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21Y1 -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 Google Patents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21Y1
KR200480121Y1 KR2020150000966U KR20150000966U KR200480121Y1 KR 200480121 Y1 KR200480121 Y1 KR 200480121Y1 KR 2020150000966 U KR2020150000966 U KR 2020150000966U KR 20150000966 U KR20150000966 U KR 20150000966U KR 200480121 Y1 KR200480121 Y1 KR 200480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oven
present
delete delet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익
Original Assignee
이효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익 filed Critical 이효익
Priority to KR2020150000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기를 생성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에 의해 생성된 화기의 순환경로인 고래를 형성하는 두둑, 상기 두둑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들장 및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을 포함하며, 상기 아궁이 상부에는 음식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고온에 따른 구들장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화재나 화상의 위험을 예방할 뿐 아니라 아궁이의 활용성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ONDOL STRUCTURE WITH COOKING PART}
본 고안은 온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궁이와 구들장 사이에 조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아궁이와 구들장 사이의 직접적인 화기 전달을 배제하여 구들장의 파손과 파손에 따른 연기의 누설을 방지하고, 아궁이에서 생성된 화기를 조리공간에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온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로 선조들이 옛날부터 전통적으로 사용하면서 전수되어오고 있는 가옥의 난방 방법으로 구들장을 이용한 온돌 난방 방식이 주로 선호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온돌난방 방식은 아궁이(10)에서 불을 때면 화기가 고래를 지나면서 구들을 가열시킴으로써 실내의 난방공간을 데우는 온돌난방은 한국 고유의 난방법으로 우리 민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모든 민가에서 사용되어 왔다.
온돌의 채난원리(採暖原理)는 열의 전도를 이용한 것인데, 방바닥 밑에 깔린 구들장에 화기를 도입시켜,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하는 것으로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하고 있다.
이러한 온돌 구조의 난방방식의 우수한 이점이 속속 밝혀지고 있어, 도시화와 더불어 사라졌던 것이 근래에 들어서면서 건강에 유익한 온돌 황토방 등으로 인기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으로는 공업화 등에 따라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시골의 주택에서도 일반적으로 기름 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일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화목을 하는 일이 거의 없어 국토의 야산에는 잡목들이 너무 우거져 길이 아니면 접근하기조차 쉽지 않아 화재가 발생하여도 진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정도여서 잡목을 화목으로 이용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산림청 등에서도 육림의 경제성 등의 목적으로 간벌한 나무가 많이 발생하여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는 나무가 가장 싼 연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온돌 구조는, 아궁이(10)와 접하고 있는 구들장(30)의 경우 아궁이(10)에서 발생한 화기가 직접적으로 구들장(30)에 전달되어, 고온으로 인해 구들장(30)이 쉽게 균열 또는 파손되고, 상기 균열 또는 파손된 부분으로 연기 등이 누설되며, 장판이나 이불이 타서 화재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고온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0802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궁이 상부에 화기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조리부를 구비함으로써, 구들장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아궁이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는, 화기를 생성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에 의해 생성된 화기의 순환경로인 고래를 형성하는 두둑; 상기 두둑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들장;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을 포함하며, 상기 아궁이 상부에는 음식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상부면은, 외벽에 접하는 상기 구들장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두둑의 하부면은, 상기 아궁이의 하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내벽은,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맥섬석, 맥반석, 토르말린, 황토, 옥, 수정, 석영, 전기석, 규조토 또는 수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바닥과 상부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지며, 황토로 상기 조리부를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지며, 황토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전면부에는, 음식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개폐 가능한 외부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상부는 내실공간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실공간에 위치한 조리부의 상부면에는 음식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개폐가능한 내부도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이송 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아궁이의 내외부로 적재된 화기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의 입구 양 측벽에는, 그릴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궁이 상부에 조리부를 구비함으로써 구들장으로의 직접적인 화기 전달을 배제하여 고온에 따른 구들장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기에 의해 화재나 화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한편, 아궁이에서 발생한 화기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히 화기만을 발생시켰던 아궁이의 활용성과 조리 공간 확보에 따른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온돌 구조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아궁이 주위의 구들장에 화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아궁이 상부에 조리부를 구비하여 고온에 의한 구들장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온돌구조는 아궁이(100), 조리부(200), 두둑(20), 구들장(30) 및 굴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궁이(100)는 일반적으로 화기로서의 불을 때기 위한 불구멍으로서, 아궁이에는 외벽 외부로 돌출되어 가마솥이 걸리며 가마솥 양쪽에는 널찍한 대가 만들어져 조리공간으로 활용되는 부뚜막식 아궁이와 외벽 내부에서 화기를 형성하며 조리 공간이 없는 함실식 아궁이가 있다. 본 고안은 외벽 내부에서 화기를 형성하는 함실식 아궁이에 관한 것이지만, 조리부(200)를 아궁이(100)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조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조리부(2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조리부(200)를 구비함에 따라 조리부(200)의 높이만큼 바닥면을 함몰시켜 아궁이(100)를 위치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아궁이(100)는 두둑(20)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아궁이의 전면부에는 개폐도어(1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두둑(20)은 상기 아궁이에서 생성된 화기의 순환경로인 고래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구들장(30)이 얹혀진다. 고래는 구들장으로의 열교환을 고르게 하는 태극문양식 배치와 1로식, 2로식, 다주식, 다로식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래의 형태에 따라 두둑(20)을 배치한다.
