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19Y1 -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 Google Patents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19Y1
KR200479819Y1 KR2020150006685U KR20150006685U KR200479819Y1 KR 200479819 Y1 KR200479819 Y1 KR 200479819Y1 KR 2020150006685 U KR2020150006685 U KR 2020150006685U KR 20150006685 U KR20150006685 U KR 20150006685U KR 200479819 Y1 KR200479819 Y1 KR 200479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using
height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6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정호
Original Assignee
원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호 filed Critical 원정호
Priority to KR202015000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88/008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함체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선반;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1레일부와 각각 상호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2레일부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하여 장착시켜,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aboratory drug storage room is disclosed. The laboratory medicine storage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housing shap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forward, and a door includ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housing; A sliding shelf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and installed to be drawn or drawn through the opening; A pair of first rail portion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shelf; A pair of second rail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rst rails and fixed to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for mounting each of the pair of second rails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so as to adjust an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Description

실험실용 약품보관장{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본 고안은 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실험실용 약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선반을 용이하게 높이조절하여 장착해 사용할 수 있는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box for storing medici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room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height-adjustable sliding shelf.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약품(또는 시약)이 보관된 보관병을 보관하는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이 사용되며, 이러한 약품보관장은 보관장 본체 내부에는 상기 보관병을 올려 보관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되어 있다. Generally, in the laboratory,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room for storing a storage bottle containing medicines (or reagents) mainly used is used. In the medicine storage room, a shelf for storing the storage bottle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room main body.

기존의 약품보관장에는 선반이 고정된 고정형 선반 타입과 선반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슬라이딩 선반 타입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medicine storage room, fixed shelf type with shelves fixed and sliding shelf type with shelves pulled in or drawn in were provided.

슬라이딩 선반 타입의 약품보관장은 약품보관병이 올려진 선반을 손쉽게 인출 또는 인입시켜 사용이 편리하다. The sliding shelf type medicine storage room is convenient to use by pulling out or pulling the shelf with the medicine storage bottle easily.

슬라이딩 선반은 선반의 측면과 보관장 본체의 내벽에 각각 제1레일부 제2레일부가 고정설치되며,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가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2레일부는 보관장 본체의 내벽에 나사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The sliding shelf has a first rail part and a second rail part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helf and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unit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rail part and the second rail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lide. At this time, the second rail portion is screw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unit main body.

한편, 약품은 보관병의 종류에 따라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약품보관장은 슬라이딩 선반을 높이조절하는 구조를 가지지 못하여 슬라이딩 선반을 높이조절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sliding shelf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torage bottle. However, the conventional medicine storage roo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sliding shelf because it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liding shelf.

단, 사용자가 직접 보관장 본체 내벽에 고정된 제2레일부에서 나사를 분리하여 제2레일부를 본체 내벽에서 분리 한 다음, 제2레일부의 설치높이를 조정하여 본체 내벽에 드릴링을 통해 나사체결구를 형성한 후, 제2레일부를 본체 내벽의 재조정된 설치높이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선반 높이 변경작업은 드라이버, 드릴등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는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when the user directly removes the screw from the second rail part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case body to separate the second rail 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djusts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rail par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can be adjusted by screwing the second rail portion to the re-adjusted installation height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However, such a shelf height changing operation requires disadvantages such as driver and drill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work especially for an ordinary person who is not a skilled expert.

등록특허 10-0538786Patent No. 10-0538786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비전문가도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b storage room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a sliding shelf even when a non-specialist has solved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고안은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 내벽에 고정되는 레일부의 설치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뿐 아니라, 레일부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본체 내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 고정유닛을 구비한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ail portion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is easily adjusted so as to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and the height of the rail is increase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room having an adjustable fixing unit.

