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15Y1 - Packag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Packaging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815Y1 KR200479815Y1 KR2020140003945U KR20140003945U KR200479815Y1 KR 200479815 Y1 KR200479815 Y1 KR 200479815Y1 KR 2020140003945 U KR2020140003945 U KR 2020140003945U KR 20140003945 U KR20140003945 U KR 20140003945U KR 200479815 Y1 KR200479815 Y1 KR 2004798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inner case
- stopper
- wall surface
- out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측부에 마련되면서 앞쪽이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외측 벽면과, 상기 외측 벽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측 벽면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내측 벽면을 구비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개방공간에 삽입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앞면 하단에 상기 외측 케이스의 하부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 밖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면이 형성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 내측 벽면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 상단에는 내측 케이스 회전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면서 걸림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로부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four vertically arranged bottom surfaces, four outer side wall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forming an open space for opening the front side, and an inn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outer side wall surface An outer case having an inner wall surface folded and attached thereto; And a hinge surfac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and attached to a lower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case, Wherein the inner case is formed with a locking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when the inner case rotates and the inner case is opened from the outer case, A stopper may be form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케이스의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향상시킨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opening an inner case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separated from an outer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fixing force in an opened state of an inner case.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및 외측 케이스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 내측 및 외측 케이스 사이에 내용물이 삽입되어 보관된다.Generally, a packaging container is for storing contents, and the inner and outer cases are detachably and interlockably provided, and contents are inserted and stor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ases.
이러한 포장용기는 내용물의 인입 또는 인출시 내측 및 외측 케이스를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뚜껑의 분실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packaging container has the disadvantage of completely separating the inner and outer cases when the contents are taken in or taken out,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d is often los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측 케이스가 외측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는 포장용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등록특허번호 제10-1063736호 "종이 상자" 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ackaging containe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inner case is opened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and such a packaging container is disclosed in detail in the " paper box "of Registration No. 10-1063736.
종래기술에서 포장용기는 내측 케이스의 전면 고정부가 외측케이스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한다.In the prior art, the packaging container is such that the front fixing portion of the inner case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is ope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포장용기는 내측 케이스를 보다 강하게 잡아당길 경우 내측 케이스의 전면 고정부가 접혀지거나 또는 휘어지면서 외측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며, 이에 내측 케이스가 외측 케이스 밖으로 완전히 개방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inner case is pulled more strongly, the front case fixing portion of the inner case is folded or bent so as to be detached from the front 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is completely opened out of the outer case.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 케이스를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외측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향상시킨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improved in fixing force so that i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even if the inner case is strongly pull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수직으로 배치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측부에 마련되면서 앞쪽이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외측 벽면과, 상기 외측 벽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외측 벽면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내측 벽면을 구비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개방공간에 삽입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앞면 하단에 상기 외측 케이스의 하부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 밖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면이 형성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 내측 벽면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 상단에는 내측 케이스 회전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면서 걸림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로부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가 걸림홀에 삽입되면서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surface vertically disposed; four outer side wall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o form an open space for opening the front side; An outer case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and having an inner wall surface folded and attached inside the outer wall surface; And a hinge surfac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and attached to a lower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case, Wherein the inner case is formed with a locking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when the inner case rotates and the inner case is opened from the outer case, A stopper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since the stopper is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tching hole, the inner case can be firmly fixed in the opened state.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 외측 벽면 및 내측 벽면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 케이스 회전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한편, 상기 스토퍼와 내측 케이스의 뒷면이 연결된 걸림점(B)이 걸림홀의 앞면에 걸림되면서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스토퍼와 걸림홀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An insertion space is formed between an outer wall surface and an inner wall surface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the stopper is moved through the insertion spa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when the inner case rotates, So that the inner case can be fixed in the opened state while the latching point B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hoo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That is, even if the inner case is strongly pulled, the inner case can be held in a fixed state because it is caught by the stopper and the engagement hole.
상기 스토퍼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스토퍼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선단을 항상 걸림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inclined upwards.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the stopper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tip end of the stopper can be always kept inserted into the latching hole.
