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84Y1 - Rice box - Google Patents

Ric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84Y1
KR200479884Y1 KR2020140005323U KR20140005323U KR200479884Y1 KR 200479884 Y1 KR200479884 Y1 KR 200479884Y1 KR 2020140005323 U KR2020140005323 U KR 2020140005323U KR 20140005323 U KR20140005323 U KR 20140005323U KR 200479884 Y1 KR200479884 Y1 KR 200479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ain
present
cylinder
low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0280U (en
Inventor
한강회
Original Assignee
한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강회 filed Critical 한강회
Priority to KR2020140005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84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8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60)을 더 구비시켜 하측구멍(11) 주위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유리파편의 발생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le protection cap 60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to protect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And more particularly,

Description

곡물 보관장치{RICE BOX}Grain storage device {RICE BOX}

본 고안은 곡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곡물을 유실없이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that can conveniently draw grain without loss by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주식으로 이용되는 곡물, 예를 들면, 쌀, 보리, 밀, 옥수수, 콩 등은 각 가정의 곡물 보관장치 즉, 쌀통 속에 채워 바가지 등으로 인출하여 밥을 짓곤 한다.
Generally, cereals used as stocks, for example, rice, barley, wheat, corn, soybeans, etc., are filled into rice cakes and stored in each household's grain storage unit.

선행기술문헌 1(공개실용신안 제1989-0006280호)은 쌀통 배출구의 자동 개폐장치를 소개하고 있다.Prior Art Document 1 (Open Utility Model No. 1989-0006280) discloses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outlet of a rice barrel.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을 나타내는 요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을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이며,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쌀통 배출구의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전기 회로도이다.1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ice cylin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and FIG. 1C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rice cylinder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ce cylin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It i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 배출구의 자동 개폐장치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 내부에 설치된 흡퍼(2)의 저면에 여닫이판(4)으로 개폐되는 배출구(3)를 연결하고, 배출구(3) 상방에 철심(6)을 내장한 솔레노이드(7)와 타이머(11)를 구비한 전원회로를 장설하여, 철심(6) 하단을 여닫이판(4) 상단에 연결하고, 통체(1) 전면에 타이머(11)와 연결되는 가변기(9) 및 스위치(10)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1A to 1C,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rice cylinder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has a discharge port 3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plate 4 on the bottom surface of a winder 2 installed inside a cylinder 1 A power supply circuit including a solenoid 7 and a timer 11 having an iron core 6 built in above the discharge port 3 is provided and the lower end of the iron core 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inge plate 4, And a switch 10 and a variable device 9 connected to the timer 11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1.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 배출구의 자동 개폐장치는 쌀을 배출하기 위하여 철심(6)을 내장한 솔레노이드(7)와 타이머(11)를 구비한 전원회로 그리고 가변기(9) 및 스위치(10)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필요로 하여 제작시 고가의 비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사용 역시 복잡하고 고장시 수리 또한 쉽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rice cylinder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includes a power supply circuit including a solenoid 7 and a timer 11 having an iron core 6 built therein for discharging rice, 10), which are expensive and expensive to manufacture, are complicated to use, and are difficult to repair in case of failure.

선행기술문헌 2(공개실용신안 제2001-0001403호)는 옹기 쌀통을 소개하고 있다.Prior Art Document 2 (Public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1-0001403) introduces Onggi rice cans.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nggi ricebott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and FIG. 2C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n Onggi ricebotto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50)을 저장하는 쌀저장옹기(20), 서랍장(30), 수납장(44)을 구비하고, 서랍장(30)에는 서랍(31) 및 투입구(32)가 형성되며, 수납장(44)에는 힌지(45)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배출장치(41) 및 수납함(43)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Onggi rice cistern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rice storing pot 20, a drawer 30, and a storage 44 for storing rice 50, A drawer 31 and an inlet 32 are formed in the cabinet 44. The cabinet 44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device 41 and a storage box 43 which are rotated around the hinge 45. [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 역시 쌀을 배출하기 위하여 수납함(43)과는 별도로 배출장치(41) 및 힌지(45)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필요로 하여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 역시 불편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2 also requires a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the discharging device 41 and the hinge 45 separately from the storage box 43 for discharging rice, which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to use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89-0006280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1989-000628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1-0001403호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01-0001403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함의 하측구멍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을 더 구비시켜 하측구멍 주위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유리파편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by preventi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from being formed by further providing a hole protection cap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of the storage box .

본 고안의 목적은 하측구멍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탄성적으로 커버링하도록 신축 가능한 합성수지,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실리콘수지 또는 고무로 홀 보호캡을 제작하여 하측구멍 주위로부터 유리파편의 발생을 철저히 차단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bricate a hole-protecting cap made of a stretchable synthetic resin such as a stretchable silicone resin or rubber to elastically cover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to thoroughly prevent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from around the lower ho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a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어퍼 보호캡과 언더 보호캡 상호간의 간단한 조립으로 홀 보호캡을 완성하여 하측구멍의 주위를 더욱 철저히 보호토록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pleting the hole protection cap by a simple assembly of the upper protection cap and the under protection cap so as to protect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more thoroughly.

