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69Y1 -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 Google Patents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69Y1
KR200480269Y1 KR2020140007567U KR20140007567U KR200480269Y1 KR 200480269 Y1 KR200480269 Y1 KR 200480269Y1 KR 2020140007567 U KR2020140007567 U KR 2020140007567U KR 20140007567 U KR20140007567 U KR 20140007567U KR 200480269 Y1 KR200480269 Y1 KR 200480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detection module
mobile phone
activity
activit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365U (en
Inventor
최상원
송기찬
송창헌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2020140007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69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하지 않고,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개인정보의 수집을 최소화하고 근로자의 프라이버시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근로자의 안전모나 작업복에 부착 또는 휴대되어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활동성 감지모듈(10)과, 근로자 휴대폰(20)과, 관리자 휴대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한 후,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workers' safety activities using a smart phone,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s is not collected indiscriminately, and the position of the worker is detected only when the employee is in an "inactive" The purpose is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to minimize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ensure that employees' privacy rights are not violat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ttached to or carried on a safety monitor or work clothes of a worker to detect movement of an employee, a worker mobile phone (20) In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safety activity of a worker,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divides the movement of the worker into "activity" and "inactivity", and then, only when it is determined as "inactive"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of the cellular phone 30.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er safety sensing device using a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또는 밀폐공간 작업장에서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안전모나 주머니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 또는 휴대토록 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작업자의 동작상태를 작업조건에 따라 "활동"과 "비활동"으로 판별한 후, "비활동"으로 판별시에만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경보 또는 경광을 발생시킴으로써, 근로자의 비활동 상태를 조기에 인지하여 안전사고나 질식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safety activity of a worker us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 worker by attaching or carrying an acceleration sensor to a safety bag or a safety bag of a worker working at a construction site or a confined space worksite , The operator's operation state is determined as "activity" and "inactivity" according to the work conditions, and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nager's smartphone only when it is determined as "inacti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 safety activity of a worker using a smartphon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r a choking injury in advance by recognizing an inactive state early.

각종 건설현장에서 현장관리자는 작업관리 및 안전관리를 위해 근로자의 작업 위치를 파악하여야 한다.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the site manager should identify the worker's work location for work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특히 대형 빌딩과 같이 다수의 근로자가 함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근로자가 현재 어느 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In particular, when a large number of workers work together, such as a larg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know where the worker is currently working in order to work efficiently.

또한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시에는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근로자의 작업 위치를 계속적으로 추적하여야 한다. Also, when working in confined space, the worker's position should be continuously tracked to prevent choking accidents.

이를 위해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여 근로자의 작업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do thi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hat use various IT technologies to grasp worker positions.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9-7034호의 "안전모 착용관리장치"가 있다.As an example, there is a " device for wearing a safety helmet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9-7034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상기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의 착용 상태 및 위치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 전송함으로써, 각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안전모 착용에 대한 안전관리 및 작업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transfers the wearing state and position of the helme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safety management and operator management of the helmet wearing at remote sites as well as at each industrial site will be.

상기한 종래의 안전모 착용관리장치는,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하고 근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안전모에 장착되는 안전모 상태 출력부; 안전모 상태 출력부에서 출력된 안전모의 착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고, 데이터의 왜곡 제거 및 동기 조정을 수행하여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부;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표시기에 도시하는 중앙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helmet wear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helmet condition output unit having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helmet is worn and mounted on the helmet to output a signal sensed by the proximity sensor; A relay unit that receives data on whether or not the helmet is worn out from the helmet state output unit by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s data distortion correction and synchronous adjustment, and transmits data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the data output from the relay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display unit in real time.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고정형 중계기를 통한 개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건설 현장 작업자 분포도 및 밀집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공사가 진행중인 곳의 위치도 파악 가능하며,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LED 및 경고음 발생장치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a worker who is working at a construction site wears a safety helmet, and also can grasp a rough position through a fixed type repeater, so that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a construction worker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e position of the place can be grasp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isaster caused by a fall or a fall by informing the user through the LED and the alarm sounding device to wear the helmet.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전모 착용관리장치는,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므로 근로자의 일거수 일투족을 무분별하게 감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aratus for monitoring a safety helmet has a problem in that it monitors the position of a worker in real-time, and therefore monitors the worker's every movements indiscriminately. This raises the issue of violating the human rights of workers.