또한, 본 고안은 슬라이딩 선반이 인출된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선반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room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more firmly support the load of the sliding shelf even when the sliding shelf is drawn o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함체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선반;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1레일부와 각각 상호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2레일부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하여 장착시켜,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unit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housing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front opening is formed; a main body compris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housing; A sliding shelf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and installed to be drawn or drawn through the opening; A pair of first rail portion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shelf; A pair of second rail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rst rails and fixed to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for mounting each of the pair of second rails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so as to adjust an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상기 높이조절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 각각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복수의 걸림공; 및, 상기 제2레일부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걸림공 중 임의의 높이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제2레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의 소정높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form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bracket fixed to the second rail part and fixed to the latching hole formed at an arbitrary height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to fix the second rail part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side wall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

상기 복수의 걸림공 각각은 상기 내측벽의 동일높이 상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걸림공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걸림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레일부가 고정되는 브라켓본체; 및, 상기 브라켓본체 상단 전방부에 형성되며, 측방으로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는 전방고리부;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측방으로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는 후방고리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comprises a front locking hole formed on a front side on the same height of the inner side wall and a rear locking hole formed on a rear side, the bracket including: a bracket body to which the second rail portion is fixed; And a front ring part formed on the upper front part of the bracket body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so as to be hung on the front locking hole; And a rear hook portion formed at the upper rear of the bracket body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so as to be hung on the rear fastening hole.

상기 후방걸림공은 하단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후방고리부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연장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고리부는 상기 후방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연장공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rear fastening hole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hole formed to extend forward at the lower end and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hickness of the rear fastening portion. The rear fastening hole is inserted in the rear fastening hole and is moved forward And the rear annular part is fixed to the extended hol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후방걸림공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고리부와 상기 전방걸림공의 전후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상기 전방고리부를 상기 전방걸림공에 삽입하여 걸어주지 못하며,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연장공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후방걸림공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고리부와 상기 전방걸림공의 전후 위치가 일치하여 상기 전방고리부를 상기 전방걸림공에 삽입하여 걸어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rear r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rear locking hol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front ring part and the front locking hol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ring part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front locking hole to hang the rear ring part, The front ring portion and the front locking hole are aligned with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so that the front r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locking hole so that the front ring portion can be engaged with the front locking hole .

상기 후방고리부의 전단과 상기 전방고리부의 후단 사이 간격은 상기 연장공의 전단과 상기 전방걸림공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후방걸림공의 전단과 상기 전방걸림공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는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rear crotch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crotch part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hole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catching hole an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rear catching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catching part .

상기 브라켓본체에는 볼트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보강하는 안전볼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bracket body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bolt having a bolt passage hole and being screw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hrough the bolt passage hole to reinforc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housing .

상기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나 기술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문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누구나 손쉽게 슬라이딩 선반을 누구나 손쉽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tool or technique, so that not only a specialist but also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adjust the sliding shelf easily for anyone.

또한,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손쉽게 조정하여 장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견고하게 제2레일부를 고정하여 슬라이딩 선반을 인출하거나 인입시키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라이딩 선반이 인출된 상태에도 제2레일부에 걸리는 하중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장치의 고장이 줄고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not only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can be easily adjusted, but also the second rail portion can be firmly fixed to allow the sliding shelf to be pulled out or drawn in naturally, The load applied to the two rail portions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thereby reducing the failure of the apparatus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품보관장의 도어가 열리고 하나의 슬라이딩 선반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브라켓을 걸림공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높이조절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medicine storage room shown in FIG. 1 is opened and one sliding shelf is drawn out,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racket shown in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atching hole,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in FIG. 3. FIG.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is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figure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design.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have been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cise and clea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However, readers with knowledge in this area can understand that this design can be used without any of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should be noted that parts of the design that are commonly known but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haos from happening without reason to explain the desig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laboratory medicin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본 고안의 약품보관장은 본체부(10), 슬라이딩선반(20), 레일유닛(26), 높이조절 고정유닛(30)을 포함한다. The medicin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liding shelf 20, a rail unit 26, and a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30.

본체부(10)는 하우징(11)과 도어(12)로 구성된다. 하우징(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어(12)는 하우징(11)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도어(12)는 하우징(11)의 개방부 측에 힌지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 내부의 유해가스가 누설되지 않는 밀폐구조를 가지며, 하우징(11) 내부가 보이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composed of a housing 11 and a door 12. The housing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opened forward, and the door 12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of the housing 11. The door 12 can be hinged to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11 and has a sealing structure in which the noxious gas inside the housing 11 is not leaked.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본 고안의 본체부(10) 특히 하우징(11)에는 통상의 약품보관장과 같이 흡/배기구기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1) 내부로 흡입하고, 하우징(11)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구성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ake / exhaust part formed in a housing 11 such as an ordinary medicine storage room to suck outside air into the housing 11 and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 to the outside Structure, and at this time, an air purification structure for purifying exhaust air may be provided.