본 고안의 목적은 어퍼 플레이트 및 언더 플레이트로 하여금 방사상으로 펼쳐진 보강리브를 더 포함토록 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upper plate and the under plate from being b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further including a radially extending reinforcing rib.

본 고안의 목적은 단 하나의 인출유닛으로 하여금 전진시 곡물을 채우면서도 후진시 곡물 유실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요한 양만큼 배출토록 한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 grain withdrawing unit which, while filling the grain at the time of its advancement, blocks the grain loss at the time of backward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s the necessary amount of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함과 더불어 간소함 나아가 제품의 단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조립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which is simple in addition to simplicity, and can assure even the cost of the product while assuring the assembling property.

본 고안의 목적은 인출유닛의 전진시 상측방향 개방홈과 더불어 상하방향 개방홀을 통해 곡물을 채우고 인출유닛의 후진시 하측구멍으로부터의 곡물 유실을 차단하면서 상하방향 개방홀을 통해 상측방향 개방홈으로부터 곡물을 간단히 인출토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illing a grain through a vertical opening hole when advancing a drawing unit and an upper opening opening through a vertical opening hole while blocking grain leakage from a lower hole at the time of retraction of a draw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ensuring ease of use by simply pulling out the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의 간단한 인출을 보장하면서 곡물의 불필요한 유실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ositively blocking unnecessary loss of grain while ensuring simple withdrawal of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성, 생산성 및 사용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ensuring the assemblability, productivity and ease of use.

본 고안의 목적은 바가지로의 곡물 채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facilitating the filling of grains with a large amount of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극히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곡물의 보관과 더불어 인출을 가능케 하여 제품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율을 현저히 줄이고 더욱 간단 편리하게 사용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product cost by enabling the storage of the grain together with the storage of the grain by a very simple constitution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failure rate and using the grain easily and conveniently.

본 고안의 목적은 인출유닛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하부 스토퍼와 하부 슬라이딩 면의 합치로서 사용시 인출유닛의 좌우회전에 의한 정위치 이탈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right position deviation phenomenon by a left-right rotation of a draw-out unit during use even when the draw-out un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have.

본 고안의 목적은 인출유닛의 전후진 한계를 간단하게 구현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which can simply implement the forward and backward limit of the draw unit.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통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인출유닛의 조립성 또한 보장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draw-out unit from the horizontal cylinder and assuring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draw-out unit.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바디의 비좁은 공간에서 채움공간을 통해 곡물의 인출량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that enables a larger amount of grain to be drawn through a filling space in a cramped space of a supporting body.

본 고안의 목적은 경사 안내편을 통해 받침바디 앞에 놓여진 바가지로 곡물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which is positioned in front of a support body through a slope guid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grain.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함으로부터 상하방향 개방홀로의 곡물의 유입을 더욱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that allows more flexible inflow of grain from the storage box to the upper and lower open holes.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바디에 내장되어 하측구멍을 경유한 곡물을 상하방향 개방홀 속으로 전량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which is built in a supporting body and guides grains passing through a lower hole into a vertical opening hole.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함을 견고하게 지지 및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which can firmly support and support the storage box.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 개방홀로 전량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in which grain can be introduced into a vertical opening hole along an inclined surface.

본 고안의 목적은 경사면과 전측수평통, 상하방향 개방홀, 후측수평통의 양측에 틈새라인을 더 포함시켜 상호간의 견고한 일체화를 도모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apparatus which can further include a clearance line on both sides of a slope and a front water surface, a vertical opening hole and a rear water surface.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함의 하측구멍과 인출유닛의 상하방향 개방홀 상호간의 긴밀한 합치를 보장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a close fit between the lower hole of the storage box and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of the draw-out unit.

본 고안의 목적은 하측구멍으로부터 곡물의 낙하시 캡의 자리이탈 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곡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storage device capable of positively preventing a displacement of a cap when a grain falls from a lower h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곡물을 수용하여 하측구멍으로 낙하시키는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바디와, 상기 받침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하측구멍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곡물을 배출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는 곡물 보관장치에 있어서,A gravity storage device including a storage box for receiving grains and dropping the grains into a lower hole, a support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and a take-out unit for discharging grains dropped on the support body via the lower hole As a result,

상기 하측구멍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And a hole protection cap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본 고안은 보관함의 하측구멍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을 더 구비시켜 하측구멍 주위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유리파편의 발생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hole protection cap for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of the storage box, thereby protecti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thoroughly prevent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본 고안은 하측구멍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탄성적으로 커버링하도록 신축 가능한 합성수지,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실리콘수지 또는 고무로 홀 보호캡을 제작하여 하측구멍 주위로부터 유리파편의 발생을 철저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e protecting cap by a stretchable synthetic resin such as a stretchable silicone resin or rubber so as to elastically cover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from around the lower hole It is effective.

