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63Y1 -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63Y1
KR200480063Y1 KR2020140005936U KR20140005936U KR200480063Y1 KR 200480063 Y1 KR200480063 Y1 KR 200480063Y1 KR 2020140005936 U KR2020140005936 U KR 2020140005936U KR 20140005936 U KR20140005936 U KR 20140005936U KR 200480063 Y1 KR200480063 Y1 KR 200480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winding
groove
fitting
wi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561U (ko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안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호 filed Critical 안성호
Priority to KR2020140005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63Y1/ko
Priority to PCT/KR2014/007727 priority patent/WO201502615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0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선부를 이용하여 이어폰줄의 권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의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Standing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이어폰이 감길 수 있는 슬라이딩 권선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지대 없이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서 휴대폰이 서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다.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본 고안자의 특허등록 제10-1357323호를 개량하여, 상기 특허의 권선부에 추가적으로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를 착탈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특허의 기본 구성 요소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배경 기술로서, 상기 특허의 도면을 발췌하여 스탠딩 기능이 없는 슬라이딩 권선부만을 갖는 종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P)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이어폰줄이 권선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권선부(200: 도 1c 참조)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P)는 협의의 휴대폰을 포함하여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휴대단말기(P)는 충격에 약하므로, 휴대단말기(P)의 후면을 본체(100)에 삽입하여 보관 및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P)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라디오나 TV 수신,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등을 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방에 휴대단말기(P)가 삽입되도록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후방에 권선부(20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의 결합형 본체(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커버(12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커버(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아 후방커버(120)가 필요 없을 시에는 후방커버(120)를 전방커버(110)에서 탈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는 휴대단말기(P)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기능키, 스피커, 이어폰 단자 등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부분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공(112, 122)이 필요한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도 1c는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d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후방 즉,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는 권선부(200)의 내면이 안내되도록 오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4)는 후방커버(12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서 그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24)의 높이는 권선부(200)의 높이와 같거나, 권선부(200)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 위치되면 권선부(200)의 외면이 후방커버(120)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권선부(200)가 후방커버(120)의 후면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후, 이어폰(10)이 권선부(200)에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부(200)는 탄성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이어폰(10)이 용이하게 권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오목부(124)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권선부(200)에는 고정홈(210), 고정돌기(220) 및 가이드홀(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권선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어폰(10)의 일부가 고정홈(21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돌기(220)는 권선부(200)의 외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호 이격 되어, 그 사이에 고정홈(222)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홈(222)에 이어폰(10)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홀(230)은 권선부(20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는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130)가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홀(23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232), 제 2 홀(234) 및 제 3 홀(236)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232) 및 상기 제 3 홀(236)에서 상기 제 2 홀(234)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내돌기(130)는 상기 제 2 홀(234)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
기(130)에 가이드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2 홀(234)이 안내돌기(130)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진 후 이동된다. 한편,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의 내주연에도 이어폰(10)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e는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100) 및 권선부(200)를 포함하되, 권선부(200)가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a 내지 1d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24)가 후방커버(120) 구비되었으나, 도 1e의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16)가 전방커버(110)에 구비된다. 오목부(116)는 전방커버(11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16)에 삽입되어, 권선부(2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 사이의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57323호
본 고안은 특허등록 제10-10357323호를 개량하여, 권선부에 받침대를 착탈식으로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세워놓을 수 있는 기능을 더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부 중 슬라이딩 되어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이어폰줄이 감겨 지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돌기와 홈 형상의 암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각각 자석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자석부의 자석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권선부끼움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홈과 받침대끼움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말단에는 돌기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와 받침대끼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받침대는 신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이 절개되어 홈을 갖되, 상기 홈의 양 내측으로 직선상의 레일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레일돌기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직선상의 레일홈을 더 가져,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가 상기 레일돌기와 레일홈의 수평적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받침대와 권선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틸팅 기능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슬라이딩되는 권선부를 통하여 이어폰줄을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놓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간단한 끼움 결합 또는 자석 결합에 의하여 받침대를 권선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바, 필요에 따라 매우 쉽게 받침대를 권선부로부터 분리하여 보관 또는 결합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틸팅 기능을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의 발췌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이며, 도 5b 및 5c는 받침대의 x축(길이 방향) 및 y축(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 5d는 틸팅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수평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c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6d는 수평 끼움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의한 자석 결합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의한 끼움 결합 방식과 자석 결합 방식의 혼합 결합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본 고안은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특허 제10-1357323호를 개량한 고안으로서, 본 고안에서도 상기 특허의 기본적인 기능인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기술을 모두 사용하되, 권선부를 개량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으므로,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e에서 사용한 용어 및 도면 부호는 본 고안에서도 그대로 사용하며, 상기 도면을 통해 설명한 기본적인 구성(본체, 슬라이딩 권선부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받침대(300)는 육면체, 원통형 등 스탠딩이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나, 이하 설명에서는 받침대(300)의 전체적 형상이 신발 형태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권선부(200)는 "슬라이딩 권선부(200)"의 약칭으로 사용됨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1000)의 사시도로서,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와는 달리 권선부(200)에 착탈 가능한 받침대(300)를 더 갖는다. 상기 받침대(300)는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 휴대단말기(P)를 세워둘 필요가 없는 경우 받침대(300)는 탈거하여 별도로 보관 가능하다.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10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P)를 세운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자의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와는 달리 받침대(300)가 슬라이딩 권선부(200)의 말단, 즉, 이어폰이 감기는 말단과 결합되어 있어, 권선부(200)를 통해 이어폰줄을 감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300)를 통해 휴대단말기(P)를 세울 수 있다.