또한 모니터링한 정보를 감독실이나 통제실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고 개인정보의 비밀 보호 관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Also, since the monitored information is integratedly managed by the supervisory room or the control roo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confidentiality of personal information.

또한 중계부와 중앙 관리부를 필요로 하여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안전모 착용관리장치는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because a relay unit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for managing wearer's safety has not been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또한 등록특허 제10-1196802호에는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196802 discloses "a security helmet and a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ecurity helmet ".

상기한 종래기술은, 상호 무선통신으로 이루어지며 근로자의 주변환경 및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와, 안전모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이나, 위치정보, 근로자의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통합관리 서버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현장상황을 관리자로 하여금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related arts are related to a safety helmet, which is made up of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tatus information of a worker, and a safety helmet, which use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elmet,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data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allowing a manager to check the field situation through data wirelessly received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상기한 종래기술은 위험지역 또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사전 사고방지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근로자의 상태 정보, 즉 체온상태, 음주유무, 위험지역 접근제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안전모에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축적 공급하고, 안전모에 내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센서가 단전으로 인한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to provide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for the safety of workers in a dangerous area or a construction site,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tate of workers, such as body temperature, Efficient accumulation of sunlight, which is eco-friendly energy, is provided to the helmet so that it can be monitored, and the microcontroller and sensor built in the helmet can prevent malfunction caused by power failure.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근로자의 개인정보를 무분별 무차별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므로, 개인정보의 유출 위험이 높고 근로자의 프라이버시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s high and the privacy right of the workers is highly likely to be violated becau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s is indiscriminately collected and stored indiscriminately.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 역시 실제 현장에서는 적용이 되고 있지 않다.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also not applied in actual field.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034호(2009. 07. 13.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9-0007034 (published on July 13, 2009).

특허문헌 2 : 국내 등록특허 제10-1196802호(2012. 10. 26. 등록)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96802 (registered on October 26, 2012)

특허문헌 3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32호(2014. 08. 29. 공고) Patent Document 3: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232 (Announcement 2014. 08. 29)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하지 않고,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workers without indiscriminately coll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worker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actual fiel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일 경우,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그 위치를 관리자의 스마트폰(휴대폰)에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근로자 개인정보 수집을 최소화하고 근로자의 프라이버시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employees and to prevent the privacy rights of workers when the workers are in an "inactive" state, tha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is is to prevent infringemen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근로자가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위치를 즉시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의식을 잃을 정도의 상해사고나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injury or suffocation by losing consciousness by informing the manager immediately when the worker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afety of the workers by simple configuration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근로자의 안전모나 작업복에 부착되어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활동성 감지모듈과, 근로자 휴대폰과, 관리자 휴대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은,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한 후,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safety activity of a worker using a smartphone including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attached to a safety monitor of a worker or a worker's clothing to detect movement of the worker, The activity detecting module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manager mobile phone screen only when it is discriminated as "inactive" after divid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into " .

또한, 근로자의 움직임이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 화면에 출력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worker is determined to be inactive,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are outputted to the manager's mobile phone screen, and an alarm sound and a lightening through the speaker are generated.

또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은, 근로자 휴대폰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 모듈과,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배터리와, 주기적 휴면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a worker's cell phone,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a worker, a battery, and an MCU capable of implementing a periodic sleep mode.

또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은,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as sensor.

또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은, 활선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ive-line detector.

또한, 상기 근로자 휴대폰은,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와, 관리자 휴대폰으로 특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와, 관리자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연락처를 내장한 연락처 설정메뉴와, 근로자가 비활동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센서 데이터 출력부와, 활동성 데이터 저장부와, 응급 상황발생 UI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er's mobile phone may further include a Bluetooth for communication with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a messag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manager mobile phone, a contact setting menu including a contact for sending a message to the manager mobile phone, A sensor data output unit for sending a message in an inactive state, an active data storage unit, and an emergency occurrence UI screen.

본 고안에 의하면,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하지 않고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므로 근로자의 프라이버시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a worker's privacy right because the position of the worker is grasped only when the worker is in an "inactive" state, tha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without collect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 indiscriminately.

또한,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일 경우,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그 위치를 관리자의 스마트폰(휴대폰)에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근로자 개인정보의 수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er is in the "inactive" state, that is,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the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anager's smartphone (cellular phone), thereby minimizing the collection of employee personal information.

또한, 근로자가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그 위치를 즉시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의식을 잃을 정도의 상해사고나 질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er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osition of the worker is notified to the manager immediately, thereby preventing injuries or suffocation accidents such as loss of consciousness.