본 고안은 어퍼 보호캡과 언더 보호캡 상호간의 간단한 조립으로 홀 보호캡을 완성케 하여 하측구멍의 주위를 더욱 철저히 보호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hole protection cap can be completed by a simple assembly between the upper protection cap and the under protection cap, and the surroundings of the lower opening can be more thoroughly protected.

본 고안은 어퍼 플레이트 및 언더 플레이트로 하여금 방사상으로 펼쳐진 보강리브를 더 포함토록 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under plate can further include a radially extending reinforcing rib, and can prevent the upper plate and the under plate from being bent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고안은 단 하나의 인출유닛으로 하여금 전진시 곡물을 채우면서도 후진시 곡물 유실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요한 양만큼 편리하게 배출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only one drawing unit to discharge grains at the time of backward movement while filling the grains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o discharge the required amount as convenient.

본 고안은 단순함과 더불어 간소함 나아가 제품의 단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조립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design is simpler in addition to simplicity. Further,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assemblability can be guaranteed.

본 고안은 인출유닛의 전진시 상측방향 개방홈과 더불어 상하방향 개방홀을 통해 곡물을 채우고 인출유닛의 후진시 하측구멍으로부터의 곡물 유실을 차단하면서 상하방향 개방홀을 통해 상측방향 개방홈으로부터 곡물을 인출토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is fill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pen holes in the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of the drawing unit, and the grain leakage from the lower hole is blocked when the drawing unit is moved backwar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use.

본 고안은 조립성, 생산성 및 사용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design has the effect of assuring the assemblability, the productivity and the convenience of use.

본 고안은 바가지로의 곡물 채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filling of the grains of the gourd.

본 고안은 극히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곡물의 보관과 더불어 인출을 가능케 하여 제품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율을 현저히 줄이고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trieve the grain together with the extremely simple configuration,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product cost,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failure rate and using it more conveniently.

본 고안은 인출유닛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하부 스토퍼와 하부 슬라이딩 면의 합치로서 사용시 인출유닛의 좌우회전에 의한 정위치 이탈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draw-out unit due to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draw-out unit in use in advance even when the draw-out unit is formed 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s a combination of the lower stopper and the lower sliding surface.

본 고안은 인출유닛의 전후진 한계를 간단하게 구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y implementing the forward / backward limit of the drawing unit.

본 고안은 수평통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인출유닛 및 수평통의 조립성 또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ssuring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draw-out unit and the horizontal basket while preventing the draw-out phenomenon of the draw-out unit from the horizontal cylinder.

본 고안은 받침바디의 비좁은 공간에서 채움공간을 통해 곡물의 인출량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amount of grain to be drawn more through the filling space in the cramped space of the supporting body.

본 고안은 경사 안내편을 통해 받침바디 앞에 놓여진 바가지로 곡물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grain through the inclined guide, which is placed in front of the support body.

본 고안은 하측구멍으로부터 곡물이 낙하될 때 튀지 않도록 전측수평통 및 상하방향 개방홀 사이에 개재된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보관함으로부터 상하방향 개방홀로의 곡물의 유입을 더욱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sh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horizontal water hole and the vertical opening hole so as not to be splashed when the grain is dropped from the lower hole so that the inflow of grain from the storage case into the vertical opening hole can be implemented more flexibly It is effective.

본 고안은 받침바디에 내장되어 하측구멍을 경유한 곡물을 상하방향 개방홀 속으로 전량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whole grain contained in the supporting body through the lower hole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본 고안은 보관함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 및 받쳐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esign has the effect of more firmly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torage box.

본 고안은 곡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 개방홀로 전량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grain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 holes along the inclined plane.

본 고안은 경사면과 전측수평통, 상하방향 개방홀, 후측수평통의 양측에 틈새라인을 더 포함시켜 상호간의 견고한 일체화를 도모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luding a clearan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water level, the vertical opening hole, and the back water level surface, thereby ensuring solid integration.

본 고안은 보관함의 하측구멍과 인출유닛의 상하방향 개방홀 상호간의 긴밀한 합치를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a close fit between the lower hole of the storage box and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of the drawer unit.