즉,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딩선반(20)이 본체부(10)의 하우징(10)에 높이조절고정유닛(30)을 통해 높이조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으므로, 본 고안의 특징을 나타내는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종래의 약품보관장에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체부(10)에 기존 약품보관장의 공지된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shelf 20 can be mounted on the housing 10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fixing unit 30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refore, And a known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medicine storage room can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even though not shown in the conventional medicine storage configuration.

슬라이딩 선반(2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품이 담긴 보관병이나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으면 박스형태가 아니라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liding shelf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to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in a plate form instead of a box form if a storage bottle or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can be placed.

이러한 슬라이딩 선반(20)은 레일유닛(26)을 통해 하우징(11)의 내벽(11a)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liding shelf 20 can be slidab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11a of the housing 11 through the rail unit 26.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일유닛(26)은 제1레일부(27)와 제2레일부(28)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레일부(27)와 제2레일부(28)는 기존 슬라이딩 서랍이나 슬라이딩 서랍에 사용되는 기존의 레일유닛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rail unit 26 includes a first rail portion 27 and a second rail portion 28. The first rail portion 27 and the second rail portion 28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a conventional rail unit used in a conventional sliding drawer or a sliding drawer.

제1레일부(27)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선반(2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된다. The first rail portions 27 are formed as a pair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sliding shelf 20, respectively.

참고로, 도 3에는 슬라이딩 선반(20)의 우측에 설치된 제2레일부(28)와 우측에 설치된 높이조절 고정유닛(30) 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슬라이딩 선반(20)의 좌측에는 제2레일부(28)와 높이조절 고정유닛(30)이 우측의 구성과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3 shows only the second rail 28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 shelf 20 and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3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 shelf 20, (28) and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30)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right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슬라이딩선반(20)의 우측에 배치된 제2레일부(28)와 높이조절고정유닛(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ail 28 and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3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liding shelf 20 will be described.

제2레일부(28)도 제1레일부(27)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제2레일부(28)는 제1레일부(27)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Each of the second rail portions 28 is also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il portion 27 so that each second rail portion 28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first rail portion 27.

높이조절 고정유닛(30)은 걸림공(40)과 블라켓(50)을 포함한다.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30 includes a latching hole 40 and a bracket 50.

걸림공(40)은 하우징(11)의 내측벽(11a)에 관통형성되되, 내측벽(11a)의 동일높이 상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걸림공(45)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걸림공(41)이 한 쌍으로 이루어도록 형성된다. The locking hole 40 is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11a of the housing 11 and includes a front locking hole 45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ame height of the inner side wall 11a and a rear locking hole 45 formed on the rear side, (41) are formed as a pair.

또한, 이러한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이 한 쌍으로 이루도록 형성된 걸림공(4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우징(11)의 내측벽(11a)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The locking holes 40 are formed in a pair so as to form a pair of the front locking holes 45 and the rear locking holes 41. The locking holes 40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side wall 11a of the housing 11 do.

전방걸림공(45) 및 후방걸림공(41)은 각각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걸림공(41)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걸림공(41)에 비해 얇은 상하높이로 형성되는 연장공(42)이 더 구비된다. 이때, 연장공(42)의 브라켓(50)의 판재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fastening hole 45 and the rear fastening hole 41 are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extend in the lower end of the rear fastening hole 41 forwardly, (42). At this time, the thickness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of the bracket 50 of the elongated hole 4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50)은 제2레일부(28)와 동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두께를 갖는 판재를 절곡가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bracket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rail 28,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브라켓(50)은 브라켓본체(51)와, 이 브라켓본체(51)의 상단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고리부(53)와 후방고리부(54)를 포함한다. The bracket 50 includes a bracket main body 51 and a front claw portion 53 and a rear claw portion 54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body 51.

