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81Y1 - 침대용 온열보료 - Google Patents

침대용 온열보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81Y1
KR200480781Y1 KR2020140005149U KR20140005149U KR200480781Y1 KR 200480781 Y1 KR200480781 Y1 KR 200480781Y1 KR 2020140005149 U KR2020140005149 U KR 2020140005149U KR 20140005149 U KR20140005149 U KR 20140005149U KR 200480781 Y1 KR200480781 Y1 KR 200480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layer
heat
butt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188U (ko
Inventor
최은숙
Original Assignee
최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숙 filed Critical 최은숙
Priority to KR2020140005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8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음이온을 항상 발생할 수 있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침대용 온열보료{ELECTRICAL MATTRESS FOR BED}
본 고안은 침대용 온열보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음이온을 항상 발생할 수 있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다량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침대용 온열보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알려진 침대용 온열 매트릭스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78864호(공고일자 ; 2002년 06월 2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78864호에 개시되어 있는 침대용 온열 매트릭스는 침대용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피링체 커버 위에 전열매트를 안치시켜 전열 매트리스 커버로 일체화시킨 침대용 전열매트리스에 있어서, 카본직조 전열매트의 표면에 비닐시트를 덮도록 안치시켜 전열매트 테두리 부분과 고주파 융착되도록 하고, 전열매트 표면과 비닐시트는 상호 공기층을 이루도록 공간을 두고 융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침대용 온열 매트릭스는 침대를 일반 온돌과 같이 기능하도록 하여 노인 등이 침대를 사용하여도 보온성을 유지 가능토록 하고, 아울러서 침대를 이루는 전열매트의 표면에 공기층을 제공 가능한 비닐시트를 부가시켜 공기층을 통하여 일정한 온도의 공기가 대류 작용토록 하여 국부적인 냉각을 예방하여 온돌과 같은 효과를 제공 가능하고, 또한 필요시 고무판을 바닥에 일체화시켜 매트의 이동을 막아주므로 고무밴드를 사용한 전열 매트리스 커버에 결합 고정 사용 가능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도모하고, 필요시 분리하여 침대가 아닌 방바닥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침대용 온열 매트릭스는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없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없고,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없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없음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없어 활력을 증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다량방사할 수 없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없으며, 노화를 방지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음이온을 항상 발생할 수 있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을 다량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침대용 온열보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침대용 온열보료는 직사각형 형상의 합판재와, 상기 합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택커로 금속핀을 박아서 고정된 각체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합판재 상에 배설되어 열의 누출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층과; 상기 단열공간층 상에 배설되어 체중을 분산함과 동시에, 열을 보존하도록 양털 또는 솜을 압축시킨 펠트층과; 상기 펠트층의 상부에 배설되며, 제1 상부 부직포층과 제1 하부 부직포층 사이에 배설된 무자게 열선에 전원의 인가시에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 방사함과 동시에, 자기장을 감쇠시키는 방열판층과; 상기 방열판층의 상부에 배설되며, 전자파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흑연 또는 탄소로 나염처리된 전자파 바이패스층과; 혈액을 정화뿐 아니라 통증을 완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정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을 하도록 상기 전자파 차폐층의 상부에 배설되어 상기 방열판층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실내에 항상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방사층과; 습도 조절, 냄새 제거, 진통, 해열, 해독, 공해물질을 흡수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참숯판층과; 전원이 인가시에 상기 참숯판층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상부 부직포층과 제2 하부 부직포층 사이에 투입된 원적외선 방사체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층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암 스냅단추에 결합되도록 숫 스냅단추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상부커버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보온하는 단열 스펀지층과; 단열 스펀지층을 덮는 보료원단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에 의하면,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음이온을 항상 발생할 수 있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다량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부 커버를 제외한 후의 침대용 온열보료의 적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에 적용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에 적용되는 방열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 부직포층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방열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에 적용되는 제어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는 직사각형 형상의 합판재(10a ;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를 사용할 수도 있다)와, 상기 합판재(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택커(Tacker)로 금속핀(예를 들면 U자 형상의 압정 핀 또는 금속핀)을 박아서 고정된 각체(10b ; 또는 사각봉이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합판재(10a) 상에 배설되어 열의 누출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층(20)과; 상기 단열공간층(20) 상에 배설되어 체중을 분산함과 동시에, 열을 보존하도록 양털 또는 솜을 압축시킨 펠트층(30)과; 상기 펠트층(30)의 상부에 배설되며, 제1 상부 부직포층(40a)과 제1 하부 부직포층(40b) 사이에 배설된 무자계 열선(40c)에 전원의 