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50Y1 - Functional Container - Google Patents

Functional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50Y1
KR200479650Y1 KR2020140005601U KR20140005601U KR200479650Y1 KR 200479650 Y1 KR200479650 Y1 KR 200479650Y1 KR 2020140005601 U KR2020140005601 U KR 2020140005601U KR 20140005601 U KR20140005601 U KR 20140005601U KR 200479650 Y1 KR200479650 Y1 KR 200479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
temperature
spaces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6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0407U (en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이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모 filed Critical 이정모
Priority to KR2020140005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50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0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5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기능성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시켜,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본체부; 및 냉기를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냉기를 본체부의 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냉장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ntainer for storing fruits or vegetables individually and capable of individually storing one or more individual spaces therein to store fruit or vegetables therein; And a refrig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cold air and supplying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space of the main body section.

Description

기능성 용기{Functional Container}{Functional Container}

본 고안은 기능성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기능성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container that can be individually stored for refrigeration of fruits or vegetables.

과일 또는 채소는,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고 실온에서 보관하면 외피의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어 표면에 주름이 생기는 위조현상이 쉽게 발생하며,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힘들고 쉽게 부패된다. 그래서 이러한 과일 또는 채소의 위조현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과일 또는 채소용 용기에 담아 냉장고 등의 냉장시설에 넣어 보관을 하고 있다.If fruits or vegetables a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without being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 moisture of the outer skin is evaporated into the air, and a forgery phenomenon that wrinkles on the surface easily occur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freshness for a long time and it is easily decay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forgery of these fruits or vegetables and keep freshness for a long time, they are stored in a refrigerator such as a refrigerator in a separate container for fruits or vegetables.

한국공개특허 10-2005-0033199호(2005.04.12)는 과일을 산지로부터 소비자까지 운반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과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일의 꼭지부분을 매달아 고정하는 과일 포장 용기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는데, 과일을 넣을 수 있도록 지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지는 원통형이고 원통형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도록 형성된 과일 보호 케이스; 과일에 의한 압력을 흡수하여 과일을 고정시키도록 과일 보호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대; 과일 꼭지를 고정하기 위한 과일 꼭지 고정원판; 과일 보호케이스 내부에 들어가는 과일의 부패와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비닐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과일 보호 케이스 내부에 공간이 있어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 발생 시 과일 보호 케이스만 손상이 있을 뿐 과일이 파손되지 않고, 과일을 장시간 포장하여 보관해도 과일의 부패를 방지하며, 규격화된 포장용기에 의하여 과일 포장 능률을 높일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33199 (Apr. 12, 2005) describes a fruit packing container for hanging and fixing a nipple portion of a fruit in order to prevent the breakage of frui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selling fruit from a mountain to a consumer A fruit protection cas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as the diameter of the fruit decreases, and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fruit protection case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lower part is closed; A fruit suppo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ruit protection case to hold the fruit by absorbing the pressure by the fruit; Fruit faucet for fixing fruit faucet; And a plastic cover for preventing decay of fruit and moisture loss into the inside of the fruit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re is a space in the inside of the fruit protection case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the fruit even if the fruit is stor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uit packing efficiency by packing containers.

한국공개특허 10-2014-0008924호(2014.01.22)는 상품 상자의 내부에 포장된 과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하여 그 상태를 바로 확인이 가능하며, 과일 자체가 지니는 심미감을 포장 상자에 전달케 하여 선물용도에 신선함을 더 높일 수 있고, 과일이 포장된 상자를 가로 또는 세로에 관계없이 과일이 충돌하지 않아 소비자가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는 기능성 과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수납플레이트에 과일을 수납하는 반구 형상의 제1수납홈을 포함하는 과일 수납부; 수납플레이트와 탈착되면서 과일을 수납하는 역반구 형상의 제2수납홈을 포함하는 투명 기재; 및 식별부를 일면에 포함하면서 과일 수납부와 투명기재를 포장하는 포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8924 (Apr. 21, 2014) can identify the fruit packed in the inside of the merchandise box from the outside and visually confirm the condition, and transmit the aesthetics of the fruit itself to the packaging box To a functional fruit packing box in which a freshness can be further enhanced in a gift pattern and a consumer can safely move a fruit packed box without any collision of fruit regardless of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a fruit storage portion including a hemispherical first receiving groove for storing fruit on a receiving plate; A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a storage recess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in the shape of an inverted hemisphere for receiving fruit while being detached from the storage plate; And a packaging member for packaging the fruit storage por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whil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portion on one sid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보관용 용기는, 단지 과일 또는 채소를 보관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므로, 과일 또는 채소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없고 과일 또는 채소가 쉽게 부패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과일 또는 채소를 냉장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냉장 장치가 꼭 필요하였다.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s as described above are used for storing only fruits or vegetables, so they can not maintain the freshness of fruits or vegetable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have a disadvantage that fruits or vegetables are easily corroded. Also, A separate refrigerator was necessary to refrigerate.