구들장(30)은 유입되는 화기에 의해 달궈지게 됨으로써, 화기를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두둑(20)의 상부에 놓여지게 되며, 구들장(30)의 열기는 구들장(30) 상부에 마련된 방바닥(60)으로 전달되어 진다. 이러한 구들장(30)은 백운모, 소다운모, 흑운모, 금운모, 홍운모, 진발나이트 등의 운모로 형성될 수 있다.
굴뚝(50)은 상기 고래와 연통되어 탄화에 의해 형성되는 연기를 최종적으로 배출하는 구성임과 동시에 아궁이(100)의 불을 빨아들이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활한 연기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래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굴뚝개자리가 고래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조리부(200)는 아궁이(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음식 조리를 가능케하는 구성으로, 외벽(40)에 접하는 구들장(30)의 하면과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궁이(100)에서 생성된 화기가 아궁이(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고온에 따른 구들장(30)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아궁이(100)에서 발생된 화기를 직접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조리가 가능해지는 공간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에 형성된 부뚜막식 아궁이가 아님에도 조리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리부(200)는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석재나 석판 등으로 제조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냄새와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뿐 아니라 멸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부(200)의 내벽은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맥섬석, 맥반석, 토르말린, 황토, 옥, 수정, 석영, 전기석, 규조토 또는 수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리부(200)의 바닥과 상부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지며, 황토로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내화벽돌로 제조하여 황토로 마감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다양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리부(200)의 내측에는 반사부를 구비하여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복사할 수 있게 하거나 에너지를 음식물에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조리부(200)의 전면부에는 음식의 조리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211)로 이루어져 손잡이(212)를 통해 개폐 가능한 외부도어(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의 조리부(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조리부(200)의 상부면이 구들장(30)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조리부(200)의 상부가 내실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내실 공간에서도 조리부(200)에서의 음식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손잡이를 통해 개폐가능한 내부도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내부도어(220)의 개폐방식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식이든 힌지 경첩에 의한 방식이든 내실 공간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내실 공간까지 연장 형성된 높이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의 조리부(200)는, 도 3에서처럼 조리부(200)의 일부만이 내실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리부(200) 전체가 내실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리부(200)의 하부가 구들장(300)의 하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게 되며, 두둑(20)은 아궁이(100)의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200)의 상부에는 온돌 침대(230)가 마련되어 조리부(200)에 전달된 화기를 이용하여 침대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내실 공간에 마련되는 내부도어(220)는 침대(23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궁이(100) 하부 지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0)과 이송 롤러(131)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이송하는 이송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0)는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적재 케이스(132)에 화기 연료를 적재한 후, 이송 걸고리(133)를 고리(미도시)에 걸고 가이드 레일(120) 상에서 이송부(1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아궁이(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부(130)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화기연료나 연소 중인 화기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연소 후의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송부(130)와 가이드 레일(120)은 내열성이 높아 화염이나 고열에도 강도 및 물성이 변화되지 않는 특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나 견고성, 내식성 측면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부(200)의 전면부에 음식의 조리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211)로 이루어져 손잡이(212)를 통해 개폐 가능한 외부도어(2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기 연료가 투입되는 아궁이(100) 입구의 양 측벽에는 복수의 지지돌기(140)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릴 등과 같은 구이부재(14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이부재(141)와 