또한, 활동성 감지모듈을 안전모나 작업복에 부착 또는 휴대토록 하고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지고 저렴한 비용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function of the smart phone by attaching or carrying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to the safety monitor or the work cover,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safety of the worker can be secured at a low cos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활동 감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활동성 감지모듈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활동성 감지모듈의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활동성 감지모듈의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불루투스 모듈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속도 센서 사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 센서 사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초기화면.
도 10은, 불루투스 연결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1은, 연락처 등록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2는, 소리 설정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3은, 검지간격 설정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4는, 활동성 보기화면.
도 15는, 활동성 검지 탭 화면.
도 16은, 가스 검지 탭을 나타낸 화면.
도 17은, 활선 검지 탭을 나타낸 화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anaging a wearer with a helme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afety activity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luetooth module photograph
7 is a photograph of an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of a gas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application initial screen mounted o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reen showing a Bluetooth connection process.
11 is a screen showing the contact registration process.
12 is a screen showing a sound setting process.
13 is a screen showing the detection interval setting process.
14 shows an active view screen.
15 is an activity detection tab screen.
16 is a screen showing a gas detection tab.
17 is a screen showing a live line detection tab.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의 안전모(17)나 작업복에 부착 또는 휴대토록 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활동성 감지모듈(10)과, 근로자 휴대폰(20)과, 관리자 휴대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device for detecting safety activity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worker by attaching or carrying the worker's safety hat 17 or work clothes, An employee's mobile phone 20, and a manager's mobile phone 30.

즉, 본 고안은 활동성 감지모듈(10)과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여 근로자의 안전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detect the safety activities of workers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nd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하고,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으로 출력한다.Here,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divides the movement of the worker into "activity" and "inactivity", and outputs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screen of the manager cell phone 30 only when it is determined as "inactivity" do.

또한, 근로자의 움직임이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에 출력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worker is determined to be inactive,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on the screen of the manager cell phone 30, and to generate the alarm sound and the lightening through the speaker.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는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To this end,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applications that generate alarms and lightening.

종래의 근로자 위치 파악장치는, 근로자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모니터링 하므로, 근로자 개인정보가 노출되고 근로자의 인격권을 침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 현장에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Conventional apparatus for locating workers monitors all kinds of worker's every mov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ersonal information of workers is exposed and infringes personal rights of workers.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근로자가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아 "비활동" 상태로 판별이 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개인정보를 관리자의 휴대폰(30)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개인정보의 수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권 침해의 논란을 방지할 수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when the work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inactive" state because the worker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osi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r's mobile phone 30, And can prevent the controversy of human rights violations.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의 전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휴대폰(20)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 모듈(11)과,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12)와, 가스 센서(13)와, 활선 감지기(14)와, 배터리(15)와, 전원 스위치(17)가 배치된다. 3 (b), a Bluetooth module 11 for communicating with the worker's mobile phone 20 and an acceleration sensor 12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worker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 gas sensor 13, a live-wire sensor 14, a battery 15, and a power switch 17 are arranged.

또한 활동성 감지모듈(10)의 배면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16)와, 배터리 충전회로(18)와, USB 충전단자(19)가 배치되어 있다. 3 (b), the MCU 16,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18, and the USB charging terminal 19 ar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상기 USB 충전단자(190는 스마트폰용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SB charging terminal 19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charged using a charging cable for a smartphone.

또한 도 4 및 도 5는 활동성 감지모듈(10)의 회로도로서, 충전용 USB 연결단자(41), 리튬 폴리머 배터리 충전회로(42), 3.3V 전원회로(43), MCU 회로(44). 부저회로(45), 전원 스위치 회로(46), 활선 감지기 연결단(51), 불루투스 모듈(11) 연결회로, 3축 가속도 센서(12), 가스 센서 회로(54), 프로그램 저장 인터페이스용 연결단(55)을 나타낸 것이다. 4 and 5 are circuit diagrams of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including a charging USB connection terminal 41, a lithium polymer battery charging circuit 42, a 3.3V power supply circuit 43, and an MCU circuit 44. A buzzer circuit 45, a power switch circuit 46, a live wire sensor connection terminal 51, a Bluetooth module 11 connection circuit, a 3-axis acceleration sensor 12, a gas sensor circuit 54, (55).