상기 내측 케이스의 앞면 및 뒷면 상단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내부로 접혀져 부착되는 보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면은 내측 케이스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have a reinforcing surface folded and attached to the inner case. That is, the reinforcing surface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보강면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에 연결된 걸림점(B)을 중심으로 U자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상기 걸림점(B)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 상기 보강면을 절개하여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formed in a U-shape around the fastening point B connected to the inner case on the reinforcing surface, and the incised portion may be bent upwardly about the fastening point B as a center. That is, the reinforcing surface may be cut without forming any additional structure to form the stopper.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점(B)의 양 단부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 하부방향으로 더 절개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과 연결된 경사점(C)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상기 스토퍼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스토퍼와 연결된 내측 케이스부의 뒷면을 더 절개하여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도 스토퍼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The stopper further slits in both ends of the latching point (B) at a rear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upwardly about a slanting point (C)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 stopp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hile being folded. That is,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connected to the stopper is further cut to form the inclined surface, the stopper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out additional configuration.
상기 바닥면에는 외측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내측 케이스를 눌려서 인출시키기 위한 누름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내측 케이스를 간편하게 외측 케이스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may be formed with a pushing hole for pushing and pulling out the inner case inserted in the outer case so that the inner case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outer case.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는 상기 걸림홀의 앞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를 걸림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내측 케이스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A guide surface inclined downward may b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where the stopper is hook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per from separating from the latching hol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inner case.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서 고정되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를 외부 케이스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case is fix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the inner case can be more firmly fixed from the outer case to the opened st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케이스에(110)와 내측 케이스(120)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케이스(110)와 내측 케이스(120)의 대응면에 형성된 걸림홀과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케이스(110)로부터 내측 케이스(120)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구현한다.1 to 4, the
한편, 본 고안은 외측 케이스(110)의 개방공간이 앞면을 향하게 배치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 앞면이고, 이 앞면의 반대쪽이 뒷면이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 측면이고, 위를 향하는 면이 상면이며, 상면의 반대쪽이 저면이다.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 space of the
1. One. 외측Outside 케이스 case
외측 케이스(1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배치된 사각형의 바닥면(111)과, 바닥면(111)의 단부에 마련되면서 앞면(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이 개방되게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외측 벽면(112)과, 외측 벽면(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측 벽면(112)의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내측 벽면(113)을 구비한다.1 and 2, the
즉, 외측 케이스(1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사각 형상을 가지는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외측 벽면(112)과, 상기 4개의 외측 벽면(112)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내측 벽면(113)과, 상기 4개의 외측 벽면(11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면(114)으로 마련되며, 바닥면(111)과 외측 벽면(112) 사이, 상기 외측 벽면(112)과 내측 벽면(113) 사이에는 접힘선(101a)(101b)이 형성된다.5 (a), the
이와 같은 외측 케이스(110)는 접힘선(101a)을 중심으로 4개의 외측 벽면(112)을 바닥면(111)에 대해 수직으로 접으며, 이때 연결면(114)이 반으로 접혀지면서 4개의 외측 벽면(112) 사이를 밀폐되게 연결한다. 그런 다음, 내측 벽면(113)을 접힘선(101b)을 중심으로 접어서 외측 벽면(112)의 내측에 부착하며, 이에 개방공간이 형성된 외측 케이스(110)를 조립할 수 있다.The
여기서 외측 케이스(110)에서 상부에 위치한 내측 벽면(113)에는 걸림홀(113a)이 형성되며, 이 걸림홀(113a)에 후술하는 내측 케이스(120)에 형성된 스토퍼가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걸림홀(113a)은 내측 벽면(113)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내측 케이스(1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걸림홀(113a)의 길이를 크게 하면 내측 케이스(120)의 회전각도가 크게 되면서 내측 케이스(120)가 많이 개방되며, 걸림홀(113a)의 길이를 작게 하면 내측 케이스(120)의 회전 각도가 작게 되면서 내측 케이스(120)가 작게 개방된다.A
