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52Y1 -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52Y1
KR200480552Y1 KR2020160001310U KR20160001310U KR200480552Y1 KR 200480552 Y1 KR200480552 Y1 KR 200480552Y1 KR 2020160001310 U KR2020160001310 U KR 2020160001310U KR 20160001310 U KR20160001310 U KR 20160001310U KR 200480552 Y1 KR200480552 Y1 KR 200480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ckrest
horizontal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준
Original Assignee
김흥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준 filed Critical 김흥준
Priority to KR2020160001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6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push 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를 소형화시키면서도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와 유모차의 단가 하락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유아로 하여금 사용상의 편리함 및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유아로 하여금 성장에 따라 안장 및 등받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유아의 성장에 따라 유모차의 교체없이 간편하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유모차로의 사용은 물론, 유아용 식탁의자(하이체어)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stroller can use a dining table chair}
본 고안은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구성함에 있어 그 크기를 축소시키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그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게 하며, 특히 유모차를 사용함에 있어 성장기 유아가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등 유모차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이동수단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모차 또는 베이비카라고 부르지만 유럽에서는 퍼앰뷸레이터(perambulator) 또는 프램(pram)이라고 하여, 한국에서 말하는 유모차와는 구별된다. 유모차에 해당하는 것은 푸시체어(push chair) 또는 폴더(folder)라고 불린다. 유럽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보통 베이비 캐리지(baby carriage)라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모차는 먼저 유모차의 기초를 이루는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프레임에는 유아를 앉힐수 있는 안장이 구성되며, 프레임의 하단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상단에는 부모가 유모차를 밀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모차에 대하여 유아의 편안함과 부모의 운행 용이함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대표적으로 유아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거나, 손잡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인바, 이에 따른 유모차의 단가 상승을 가져오면서도 그 부피가 상당하여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모차의 크기가 제한된 것인바, 유아의 사용 연령에 따라 교체 사용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대한민국특허공개특허공보 제10-1983-000997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7637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유모차를 소형화시키면서도 구조적인 간소화를 가져와 유모차의 단가 하락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유아로 하여금 사용상의 편리함 및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유아로 하여금 성장에 따라 안장 및 등받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유아의 성장에 따라 유모차의 교체없이 간편하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모차로의 사용은 물론, 유아용 식탁의자(하이체어)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유모차에 있어서, 하부의 수평대와 수평대의 선단에서 후방을 향하게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대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지지대로 구성하되, 양측 지지대는 수평대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와 경사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발판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수평대 전,후방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되고, 각각의 경사대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프레임체; 각각 안장 결합관이 형성되어 각각의 경사대를 감싸며 결합 및 경사대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양측 한 쌍의 팔걸이부와, 양측 팔걸이부의 하부를 연결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좌판으로 된 안장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탁자 연결대를 통해 팔걸이부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함몰형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의 중앙에는 파라솔꽂이가 형성된 탁자; 및 각각 축설부를 갖는 등받이 결합관이 각각의 경사대를 감싸며 결합 및 경사대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고, 양측 축설부에는 등받이판이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는, 유모차의 크기가 현격히 축소되면서도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한 제작이 가능하여 유모차의 단가 하락과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탁자에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유아로 하여금 유모차 탑승시 편리함과 즐거움을 더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따라 안장부 및 등받이부의 높낮이 조절 및 탁자의 간격 조절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유아로 하여금 적절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유모차의 교체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을 가져오면서도 유아의 성장기에 따라 편안한 탑승감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등 유모차의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을 위한 바퀴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소형화의 이점을 살려 실내에서의 사용은 물론, 필요에 따라 실외에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이 또한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는 식탁을 제거시 유아용 식탁의자(하이체어)로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바퀴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가이드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안장부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탁자 요부도.
도 8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식탁의자로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탁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등받이부 요부도.
도 11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등받이판 요부도.