상기 불루투스 모듈(11)은 활동성 감지모듈(10)과 근로자 휴대폰(20)과의 근거리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은 그 실물을 나타낸 것이다.The Bluetooth module 11 is for realizing close-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nd the worker's mobile phone 20, and FIG.

상기 가속도 센서(12)는, 3축 가속도 센서로서 3.3V로 동작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작업 조건에 따라 폭과 시간을 조정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12 operates a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t 3.3 V to detect movement of the worker and to classify the movement of the worker as "activity" and "inactivity" by adjusting the width and time according to the work conditions .

예컨대, 현장의 작업 조건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움직임이 많은 작업의 경우에는 "비활동" 판별의 시간을 짧게 조정하고, 움직임이 적은 작업의 경우에는 "비활동" 판별의 시간을 다소 길게 조정한다. For example, the time of "inactivity" discrimination is shortened in the case of work with a lot of worker motions and the time of "inactivity" discrimination is adjusted to be a little longer in case of a work with little motion, taking into accoun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ite.

또한, 근로자가 장시간의 휴식 등으로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MCU(16)를 통해 활동성 감지모듈(10)을 휴면모드로 조정한다. 도 7은 상기 가속도 센서(12)의 실물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worker does not move due to a long break or the like, the MCU 16 adjusts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to the dormant mode. Fig. 7 shows the actual stat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Fig.

또한, 상기 가스 센서(13)는 3.3V로 동작하며 CO, CH4 , LPG, 알코올, VOC 등을 감지한다. 도 8은 상기 가스 센서(13)의 실물을 나타낸 것이다.Also, the gas sensor 13 operates at 3.3 V and detects CO, CH 4 , LPG, alcohol, VOC, and the like. Fig. 8 shows the actual state of the gas sensor 13. Fig.

또한, 상기 활선 감지기(14)는, 내장 교류 1000V 이하, 주파수 60헤르쯔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며, 감지거리는 AC 220V일때 3cm 이내로 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lso, the live-line detector 14 detects a live state of a built-in alternating current of 1000 V or less and a frequency of 60 Hz, and the sensing distance may be 3 cm or les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C 220V.

한편,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감지 간격을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활동" 및 "비활동" 상태를 판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determine the " active "and" inactive "states by setting a detection interval.

또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는 리튬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includes a lithium battery and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battery.

또한 활동성 감지모듈(10)은 배터리의 용량 및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고,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하면 휴대폰으로 이 내용을 전송한다. Also,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pacity and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and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cellular phone whe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insufficient.

또한 활동성 감지모듈(10)은 활동슬립(Sleep) 기능을 내장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웨이크업(Wakeup) 기능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휴대폰과 통신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preferably includes an activity sleep function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and to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phone using a wakeup function.

또한, 상기 근로자 휴대폰(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21)와, 관리자 휴대폰(30)으로 특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22)와, 관리자 휴대폰(30)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연락처를 내장한 연락처 설정메뉴(23)와, 근로자가 비활동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센서 데이터 출력부(24)와, 활동성 데이터 저장부(25)와, 응급 상황발생 UI 화면(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he worker's mobile phone 20 includes a Bluetooth 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 messag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manager's mobile phone 30, A contact setting menu 23 incorporating a contact to send a message to the manager mobile phone 30; a sensor data output unit 24 for sending a message when the worker is inactive; (25), and an emergency occurrence UI screen (26).

즉, 활동성 감지모듈(10)에 의해 근로자의 움직임이 "비활동"으로 판별이 되면, 즉 근로자의 움직임이 없어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될 경우에는, 그 신호가 불루투스 통신을 통해 근로자 휴대폰(20)으로 전송되고, 근로자 휴대폰(20) 및 관리자 휴대폰(3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비활동" 근로자의 정보(소속, 이름, 연락처 등)가 관리자 휴대폰(30)에 메시지로 전달된다.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that the movement of the worker is "inactive", that is, when it is estimated that an emergency occurs due to the absence of movement of the worker,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orker's mobile phone 20), and the information (affiliation, name, contact, etc.) of the "inactive" worker is transmitted as a message to the manager mobile phone 30 b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worker mobile phone 20 and the manager mobile phone 30.

이를 위해 근로자 휴대폰(20)에는 "비활동" 판별시 메시지를 전송할 관리자의 연락처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최소한 2명 이상의 관리자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worker's mobile phone 20 has a manager's contact information for sending a message in case of "inactivity".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send a message to at least two administrators.