브라켓본체(51)는 중간부가 "ㄷ" 형태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중간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간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body 51 is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lower end of the middle portion and the upper end is bent perpendicular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ortion. .

브라켓본체(5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체결공(52)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브라켓본체(51)는 나사(s)들을 통해 제2레일부(28)와 결합된다. A plurality of threaded fastening holes 52 are formed in the bracket body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racket body 51 is engaged with the second rail 28 through the screws s.

전방고리부(53)는 브라켓본체(51)의 상단 전방부에 "ㄱ"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고리부(54)는 브라켓본체(51)의 상단 후방부에 "ㄱ" 형태로 형성된다. The front ring portion 53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body 51 and the rear ring portion 54 is formed in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51 in the shape of "

구체적으로, 전방고리부(53)는 브라켓본체(51)의 상단 전방부에서 수평되게 연장되는 전방수평부(53a) 및, 이 전방수평부(53a)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수직부(53b)로 구성된다. 또한, 후방고리부(54)는 브라켓본체(51)의 상단 후방부에서 수평되게 연장되는 후방수평부(54a) 및, 이 후방수평부(54a)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수직부(54b)로 구성된다. 아울러, 전방수평부(53a)와 전방수직부(53b)는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후방수평부(54a)와 후방수직부(54b)도 동일한 폭으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front claw portion 53 includes a front horizontal portion 53a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body 51 and a front vertical portion 53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53a 53b. The rear claw portion 54 includes a rear horizontal portion 54a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51 and a rear vertical portion 54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rear horizontal portion 54a. ). In additio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53a and the front vertical portion 53b have the same width,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54a and the rear vertical portion 54b have the same width.

전방수직부(53b)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걸림공(45)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후방수직부(54)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돌출부(55)가 더 형성된다. 이때, 연장돌출부(55)를 포함한 후방수직부(54)의 전체크기는 후방걸림공(4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vertical portion 53b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ass through the front locking hole 45. The rear vertical portion 5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n extended projection 55 ) Is further formed. At this time, the entire size of the rear vertical portion 54 including the extended projections 55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rear catch hole 41.

또한, 후방고리부(54)의 후방수평부(54a)의 판재두께 즉, 상하두께는 연장공(42)의 상하높이간격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후방수평부(54a)가 연장공(42)에 삽입되면 서로 밀착되어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of the rear horizontal portion 54a of the rear circular portion 54 is the same as the vertical height of the extending hole 42 so that the rear horizontal portion 54a is located on the extension hole 42 And when they are inserted,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xed in an interference fit.

한편, 본 고안의 전방고리부(53)와 후방고리부(54)의 간격은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방고리부(53)와 후방고리부(54)를 동시에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에 끼워서 걸어줄 수 없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law 53 and the rear claw 5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atch 45 and the rear catch 41, (53) and the rear claw portion (54) can not be caught by the front catching hole (45) and the rear catching hole (41) at the same time.

본 고안은 전방고리부(53)와 후방고리부(54)의 간격이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의 간격 보다 다소 작도록 구성되며,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후방고리부(5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연장공(42)에 억지끼움시켜 주면, 전방고리부(53)와 전방걸림공(45)의 전후위치가 일치하여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 삽입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law portion 53 and the rear claw portion 54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atching hole 45 and the rear catching hole 41, When the rear claw portion 54 is moved forward and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extending hole 42 with the front claw portion 53 and the front catching hole 45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41, So that the front ring portion 53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locking hole 45 for engagement therewith.