본 고안은 하측구멍으로부터 곡물의 낙하시 캡의 자리이탈 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ositively preven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p when the grains fall from the lower hole.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을 나타내는 요부 절개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쌀통을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쌀통 배출구의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전기 회로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옹기 쌀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비롯한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 및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나타내는 사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비롯한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사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사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umbar incision showing a rice barr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FIG.
Fig. 1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showing the rice cylin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Fig.
1C i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rice cylinder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an Onggi rice bow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nggi rice bow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2C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ice paddy rice p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drawer unit including a support body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ody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5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drawing unit applied to the grain 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photograph showing a support body applied to a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draw-out unit including a support body applied to a grain kee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unit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wer unit applied to 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a drawing unit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showing a storage box and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a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a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chamber and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orage box and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a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re can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thereof. It becomes understandable.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미 설명부호 1은 뚜껑을 지시한다.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 1 indicates a lid.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수용하여 하측구멍(11)으로 낙하시키는 보관함(10)과, 이 보관함(1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바디(20)와, 받침바디(20)에 장착되어 하측구멍(11)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곡물을 배출하는 인출유닛(30)을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storing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box 10 for receiving grains and dropping them into a lower hole 11 as shown in Figs. 3A and 3B, and a support body 20 And a take-out unit 30 mounted on the receiving body 20 and discharging the grains to be dropped via the lower hole 11.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보관함 및 홀 보호캡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orage box and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rain storage apparatus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showing a storage box and a hole protection cap applied to the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60)을 더 포함한다.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le protection cap 60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as shown in Figs.

보관함(10)은 예를 들어 유리로 제작할 수 있고, 하측구멍(11)은 커팅에 의해 뚫려질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사용 중 하측구멍(11) 주위로 유리파편이 발생하여 곡물 낙하시 함께 배출되어 밥을 짓거나 곡물을 쪄 먹을 때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60)을 더 구비시켜 하측구멍(11) 주위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유리파편의 발생을 철저히 방지코자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torage box 10 can be made of glass, and the lower hole 11 can be pierced by cutting. In this case, glass fragments are generated around the lower hole 11 during use,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hole protection cap 60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in order to damage the human body when cooked or grained, A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is protected so a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glass fragments thoroughly.

바람직하게, 홀 보호캡(60)은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탄성적으로 커버링하도록 씌워지는 신축 가능한 합성수지,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실리콘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하여 하측구멍(11) 주위로부터 유리파편이 전혀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le protection cap 60 is made of a stretchable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 stretchable silicone resin or rubber, which is covered to elastically cover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It is preferable that no glass fragments are generated from the periphery.

더욱 바람직하게, 홀 보호캡(60)은 하측구멍(11)의 상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어퍼 플레이트(61a), 어퍼 플레이트(61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하측구멍(11)의 내주연을 커버링하면서 외향 나사산(61c)이 형성된 어퍼 수직통(61b)을 지닌 어퍼 보호캡(61)과, 하측구멍(11)의 언더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언더 플레이트(62a), 언더 플레이트(62a)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외향 나사산(61c)에 치합되는 내향 나사홈(62c)이 형성된 언더 수직통(62b)을 지닌 언더 보호캡(62)을 포함하여, 어퍼 보호캡(61)과 언더 보호캡(62) 상호간의 간단한 조립으로 하측구멍(11)의 주위를 더욱 철저히 보호토록 한다.More preferably, the hole protection cap 60 includes an upper plate 61a coveri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a lower plate 61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61a to cover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An upper protective cap 61 having an upper vertical cylinder 61b formed with an outwardly directed thread 61c and an under plate 62a covering the und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hole 11, And an under protective cap 62 having an under screw hole 62b in which an inward screw thread groove 62c engaged with the outward screw thread 61c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rotective cap 61 and the under protective cap 62,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is more thoroughly protected by mutual simple assembly.

이때, 어퍼 플레이트(61a) 및 언더 플레이트(61b)는 방사상으로 펼쳐진 보강리브(R)를 더 포함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어퍼 플레이트(61a) 및 언더 플레이트(61b)의 휨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61a and the under plate 61b further include radially extending reinforcing ribs R to prevent the upper plate 61a and the under plate 61b from warping even if they ar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비롯한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 및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받침바디를 비롯한 인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장치에 적용된 인출유닛을 나타내는 사진이다.4A to 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ake-out unit including the support body applied to 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body applied to 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eceiving body and the drawing unit applied to the grain 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ceiving body applied to the grain s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Fig. 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unit applied to the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wer unit applied to a grain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ing a picture.

도 3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바디(20)는 하측구멍(11)을 향한 상측방향 개방홈(21b)을 사이에 두고 전측수평통(21a) 및 후측수평통(21c)을 지닌 수평통(21)을 구비하고, 이 수평통(21)에는 인출유닛(30)이 슬라이딩 전후진되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s. 3A to 8, the receiving body 20 includes a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and a rear water leveling cylinder 21c with an upward opening groove 21b facing the lower hole 11 therebetween, And is designed so that the drawing unit (30)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cylinder (21).