또한 관리자 휴대폰(30)으로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경보 및 경광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desirable to transmit a message to the manager's cellular phone 30 and to generate an alarm and lightening.

또한, 활동성 감지모듈(10)에 가스 센서(13) 또는 활선 감지기(14)를 추가하여 가스 누출로 인한 질식사고 및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add the gas sensor 13 or the live-line sensor 14 to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to prevent a choking injury and an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gas leakage.

이때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일정 간격으로 활동성 검지모듈(10)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활동성 감지모듈(10)에서는 관련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when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requests data to the active detection modul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transmits the related data to the mobile phone.

특히 활선 감지기(14)는 활선 상태가 발생시 휴대폰의 요청이 없더라도 일방적으로 그 내용을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Particularly, the live-line detector 14 unilaterally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cellular phone even if there is no request of the cellular phone when the live-line state occur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을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7. FIG.

도 9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일단 로고화면이 나타나고, 이어서 초기화면으로 전환된다.9 shows an initial screen of the application program. When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the logo screen is displayed first and then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initial screen.

초기화면에서 상단의 ① 영역에 "not connected" 메시지가 출력되면, 이는 불루투스에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If the message "not connected" is displayed in the ① area at the top of the initial screen, it means that it is not connected to Bluetooth.

초기화면에서 ② 영역의 버튼을 누르면 ③ '설정 및 테스트' 메뉴가 활성화된다. ④는 감지 모듈의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3.5V 미만일 경우에는 충전 요청 메시지가 발생한다.Press the ② button on the initial screen ③ 'Setup and Test' menu is activated. ④ indicates the battery status of the sensing module. If it is less than 3.5V, a charging request message is generated.

도 10은 불루투스 연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메뉴에서 설정 버튼을 누르면 '설정'화면이 나타난다. FIG. 10 shows a Bluetooth connection process. When a setting button is clicked on a menu, a 'setting' screen is displayed.

이어서 설정 화면에서 ① '불루투스 설정' 버튼을 누르면, 불루투스로 연결할 수 있는 ② 기기 선택창이 나타난다.Then, press ① 'Bluetooth setting' button on the setting screen ② device selection window to connect with Bluetooth will appear.

사용할 기기를 선택한 후 페어링 연결을 하면 화면상단에 ③ 'connected: 기기명'의 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 불루투스 설정시에는 단말기의 전원을 미리 'ON' 상태로 하여야 한다.After selecting the device to be used, connect the pairing and the message 'connected: device name' will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When the Bluetooth setting is performed, the power of the terminal should be turned on in advance.

도 11은 연락처 설정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메뉴 중에서 ① '연락처 등록' 버튼을 누르면 연락처 등록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FIG. 11 shows a contact setting process.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act registration' button in the menu, a contact registration setting screen is displayed.

이어서 "비활동" 상태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② '연락처 등록 및 메시지 작성'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한다. 메시지를 보낼 대상자는 1명에서 3명까지 저장 및 선택할 수 있다.Next, in order to send a message in the "inactive" state, enter the contents in 'Contact registration and message creation' and save it. You can send and receive messages from 1 to 3 people.

마지막으로 ②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자를 '선택'한 후 설정 버튼을 누르면 연락처의 등록이 완료된다.Finally, ② Select the recipient to send the message and press the setup button to complete registration of the contact.

도 12는 소리 설정 과정으로서, 메뉴 중에서 ① '소리 설정' 버튼을 누르면 소리 설정 화면이 나타난다. 소리 설정은 ② '벨' 또는 '음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메뉴를 누르고 저장하면 소리 설정이 완료된다.12 is a sound setting process. When a 'sound setting' button is pressed in the menu, a sound setting screen is displayed. ② You can select 'Bell' or 'Voice'. Press the menu and save.

도 13은 검지간격 설정과정을 표시한 것으로, 메뉴 중에서 ① '검지간격' 버튼을 누르면 검지시간 설정화면이 나타난다.Fig. 13 shows the detection interval setting process. When the 'detection interval' button is pressed in the menu, the detection time setting screen is displayed.

활동성 감지를 위한 검지 간격은 ② '1분' , '3분', '5분' 단위로 선택이 가능하며, 검지 간격을 선택한 후 저장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된다. 참고로 하단의 '20초'는 테스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detection interval for activity detection can be selected in units of '1 minute', '3 minutes', and '5 minutes', and the setting is completed by selecting the detection interval and pressing the Save button. For reference, '20 seconds' at the bottom is for test use.