이러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의 다양한 착탈식 구조가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권선부(200)와 받침대(300)의 착탈식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하되, 설명의 편의상 도 2a 및 2b와 달리 본체(100)와 휴대단말기(P)를 생략하고, 권선부(200)와 받침대(300)만을 도식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도면에서 본체(100) 등이 표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권선부(200)는 본체(1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음을 명시한다.
제1실시예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본 고안의 권선부(200)는 슬라이딩시 외부로 노출되어 이어폰줄이 감기는 외측 말단(250)에 홈 형상의 권선부끼움홈(240)을 더 갖는다.
한편, 상기 권선부(20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300)는 지면(또는 책상 등의 평면을 모두 의미)에 닿는 바닥면(310)과 권선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면(320)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결합면(320)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240)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상의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340)를 갖는다. 결합면(320) 전체가 받침대끼움돌기(340)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도 3a와 같이, 상부면(320)의 대략 중간 정도에는 상부면(320)의 폭(d1)보다 폭이 좁은(d2)을 갖도록 측면이 절개된 단차부(341)를 더 갖고, 상기 단차부(341)에 권선부끼움홈(240)이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 반대로 권선부(200)에 끼움 돌기가 구비되고, 받침대(300)에 홈이 구비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이다.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권선부(200)의 외측말단(250)에는 돌출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270)가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권선부끼움돌기(270)는 육면체 형상이어도 되나, 원통형, 오각형, 십자가형 등 다양한 돌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에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370)을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와 받침대끼움홈(370) 사이의 상하 끼움 결합에 의하여 권선부(200)와 받침대(300)가 착탈된다.
제3실시예
본 고안에서는 받침대(300)와 권선부(200)가 일직선상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틸팅(tilting)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틸팅 기능은 사용자가 휴대폰(P)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휴대폰(P)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틸팅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인 틸팅 방식을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d를 참고하여, 틸팅 방식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이며, 도 5b 및 5c는 받침대의 x축(길이 방향) 및 y축(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 5d는 틸팅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권선부끼움돌기(270)의 양 측면에 톱니돌기(271)를 더 갖는다.
한편, 이에 대응하는 받침대(300)의 x축(신발 길이 방향) 단면도인 도 5b와 y축(신발 폭 방향) 단면도인 도 5c와 같이, 상기 톱니돌기(271)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의 홈인 톱니홈(371)이 받침대끼움홈(37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받침대(300)와 권선부(200) 중 최소 하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비록 톱니돌기(271)가 있더라도 받침대끼움홈(370)에 강제 끼움이 가능하다.
도 5d는 틸팅 기능을 더 갖는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틸팅되는 상태를 도시화한 것이다. 틸팅을 위해서 받침대끼움홈(370)의 폭은 권선부끼움돌기(270)보다 소폭 길어야, 받침대(300)가 회전 가능하다. 상기 톱니돌기(270)가 톱니홈(371)내에서 톱니 회전함에 따라 일정 각도로 틸팅되고, 따라서 권선부(200)와 결합된 본체(100)가 같은 각도로 틸팅되며, 본체(100)와 끼움 결합된 휴대단말기(P) 역시 같은 각도로 틸팅이 이루어진다.