한편, 외측 케이스(110)에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내측 벽면(113)에는 바닥면(111)에 밀착되게 접혀지는 접힘면(115)이 형성된다. 즉, 접힘면(115)은 내측 벽면(113)의 강도를 보강하며, 특히 걸림홀(113a)의 바닥면(111)을 향하는 부분을 마감하여 걸림홀(113a)이 형성된 내측 벽면(113)의 강도를 보강한다.A folded
한편, 외측 케이스(110)에서 바닥면(111)에는 누름홀(111a)이 형성된다. 즉, 누름홀(111a)을 통해 외측 케이스(110)에 삽입된 내측 케이스(110)를 눌러서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ushing
2. 내측 케이스2. Inner case
내측 케이스(1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 케이스(110)의 개방공간에 삽입되고 상부로 내용물(미도시)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공간(12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그리고 내측 케이스(120)의 앞면(121a) 하단에는 외측 케이스(110)의 하부 외측 벽면(112)에 고정되어 내측 케이스(120)를 외측 케이스(110)에 연결하는 힌지면(12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면(122)의 힌지점(A)을 중심으로 내측 케이스(120)가 회전한다.A
또한,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 상단에는 상기 걸림홀(113a)에 삽입되고 걸림되는 스토퍼(123)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3)에 의해 내측 케이스(120)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한다.A
또한,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 상단에는 스토퍼(123)를 성형하기 위한 보강면(124)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면(124)은 별도의 부품 추가 없이 스토퍼(123)를 성형하는 면적을 제공한다.A
또한, 내측 케이스(120)는 상기 스토퍼(123)를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에 연결하는 한편, 상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기 위한 경사면(125)을 형성한다.The
또한, 내측 케이스(120)의 양 측면(121c) 상단에는 내측 케이스(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지지하는 날개면(126)이 형성된다.A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측 케이스(120)는 도 5의 (b)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앞면(121a) 및 뒷면(121b)과, 앞면(121a) 및 뒷면(121b)의 대응하는 양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121c)을 포함하며, 이에 앞면(121a), 뒷면(121b) 및 측면(121c)을 연결하면 상하로 관통되는 내용물 수용공간(121)이 형성된 내측 케이스(120)를 조립할 수 있다.5 (b), the
그리고 내측 케이스(120)의 앞면(121a) 하단에는 내측 케이스(120)를 외측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힌지면(122)이 연결되며, 이 힌지면(122)은 외측 케이스(110)의 외측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 벽면(113)에 부착된다. 이에 내측 케이스(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면(122)과 앞면(121a)을 연결하는 힌지점(A)을 중심으로 외측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되게 회전한다.A
그리고,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 상단에는 상기 걸림홀(113a)에 걸리면서 내측 케이스(120)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123)가 연결된다. 즉, 스토퍼(123)는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 상단에서 앞면(121a)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에 스토퍼(123)의 선단이 상기 걸림홀(113a)에 삽입되고 걸림된다. 다시 말해 내측 케이스가 외측 케이스(110)에 삽입되게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23)는 걸림홀(113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내측 케이스(120)가 외측 케이스(110) 밖으로 개방되게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23)는 걸림홀(113a)을 통해 내측 벽면(113)과 외측 벽면(112) 사이로 삽입되고, 연속하여 스토퍼(123)와 뒷면(121b)을 연결하는 걸림점(B)이 걸림홀(113a)의 앞면에 걸림되면서 내측 케이스(120)를 고정한다.A
여기서 상기 외측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한 외측 벽면(112) 및 내측 벽면(113) 사이에는 삽입공간(110a)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내측 케이스(120) 회전시 상기 걸림홀(113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110a)을 통해 이동하고, 이에 스토퍼(123)의 걸림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n
이와 같이 스토퍼(123)의 선단은 걸림홀(113a)을 통해 내측 벽면(113)과 외측 벽면(112) 사이의 삽입공간(110a)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내측 케이스(120)를 잡아당기더라도 완전히 인출되지 않는다. 즉, 외측 케이스(110)와 내측 케이스(120)는 스토퍼(123)가 걸림홀(113a)에 삽입되고 걸림되는 결합구조를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스토퍼(123) 또는 걸림홀(113a) 중 어느 하나가 파단되지 않는 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Since the distal end of the
한편, 상기 스토퍼(123)는 선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경사진 스토퍼(123)의 선단은 항상 걸림홀(113a)을 통해 외측 벽면(11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내측 케이스(120)의 회전시 스토퍼(123)가 외측 벽면(11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내측 벽면(113)과 외측 벽면(112) 사이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이에 스토퍼(123)가 걸림홀(113a) 밖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앞면(121a) 및 뒷면(121b) 상단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내부로 접혀져 부착되는 보강면(124)이 연결된다. 보강면(124)은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앞면(121a) 및 뒷면(121b) 상단을 보강하는 한편, 특히 스토퍼(123)를 성형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한다. 즉, 보강면(124)을 통한 스토퍼(123)의 성형은 도 5의 (b)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면(124)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120)에 연결된 걸림점(B)을 중심으로 'U'자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상기 걸림점(B)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절곡하여 스토퍼(123)를 형성한다.A reinforcing