인출유닛(30)은 수평통(21)에 슬라이딩 끼워짐과 동시에 상측방향 개방홈(21b)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개방홀(31b)을 사이에 두고 전측내통(31a) 및 후측내통(31c)을 지니면서 수평통(21) 속으로 전진될 경우 하측구멍(11)으로부터 낙하되는 곡물을 상측방향 개방홈(21b)으로 받쳐주면서 상하방향 개방홀(31b) 속에 채울 수 있도록 하고 후진될 경우 전측내통(31a)으로 하여금 하측구멍(11)의 곡물 유실을 차단토록 하면서 상하방향 개방홀(31b)을 통해 상측방향 개방홈(21b)으로부터 곡물을 인출시켜 수평통(21) 밖으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drawer unit 30 is slidably fitted in the horizontal bar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inner cylinder 31a and the rear inner cylinder 31c are provided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corresponding to the upward opening grooves 21b therebetween (11b), the grains falling from the lower hole (11) can be filled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while supporting the grains falling from the upper opening groove (21b) 31a to allow the grains to be pulled out of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through the vertical opening 31b while allowing the grain leakage of the lower opening 11 to be cut off and to be simply discharged out of the horizontal opening 21. [

보관함(10)에는 주로 쌀이나 보리 또는 콩 나아가 잡곡 등이 채워질 수 있고, 하측구멍(11)을 통해 곡물을 낙하시키며, 이렇게 하측구멍(11)을 통해 낙하된 곡물을 인출유닛(30)으로 받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torage 10 is filled with rice, barley or soybean grains, and the grains are dropped through the lower hole 11, and the grains dropped through the lower hole 11 are received by the drawing unit 30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outside.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단 하나의 인출유닛(30)으로 하여금 전진시 하측구멍(11)을 경유한 곡물을 채우면서도 후진시 하측구멍(11)의 곡물 유실을 차단토록 함과 동시에 상하방향 개방홀(31b)에 채워진 양만큼 배출토록 하여 단순한 구조와 더불어 간소한 구성 나아가 편리한 사용과 더불어 제품의 단가까지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draw-out unit (30) allows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lower hole (11) to be filled up while blocking the grain leakage of the lower hole (11) (31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nit cost of the product in addition to the simple structure, the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convenient use.

인출유닛(30)은 받침바디(20)의 수평통(21), 즉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을 향한 상측방향 개방홈(21b)을 사이에 두고 전측수평통(21a) 및 후측수평통(21c)을 지닌 수평통(21)에 전후진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져 사용 편리성은 물론이거니와 조립성 및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 drawer unit 30 includes a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and a rear water leveling cylinder 21b with an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21b facing the lower side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Is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bar 21 having the side water leveling surface 21c so that the ease of use as well as the assurance of assembling and productivity can be ensured.

전측수평통(21a)은 도 3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유닛(30)의 전후진 한계를 정해주도록 하부에 돌출된 하부 스토퍼(22)를 구비하고, 전측내통(31a)은 전측수평통(21a)의 하부 스토퍼(22)에 슬라이딩 전후진되도록 깎여진 하부 슬라이딩 면(32)을 지님과 동시에 전진시 하부 스토퍼(22)에 걸쳐지고 후진시 상측방향 개방홈(21b)에 채워진 곡물을 인출토록 돌출된 하부턱(33)을 구비한다.The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has a lower stopper 22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set the forward and backward limit of the drawing unit 30 as shown in Figs. 3A to 8, The lower stopper 22 of the flat barrel 21a is provided with a lower sliding surface 32 that is slid so as to be slid forward and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a grain that is wound on the lower stopper 22 during forward movement and filled in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And a lower jaw 33 protruding to be drawn out.

인출유닛(30)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하부 스토퍼(22)와 하부 슬라이딩 면(32)의 합치로서 사용시 인출유닛(30)의 좌우회전에 의한 정위치 이탈현상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고, 특히 하부턱(33)에 의해 인출유닛(30)의 전진 한계가 정해져 더욱 편리하게 사용케 할 수 있다.Even when the drawing unit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it is a combined value of the lower stopper 22 and the lower sliding surface 32. In this case, when the drawing unit 30 is rotated in the left- In particular, since the forward limit of the drawing unit 30 is determined by the lower jaw 33,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나아가, 전측내통(31a)은 후진시 전측수평통(21a)의 하부 스토퍼(22)에 걸쳐지는 외향 스토퍼(35)를 구비하고, 이 외향 스토퍼(35)는 전측내통(31a)의 끝단 외주연에 형성된 링홈(35a)과, 이 링홈(35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토퍼 링(35b)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ront inner cylinder 31a has an outward stopper 35 that extends over the lower stopper 22 of the front water level cylinder 21a when the piston is moved backward. The outward stopper 35 is located on the outer- A ring groove 35a formed in the ring groove 35a and a stop ring 35b detachably fitted in the ring groove 35a.