제4실시예
한편, 끼움 결합 방식의 일종이기는 하나, 상하 끼움 결합 방식이 아닌, 측면에서 수평적으로 결합되도록 레일을 이용한 레일 결합 방식도 가능하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수평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c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6d는 수평 끼움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와 같이, 레일돌기부(280)는 하측 말단(250)이 관통 절개되는 점에서는 전술한 권선부끼움홈(240)과 유사하지만, 권선부끼움홈(240)과 달리 내측면에 대향되게 2 개의 일직선상의 레일돌기(28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받침대(300)의 레일홈(380, 도 6c 참조)에 끼움 결합된다.
도 6c는 레일홈(380)을 갖는 받침대(300)의 사시도로서,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는 상기 레일돌기부(280)에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양 측면에 일직선 홈 형상의 레일홈(380)이 형성된다.
도 6d는 도 6a의 권선부(200)와 도 6c의 받침대(300)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받침대(300)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의 말단으로부터 수평적으로 권선부(200)를 끼운 후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켜 결합을 완료한다.
제5실시예
본 고안에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는 끼움 방식이 아닌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자석 결합 방식으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가 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권선부(200)의 하부 말단(320)에는 자석부(29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게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도 자석부(390)가 형성되어 서로 자석 결합이 가능하다.
제6실시예
전술한 끼움 결합 방식과 자석 결합 방식을 동시에 적용한 결합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4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선부(200) 및 받침대(300)를 개량하여 자석을 더 구비하는 실시예로서, 권선부(200)의 권선부끼움돌기(270) 하부에 자석부(290)를 더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받침대(300)의 권선부끼움홈(370)에 내부 바닥면에도 자석부(390)를 더 구비하여, 끼움 결합과 동시에 자석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석 결합은 전술한 제2실시예 이외에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110 : 전방커버 112 : 개방공
114 : 수용부 120 : 후방커버
122 : 개방공 124 : 오목부
130 : 안내돌기 200 : 권선부
240 : 권선부끼움홈 250 : 외측 말단
270 : 권선부끼움돌기 271 : 톱니돌기
280 : 레일돌기부 281 : 레일돌기
290. 390 : 자석부 300 : 받침대
310 : 바닥면 320 : 결합면
340 : 받침대끼움돌기 370 : 받침대끼움홈
371 : 톱니홈

Claims (8)

  1.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부 중 슬라이딩 되어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이어폰줄이 감겨 지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돌기와 홈 형상의 암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서,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각각 자석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자석부의 자석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4.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권선부끼움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홈과 받침대끼움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5.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말단에는 돌기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와 받침대끼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6. 제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신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7.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이 절개되어 홈을 갖되, 상기 홈의 양 내측으로 직선상의 레일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레일돌기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직선상의 레일홈을 더 가져,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가 상기 레일돌기와 레일홈의 수평적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권선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틸팅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20140005936U 2013-08-20 2014-08-07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80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ko) 2014-08-07 2014-08-07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PCT/KR2014/007727 WO2015026154A1 (ko) 2013-08-20 2014-08-20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ko) 2014-08-07 2014-08-07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61U KR20160000561U (ko) 2016-02-17
KR200480063Y1 true KR200480063Y1 (ko) 2016-04-07

Family

ID=5544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ko) 2013-08-20 2014-08-07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6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97Y1 (ko) 2012-03-22 2012-10-18 주식회사 유엑스씨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97Y1 (ko) 2012-03-22 2012-10-18 주식회사 유엑스씨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61U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1213A1 (en)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CN1787548B (zh) 带有扬声器的移动终端
KR101024928B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CN104584520A (zh) 用于电子设备中的输入/输出架构的装饰件
MX2007005303A (es) Terminal de bajada de fibra.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10192587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US7805109B2 (en) Detachable earphone structure
KR200480063Y1 (ko)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KR200476235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20103831A (ko) 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4606U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 및 수납 케이스
JP2015032975A (ja) 防塵プラグを挿入可能であるとともにイヤホンコードを収納可能な携帯電話保護ケース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938258B1 (ko) 핸드폰 케이스
US9247035B1 (en) Twisted case
KR101462255B1 (ko) 거치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101041103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KR102324828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JP3186615U (ja) 防塵プラグを挿入可能であるとともにイヤホンコードを収納可能な携帯電話保護ケース
KR200469634Y1 (ko) 탈착 가능 받침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2993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30126522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8776Y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