여기서 스토퍼(123)는 상기 걸림점(B)의 양 단부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더 절개하여 경사면(125)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25)은 내측 케이스(120)의 뒷면(121b)과 연결된 경사점(C)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접는다. 그러면 상기 경사면(125)에 의해 스토퍼(123)는 자연스럽게 상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즉, 스토퍼(123)는 별도로 부품 추가 없이 내측 케이스(120)의 보강면(124)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접어서 형성되며, 이에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 스토퍼를 구현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양 측면(121c) 상단에는 날개면(126)이 연결되며, 상기 날개면(126)은 도 1에서 보았을 때 수평하게 접혀지면서 내측 케이스(120)에 수용된 내용물의 상단을 지지하여 내용물의 외부 노출 및 인출을 최소화한다.
A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측 케이스(120)의 앞면(121a)이 앞쪽을 향하게 포장용기(100)를 배치한 다음, 외측 케이스(110)에서 바닥면(111)에 형성된 누름홀(111a)을 통해 내측 케이스(120)를 눌러서 밖으로 인출시킨다. 1 and 3, after the
그러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측 케이스(120)가 힌지면(122)의 힌지점(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에 상기 내측 케이스(120)의 상부가 외측 케이스(110) 밖으로 개방되고, 이에 내측 케이스(120)에 수용된 내용물(미도시)이 밖으로 인출된다. 이때, 내측 케이스(120)의 회전시 스토퍼(123)는 걸림홀(113a)을 통해 내측 벽면(113)과 외측 벽면(112) 사이의 삽입공간(110a)으로 삽입되는 한편, 내측 케이스(120)의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 스토퍼(123)의 걸림점(B)이 걸림홀(113a)의 앞면에 걸려서 고정되면서 내측 케이스(120)를 외측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고정할 수 있다.2 and 4, th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스토퍼와 걸림홀의 걸림력을 통해 내측 케이스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스토퍼 또는 걸림홀의 파단되지 않는 한 걸림력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inner case ope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through the engagement force of the stopper and the latch hole, and can maintain the latching force unless the stopper or the latch hole is broken. A firm fixing force can be obtain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걸림홀(113a)의 앞면에 하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116)은 내측 케이스(120)를 외측 케이스(110)에 삽입할 시 가이드면(116)의 완만한 외측 경사면을 따라 스토퍼(123)가 가이드되면서 걸림홀(113a)에 삽입시킬 수 있고, 내측 케이스(120)를 외측 케이스(110)로부터 인출할 시 가이드면(116)의 급격한 내측 경사면에 의해 스토퍼(123)가 차단되면서 걸림홀(113a)의 밖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ackag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 포장용기
110: 외측 케이스
111: 바닥면
112: 외측 벽면
113: 내측 벽면
113a: 걸림홀
114: 연결면
115: 보강면
116: 가이드면
120: 내측 케이스
121: 수용공간
122: 힌지면
123: 스토퍼
124: 경사면100: Packaging container
110: outer case
111: bottom surface
112: outer wall surface
113: inner wall surface
113a:
114: connecting surface
115: reinforcement face
116: guide face
120: inner case
121: accommodation space
122: Hinge face
123: Stopper
124: slope
Claims (8)
상기 외측 케이스의 개방공간에 삽입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앞면 하단에 상기 외측 케이스의 하부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 밖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면이 형성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걸림홀과,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 상단에 형성되고 내측 케이스 회전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면서 걸림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과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외측 케이스로부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의 앞면 및 뒷면 상단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내부로 접혀져 부착되는 보강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 외측 벽면 및 내측 벽면 사이에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 케이스 회전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한편, 상기 보강면과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이 연결된 걸림점(B)이 걸림홀의 앞면에 걸림되면서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And an inner wall surface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nd folded inward to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surface, wherein the inner wall surface has a bottom surface vertically disposed, four outer wall surfac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o form an open space for opening the front side, An outer case; And
A receiving space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of the outer case and which receives the contents and which is attached to the lower inner side wall surface of the outer case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and is hing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case, Case,
And a stopper formed at an upper end of a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when the inner case rotates, wherein the locking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inner case is fixed in an opened state from the outer case,
A reinforcing surf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so as to be folded into the inner case,
An inser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surface and the inner wall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The stopper moves through the insertion spa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when the inner case rotates, and the engagement point B between the reinforceme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hook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ngagement hole, And the case is fixed in an open state.