종래의 보관용 용기는, 과일 또는 채소들을 개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과일 또는 채소들이 상자 내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뭉개져 상품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do not have a space for individually storing fruits or vegetables, and fruits or vegetables collide with each other in a box or crumble to lose commercial quality.

한국공개특허 10-2005-003319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3199 한국공개특허 10-2014-000892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8924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다수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각 독립된 공간에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냉장 보관하도록 하는 기능성 용기를 제공한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vide a functional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supplied with cool air so that fruits or vegetables can be individually refrigerated in respective independent spaces .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공간을 형성시켜,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본체부; 및 냉기를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냉기를 상기 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냉장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를 제공한다.To solve these problems,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for containing one or more individual spaces therein to store fruit or vegetables; And a refrigerator for generating cold air and supplying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sp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각 일 측에 힌지축으로 서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동시켜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다른 일측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includes an upper main body and a lower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by hinge shafts, and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And a hinge member for opening or closing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main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공간 내의 냉기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al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prevent the cool air in the spac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돌출 부분에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거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ooking memb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adapted to hang on an external protrud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간에 기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부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냉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ol air passages formed in the space with grooves having predetermined depths to move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 장착 설치되어,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그릇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may include a bowl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nstalled in the space, for containing fruits or vegetabl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부는, 일 측면에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판을 형성하고, 다른 일 측면에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을 형성시켜, 상기 흡열판과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펠티에효과에 의해 상기 흡열판을 냉각하기 위한 열전소자; 상기 흡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흡열판의 냉각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방열판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에서 방출하는 열을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frigerator has a heat absorbing plate for absorbing heat on one side surface and a heat dissipating plate for discharging heat on the other side surface, so that the heat absorbing plate and the heat sink have a Peltier effect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cooling the heat absorbing plate; A cooling fan installed on the heat absorbing plate for supplying cool air generated by cooling of the heat absorbing plat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heat dissipating fan formed on the heat dissipating plate and discharg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dissipating plat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temperature sensor un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measures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a display uni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configured to display a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냉장하기 위한 기준 온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및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판독하며, 입력받은 온도와 판독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장부를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mory unit stor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for refrige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read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unit, comparing the input temperature with the read reference temperature, and driving the refrigerator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hav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버튼 입력을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sensing a button input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and notifying the controller of the detected button input.

본 고안에 의하면, 냉기가 공급되는 다수 개의 독립된 공간을 구비하여 각 독립된 공간에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냉장 보관하도록 하는 기능성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과일 또는 채소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과일 또는 채소가 쉽게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과일 또는 채소를 냉장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냉장 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fruits or vegetables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to which cold air is supplied so that the fruit or vegetable can be individually refrigerated and stored in each independent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getable from being easily decayed, an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refrigerator to store fruits or vegetables in the refrigerator.

본 고안에 의하면, 과일 또는 채소들을 개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과일 또는 채소들이 상자 내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for individually storing the fruits or vegetables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uits or vegetables from bumping into each other in the box,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erchant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냉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xampl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xample of the main body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frigerator in Fig. 1.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능성 용기(10)는, 본체부(100) 및 냉장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unctional container 10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refrigerator 200.