도 12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1)는, 프레임체(100)와, 안장부(200)와, 탁자(300)와 등받이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체(100)는, 본 고안 유모차(1)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먼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지지대(110)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110)는, 하부 구조를 이루면서 수평 형성된 수평대(111)와, 상기 수평대(111)의 선단으로부터 상부 후방을 향하게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대(112)로 된 "∠"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양측 지지대(110)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양측 지지대(110)의 수평대(111)가 수평 연결대(111a)를 통해 연결되고, 경사대(112) 하부가 발판(12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대(111) 전,후방 하부에는 바퀴(13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퀴(130)를 구성하기 위해 본 고안 유모차(1)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지지대(110)의 각각의 수평대(111)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하부 개방형 바퀴 결합관(15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바퀴 결합관(150)의 측면에는 버튼 장착부(151)가 돌출 형성되고, 그 버튼 장착부(151)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바퀴 이탈버튼(152)이 형성되며, 바퀴 이탈버튼(152)은 바퀴 장착부(151)의 내측에 가이드공(153)이 형성 및 그 가이드공(153) 내측에 스프링(S)이 탄설되어 전,후 탄발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그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바퀴 결합관(150)에 형성되는 걸림공(150a) 내측으로 출몰되는 바퀴 이탈돌기(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바퀴(1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실내용 바퀴(130a)와 실내용 바퀴(130a)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실외용 바퀴(130b)가 실내용 바퀴(130a)보다 크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각각의 실내용 바퀴(130a) 및 실외용 바퀴(130b)의 상부에는, 상기 바퀴 결합관(150)에 삽입 가능하도록 바퀴 샤프트(131)가 돌출 형성되며, 바퀴 샤프트(131)의 둘레에는 바퀴 결합관(150)에 삽입시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공(153)에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 탄력에 의해 항시 돌출력을 가지는 볼플렌저(132)가 형성된다.
즉, 바퀴(130)는, 실내용 바퀴(130a)와 실외용 바퀴(130b)로 구분된 것인바, 실내에서 유모차(1)를 사용시에는 실내용 바퀴(130a)를 바퀴 결합관(150)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실외에서 유모차(1)를 사용시에는 실외용 바퀴(130b)를 바퀴 결합관(15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이러한 바퀴(130)의 결합은, 각각의 실내용 바퀴(130a)와 실외용 바퀴(130b)에 형성된 바퀴 샤프트(131)를 바퀴 결합관(150)에 삽입 결합하되, 바퀴 샤프트(131)가 결합시 볼플렌저(132)가 걸림공(150a)에 탄력 걸림되어 결합력이 부여되며, 탈거시에는 바퀴 이탈버튼(152)를 눌러 바퀴 이탈돌기(152a)를 인출 및 볼플렌저(132)를 걸림공(150a)으로부터 이탈시켜 탈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대(112) 상단에는 "T"자 형태로 손잡이(140)가 형성되어 부모 등이 파지 및 유모차(1)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10)의 경사대(112)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기하는 안장부(200) 및 등받이부(400)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가이드관(160)이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관(160)은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경사대(112)를 감싸며 고정 결합되고, 그 각각의 가이드관(160)의 대항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단의 걸림공(161)(1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장부(200)는, 유아가 유모차(1)에서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먼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팔걸이부(220)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팔걸이부(220)에는, 하부에 상기 지지대(110)의 경사대(112)에 결합되어 그 경사대(112)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경사대(112)를 감싸는 안장 결합관(210)이 형성된 것으로, 안장 결합관(210)은 경사대(112)의 가이드관(160)을 감싸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팔걸이부(220)는 좌판(23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좌판(230)은 팔걸이부(220)의 하부에서 그 양측 팔걸이부(220)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한편, 안장부(200)는, 상기 가이드관(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인바, 이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좌판(230)의 하부 후방에는 스프링(S) 탄설되며 회동 작동하는 안장 작동레버(211)가 형성되며, 안장 결합관(210)에는 안장 작동레버(211)의 작동에 의해 출몰되어 가이드관(160)의 어느 하나의 걸림공(161)(161')에 끼움 걸림되는 안장 고정돌기(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장 작동레버(211)와 안장 고정돌기(212)와의 연결은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연결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도면중 미도시함)를 통해 연결하여 안장 작동레버(211)를 외력을 가해 누르게 되면 안장 고정돌기(212)가 인입 및 걸림공(161)(161')으로부터 이탈되어 안장 결합관(210)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외력을 해제하면 안장 고정돌기(212)가 일출되어 걸림공(161)(161')에 진입되어 안장 결합관(21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안장부(200)는, 도 2를 참조하여 경사대(112)의 가이드관(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이러한 조절 과정에서 일예로 3단 조절 방식을 구현시 발판(120)과 멀어질수록 1단은 1세~2세, 2단은 3~4세, 3단은 5~6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팔걸이부(220)는, 상단이 전,후방을 향하도록 원호 형태를 이루는 만곡한 곡률부(221)를 이루게 구성되며, 이때 그 곡률부(22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2)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탁자(300)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안장부(200)의 팔걸이부(220)에 결합되어 유아의 탁자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탁자(300)를 팔걸이부(2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탁자(300)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탁자 연결대(310)가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탁자 연결대(310)에는 양측 대항면에 대하여 하부에 상기 팔걸이부(220)의 돌출부(222)가 내입되는 결합홈(311)이 이 형성되어 그 결합홈(311)을 통해 팔걸이부(220)의 돌출부(222)에 결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탁자 연결대(310)에는 결합홈(311)의 하부로 외측으로부터 나삽 관통되는 가압볼트(312)가 형성된 것으로, 그 가압볼트(312)의 체결로 팔걸이부(220)의 측면에 가압 고정하게 된다.