구체적으로, 인출유닛(30)을 수평통(21) 속으로 슬라이딩 끼워 넣은 상태에서 후측내통(31c)의 끝단 외주연에 형성된 링홈(35a)에 스토퍼 링(35b)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수평통(21)으로부터 인출유닛(30)의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인출유닛(30) 및 수평통(21)의 조립성 또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topper ring 35b can be fitted in the ring groove 35a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rear inner cylinder 31c in a state in which the drawing unit 3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cylinder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w-out phenomenon of the draw-out unit 30 from being carried out from the draw-out opening 21 and to assure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draw-out unit 30 and the horizontal draw bar 21. [

한편, 인출유닛(30)은 후측내통(31c) 속에 형성되어 하측구멍(11) 및 상측방향 개방홈(21b)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곡물을 채울 수 있도록 상하방향 개방홀(31b)에 연통되는 채움공간(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w-out unit 30 is formed in the rear inner cylinder 31c and is filled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so as to fill the grain dropped through the lower hole 11 and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And may further include a space 34.

채움공간(34)은 받침바디(20)의 비좁은 공간에서 곡물의 인출량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간활용의 극대화를 위한 것이다.The filling space 34 is intended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y allowing the amount of the grain to be drawn more in the cramped space of the supporting body 20. [

그리고, 인출유닛(30)은 후측내통(31c)의 외향으로 고정된 손잡이(36)를 포함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케 하고, 나아가 받침바디(20)는 수평통(21)의 후측수평통(21c) 끝단 아래에 외부로 돌출되어 곡물의 배출을 하향지게 안내하는 경사 안내편(23)을 더 포함하여, 받침바디(20) 앞에 놓여진 바가지(B)로 곡물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awer unit 30 further includes a handle 36 fixed to the outwardly directed rearward inner cylinder 31c and further facilitates the use of the drawer unit 30. The support body 20 further includes a rear water cylinder 21c (23)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the grain downward by being projected outward under the end of the support body (20)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grain by the gourd B placed in front of the support body (20) .

바람직하게, 보관함(10)은 유리로 이루어져 곡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토록 할 수 있고, 인출유닛(30)은 하측구멍(11)으로부터 곡물이 낙하될 때 튀지 않도록 전측수평통(21a) 및 상하방향 개방홀(31b) 사이에 개재된 쿠션부재(37; 예를 들면 실리콘부재)를 더 포함하여 보관함(10)으로부터 상하방향 개방홀(31b)로의 곡물의 유입을 더욱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storage box 10 is made of glass so that the amount of the grain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draw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and a vertical water leveling cylinder 21a so as not to bounce when the grain falls from the lower hole 11 The cushion member 37 (for example, a silic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directional opening holes 31b so as to allow the inflow of the grain from the storage box 10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more flexibly .

나아가, 받침바디(20)에 내장되어 하측구멍(11)을 경유한 곡물을 상하방향 개방홀(31b) 속으로 전량 안내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 개방홈(21b)에 합치되는 하측호퍼(40)를 더 포함하여 보관함(10)으로부터 상하방향 개방홀(31b)로의 곡물의 유입을 더욱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a lower hopper 40, which is built in the support body 20 and coincided with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so as to guide the whole amount of the grain via the lower hole 11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re flexibly embody the inflow of the grain from the storage box 10 into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이때, 하측호퍼(40)는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과 일치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측구멍(11)이 원형이라면 하측호퍼(40)의 상측을 사각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곡물을 유실없이 상하방향 개방홀(31b)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hopper 40 may have a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and preferably, when the lower hole 11 is circular, So that it is possible to guide the grain into the vertical opening hole 31b without loss.

다른 한편으로, 받침바디(20)는 보관함(10)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전측수평통(21a), 상측방향 개방홈(21b) 및 후측수평통(21c)을 위로 노출시키면서 일체화되는 받침판(24)을 포함하여 보관함(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 및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ing body 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24 which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0 and integrally exposes the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the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21b and the rear water leveling cylinder 21c, So as to more firmly support and support the storage box 10.

이때, 받침바디(20)는 받침판(24) 및 전측수평통(21a), 상측방향 개방홈(21b), 후측수평통(21c) 상호간을 경사지게 일체화시키는 경사면(25)을 포함하여 곡물이 경사면(25)을 따라 상측방향 개방홈(21b)으로 전량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받침바디(20)는 경사면(25)과 전측수평통(21a), 상측방향 개방홈(21b), 후측수평통(21c)의 양측에 틈새라인(26)을 더 포함하여 상호간의 견고한 일체화를 도모하고, 특히, 틈새라인(26)에 지지되어 상측방향 개방홈(21b)의 일부 및 후측수평통(21c)을 씌우는 캡(50)을 더 포함하여 보관함(10)의 하측구멍(11)과 인출유닛(30)의 상하방향 개방홀(31b) 상호간의 긴밀한 합치를 보장케 하며, 틈새라인(26)에 돌출되어 캡(50)의 위치를 잡아주는 돌출봉(26a)을 더 포함하여 하측구멍(11)으로부터 곡물의 낙하시 캡(50)의 자리이탈 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케 한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body 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5 for integrally inclining the receiving plate 24 and the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the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21b and the rear water leveling cylinder 21c so that the grain is inclined The supporting body 20 can be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25 and the front water leveling cylindrical portion 21a and the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21b and the rear side water opening portion 21b, A part of the upper opening groove 21b and the rear side water leveling cylinder 21c are supported by the clearance line 26 so as to be firm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ensure a close fit between the lower hole 11 of the storage box 10 and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31b of the draw-out unit 30, and the cap 50, which projects over the crevice line 26, And a protrusion rod 26a for holding the position of the cap 50 so as to positively displace the cap 50 when the grains are dropped from the lower hole 11, The Kane prevented.