본체부(100)는,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공간(111, 112)을 형성시켜, 내부에 형성된 공간(111, 112)에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담는다.The body 100 has one or more separate spaces 111 and 112 formed therein to individually contain fruits or vegetables in the spaces 111 and 112 formed therein.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쭉한 모양(예를 들어, 바나나 모양 또는 완두콩 모양 등)을 가지며, 내부에 다수 개의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해 다수 개의 개별적인 공간(111, 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체부(100)는,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심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공간(111, 112)을 확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0 has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e.g., a banana shape or a pea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111, 112 ) Can be formed. Thus, the main body 100 can secure a space 111 or 112 for storing fruit or vegetables, as well as reducing aesthetic sensation that stimulates the purchase of the consumer.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 각각에 반구 모양의 공간(111, 112)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구 모양의 공간(111, 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체부(100)는, 내부 공간(111, 112)에 구 모양의 과일 또는 채소(예를 들어, 사과, 배 또는 토마토 등)를 보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comprises an upper body 110 and a lower body 120, and hemispherical spaces 111 and 112 are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respectively And spherical spaces 111 and 112 can be formed by mutual coupling. Thus, the main body 100 can store sphere-shaped fruits or vegetables (for example, apples, pears, tomatoes, etc.) in the inner spaces 111 and 112.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의 형태(예를 들어, 바나나 또는 오이 등)의 공간(111, 112)을 형성하여, 공간(111, 112)의 형태에 해당하는 과일 또는 채소를 보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with spaces 111 and 112 of a form of fruit or vegetable (for example, a banana or cucumber) inside thereof to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spaces 111 and 112 You can store fruits or vegetables.

냉장부(200)는, 냉기를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냉기를 본체부(100)에 내부에 형성된 공간(111, 112)에 공급한다.The cold storage unit (200) generates cold air and supplies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spaces (111, 112) formed in the main body (100).

일 실시 예에서, 냉장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시켜서 본체부(100) 내부로 공급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efrigerato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generate cool air and supply i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Hea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cold ai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100).

일 실시 예에서, 냉장부(200)는, 상부 본체(110) 내부에만 설치되거나, 하부 본체(120) 내부에만 설치되거나, 상부 본체(110) 내부와 하부 본체(120) 내부 각각에 설치되어,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111, 112)에 냉기를 공급해 줄 수 있다.The refrigerating unit 200 may be installed only inside the upper body 110 or only inside the lower body 120 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body 110 and inside the lower body 120, Cool air can be supplied to the spaces 111 and 112 formed in the main body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능성 용기(10)는, 공기순환통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contain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circulation passage 190.

공기순환통로(190)는, 냉장부(200)에서 공간(112) 각각으로 연결되는 제1 통로와, 공간(111)에서 냉장부(200)로 연결되는 제2 통로로 형성되어, 냉장부(200)에서 발생시킨 냉기를 공간(111, 112)을 거쳐 다시 냉장부(200)로 순환시켜 준다.The air circulation passage 190 is formed by a first passage connected to each of the spaces 112 in the refrigerating unit 200 and a second passage connected to the refrigerating unit 200 in the space 111, 200 to the refrigerating unit 200 through the spaces 111,

일 실시 예에서, 공기순환통로(190)는, 냉장부(200)에서 발생시킨 냉기를 냉장부(200)의 냉각팬(220)(도 4를 참조함)에 의해서 제1 통로를 통해 유입받을 수 있으며, 제1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각 공간(111, 112)으로 공급시켜, 각 공간(111, 112)에 담겨져 있는 과일 또는 채소를 냉장시킨 후에, 각 공간(111, 112)에서 냉장시킨 냉기를 제2 통로로 전달해 주며, 제2 통로로 전달되는 냉기를 냉장부(200)의 냉각팬(220)(도 4를 참조함)에 의해서 다시 냉장부(200)로 순환시켜 줌으로써, 냉장부(200)에서 발생시킨 냉기를 각 공간(111, 112)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각 공간(111, 112)에 담겨져 있는 과일 또는 채소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circulation passage 19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refrigerating unit 200 is received by the cooling fan 220 (refer to FIG. 4) of the refrigerating unit 200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passage is supplied to each of the spaces 111 and 112 so that the fruits or vegetables contained in the spaces 111 and 112 are refrigerated, And circulates the cool air, which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passage, to the refrigerator 200 again by the cooling fan 220 (see FIG. 4) of the refrigerator 200, The fresh air generated in the unit 200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paces 111 and 112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fruits or vegetables contained in the spaces 111 and 112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능성 용기(10)는, 본체부(100) 내부에 다수개의 독립된 공간(111, 112)을 가지며, 본체부(100) 내부의 공간(111, 112)에 냉장부(200)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냉장고와 같은 별도의 냉장시설이 없는 경우에도 과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과일들을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서로 부딪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unctional contain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111 and 112 in the main body 100. The functional container 10 has a space 111 and 112 in the main body 100, 200, the freshness of the frui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when there is no separate refrigerator such as a refrigerator, and the fruits can be individually stored, so that the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rushed to each other.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xampl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힌지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inge member 130.