즉, 탁자(300)는, 가압볼트(312)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결합홈(311)을 통해 팔걸이부(220)의 돌출부(222)를 가이드로 하여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것인바, 유아의 연령대에 따라 전,후 조절하며, 조절된 상태에서는 가압볼트(312)의 가압으로 고정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가압볼트(312)의 체결력을 완전히 해제시에는 탁자(300)의 완전 탈거가 가능한 것인바, 이때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유모차(1)를 통상의 하이체어와 같이 유아용 식탁으자로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탁자(300) 상부면에는 함몰형 장착홈(320)이 형성되며, 그 장착홈(320)의 중앙에는 관체 형태를 이루어 파라솔(331)이 장착되는 파라솔꽂이(330)가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파라솔꽂이(330)에는 야외 활동시 파라솔(331)을 꽂아 사용함으로 햇볕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탁자(300)의 장착홈(320)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유아가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기구(340)가 형성된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놀이기구(34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유아가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멜로디나 빵빵이, 멜로디 건반 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400)는, 유아가 유모차(1)에 앉아서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먼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등받이 결합관(410)이 구성되며, 각각의 등받이 결합관(410)의 중앙에는 축설부(411)가 양측 등받이 결합관(410)의 대항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등받이 결합관(410)은, 상기 지지대(110)의 경사대(112)에 형성된 가이드관(160)을 감싸며 결합되어 그 가이드관(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등받이 결합관(410)의 사이에는 유아가 기댈수 있도록 등받이판(420)이 형성된 것으로, 등받이판(420)은 그 하부 양단이 상기 양측 축설부(411)에 축설되어 회동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등받이부(400)는, 상기 가이드관(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인바, 이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등받이 결합관(410) 일측에는 스프링(S) 탄설된 등받이 작동레버(412)가 형성되고, 그 등받이 작동레버(412)의 중간부에는 등받이 작동레버(412)의 작동에 의해 출몰되어 가이드관(160)의 어느 하나의 걸림공(161)(161')에 끼움 걸림되는 쐐기형 등받이 고정돌기(413)가 형성된다.
이때, 등받이 고정돌기(413)는, 등받이 작동레버(412)를 외력을 가해 밀면 전진과 함께 걸림공(161)(161')으로부터 이탈되고, 외력을 해제하면 후진과 함께 걸림공(161)(161')에 끼움 걸림되는 것으로, 이는 등받이 작동레버(412)가 스프링(S) 탄설되어 외력을 해제시 복귀되어 가능하게 된다.