화기와의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구이부재(141)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와는 달리 조리부(200)를 복수 개(201, 202)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리부(201, 202)를 형성함으로써 오븐 기능, 찜 기능 등 필요에 따른 다양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도면에서는 복수의 조리부(201, 202)를 좌우로 배치시켰지만, 상하로 배치시켜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아궁이(100)의 입구에는 절첩되어 개폐가능한 개폐도어(11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내열성이 높아 화염이나 고열에도 강도 및 물성이 변화되지 않는 특성의 금속재질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화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한 강화유리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아궁이(100) 전면부 일측에는 화기의 불완전 연소에 알맞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공기 조절구(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아궁이
20: 두둑
30: 구들장
40: 외벽
50: 굴뚝
60: 방바닥
110: 개폐도어
111: 개폐도어 손잡이
112: 공기 조절구
120: 가이드 레일
130: 이송부
131: 이송롤러
132: 적재 케이스
133: 이송 걸고리
140: 지지돌기
200: 조리부
210: 외부도어
211: 강화유리
212: 손잡이
220: 내부도어
230: 온돌침대

Claims (10)

  1. 아궁이의 입구 양 측벽에는 그릴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화기를 생성하는 아궁이;
    상기 아궁이에 의해 생성된 화기의 순환경로인 고래를 형성하는 두둑;
    상기 두둑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들장;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을 포함하며,
    상기 아궁이 상부에는 음식의 조리가 가능한 조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부의 상부면은 외벽에 접하는 상기 구들장의 하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조리부의 내벽은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맥섬석, 맥반석, 토르말린, 황토, 옥, 수정, 석영, 전기석, 규조토 또는 수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두둑의 하부면은 상기 아궁이의 하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아궁이의 하부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이송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아궁의의 내외부로 이송 걸고리에 의해 적재된 화기 연료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탄소강 소재의 이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지며, 황토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전면부에는,
    음식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개폐 가능한 외부도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50000966U 2015-02-11 2015-02-11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KR200480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66U KR200480121Y1 (ko) 2015-02-11 2015-02-11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66U KR200480121Y1 (ko) 2015-02-11 2015-02-11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21Y1 true KR200480121Y1 (ko) 2016-04-14

Family

ID=5579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66U KR200480121Y1 (ko) 2015-02-11 2015-02-11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8Y1 (ko) * 2001-10-16 2002-01-31 박순학 아궁이와 연결되는 벽난로
KR100896722B1 (ko) * 2008-11-13 2009-05-11 배성현 장작연소식 이동 찜질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8Y1 (ko) * 2001-10-16 2002-01-31 박순학 아궁이와 연결되는 벽난로
KR100896722B1 (ko) * 2008-11-13 2009-05-11 배성현 장작연소식 이동 찜질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43406A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ый камин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CN107726365B (zh) 火炉
KR101241386B1 (ko) 목재 연소용 화덕
KR20160134420A (ko) 조립 및 이동식 가옥을 구비한 온돌식 난방구조
KR20160050105A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200480121Y1 (ko) 조리부를 구비하는 온돌구조
JP6148282B2 (ja) ストーブ
KR20130015543A (ko)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KR20160112837A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1147290B1 (ko) 열효율이 우수한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CN201503039U (zh) 家用节能锅炉
KR102052508B1 (ko) 화덕 겸용 난로
KR101289550B1 (ko) 연탄 전용 착화 장치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RU109270U1 (ru) Банная печь с газогенераторной насадкой и паровая баня для нее
KR20160004029U (ko) 열효율이 향상된 온돌장치
CN209371316U (zh) 一种煤柴双炉膛的燃炉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CN103244970B (zh) 多功能柴煤两用节能炉灶
KR200461638Y1 (ko)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
KR20110091960A (ko) 난로 겸용 보일러
CN109307288A (zh) 煤柴双炉膛的燃炉
KR102009984B1 (ko) 열효율이 향상된 벽난로 어셈블리
KR101453624B1 (ko) 훈제 공간을 갖는 화목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