힌지부재(130)는, 본체부(100)의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각 일 측에 힌지축(131)으로 서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힌지축(131)에 의해 회동시켜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다른 일측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한다.The hinge member 1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110 and 120 of the main body 100 by a hinge shaft 131 and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131 So as to open or clos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120.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재(130)는, 상부 본체(110)의 일 측에 힌지축(131)을 체결하기 위한 힌지축체결수단(132)을 형성하고 하부 본체(120)의 일 측에 힌지축(131)을 형성하며, 힌지축(131)을 힌지축체결수단(132)에 삽입 체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부 본체(110)에 형성된 힌지축체결수단(132) 내에서 하부 본체(120)에 형성된 힌지축(131)을 회동시켜,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의 다른 일측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The hinge member 130 includes a hinge shaft fastening means 132 for fastening the hinge shaft 131 to one side of the upper body 110 and a hinge shaft fastening means 132 for fastening the hinge shaft 131 to one side of the lower body 120. [ And the hinge shaft 131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fastening means 132 so that the hinge shaft 131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fastening means 132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The formed hinge shaft 131 can be rotated to open or close the upper body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12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체부(100)는, 밀폐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140.

밀폐부재(14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 사이를 밀폐시켜 본체부(100) 내의 냉기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sealing member 14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to prevent the cool air in the body 100 from flowing to the outside .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재(14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 사이에 마주하며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member 140 may be formed between and facing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respectively.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재(14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 사이를 상호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수단(예를 들어, 고무 등)에 의하여 형성되며, 또한 밀착수단의 내부에 자력을 가진 자성체(예를 들어, 고무 자석 등)를 삽입 설치되어 자성체에 의해 밀착수단의 밀착력을 보다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밀폐부재(140)는, 본체부(100)에 외부의 충격이 있는 경우에도 개방되지 않고 내부의 냉기를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closure memb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and may be provided with a tightening means (For example, a rubber magnet, etc.) having a magnetic forc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ct means, and the adhesion of the contact means can be more strongly maintained by the magnetic body. Thus, the sealing member 140 can maintain the internal cool air without being opened even when there is an external impact on the main body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체부(100)는, 거는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ging member 150. [

거는부재(15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돌출 부분에 걸어서 보관되도록 한다.The hooking member 15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hooked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거는부재(15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돌출 부분에 걸기 위한 모양(예를 들어, 걸고리, 옷걸이 또는 낚시바늘 등)으로 형성되어, 돌출 부분이 있는 장소(예를 들어, 스탠드형 옷걸이 등)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좋으며,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도록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hooking member 150 is formed in a shape for hanging on the projecting por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for example, a hook, a hanger, a fishing needle, or the like) For example, a stand-type hanger, etc.), space utilization is goo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device without bending the wais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체부(100)는, 다수 개의 냉기통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ol air passages 160.

냉기통로(160)는, 본체부(100) 내부의 공간(111, 112)에 기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냉장부(200)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가 형성된다.The cold air passage 160 is formed in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spaces 111 and 112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a plurality of cool air passages 160 are formed to move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or 200.