본 고안은 쌀, 보리, 밀, 옥수수, 콩, 잡곡 등과 같은 곡물을 가정에서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기기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kitchen appliance industry where grains such as rice, barley, wheat, corn, beans, and grains can be stored at home and withdrawn when needed.

1 : 뚜껑 10 : 보관함
11 : 하측구멍 20 : 받침바디
21 : 수평통 21a : 전측수평통
21b : 상측방향 개방홈 21c : 후측수평통
22 : 하부 스토퍼 23 : 경사 안내편
24 : 받침판 25 : 경사면
26 : 틈새라인 26a : 돌출봉
30 : 인출유닛 31a : 전측내통
31b : 상하방향 개방홀 31c : 후측내통
32 : 하부 슬라이딩 면 33 : 하부턱
34 : 채움공간 35 : 외향 스토퍼
35a : 링홈 35b : 스토퍼 링
36 : 손잡이 37 : 쿠션부재
40 : 하측호퍼 50 : 캡
60 : 홀 보호캡 61 : 어퍼 보호캡
61a : 어퍼 플레이트 61b : 어퍼 수직통
61c : 외향 나사산 62 : 언더 보호캡
62a : 언더 플레이트 62b : 언더 수직통
62c : 내향 나사홈 R : 보강리브
B : 바가지
1: lid 10: storage
11: lower hole 20: support body
21: watertight cylinder 21a: front watertight cylinder
21b: Upward direction opening groove 21c:
22: lower stopper 23: inclined guide piece
24: Support plate 25:
26: crevice line 26a:
30: Draw-out unit 31a:
31b: a vertical opening hole 31c:
32: lower sliding surface 33: lower jaw
34: Fill space 35: Outward stopper
35a: Ring groove 35b: Stopper ring
36: handle 37: cushion member
40: lower hopper 50: cap
60: Hole protection cap 61: Upper protection cap
61a: Upper plate 61b: Upper straight wall
61c: outward thread 62: under protection cap
62a: under plate 62b: under water straight
62c: inward screw groove R: reinforcing rib
B: Tantalum

Claims (8)