인가시에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 방사함과 동시에, 자기파를 감쇠시키는 방열판층(40)과; 상기 방열판층(40)의 상부에 배설되며, 전자파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흑연 또는 탄소로 나염처리된 전자파 차폐층(50)과; 혈액을 정화뿐 아니라 통증을 완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정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을 하도록 상기 전자파 차폐층(50)의 상부에 배설되어 상기 방열판층(4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실내에 항상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방사층(60)과; 습도 조절, 냄새 제거, 진통, 해열, 해독, 공해물질을 흡수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참숯판층(70)과; 전원이 인가시에 상기 참숯판층(70)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상부 부직포층(80a)과 제2 하부 부직포층(80b) 사이에 투입된 원적외선 방사체(80c)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층(80)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8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암 스냅단추(81)에 결합되도록 숫 스냅단추(91)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상부커버(90)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00)와; 상기 프레임(10)의 외주면을 보온하는 단열 스펀지층(110)과; 단열 스펀지층(110)을 덮는 보료원단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열판층(40)은 콘넥터(42)의 접속단자(a)에 일측이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이 접속단자(f)에 각각 접속되는 무자계 전열선(40c)과;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각각 개방되는 한쌍의 바이메탈(43)과; 일측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b)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e)에 접속되며,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서 방사되는 열을 검출하여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e)를 통해서 상기 제어유니트(100)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센서(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80)의 제2 상부 부직포층(80a)과 제2 하부 부직포층(80b) 사이에 투입된 원적외선 방사체(80c)는 황토볼, 세라믹판 또는 생흙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니트(100)는 전원의 입력 및 출력을 단속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101)와; 상기 전원스위치(101)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상기 방열판층(40)의 방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102)과;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을 1회 누를 때마다 1℃ 내지 5℃씩 증가하고, 온도감소버튼(102b)을 1회 누를 때마다 온도가 1℃ 내지 5℃씩 감소하며, 설정된 온도보다 현재의 온도가 낮으면, 온열작동 중임을 표시하도록 발광되는 제2 발광다이오드(LED2)와;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 또는 온도감소버튼(102b)을 작동시켰을 경우 설정된 온도보다 현재의 온도가 높으면 온열정지 중임을 각각 표시하도록 소등되는 제3 발광다이오드(LED3)와;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안전모드 설정버튼(103)을 1회 누르면 가열온도가 30℃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하는 제4 발광다이오드(LED4)와; 외출시에 예약버튼(104)을 1회 누르면 예약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온도로 전원스위치(101)를 스위칭 온하여 30℃로 가열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5 발광다이오드(LED5)와; 상기 방열판층(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과열되었을 경우, 경보를 표시하도록 발광되는 제6 발광다이오드(LED6)와;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방열판층(40)의 현재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하는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는 제어유니트(100)의 전원스위치(101)가 타이머를 겸비한 마그네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원스위치(101)를 스위칭 온한 후에 120분이 경과되면, 전원스위치(101)가 스위칭 오프되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c는 상기 콘넥터(42)의 접지리드선에 접속되는 접지단자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어유니트(100)는 싱글 난방(1난방)일 경우는 1셋트의 제어유니트(100)를 사용하고, 더블 난방(2난방)일 경우는 동일한 구성의 제어유니트(100)를 2셋트 사용하는 것이고, 방열판층(40)의 구조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상기 방열판층(40)의 구조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있다.
본 고안의 침대용 온열보료의 설명에 있어서 더블 난방(2난방)일 경우를 예로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싱글 난방(1난방)일 경우에는 1셋트의 제어유니트(100)를 사용하면 된다.
먼저, 제어유니트(100)의 전원스위치(101)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제1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하여 방열판층(40)에 각각 설치된 콘넥터(42)의 접속단자(a : + 전원라인), 상기 방열판층(40)의 무자계 열선(40c) 및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f ; - 전원라인)가 도통되어 상기 방열판층(40)의 무자계 열선(40c)을 통해서 접지로 흐르게 되며, 이때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와 온도감소버튼(102b)을 각각 눌러서 방열판층(40)의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를 설정하면,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방열판층(40)의 방열온도, 현재 온도 및 시간을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에 표시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유니트(100)의 전원스위치(101)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a : + 전원라인)를 통해서 방열판층(40)의 무자계 열선(40c)에 전원이 각각 인가되고 있음을 각각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f ; - 전원라인)를 통해서 접지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과 온도감소버튼(102b)을 각 눌러서 방열판층(40)의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를 설정하면,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상기 방열판층(40)의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가 설정되었음을 제3 발광다이오드(LED3)가 발광하여 상기 방열판층(40)의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에 상기 방열판층(40)의 방열온도, 현재 온도 및 시간을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방열판층(40)의 무자계 열선(40c)에서 열이 발생하여 상기 방열판층(40)에서 열을 방사하기 시작한다.