일 실시 예에서, 냉기통로(160)는,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111, 112)에 기 설정된 깊이(예를 들어, 2mm~10mm)를 가지는 홈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냉장부(200)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공급받아 다수 개의 홈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공간(111, 112)에 담겨져 있는 과일 또는 채소를 냉장시킬 수 있다.
The cool air passage 16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predetermined depths (for example, 2 mm to 10 mm) in the spaces 111 and 112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space 200 may flow through the plurality of grooves to cool the fruits or vegetables contained in the spaces 111 and 112.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xample of the main body in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그릇부재(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bowl member 170.

그릇부재(170)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가지며, 본체부(100) 내부의 공간(111, 112)에 장착 설치되어, 과일 또는 채소를 담는다.The bowl member 17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s installed in the spaces 111 and 112 inside the main body 100 to contain fruits or vegetables.

일 실시 예에서, 그릇부재(170)는, 다공성 형태의 용기(예를 들어, 소쿠리 또는 광주리 등)로서,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부(100) 내부의 공간(111, 112)에 장착 설치되며, 냉장부(200)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다수 개의 구멍을 통해서 내부에 담긴 과일 또는 채소에 공급해 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bowl member 170 is a porous type container (e.g., a colander or a basket) having a space for storing fruits or vegetables therein, 111, and 112, and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or 200 can be supplied to the fruits or vegetables contained therein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일 실시 예에서, 그릇부재(170)는, 본체부(100) 내부 공간(111, 112)에 장착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111, 1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과일 또는 채소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의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는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111, 112) 내부에 고정이 될 수 없는 크기의 과일 또는 채소도 담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The bowl member 17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internal spaces 111 and 112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s 111 and 112 of the main body 100, The size or shape of the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space 111 or 112 can be variously stored.

도 4는 도 1에 있는 냉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frigerator in Fig. 1. Fig.

도 4를 참조하면, 냉장부(200)는, 열전소자(210), 냉각팬(220) 및 방열팬(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efrigerator 20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210, a cooling fan 220, and a heat dissipation fan 230.

열전소자(210)는, 일 측면에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판(211)을 형성하고, 다른 일 측면에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212)을 형성시켜, 흡열판(211)과 방열판(212) 사이에서 발생하는 펠티에효과에 의해 흡열판(211)을 냉각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ncludes a heat absorbing plate 211 for absorbing heat and a heat dissipating plate 212 for radiating heat to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and the heat sink 212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is cooled by the Peltier effect generated between the end plates.

일 실시 예에서, 열전소자(210)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로 형성된 흡열판(211)과 방열판(212)을 양 측면에 형성하며, 펠티에효과에 의해 본체부(100) 내부의 열을 흡열판(211)이 흡수하도록 하고, 흡열판(211)이 흡수한 열을 방열판(212)으로 전달시켜, 방열판(212)을 통해 전달받은 열을 본체부(100) 외부로 방출시켜 줌으로써,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heat absorbing plate 211 and a heat sink 212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or the like) The heat absorbed by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is transmitted to the heat sink 212 and the heat absorbed by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heat sink 212,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can be lowered.

일 실시 예에서, 열전소자(210)는, 열을 전달하는 매체(즉, 열전달매체)를 접촉 설치시켜 해당 열전달매체를 통해 흡열판(211)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열전소자(210)의 면적은 흡열판(21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can contact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through the heat transfer medium by contacting the heat transfer medium (i.e., heat transfer medium) with the heat transfer medium. Therefore, the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냉각팬(220)은, 흡열판(211)에 설치되어, 흡열판(211)의 냉각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본체부(100) 내부에 공급한다.The cooling fan 220 is installed in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to supply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with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of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일 실시 예에서, 냉각팬(220)은, 열전소자(210)에 의해 냉각되는 흡열판(211)의 측면에 설치되어, 팬의 회전력에 의해서 공기를 흡열판(211)을 거쳐 냉각되도록 한 후에 해당 냉각된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에 송풍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oling fan 22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and the air is cooled through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So that the cooled air can be blown into the main body 100.