즉, 등받이부(400)는, 도 2를 참조하여 경사대(112)의 가이드관(16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이러한 조절은 상기 안장부(200)의 조절에 따라 유아의 신체에 맞게 등받이부(400)의 높이를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조절 과정에서 일예로 3단 조절 방식을 구현시 발판(120)과 멀어질수록 1단은 1세~2세, 2단은 3~4세, 3단은 5~6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등받이판(420)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외부 일측에 원호 방향으로 전,후 다단 형성되는 걸림홈(421)이 형성되고, 축설부(411)에는 단부에 상기 걸림홈(421)에 걸림 고정되는 등받이판 고정돌기(423)가 형성되고 스프링(S) 탄설되는 등받이판 고정레버(422)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등받이판(420)은, 등받이판 고정레버(422)를 외력을 가해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S)의 압축과 함께 등받이판 고정돌기(423)가 걸림홈(421)으로부터 이탈되어 등받이판(420)의 회동이 가능하고, 회동 조절한 상태에서 등받이판 고정레버(422)의 외력을 해제하면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복귀 및 등받이판 고정돌기(423)가 걸림홈(421)에 걸림 고정되어 등받이판(42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등받이판(4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판(420)의 각도 조절은 유아가 유모차에서 수면시 수면 자세에 따라 편안함을 부여하게 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90~135°까지 3단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유모차(1)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수평대(111) 상부에 수평형 가이드레일(113)을 각각 형성하고, 저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1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11)가 형성된 하부 바구니(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판(420)의 배면 양측에 하단이 막힌 수직형 가이드레일(425)을 각각 형성하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레일(425)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21)이 형성된 상부 바구니(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13)(425) 및 가이드돌기(511)(521)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홈과 돌기 등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구조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하부 바구니(510) 및 상부 바구니(520)를 구비시에는 필요에 따라 하부 바구니(510) 및 상부 바구니(520)의 슬라이딩 삽탈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필요에 따라 유아 용품 등의 수납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유모차(1)는, 상기 양측 지지대(110)를 구성함에 있어, 도 13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지지대(110)를 수평대(111)와 경사대(112)를 분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수평대(111)의 단부에는 상부 개방형 경사대 결합홈(171)을 형성하고, 경사대 결합홈(171)의 양측에는 수평대 핀홀(172)을 관통 형성하고, 경사대(112)의 하단부에는 수평대(111)의 경사대 결합홈(171)에 삽입되는 수평대 결합돌부(173)를 형성하고, 수평대 결합돌부(173)에는 수평대 핀홀(172)과 연통되는 경사대 핀홀(174)을 관통 형성하며, 수평대 결합돌부(173)가 경사대 결합홈(171)에 결합된 상태에서 경사대 핀홀(174)과 수평대 핀홀(172)에는 결합핀(175)이 삽입되어 수평대(111)와 경사대(112)를 연결 고정하는 결합핀(175)을 형성할 수 있따.
즉, 수평대(111)와 경사대(112)는, 결합핀(175)을 착탈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착탈 구조는 유모차를 휴대시 경사대(112)로부터 수평대(111)를 분리 휴대함으로 본 고안 유모차(1)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인바, 그 휴대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는, 구조적으로 단순화 시킴으로 제작 단가의 하락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바퀴를 구성함에 있어 실내용 바퀴와 실외용 바퀴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안장부와 등받이부의 높이 조절로 성장기 유아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실용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100 : 프레임체 110 : 지지대
111 : 수평대 112 : 경사대
113 : 가이드레일
120 : 발판 130 : 바퀴
130a : 실내용 바퀴 130b : 실외용 바퀴
131 : 바퀴 샤프트 132 : 볼플렌저
140 : 손잡이 150 : 바퀴 결합관
151 : 버튼 장착부 152 : 바퀴 이탈버튼
153 : 가이드공 160 : 가이드관
161,161' : 걸림공 171 : 경사대 결합홈
172 : 수평대 핀홀 173 : 수평대 결합돌부
174 : 경사대 핀홀 175 : 결합핀
200 : 안장부 210 : 안장 결합관
211 : 안장 작동레버 212 : 안장 고정돌기
220 : 팔걸이부 221 : 곡률부
222 : 돌출부 230 : 좌판
300 : 탁자 310 : 탁자 연결대
311 : 결합홈 312 : 가압볼트
320 : 장착홈 330 : 파라솔꽂이