도 14는 활동성 보기 화면으로서, 메뉴 중에서 ① '활동성 보기' 버튼을 누르면 활동성 보기 화면이 나타난다.FIG. 14 shows the activity view screen. When the 'view activity' button is clicked on the menu, the activity view screen is displayed.

활동성 보기 화면에서 "비활동" 데이터가 검출되면 ② 일자와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되며, ③ '보기종료' 버튼을 누르면 창이 닫히게 된다.When "Inactivity" data is detected on the activity view screen, ② Date and time are automatically saved, and if you press the "End View" button, the window is closed.

도 15는 활동성 검지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서, "활동성" 데이터 검출시에는 ①의 화면이 출력되고, "비활동성" 데이터 검출시에는 ②의 화면이 출력된다.Fig. 15 shows the activity detection status. The screen of (1) is output when detecting "active" data, and the screen of (2) is displayed when "inactive" data is detected.

만일 "비활동성" 데이터가 검출될 시에는, 설정메뉴의 '연락처 등록'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로 메시지가 자동으로 전송된다. If "inactive" data is detected, the message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contact stored in the 'Contact Registration' of the Settings menu.

즉, "비활동" 데이터가 검출되면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되므로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at is, if "inactivity" data is detected, the message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administrator, so that immediate action can be taken.

도 16은 가스 검지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설정된 검지 시간마다 가스를 검출하여 공기 질의 상태를 각 단계별로 표시한다. 특히 VOC 센서는 공기 중 휘발성 물질의 상태를 이산화탄소 레벨의 공기 질로 표현한다.FIG. 16 shows a gas detection screen, in which the gas is detected every set detection time and the air quality state is displayed for each step. In particular, the VOC sensor expresses the state of volatile substances in the air by the air quality of the carbon dioxide level.

공기 질 상태는 '아주좋음', '좋음', '주의', '나쁨'으로 구분되어 있다. Air quality is classified into 'very good', 'good', 'attention', and 'bad'.

도 17은 활선 검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활선시에는 ①의 화면이 출력되고, 활선 감지기가 활선 상태를 인식하면 ②의 화면으로 변경되면서 소리가 출력된다.FIG. 17 shows the live line detection state. When the live line detector detects the live line state, the screen is changed to the (2) screen and sound is output.

소리는 '설정' 메뉴의 '소리선택'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Bell' 또는 'Voice'를 선택하여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Sound can be selected in 'Sound selection' of 'Setup' menu, and 'Bell' or 'Voice' can be selected to output alarm sound.

종래의 근로자 위치 감지장치는 근로자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개인정보 노출 및 인격권 침해 논란이 제기되어 실제 현장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Conventional workers 'position sensing devices monitor worker's every move, and therefore there is a controversy over worker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fringement of moral rights, and it is not applied in actual field.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근로자의 모든 움직임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조건하에서 "비활동"으로 판별이 된 이후에만 그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므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인정보 노출 문제 및 인격권 침해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all the movements of the workers are monitored but only after th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inactive"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Problems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활동성 감지모듈
11: 불루투스 모듈
12: 가속도 센서
13: 가스 센서
14: 활선 감지기
15: 배터리
16: MCU
17: 전원 스위치
18: 배터리 충전회로
19: USB 충전단자
20: 근로자 휴대폰
30: 관리자 휴대폰
10: Active Sensing Module
11: Bluetooth module
12: Accelerometer
13: Gas sensor
14: Live detectors
15: Battery
16: MCU
17: Power switch
18: Battery charging circuit
19: USB charging terminal
20: Worker cell phone
30: Manager cell phone

Claims (6)