다시 말해, 본 고안은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전방고리부(53)와 전방걸림공(45)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난 상태에 있으므로,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 삽입하여 걸어주지 못하나,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연장공(42)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는 전방고리부(53)와 전방걸림공(45)의 위치가 일치하여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 삽입하여 걸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위한 조건으로 후방고리부(54)의 전단과 전방고리부(53)의 후단 사이 간격은 연장공(55)의 전단과 전방걸림공(45)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 같거나 크고, 후방걸림공(41)의 전단과 전방걸림공(45)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는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claw portion 53 and the front catching hole 45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re shifted in a state where the rear claw portion 54 is inserted into the rear catching hole 41, In the state in which the rear claw portion 54 is moved forward in the rear catching hole 41 and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hole 42, the front claw portion 54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front catching hole 45, The front hook 53 and the front hook 45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hook 53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hook 45 to be hooke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rear claw portion 54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claw portion 53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hole 55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catch hole 45,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hole (41)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locking hole (45).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험실용 약품보관장에서 슬라이딩 선반(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재장착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liding shelf 20 is adjusted and reinstalled in the laboratory medicin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와 같이 도어(12)를 열고 높이조절을 원하는 슬라이딩선반(20)을 잡아당겨 하우징(11) 내부에서 완전히 슬라이딩선반(20)을 빼내 분리한다. 이때, 슬라이딩선반(20)에 고정된 제1레일부(27)가 브라켓(50)에 고정된 제2레일부(28)에서 분리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door 12 is opened and the sliding shelf 20, which is desired to be adjusted in height, is pulled to pull the sliding shelf 20 completely out of the housing 11. At this time, the first rail part 27 fixed to the sliding shelf 2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rail part 28 fixed to the bracket 50.

이러한 상태에서, 제2레일부(28)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50)을 걸림공(40)에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서 위로 올렸다가 하우징(11) 내부 방향으로 당겨서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서 분리한 다음, 브라켓(50)을 후방으로 밀어 후방고리부(54)를 연장공(42)에서 이탈시킨 후, 후방걸림공(41)에서 위로 올렸다가 하우징(11) 내부 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브라켓(50)을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 모두에서 완전히 분리해낼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bracket 50 to which the second rail 28 is engaged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hole 40. The front collar 53 is pulled up from the front locking hole 45 and pull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to separate the front collar 53 from the front locking hole 45, The bracket 50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by pulling the bracket 50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by pushing the rear claw portion 54 outward from the extending hole 42 by pushing the rear claw portion 54 backward, 45) and the rear catching hole (41).

이후, 원하는 슬라이딩 선반(20)의 높이를 고려하여, 브라켓(50)을 복수의 걸림공(40) 중 원하는 높이의 걸림공(40) 즉, 원하는 높이의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에 장착한다. The brackets 5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40 at a desired height, that is, the front locking holes 45 of the desired height and the rear locking holes 40 of the desired height, (41).

구체적으로, 브라켓(50)의 후방고리부(54)를 후방걸림공(41)에 삽입하여 아래로 내려 후방걸림공(41)에 걸어준 후<도 5의 (a) 참조>, 브라켓(50)을 전방으로 밀어주어, 후방고리부(54)의 후방수평부(54a)가 연장공(42)에 밀착되도록 억지끼움되게 한 다음, 전방고리부(53)와 전방걸림공(45)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 삽입하여 아래로 내려 전방걸림공(45)에 걸어줌으로써<도 5의 (b) 참조>, 브라켓(50)이 후방걸림공(41)과 전방걸림공(45) 모두에 완전히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장착이 완료된 경우, 브라켓(50)을 후방으로 밀려고 하여도 전방고리부(53)가 전방걸림공(45)에 걸려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Specifically, the rear claw portion 54 of the bracket 50 is inserted into the rear fastening hole 41 and is lowered to be hooked to the rear fastening hole 41 (refer to FIG. 5A) So that the rear horizontal portion 54a of the rear circular portion 54 is forc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xtending hole 42 and then the front circular portion 53 and the front catching hole 45 The front ring 53 is inserted into the front locking hole 45 and is lowered and hooked on the front locking hole 45 as shown in Fig. 5 (b) It is completely mounted on both the locking hole 41 and the front locking hole 45. In this way, even if the bracket 50 is pushed backward, the front collar 53 is caught by the front catching hole 45 and is not moved backward.

이와 같이 브라켓(50)을 하우징(11)의 측벽(11a)에 형성된 걸림공(40)에 높이조절하는 작업은, 하우징(11)의 우측벽(11a)과 좌측벽 양쪽에 각각의 브라켓(50)을 동일높이에 장착함으로써 완료된다.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racket 50 to the engaging hole 40 formed in the side wall 11a of the housing 11 is performed by mounting the brackets 50 on both the right side wall 11a and the left side wall of the housing 11 ) At the same height.