상기 스토퍼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inclined upwards.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보강면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에 연결된 걸림점(B)을 중심으로 U'자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상기 걸림점(B)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in a U 'shape around an engagement point (B) connected to the inner case on the reinforcing surface, and the incised portion is formed by upwardly bending about the engagement point (B) Packing containers.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점(B)의 양 단부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 하부방향으로 더 절개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측 케이스의 뒷면과 연결된 경사점(C)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상기 스토퍼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The method of claim 5,
The stopper further cuts at both ends of the engagement point B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ase to form a slope,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upwardly at an inclination point (C)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so that the stopper is inclined.
상기 바닥면에는 외측 케이스에 삽입된 내측 케이스를 눌려서 인출시키기 위한 누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ushing hole for pushing and pulling the inner case inserted in the outer case.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는 상기 걸림홀의 앞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where the stopper is hook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945U KR200479815Y1 (en) | 2014-05-23 | 2014-05-23 | Packag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945U KR200479815Y1 (en) | 2014-05-23 | 2014-05-23 | Packaging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307U KR20150004307U (en) | 2015-12-02 |
KR200479815Y1 true KR200479815Y1 (en) | 2016-03-09 |
Family
ID=5502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945U KR200479815Y1 (en) | 2014-05-23 | 2014-05-23 | Packag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815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6547B2 (en) * | 1991-09-25 | 2001-02-19 | 株式会社トーキン | 2-axis acceleration sensor |
-
2014
- 2014-05-23 KR KR2020140003945U patent/KR200479815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6547B2 (en) * | 1991-09-25 | 2001-02-19 | 株式会社トーキン | 2-axis acceleration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307U (en) | 2015-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22036B2 (en) | Container for dispensing wipes | |
US7708185B2 (en) | Plastic box | |
RU2603563C2 (en) | Pack for smoking articles with elongated access opening | |
WO2016151812A1 (en) | Storage case for storing hinge-lidded box-type package | |
KR200479815Y1 (en) | Packaging container | |
US20180194507A1 (en) | Packaging box with closure flap lock | |
JP3127804U (en) | Cardboard box | |
KR102523660B1 (en) | assembly container one touch clip receive box | |
KR200452620Y1 (en) | Paper box for confectionery packaging | |
JP6803208B2 (en) | Wet wipe storage container | |
JP5405249B2 (en) | Packaging box | |
JP2013067416A (en) | Packaging box | |
WO2011138184A1 (en) | A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 |
KR200477901Y1 (en) | packaging container | |
KR200479050Y1 (en) | Packaging container | |
KR200453254Y1 (en) | Packaging box with inseparable loop | |
JP6424017B2 (en) | Junction box and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 |
GB2148256A (en) | Container for video cassettes or the like | |
JP5328033B2 (en) | Packaging box | |
KR102301197B1 (en) | Packing box | |
JP7043942B2 (en) | Packaging box | |
JP2009107717A (en) | Corrugated carton | |
KR100874104B1 (en) | A packing box | |
JP6534521B2 (en) | Packaging box | |
KR20110022170A (en) | Container for fixing tea 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