방열팬(230)은, 방열판(212)에 형성되어, 방열판(212)에서 방출하는 열을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heat dissipation fan 230 is formed 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and discharges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일 실시 예에서, 방열팬(230)은, 열전소자(210)에 의해 가열되는 방열판(212)의 측면에 설치되어, 팬의 회전력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를 방열판(212)으로 전달하여 가열된 방열판(212)을 식힌 후에 방열판(212)을 거쳐 가열된 공기를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fan 23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he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0 and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The air heated by the heat sink 21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fter the main body 212 is cooled.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성 용기(20)는, 본체부(100), 냉장부(200), 온도센서부(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 및 냉장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unctional container 20 includes a main body 100, a refrigerator 200, a temperature sensor 300, and a display 400. The main body 100 and the refrigerator 20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1,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온도센서부(3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일 실시 예에서, 온도센서부(300)는, 열전현상(즉, 물체의 온도차를 전위차로 또는 그 전위차를 온도차로 직접 전환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해당 측정된 온도값을 표시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by using a thermoelectric phenomenon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an object is directly converted to a potential difference or a potential difference thereof) And can output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to the display unit 400.

표시부(40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온도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온도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400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100 and display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40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LED 또는 LCD 등)로서, 온도센서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온도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온도값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400 is an apparatus (for example, an LED or an LCD) for visually displaying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400 may include a temperature value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provide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능성 용기(30)는, 본체부(100), 냉장부(200), 온도센서부(300), 표시부(400), 메모리부(500), 제어부(600) 및 입력부(7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 냉장부(200), 온도센서부(300) 및 표시부(400)는 도 1 및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6, the functional container 30 includes a main body 100, a refrigerating unit 200, a temperature sensor unit 300, a display unit 400, a memory unit 500, a control unit 600, 700). The body 100, the refrigerator 200, the temperature sensor 300, and the display 40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and FIG.

메모리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를 냉장하기 위한 기준 온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The memory unit 500 stores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for refrige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n advance.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500)는, 제어부(600)에서 변경시킨 기준 온도를 저장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unit 500 may store the reference temperature changed in the control unit 600. [

제어부(600)는, 온도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고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판독하며, 입력받은 온도와 판독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냉장부(200)를 구동시켜 준다.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measured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and reads the reference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unit 500. The control unit 600 compares the input temperature with the read reference temperature, 20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온도센서부(300)로부터 입력받은 온도가 메모리부(500)로부터 판독한 기준 온도보다 큰 경우에 냉장부(200)를 구동시켜 주며, 온도센서부(300)로부터 입력받은 온도가 메모리부(500)로부터 판독한 기준 온도보다 작은 경우에 냉장부(2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줄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drives the refrigerator unit 200 when the temperatur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ead from the memory unit 500, The refrigeration unit 200 can be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nput from the refrigeration unit 30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ead from the memory unit 500.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00)는, 입력부(700)에서 통보하는 버튼 입력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를 냉장하기 위한 기준 온도를 변경시켜 메모리부(500)에 설정해 줄 수 있다.The controller 600 can change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refrige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notified by the input unit 700 and set the same in the memory unit 500 have.

입력부(700)는,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버튼 입력을 제어부(600)로 통보한다.The input unit 700 detects a button input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notifies the controller 600 of the detected button inpu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능성 용기(30)는, 전원공급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container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800.

전원공급부(800)는, 상용 전원을 전달받거나, 또는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온도센서부(300), 표시부(400), 제어부(600), 입력부(700) 및 냉장부(2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800 receives the commercial power or receives the power from the internal battery so that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the display unit 400, the control unit 600, the input unit 700, and the refrigerator unit 200 It is converted into power and supplied.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800)는, 전원스위치(90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90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용 전원 또는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800 may include a power switch 900. The power switch 900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100, and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or the internal battery.