근로자의 안전모(17)나 작업복에 부착 또는 휴대되어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활동성 감지모듈(10)과, 근로자 휴대폰(20)과, 관리자 휴대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한 후,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으로 출력하고,
근로자의 움직임이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에 출력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 및 경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근로자 휴대폰(20)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 모듈(11)과,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하기 위한 3축 가속도 센서(12)와, 배터리(15)와, 주기적 휴면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MCU(16)와, 배터리 충전회로(18)와, USB 충전단자(19)와, 가스 누출로 인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센서(13)와, 활선 상태 발생시 휴대폰의 요청이 없더라도 일방적으로 그 내용을 휴대폰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활선 감지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충전용 USB 연결단자(41), 리튬 폴리머 배터리 충전회로(42), 3.3V 전원회로(43), MCU 회로(44). 부저회로(45), 전원 스위치 회로(46), 활선 감지기 연결단(51), 불루투스 모듈(11) 연결회로, 3축 가속도 센서(12), 가스 센서 회로(54), 프로그램 저장 인터페이스용 연결단(5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근로자 휴대폰(20)은,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과의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21)와,
관리자 휴대폰(30)으로 특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부(22)와,
관리자 휴대폰(30)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연락처를 내장한 연락처 설정메뉴(23)와,
근로자가 비활동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센서 데이터 출력부(24)와,
활동성 데이터 저장부(25)와,
응급 상황발생 UI 화면(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
An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that is attached to or carried by a worker's safety hat 17 or work clothes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orker, a worker's mobile phone 20, and a manager's mobile phone 30, In the sensing device,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nd outputs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screen of the manager mobile phone 30 only when it is discriminated as "inactive " after divid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into"
When the movement of the worker is determined to be inactive,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er ar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anager cell phone 30, and an alarm sound and a lightening by the speaker are generated,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 Bluetooth module 11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ployee's mobile phone 20 and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12 for classify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into an activity and an inactivity, a battery 15, A battery charging circuit 18, a USB charging terminal 19, a gas sensor 13 for preventing a choking accident caused by gas leakage, And a live-line detector 14 for unilaterally transmitting the contents to the cellular phone even if there is no request from the user,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 charging USB connection terminal 41, a lithium polymer battery charging circuit 42, a 3.3 V power supply circuit 43, and an MCU circuit 44. A buzzer circuit 45, a power switch circuit 46, a live wire sensor connection terminal 51, a Bluetooth module 11 connection circuit, a 3-axis acceleration sensor 12, a gas sensor circuit 54, (55)
The worker's cellular phone (20)
A Bluetooth 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activity detection module 10,
A message transmitting unit 22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manager mobile phone 30,
A contact setting menu 23 incorporating a contact to which a message is to be sent to the manager mobile phone 30,
A sensor data output unit 24 for sending a message when the worker is inactive,
An active data storage unit 25,
And an emergency occurrence UI screen (26). The device for detecting a safety activity of a worker using a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40007567U 2014-10-17 2014-10-17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KR2004802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67U KR200480269Y1 (en) 2014-10-17 2014-10-17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67U KR200480269Y1 (en) 2014-10-17 2014-10-17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65U KR20160001365U (en) 2016-04-27
KR200480269Y1 true KR200480269Y1 (en) 2016-05-03

Family

ID=5591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67U KR200480269Y1 (en) 2014-10-17 2014-10-17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6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336B1 (en) * 2021-08-04 2021-12-29 삼일씨티에스(주) Worker safety mane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1B1 (en) * 2012-04-23 2013-01-11 (주) 세롬 The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1B1 (en) * 2012-04-23 2013-01-11 (주) 세롬 The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65U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802B1 (en) System of safety supervision using hard hat
KR20140062890A (en) Wearable device and managing device for managing a status of user and methods thereof
CN204242371U (en) Wearable electronic and the on-site supervision end being applied to supervisory system
CN104473624A (en)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ing based the aged nursing cuff system
CN106066622B (en) A kind of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CN109567303A (en) A kind of intelligent safety helmet
CN204540967U (en) For the crash helme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CN105869350A (en) Portable intelligent alarm equipment and alarm method thereof
CN203232543U (en) A produc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t a construction site
WO2018094520A1 (en) Smart wearable safety devices and systems
US10043370B2 (en) Floating touch fall alert bath mat system
CN101859468A (en) Anti-lost alarm device
CN206221001U (en) A kind of safety warning device for coal mine underground personnel
CN205563195U (e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s power environment monitoring all -in -one
KR101627188B1 (en) Intelligent house supervision device for house installation
KR200480269Y1 (en) Worker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CN208223550U (en) Confined space service personnel positioning and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CN201402510Y (en) Anti-loss alarm device
CN204409732U (en) A kind of concealed alarm functional shoe
CN203492853U (en) Multifunctional wireless visual talkback safety helmet based on wifi technology
CN106875614A (en) A kind of fire-fighting real-time monitoring system
KR102025379B1 (en) Wearable apparatus for safety supervisory of construction field workers
KR100796143B1 (en) Alarm message transmit system and process
CN202454039U (en) Portable intelligent fall-down detector
CN204791403U (en) Photovoltaic remote monit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