곡물을 수용하여 하측구멍(11)으로 낙하시키는 보관함(10)과, 상기 보관함(10)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바디(20)와, 상기 받침바디(20)에 장착되어 상기 하측구멍(11)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곡물을 배출하는 인출유닛(30)을 포함하는 곡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홀 보호캡(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바디(20)는 상기 하측구멍(11)을 향한 상측방향 개방홈(21b)을 사이에 두고 전측수평통(21a) 및 후측수평통(21c)을 지닌 수평통(21)을 구비하고,
상기 인출유닛(30)은 상기 수평통(21)에 슬라이딩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상측방향 개방홈(21b)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개방홀(31b)을 사이에 두고 전측내통(31a) 및 후측내통(31c)을 지니면서 상기 수평통(21) 속으로 전진될 경우 상기 하측구멍(11)으로부터 낙하되는 곡물을 상기 상측방향 개방홈(21b)으로 받쳐주면서 상기 상하방향 개방홀(31b) 속에 채울 수 있도록 하고 후진될 경우 상기 전측내통(31a)으로 하여금 상기 하측구멍(11)의 곡물 유실을 차단토록 하면서 상기 상하방향 개방홀(31b)을 통해 상기 상측방향 개방홈(21b)으로부터 곡물을 인출시켜 상기 수평통(21)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A support body 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0 and adapted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body 20 to support the lower hole 11, And a withdrawing unit (30) for discharging the cereal to be dropped via the second conveying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hole protection cap (60) covering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The receiving body 20 has a horizontal cylinder 21 having a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and a rear water leveling cylinder 21c with an upward opening groove 21b facing the lower hole 11 therebetween,
The pull-out unit 30 is slidably fitted in the horizontal bar 21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inner cylinder 31a and the rear inner cylinder 31b with the vertical opening 31b corresponding to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interposed therebetween, 31c so that the grain dropped from the lower hole 11 can be filled into the upper opening hole 31b while supporting the upper opening groove 21b. The front inner cylinder 31a causes the grains to be drawn out from the upward opening groove 21b through the vertical opening hole 31b while blocking the grain leakage of the lower hole 11, (21). The grain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in sto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보호캡(60)은 상기 하측구멍(11)의 내주연 및 상하 주연부를 탄성적으로 커버링하도록 씌워지는 신축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protection cap (60) is made of a stretchable synthetic resin which is elastically covered to cover the inner periphery and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of the lower hole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보호캡(60)은
상기 하측구멍(11)의 상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어퍼 플레이트(61a), 상기 어퍼 플레이트(61a)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하측구멍(11)의 내주연을 커버링하면서 외향 나사산(61c)이 형성된 어퍼 수직통(61b)을 지닌 어퍼 보호캡(61)과,
상기 하측구멍(11)의 언더 주연부를 커버링하는 언더 플레이트(62a), 상기 언더 플레이트(62a)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외향 나사산(61c)에 치합되는 내향 나사홈(62c)이 형성된 언더 수직통(62b)을 지닌 언더 보호캡(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e-protecting cap (60)
An upper plate 61a that covers the upp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hole 11 and an outer plate 61b that is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61a to cover an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hole 11, An upper protective cap 61 having an upper vertical cylinder 61b,
An under plate 62a covering the under edge of the lower hole 11 and an inward screw groove 62c extending upward from the under plate 62a to be engaged with the outward screw thread 61c. And an under protection cap (62) having a straight line (62b).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61a) 및 언더 플레이트(61b)는 방사상으로 펼쳐진 보강리브(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plate (61a) and the under plate (61b) further comprise a radially extending reinforcing rib (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수평통(21a)은 상기 인출유닛(30)의 전후진 한계를 정해주도록 하부에 돌출된 하부 스토퍼(22)를 구비하고,
상기 전측내통(31a)은 상기 하부 스토퍼(22)에 슬라이딩 전후진되도록 깎여진 하부 슬라이딩 면(32)을 지님과 동시에 전진시 상기 하부 스토퍼(22)에 걸쳐지고 후진시 상기 상측방향 개방홈(21b)에 채워진 곡물을 인출토록 돌출된 하부턱(33)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ater leveling cylinder 21a has a lower stopper 22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set the forward / backward limit of the drawing unit 30,
The front inner cylinder 31a is provided with a lower sliding surface 32 which is slid on the lower stopper 22 so as to be slid forward and rearward. The lower inner stopper 31b is wound on the lower stopper 22 when moving forward, And a lower jaw (33) protruding to draw out the grain filled in the lower jaw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유닛(30)은 상기 상하방향 개방홀(31b)에 연통되도록 상기 후측내통(31c) 속에 형성되어 상기 하측구멍(11) 및 상측방향 개방홈(21b)을 경유하여 낙하되는 곡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채움공간(3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wing unit 30 is formed in the rear inner cylinder 31c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vertical opening 31b to fill the grain fall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11 and the upward opening 21b And a filling space (34) for allowing the grains to be stored.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10)은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6, and 7,
Wherein the storage compartment (10) is made of glass.
KR2020140005323U 2014-07-15 2014-07-15 Rice box KR2004798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3U KR200479884Y1 (en) 2014-07-15 2014-07-15 Ric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3U KR200479884Y1 (en) 2014-07-15 2014-07-15 Rice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80U KR20160000280U (en) 2016-01-25
KR200479884Y1 true KR200479884Y1 (en) 2016-03-17

Family

ID=5531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23U KR200479884Y1 (en) 2014-07-15 2014-07-15 Ric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84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3B1 (en) * 2006-02-13 2007-06-13 한강회 Jar for keeping foodstuff
JP2009254606A (en) 2008-04-17 2009-11-05 Matsuda Kiribako Co Ltd Rice che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3B1 (en) * 2006-02-13 2007-06-13 한강회 Jar for keeping foodstuff
JP2009254606A (en) 2008-04-17 2009-11-05 Matsuda Kiribako Co Ltd Rice ch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80U (en)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452B2 (en) Pet food dispenser
JP2005090943A (en) Dispenser of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WO2016070892A1 (en) Refrigerator shelf assembly allowing partial repositioning of shelf units
KR200479884Y1 (en) Rice box
MXPA05013395A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KR101350056B1 (en) Refrigerator
KR102096404B1 (en) Refrigerator
KR101639491B1 (en) Refrigerator
KR101561076B1 (en) Rice box
US9709312B2 (en) Refrigerator with ice bucket on door
KR101502760B1 (en) Grain storage apparatus and there of take out unit
CN104197603B (en) A kind of refrigerator
EP3653968B1 (en)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KR20000010537U (en) Refrigerator with rice feeder
WO2020108919A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US20080174219A1 (en) Refrigerator, door for refrigerator, and dispen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WO2016050293A1 (en) Space-saving foldable modular egg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90050404A (en) Built-in type rice box
US20150289721A1 (en) Handheld battery operated mixing and dispensing appartaus
KR20200067183A (en) Coffee machine with improved filling system for water storage
KR20120029531A (en) A container for rice
CN105326268B (en) Storage box and locker with the storage box
US11089939B2 (en) Dishwasher with detergent storage
KR20170001612U (en) Rice box
KR20170079453A (en) A juicer with push type vacuu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