상기 방열판층(40)에서 열이 방사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파는 전자파 차폐층(50)의 일측면이 흑연 또는 탄소로 나염처리되어 있으므로, 흑연막 또는 탄소막(부호 표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접지로 바이패스되고, 상기 방열판층(40)에서 방사되는 열은 음이온 방사층(60)을 통해서 참숯판층(70)에 전달된다. 상기 음이온 방사층(60)은 전원의 인가와 상관없이 항상 음이온을 방사한다.
상기 참숯판층(70)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고, 냄새를 제거하면서 진통, 해열, 해독, 공해물질을 흡수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참숯판층(70)을 통해서 원적외선 방사층(80)에 전달되는 열은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80)의 제2 상부 부직포층(80a)과 제2 하부 부직포층(80b) 사이에 투입되는 황토볼, 세라믹판 또는 생흙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적외선 방사체(80c)로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80c)는 상기 방열판층(4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함에 따라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또한, 안전모드 설정버튼(103)을 누르면, 제4 발광다이오드(LED4)가 발광하여 안전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하고, 상기 방열판층(40)의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가 30℃로 설정됨에 따라 가열온도 또는 방열온도가 30℃로 유지되고, 안전모드를 해제하려면 상기 안전모드 설정버튼(103)을 다시 한번 누르면 되고, 외출시에는 예약버튼(104)을 누르면 상기 예약버튼(104)이 타이머 설정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약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층(40)의 하부에는 양털 또는 솜을 압축시킨 펠트층(30)이 배설되어 있어 상기 방열판층(40)에서 방열되는 온도를 보온함과 동시에, 상기 펠트층(30)의 하부에는 단열공간층(20)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열판층(40)에서 방열되는 열이 프레임(10)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하게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는 한쌍의 바이메탈(43)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각각 개방되므로 화재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 인접되게 온도검출센서(4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도검출센서(44)의 일측은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b)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e)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서 방사되는 열이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유니트(100)의 전원스위치(101)가 타이머를 겸비한 마그네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전원스위치(101)를 오프시켜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스위치(101)를 스위칭 온한 후에 120분이 경과되면, 전원스위치(101)가 스위칭 오프되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온열보료는 상기 프레임(10)의 외주면에 단열 스펀지층(110)에 의해 덮여 있어 온도를 보온하고, 상기 단열 스펀지층(110)에는 보료원단층(120)이 덮고 있으므로, 미관상 더욱 우아하고 미려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온열요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함과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며, 숙면을 취할 수 있고, 전열판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음이온을 항상 발생할 수 있어 피로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a : 합판재 10b : 각체
10 : 프레임 20 : 단열공간층
30 : 펠트층 40 : 방열판층
40a : 제1 상부 부직포층 40b : 제1 하부 부직포
40c : 무자게 열선 42 : 콘넥터
43 : 바이메탈 44 : 온도검출센서
50 : 전자파 차폐층 60: 음이온 방사층
70 : 참숯판층 80 : 원적외선 방사층
80a : 제2 상부 부직포층 80b : 제2 하부 부직포층
81 : 암 스냅단추 90 : 상부커버
91 : 숫 스냅단추 100 : 제어유니트
101 : 전원스위치 102 : 온도설정수단
102a : 온도증가버튼 102b : 온도감소버튼
103 : 안전모드 설정버튼 104 : 예약버튼
105 : 온도/시간 표시수단 110 : 단열 스펀지층
120 : 보료원단층

Claims (3)

  1. 삭제
  2. 직사각형 형상의 합판재(10a)와, 상기 합판재(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택커로 금속핀을 박아서 고정된 각체(10b)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합판재(10a) 상에 배설되어 열의 누출을 차단하는 단열공간층(20)과; 상기 단열공간층(20) 상에 배설되어 체중을 분산함과 동시에, 열을 보존하도록 양털 또는 솜을 압축시킨 펠트층(30)과; 상기 펠트층(30)의 상부에 배설되며, 제1 상부 부직포층(40a)과 제1 하부 부직포(40b) 사이에 배설된 무자계 열선(40c)에 전원의 인가시에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 방사함과 동시에, 자기파을 감쇠시키는 방열판층(40)과; 상기 방열판층(40)의 상부에 배설되며, 전자파를 접지로 바이패스하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흑연 또는 탄소로 나염처리된 전자파 차폐층(50)과; 혈액을 정화뿐 아니라 통증을 완화시키고, 실내공기의 정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을 하도록 상기 전자파 차폐층(50)의 상부에 배설되어 상기 방열판층(4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실내에 항상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 방사층(60)과; 습도 조절, 냄새 제거, 진통, 해열, 해독, 공해물질을 흡수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참숯판층(70)과; 전원의 인가시에 상기 참숯판층(70)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2 상부 부직포층(80a)과 제2 하부 부직포층(80b) 사이에 투입된 원적외선 