340 : 놀이기구
400 : 등받이부 410 : 등받이 결합관
411 : 축설부 412 : 등받이 작동레버
413 : 등받이 고정돌기 420 : 등받이판
421 : 걸림홈 422 : 등받이판 고정레버
423 : 등받이판 고정돌기 425 : 가이드레일
510 : 하부 바구니 511 : 가이드돌기
520 : 상부 바구니 521 : 가이드돌기

Claims (7)

  1. 유모차에 있어서,
    하부의 수평대(111)와 수평대(111)의 선단에서 후방을 향하게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대(112)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지지대(110)로 구성하되, 양측 지지대(110)는 수평대(111)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111a)와 경사대(112)의 하부를 연결하는 발판(120)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수평대(111) 전,후방 하부에는 바퀴(130)가 형성되고, 각각의 경사대(112) 상단에는 손잡이(140)가 형성된 프레임체(100);
    각각 안장 결합관(210)이 형성되어 각각의 경사대(112)를 감싸며 결합 및 경사대(112)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양측 한 쌍의 팔걸이부(220)와, 양측 팔걸이부(220)의 하부를 연결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좌판(230)으로 된 안장부(200);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탁자 연결대(310)를 통해 팔걸이부(220)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함몰형 장착홈(320)이 형성되고, 장착홈(320)의 중앙에는 파라솔(331)이 장착되는 파라솔꽂이(330)가 형성된 탁자(300); 및
    각각 축설부(411)를 갖는 등받이 결합관(410)이 각각의 경사대(112)를 감싸며 결합 및 경사대(112)를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고, 양측 축설부(411)에는 등받이판(4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등받이부(400);
    를 포함하되,
    지지대(110)의 각각의 수평대(111)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바퀴 결합관(150)을 각각 형성하며,
    각각의 바퀴 결합관(150)에는, 단부에 바퀴 결합관(150)에 형성되는 걸림공(150a)를 통해 바퀴 결합관(150) 내측으로 출몰되는 바퀴 이탈돌기(152a)를 갖는 바퀴 이탈버튼(152)이 형성되는 버튼 장착부(151)가 형성되며, 버튼 장착부(151)의 내측에는 바퀴 이탈버튼(152)이 스프링(S) 탄설되는 가이드공(153)이 형성되며,
    바퀴(13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실내용 바퀴(130a)와 실외용 바퀴(130b)로 구성하되,
    각각의 실내용 바퀴(130a)와 실외용 바퀴(130b)에는, 상기 바퀴 결합관(150)에 삽탈 되는 한편 가이드공(153)에 탄력 결합되는 볼플렌저(132)를 갖는 바퀴 샤프트(131)가 형성되어, 각각의 실내용 바퀴(130a) 및 실외용 바퀴(130b)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팔걸이부(220)는,
    상단이 전,후방을 향하는 원호 형태를 이루는 만곡한 곡률부(221)를 이루게 구성하고, 곡률부(221)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2)를 형성하며,
    탁자(300)는,
    양측 탁자 연결대(310)의 대항면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22)가 내입되는 결합홈(311)을 형성하고, 결합홈(311)의 하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나삽되어 팔걸이부(22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볼트(312)가 형성되게 구성하되,
    탁자(300)가 곡률부(221)를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하며, 가압볼트(312)의 가압력에 의해 팔걸이부(220)에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110)의 경사대(1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공(161)(161')이 형성된 관체 형태의 가이드관(160)이 감싸지게 구성하되,
    안장부(200)는,
    안장 결합관(210)이 가이드관(160)을 감싸며 결합 및 슬라이딩되고, 좌판(230)의 하부 후방에는 스프링(S)이 탄설된 안장 작동레버(211)가 형성되며, 안장 작동레버(211)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S) 탄설된 안장 고정돌기(212)가 가이드관(160)의 어느 하나의 걸림공(161)(161')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하며,
    등받이부(400)는,
    등받이 결합관(410)이 가이드관(160)을 감싸며 결합 및 슬라이딩되고, 각각의 등받이 결합관(410)에는 스프링(S)이 탄설된 등받이 작동레버(412)가 형성되며, 등받이 작동레버(412)에는 등받이 고정돌기(413)가 가이드관(160)의 어느 하나의 걸림공(161)(161')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하며,
    등받이판(420)은, 외측에 원호 방향으로 전,후 2단의 걸림홈(421)이 형성되고, 축설부(411)에는 단부에 상기 걸림홈(421)에 걸림 고정되는 등받이판 고정돌기(423)가 형성되고 스프링(S) 탄설되는 등받이판 고정레버(422)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5. 제 1항에 있어서,
    탁자(300)의 장착홈(320)에는,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6. 제 1항에 있어서,