이후, 설치높이가 조정되어 재장착된 양측의 브라켓(50)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레일부(28)에 슬라이딩 선반(20)의 양측에 설치된 제1레일부(27)를 끼워 연결해 줌으로써, 슬라이딩 선반(20)의 설치높이가 조정되게 된다. Thereafter, the first rail portion 27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shelf 20 is inserted into a pair of second rail portions 28 coupled to the brackets 50 on both sides of which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20 is adjusted.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나 어려운 기술이 없어도 브라켓(50)을 상하로 복수개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40)에 높이조정하여 걸어서 장착해 줌으로써 슬라이딩 선반(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liding shelf 2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racket 50 to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40, which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up and down directions, .

본 고안은 걸림공(40)이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으로 구성되고, 특히, 후방걸림공(41)에 연장공(42)이 구비된 형태로 이므로, 브라켓(50)의 전방고리부(53)가 전방걸림공(45)이 걸리는 형태로 지지되고,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에 형성된 연장공(42)에 밀착되어 억지끼움된 형태로 지지된 구조이므로, 슬라이딩 선반(20)의 사용시 도 2와 같이 슬라이딩 선반(20)이 하우징(11)의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 브라켓(50)의 전방부에는 하방향의 힘(하중)이 발생하고 브라켓(50)의 후방부는 상방향의 힘(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브라켓(50)의 전방부에서 발생하는 하방의 힘은 전방고리부(53)가 전방걸림공(45)에 지지되고, 브라켓(50)의 후방부에서 발생하는 상방의 힘은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의 연장공(42)에 지지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hole 40 is composed of the front latching hole 45 and the rear latching hole 41 and in particular the extension latching hole 41 is provided in the latching hole 41, And the rear claw portion 54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extension hole 42 formed in the rear fastening hole 41 to form an interference fit When the sliding shelf 20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1 as shown in FIG. 2 when the sliding shelf 20 is used, a downward force (load) is generat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50 The downward force generat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50 is held by the front hook portion 45 in the front hook portion 45, The upward force generat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bracket 50 is firmly fixed since the rear claw portion 54 is supported by the extension hole 42 of the rear catching hole 41. [

아울러, 본 고안은 후방고리부(54)를 후방걸림공(41)에 삽입하여 걸어준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어 후방고리부(54)를 연장공(42)에 억지끼움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방고리부(53)를 전방걸림공(45)에 걸어주어 장착이 완료되면, 브라켓(5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슬라이딩선반(20)을 인출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선반(20)을 밀어넣더라도, 브라켓(50)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슬라이딩선반(20)의 부드러운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law portion 54 is inserted into the rear catch hole 41, and is pushed forward to push the rear claw portion 54 against the extending hole 42. In this state, The sliding shelf 20 is pus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liding shelf 20 is drawn out because the bracket 50 is not moved backward when the mounting portion 53 is attached to the front locking hole 45 The brackets 50 can be maintained in a firmly supported state without being pushed back, so that the sliding shelf 20 can be smoothly pulled in or pulled out.