방사체(80c)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층(80)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8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암 스냅단추(81)에 결합되도록 숫 스냅단추(91)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설치된 상부커버(90)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00)와; 상기 프레임(10)의 외주면을 보온하는 단열 스펀지층(100)과; 상기 단열 스펀지층(100)을 덮는 보료 원단층(110);을 포함하는 침대용 온열보료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층(40)은 콘넥터(42)의 접속단자(a)에 일측이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이 접속단자(f)에 각각 접속되는 무자계 전열선(40c)과;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각각 개방되는 한쌍의 바이메탈(43)과; 일측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b)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e)에 접속되며,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무자계 전열선(40c)에서 방사되는 열을 검출하여 상기 콘넥터(42)의 접속단자(e)를 통해서 상기 제어유니트(100)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센서(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100)는 전원의 입력 및 출력을 단속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101)와; 상기 전원스위치(101)를 일정시간 동안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상기 방열판층(40)의 방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수단(102)과;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을 1회 누를 때마다 1℃ 내지 5℃씩 증가하고, 온도감소버튼(102b)을 1회 누를 때마다 온도가 1℃ 내지 5℃씩 감소하며, 설정된 온도보다 현재의 온도가 낮으면, 온열작동 중임을 표시하도록 발광되는 제2 발광다이오드(LED2)와;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의 온도증가버튼(102a) 또는 온도감소버튼(102b)을 작동시켰을 경우 설정된 온도보다 현재의 온도가 높으면 온열정지 중임을 각각 표시하도록 소등되는 제3 발광다이오드(LED3)와;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안전모드 설정버튼(103)을 1회 누르면 가열온도가 30℃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하는 제4 발광다이오드(LED4)와; 외출시에 예약버튼(104)을 1회 누르면 예약된 시간에 미리 설정된 온도로 전원스위치(101)를 스위칭 온하여 30℃로 가열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5 발광다이오드(LED5)와; 상기 방열판층(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과열되었을 경우, 경보를 표시하도록 발광되는 제6 발광다이오드(LED6)와; 상기 온도설정수단(102)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방열판층(40)의 현재 온도 및 시간을 표시하는 온도/시간 표시수단(10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온열보료.
KR2020140005149U 2014-07-09 2014-07-09 침대용 온열보료 KR200480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49U KR200480781Y1 (ko) 2014-07-09 2014-07-09 침대용 온열보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49U KR200480781Y1 (ko) 2014-07-09 2014-07-09 침대용 온열보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88U KR20160000188U (ko) 2016-01-19
KR200480781Y1 true KR200480781Y1 (ko) 2016-07-06

Family

ID=5531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149U KR200480781Y1 (ko) 2014-07-09 2014-07-09 침대용 온열보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8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07Y1 (ko) * 2001-12-27 2002-03-28 손상호 커버 시트가 구비된 옥매트
KR101032109B1 (ko) * 2011-03-03 2011-05-03 이종남 온열 보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07Y1 (ko) * 2001-12-27 2002-03-28 손상호 커버 시트가 구비된 옥매트
KR101032109B1 (ko) * 2011-03-03 2011-05-03 이종남 온열 보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88U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89350A1 (en) Radiant therapeutic heater
KR101610307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US10369043B2 (en) Multi-layer heating mat for providing therapeutic heat to an area of the body
KR19980075911A (ko) 돌침대
KR101334674B1 (ko) 침대용 온열보료
KR20200029728A (ko) 황토침대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101244750B1 (ko) 온돌 침대용 구들 보료
KR101517952B1 (ko) 침대용 온열보료
KR200480781Y1 (ko) 침대용 온열보료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0480053Y1 (ko) 웰빙 난방의자
KR200455595Y1 (ko) 목재 침대
KR101994182B1 (ko) 쿠션이 있는 온돌용 바닥재
KR20110113712A (ko) 아로마테라피 겸용 발열체
KR101454212B1 (ko) 침대용 온열보료
KR102144915B1 (ko) 세라믹 에어 쿠션 온열전기 매트
KR200320968Y1 (ko) 온열매트
KR200414838Y1 (ko)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침대보료
KR101788568B1 (ko) 온열 매트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KR200476458Y1 (ko) 친환경 침대용 온열보료
KR101826079B1 (ko) 돌침대용 온열 구들 보료
KR101964239B1 (ko) 침대용 온열 스프링 매트리스
KR200226596Y1 (ko) 원적외선 방사 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