    양측의 수평대(111) 상부에 수평형 가이드레일(113)을 각각 형성하고, 저면에 상기 가이드레일(11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11)가 형성된 하부 바구니(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등받이판(420)의 배면 양측에 하단이 막힌 수직형 가이드레일(425)을 각각 형성하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레일(425)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521)이 형성된 상부 바구니(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하부 바구니(510) 및 상부 바구니(520)의 슬라이딩 삽탈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7.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대(110)는,
    수평대(111)와 경사대(112)를 분리 형성하되,
    수평대(111)의 단부에는 상부 개방형 경사대 결합홈(171)을 형성하고, 경사대 결합홈(171)의 양측에는 수평대 핀홀(172)을 관통 형성하고,
    경사대(112)의 하단부에는 수평대(111)의 경사대 결합홈(171)에 삽입되는 수평대 결합돌부(173)를 형성하고, 수평대 결합돌부(173)에는 수평대 핀홀(172)과 연통되는 경사대 핀홀(174)을 관통 형성하며,
    수평대 결합돌부(173)가 경사대 결합홈(171)에 결합된 상태에서 경사대 핀홀(174)과 수평대 핀홀(172)에는 결합핀(175)이 삽입되어 수평대(111)와 경사대(112)를 연결 고정하는 결합핀(175)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핀(175)을 통해 수평대(111)와 경사대(112)가 선택적으로 착탈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KR2020160001310U 2016-03-11 2016-03-11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KR20048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10U KR200480552Y1 (ko) 2016-03-11 2016-03-11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10U KR200480552Y1 (ko) 2016-03-11 2016-03-11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52Y1 true KR200480552Y1 (ko) 2016-06-08

Family

ID=5613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10U KR200480552Y1 (ko) 2016-03-11 2016-03-11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8750A (zh) * 2019-09-30 2019-12-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一体化桌椅
KR20210020679A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KR102358499B1 (ko) * 2021-07-20 2022-02-08 문보미 유모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90Y1 (ko) 2004-03-19 2004-06-29 이오걸 보행기의 장식판 착탈장치
KR200383669Y1 (ko) 2004-12-21 2005-05-09 임옥만 다목적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90Y1 (ko) 2004-03-19 2004-06-29 이오걸 보행기의 장식판 착탈장치
KR200383669Y1 (ko) 2004-12-21 2005-05-09 임옥만 다목적 유모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79A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KR102320519B1 (ko) * 2019-08-16 2021-11-03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CN110558750A (zh) * 2019-09-30 2019-12-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一体化桌椅
KR102358499B1 (ko) * 2021-07-20 2022-02-08 문보미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64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vertible child high-chair and step stool
US8292365B2 (en) Child chair
JP5383103B2 (ja) 2つの機能を兼ねる子供用椅子
US7234722B1 (en) Standing baby stroller
TWI584990B (zh) 轉換式滑行車
US7201445B1 (en) Feeding seat
US6540292B2 (en) Adjustable rocker seat
US8845023B2 (en) Convertible rocking chair with multi-using modes
US7950734B2 (en) Recliner with locking mechanism
US20050110320A1 (en) Multi-functional child high chair
KR200480552Y1 (ko) 식탁의자로 사용이 가능한 유모차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JP2013504373A5 (ko)
EP3053485B1 (en) Adjustable booster seat
US20170251828A1 (en) Folding elevated sleeper
CN219331179U (zh) 用于可转换高脚椅及踏凳的设备
US10065669B2 (en) Stroller
US20080100014A1 (en) Combination jogging apparatus and stroller
US20110148058A1 (en) Stroller
CN203424654U (zh) 婴童高脚餐椅靠背调整机构
CN111634320B (zh) 婴儿载具
CN207693278U (zh) 一种扶手可调的椅子
US11849849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vertible child high-chair and step stool
CN221316338U (zh) 婴儿推车座位高度调节机构以及婴儿推车
CN211417378U (zh) 一种收合操作简便的儿童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