아울러, 본 고안은 도 5의 (b)와 같이, 후방고리부(54)가 후방걸림공(41)에 형성된 연장공(42)에 밀착되어 억지끼움되고, 전방고리부(53)가 전방걸림공(45)에 걸려, 브라켓(50)의 장착이 완료되게 되면, 후방고리부(54)의 하단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55)가 연장공(42)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가 되고, 브라켓(50)은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후방고리부(54)가 연장공(42)으로부터 측방향 즉 하우징(11)의 내측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5 (b), the rear claw portion 5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nding hole 42 formed in the rear catching hole 41, and the front claw portion 53 is engaged with the front catch When the mounting of the bracket 50 is completed by engaging with the hole 45,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tending projection 55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claw portion 54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extending hole 42 The bracket 50 is prevented from moving rearward so that the rear claw portion 54 is prevented from slipping sideways from the extending hole 42, i.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브라켓켓본체(51)의 상단부 중간위치에 볼트통과공(B)이 형성되고, 하우징(11)의 내측벽(11a)에는 전방걸림공(45)과 후방걸림공(41) 사이에 볼트체결공(B1)이 형성되어, 전방고리부(53)와 후방고리부(54)가 전방걸림공(45) 및 후방걸림공(41)에 장착되는 것이 완료된 후에 안전볼트(60)를 볼트통과공(B)에 통과시켜 볼트체결공(B1)에 체결시켜 줌으로써, 브라켓(50)을 보다 견고하게 하우징(11)의 측벽(11a)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6, a bolt passage hole B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body 51, and a front fastening hole 45 is formed in the inner wall 11a of the housing 11, Bolt fastening holes B1 are formed between the rear fastening holes 41 so that the front fastening portions 53 and the rear fastening portions 54 are mounted on the front fastening holes 45 and the rear fastening holes 41 The bracket 5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side wall 11a of the housing 11 by passing the safety bolt 60 through the bolt passage hole B and then fastening it to the bolt fastening hole B1 .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acts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본체부
11...하우징
12...도어
20...슬라이딩선반
27...제1레일부
28..제2레일부
30...높이조절 고정유닛
40...걸림공
41....후방걸림공
42...연장공
45...전방걸림공
50...브라켓
51...브라켓본체
53...전방고리부
54...후방고리부
55...연장돌출부
60...안전볼트
10:
11 ... housing
12 ... door
20 ... Sliding shelf
27 ... 1st railway
28 .. 2nd lesbian
30 ... height adjustment fixed unit
40 ... hanging ball
41 .... rear catching ball
42 ... Extension ball
45 ... front catch
50 ... bracket
51 ... Bracket body
53 ... front ring portion
54 ... rear ring portion
55 ... extension protrusion
60 ... safety bolt

Claims (7)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함체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선반;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1레일부와 각각 상호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2레일부 각각을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고정하여 장착시켜, 상기 슬라이딩 선반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 내측벽 각각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복수의 걸림공; 및,
상기 제2레일부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걸림공 중 임의의 높이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제2레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의 소정높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걸림공 각각은 상기 내측벽의 동일높이 상에서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걸림공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걸림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레일부가 고정되는 브라켓본체; 및,
상기 브라켓본체 상단 전방부에 형성되며, 측방으로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는 전방고리부;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측방으로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걸림공에 걸어주는 형태로 고정되는 후방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걸림공은 하단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후방고리부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연장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고리부는 상기 후방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연장공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후방걸림공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고리부와 상기 전방걸림공의 전후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상기 전방고리부를 상기 전방걸림공에 삽입하여 걸어주지 못하며,
상기 후방고리부가 상기 연장공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후방걸림공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고리부와 상기 전방걸림공의 전후 위치가 일치하여 상기 전방고리부를 상기 전방걸림공에 삽입하여 걸어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보관장.
A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front opening portion,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housing;
A sliding shelf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slidable and installed to be drawn or drawn through the opening;
A pair of first rail portion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shelf;
A pair of second rail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rst rails and fixed to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for fixing each of the pair of second rails to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so as to adjust an installation height of the sliding shelf,
The height adjusting and fix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formed on both inner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bracket installed to fix the second rail part and fixed to the latching hole formed at an arbitrary height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to fix the second rail part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side wall of the housing In addi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comprises a front locking hole formed on a front side on the same height of the inner side wall and a rear locking hole formed on a rear side,
The bracket
A bracket body to which the second rail portion is fixed; And
A front ring part formed on the upper front part of the bracket body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to be fixed to the front locking hole;
And a rear annular portion formed at the upper rear of the bracket body and formed in a shape of "a" sideways and fixed in a form to hang on the rear retaining hole,
Wherein the rear fastening hole extends forwardly at a lower end and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hol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hickness of the rear circular portion,
The rear hook portion is moved forward in a state where the rear hook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rear hook hole so that the rear hook portion is fixed to the extension hol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When the rear hoo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hook hole, the front hook por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front hook portion so that the front hook portion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front hook hole,
The front ring portion and the front locking hol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ring portion is moved forward from the rear locking hole so that the rear ring portion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extending hole and the front 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ront locking hole, Wherein the medicamen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li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고리부의 전단과 상기 전방고리부의 후단 사이 간격은 상기 연장공의 전단과 상기 전방걸림공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 같거나 크고, 상기 후방걸림공의 전단과 상기 전방걸림공의 후단 사이 간격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보관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a front end of the rear crotch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crotch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distance between a front end of the extension hole and a rear end of the front catching hole and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a front end of the rear catching hole and a rear end of the front catching hole &Lt; / RTI &g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에는 볼트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보강하는 안전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보관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olt passage hole is formed in the bracket body,
Further comprising a safety bolt which is screw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hrough the bolt passage hole to reinforce the fixing force of fixing the bracket to the housing.

