173:
174: detergent bottle 180: input part
190: controller

Claims (5)

원심력에 의해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세척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기 본체;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대걸레의 헤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상기 헤드가 거치되는 헤드 거치대를 구비하는 헤드 회전 지지부;
모터축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에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 하우징;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세척수 공급관;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으로 향하는 세척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세척수 밸브;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의 상부에 배치되되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타격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타격 돌기가 마련된 걸레 타격판;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세척에 사용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 배출관;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을 향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노즐과, 상기 세제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대와, 상기 노즐 지지대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지지대 구동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세제통을 구비하는 세제 공급부;
힌지에 의해 상기 세척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기 덮개; 및
상기 대걸레가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해당 위치에 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대걸레 거치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A washer main body having a washing space which forms a place where the mop part of the mop is cleaned by centrifugal force;
A head rotatable supporter provided in the cleaner space in the cleaner main body, the head rotatable supporter rotatably supporting the mop head;
A motor having a motor shaft connected to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motor shaft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rotating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A protective housing for protecting a motor area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A washing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in the dishwasher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sh water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A wash water valve connected to the wash water supply pipe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wash water toward the wash water supply pipe;
A mop striking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praying nozzle, wherein a mop portion of the mop is struck by a pressure of washing water sprayed, and a plurality of striking projections protruding toward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are provided;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discharging wastewater used for cleaning;
A detergent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detergent toward the mop portion of the mop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a nozzle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detergent dispense nozzle; a supporter driving portion for driving the nozzle supporter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detergent supply unit having a detergent dispenser dispos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A washer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er body by a hinge; And
A machete hold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ower is moun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main body of the washing machine;
Where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동용 휠;
상기 이동용 휠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하로 동작되면서 상기 세척기 본체의 위치 이동을 구속시키는 다수의 스토퍼;
상기 세척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세척기 본체 내의 세척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도어; 및
상기 세척기 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대걸레의 자루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루 회전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washer main body to move the washer main body;
A plurality of stoppers disposed around the moving wheel and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dishwasher main body while being operated up and down;
A door that is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sher main body and discharges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washing space in the washer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bag rotation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washer cove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mop of the m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수 밸브,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세제 공급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며 상기 대걸레 거치 감지부가 연결된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cleaning the mop;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wash water valve,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based on a signal of the input unit and connected to the machete fix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mash-up was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대걸레의 세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컨트롤을 통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고 이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하여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에 묻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 구동부의 모터 컨트롤을 통해 상기 헤드 회전 지지부가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연속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대걸레의 걸레 부분이 세척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ignal for washing the mop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rotates the head rotation support part through the motor control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by on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n by on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head rotation support portion is continuously rotated through a motor control of the rotation driving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leaning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water spray nozz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such as sand from the mop portion So as to be clea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폐수 배출관 측이 낮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using forms a lower inclined surface on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side.
KR2020160000581U 2016-02-01 2016-02-01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KR2004811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81U KR200481146Y1 (en) 2016-02-01 2016-02-01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81U KR200481146Y1 (en) 2016-02-01 2016-02-01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46Y1 true KR200481146Y1 (en) 2016-08-19

Family

ID=5685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81U KR200481146Y1 (en) 2016-02-01 2016-02-01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4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678A (en) * 2017-03-10 2017-07-04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cleaning device for air thrott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91A (en) * 1997-03-27 1998-10-06 Saami:Kk Mop cleaner
KR200268623Y1 (en) * 2001-11-29 2002-03-16 김충수 Washing machine only for cleaning a mop
KR200317872Y1 (en) * 2003-02-25 2003-06-28 김용덕 Push stick dustcloth washing machine
KR20060023982A (en) 2003-06-02 2006-03-15 신크론 컴퍼니 리미티드 Thin film forming device and thin film formming method
KR20100001717U (en) * 2008-08-07 2010-02-18 조규범 Cleaner system
KR20100066529A (en) 2007-09-11 2010-06-17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Metallic cylinder head gastket
KR20100090191A (en) 2009-02-05 2010-08-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reation of assembly data
KR20120042333A (en) 2010-10-25 2012-05-03 박용한 The wheel chair where the use is conveni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91A (en) * 1997-03-27 1998-10-06 Saami:Kk Mop cleaner
KR200268623Y1 (en) * 2001-11-29 2002-03-16 김충수 Washing machine only for cleaning a mop
KR200317872Y1 (en) * 2003-02-25 2003-06-28 김용덕 Push stick dustcloth washing machine
KR20060023982A (en) 2003-06-02 2006-03-15 신크론 컴퍼니 리미티드 Thin film forming device and thin film formming method
KR20100066529A (en) 2007-09-11 2010-06-17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Metallic cylinder head gastket
KR20100001717U (en) * 2008-08-07 2010-02-18 조규범 Cleaner system
KR20100090191A (en) 2009-02-05 2010-08-1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reation of assembly data
KR20120042333A (en) 2010-10-25 2012-05-03 박용한 The wheel chair where the use is conveni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7678A (en) * 2017-03-10 2017-07-04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cleaning device for air thro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5608B (en) Washing arm and dish washer equipped it
KR940006564B1 (en) Tableware cleaner
US8578950B2 (en) Dishwasher with a device for dissolving detergent
KR200484598Y1 (en)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KR102359482B1 (en) Ultrasonic dishwasher
KR200481146Y1 (en) Washing and drying device for a mop
CN203693527U (en) Lockable water tank type cleaning machine box
CN104287679A (en) Water tank type cleaning machine box capable of being locked
JP2002065570A (en) Drawer type dishwasher
CN106676827A (en) Anti-scaling pulsator washing machine
KR100767891B1 (en) Dish washer
JP2004097905A (en) Washing device for chair
JP2010142326A (en) Dishwasher
KR200494450Y1 (en) Washing for a mop
JP2743791B2 (en) Cleaning equipment
KR100701168B1 (en) Apparatus for spraying water in a dishwasher
JP4249991B2 (en) Nozzle and nozzle attachment
JP2007325789A (en) Dishwasher
JP7132018B2 (en) Dishwasher
JP2005342389A (en) Dishwasher
KR100274674B1 (en) Cleaner melting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JPH0616588Y2 (en) Dishwasher
JP2573648Y2 (en) Dishwasher
KR20100011042U (en) Dishwasher having the Function of Automatic Dish Discharging
CN207575117U (en) The cover-opening structure of water tank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