KR2020150006685U 2015-10-13 2015-10-13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KR2004798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85U KR200479819Y1 (en) 2015-10-13 2015-10-13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85U KR200479819Y1 (en) 2015-10-13 2015-10-13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19Y1 true KR200479819Y1 (en) 2016-03-10

Family

ID=5553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685U KR200479819Y1 (en) 2015-10-13 2015-10-13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19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9150A (en) * 2016-10-28 2018-05-08 吴俊儒 A kind of high school student's chemical experiment reagent storage cabinet
KR20180070834A (en) * 2016-12-19 2018-06-27 고광명 Self-purification circulating refrigeration reagent
KR101879957B1 (en) * 2016-12-13 2018-07-18 고광명 Refrigeration reagent for easy-height-adjustable rail-type shelf
KR20220147169A (en) *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Reagent cabinet
WO2022245917A1 (en) * 2021-05-18 2022-11-24 Little Big Brother Inc. Enhanced adjustable and removable shel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9150A (en) * 2016-10-28 2018-05-08 吴俊儒 A kind of high school student's chemical experiment reagent storage cabinet
KR101879957B1 (en) * 2016-12-13 2018-07-18 고광명 Refrigeration reagent for easy-height-adjustable rail-type shelf
KR20180070834A (en) * 2016-12-19 2018-06-27 고광명 Self-purification circulating refrigeration reagent
KR20220147169A (en) *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Reagent cabinet
KR20230025419A (en) * 2021-04-26 2023-02-21 쏠코리아 주식회사 Reagent cabinet
KR102536475B1 (en) * 2021-04-26 2023-05-30 쏠코리아 주식회사 Reagent cabinet
KR102630758B1 (en) 2021-04-26 2024-01-30 주식회사 진우기술개발 Reagent cabinet
WO2022245917A1 (en) * 2021-05-18 2022-11-24 Little Big Brother Inc. Enhanced adjustable and removable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19Y1 (en) Chemical reagent cabinet for laboratory
US9486114B2 (en) Removable header for a shower door track assembly
AU727692B2 (en) Pet door assembly
US6113201A (en) Cabinet rail
US20150296982A1 (en) Mounting device for drawer system
US10036190B2 (en) Guide block for glass panel
EP3239444A1 (en) Concealed-type easy-to-clean shower door sliding apparatus
JP2006231047A (en) Guide rail assembly for drawer
US20190376269A1 (en) Shower waste
US4623177A (en) Adjustable safety latch
TW201606174A (en) Fitting for a sliding door
KR101538856B1 (en) Locking apparatus windows for crescent
KR101545996B1 (en)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JP5702583B2 (en) Screw fixing jig
US6523867B1 (en) Automatic clasping device for a cabinet door
JP5784559B2 (en) Curtain rail bracket
JP2007000650A (en) Storage furniture such as kitchen cabinet having hanging tool
JP2006026251A (en) Storage furniture such as kitchen cabinet having hanger
KR20140145763A (en) Pullout device for drawer
US6945617B2 (en) Half-prong wedge for sliding drawers
JP6279985B2 (en) sliding door
CN211533814U (en) Movable locking piece and clothes hanger rack
US20170044806A1 (en) Swing bar security lock
JP3155677U (en) Latch
KR20190089261A (en) Manual safety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