일 실시 예에서, 전원스위치(900)는, 본체부(100)에 보관할 과일 또는 채소가 없어 냉장부(200)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냉장부(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900 turn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frigerator 200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refrigerator 200 because there is no fruit or vegetable to be stored in the main body 100, Unnecessary driving can be prevented.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기능성 용기(40)는, 본체부(100), 냉장부(200) 및 연결부재(18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 및 냉장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7, the functional container 40 includes a main body 100, a refrigerator 200, and a connecting member 180. The main body 100 and the refrigerator 20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1,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부재(180), 본체부(100)의 일 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본체부(100)와 연결시켜 준다.The connecting member 180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connects to the other main body 100.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80)는, 본체부(100)의 일 측면에 걸리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똑딱단추의 암놈, 걸림턱 등)을 형성시키며, 다른 일측면에 걸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똑딱단추의 수놈, 걸고리 등)을 형성시켜, 두 개 이상의 본체부(100)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80 forms a means for catching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for example, a snatch of a click button, a hanging jaw, etc.) For example, a snare button, a hook, or the like) may be formed to connect two or more body parts 100 to each other.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기능성 용기(50)는, 본체부(100) 및 냉장부(200)를 포함한다. 냉장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8, the functional container 50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refrigerator 200. The refrigerating unit 200 is the same a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FIG. 1,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부(100)는, 내부에 공간(111, 112)을 형성시켜, 내부에 형성된 공간(111, 112)에 과일 또는 채소를 개별적으로 담는다.The main body 100 has spaces 111 and 112 formed therein to individually contain fruits or vegetables in the spaces 111 and 112 formed therein.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포도 모양을 가지며,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해 공간(111, 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체부(100)는,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심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공간(111, 112)을 확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0 has a grape shape and may form spaces 111 and 112 to contain fruit or vegetables therein. Thus, the main body 100 can secure a space 111 or 112 for storing fruit or vegetables, as well as reducing aesthetic sensation that stimulates the purchase of the consumer.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본체부
110: 상부 본체
120: 하부 본체
111, 112: 공간
130: 힌지부재
131: 힌지축
132: 힌지축체결수단
140: 밀폐부재
150: 거는부재
160: 냉기통로
170: 그릇부재
180: 연결부재
190: 공기순환통로
200: 냉장부
210: 열전소자
211: 흡열판
212: 방열판
220: 냉각팬
230: 방열팬
300: 온도센서부
400: 표시부
500: 메모리부
600: 제어부
700: 입력부
800: 전원공급부
810: 전원스위치
100:
110: upper body
120:
111, 112: Space
130: hinge member
131: Hinge shaft
132: Hinge shaft fastening means
140: sealing member
150: hanging member
160: cold air passage
170:
180: connecting member
190: air circulation passage
200: refrigerator
210: thermoelectric element
211: Endothermic plate
212: heat sink
220: Cooling fan
230: Thermal fan
300: Temperature sensor unit
400:
500: memory unit
600:
700: input
800: Power supply
810: Power switch

Claims (10)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공간(111, 112)을 형성시켜,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본체부(100); 및
냉기를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냉기를 상기 공간(111, 112)에 공급하기 위한 냉장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본체(110)와 상기 하부 본체(120)의 각 일 측에 힌지축(131)으로 서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131)에 의해 회동시켜 상기 상부 본체(110)와 상기 하부 본체(120)의 다른 일측 사이를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재(130) 및 상기 상부 본체(110)와 상기 하부 본체(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본체(110)와 상기 하부 본체(120)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공간(111, 112) 내의 냉기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폐부재(140)를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100) for forming fruits or vegetables by forming one or more individual spaces (111, 112) therein; And
And a refrigerator (200) for generating cold air and supplying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spaces (111, 112)
In the main body 100,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 shafts 131 at one side of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A hinge member 130 for pivotally moving the upper body 110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so as to open or clos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ody 120, And a closure member (140)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to prevent the cool air in the spaces (111, 112) from flowing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일 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본체부(100)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0)
And a connecting member (180) form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connect the other body part (1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돌출 부분에 걸어서 보관하기 위한 거는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0)
Further comprising a hooking member (150)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adapted to hang on an external protru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공간(111, 112)에 기 설정된 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부(200)에서 생성시킨 냉기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냉기통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0)
And a plurality of cool air passages (160) formed in the spaces (111, 112)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move the cool air generated by the cooler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다수 개의 관통공을 가지는 다공성의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과일 또는 채소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의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111, 112)에 장착 설치되어, 과일 또는 채소를 담기 위한 그릇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rous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size o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ze or shape of fruits or vegetables and is mounted and installed in the spaces 111 and 112 , And a bowl member (170) for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부(200)는,
일 측면에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판(211)을 형성하고, 다른 일 측면에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212)을 형성시켜, 상기 흡열판(211)과 상기 방열판(212) 사이에서 발생하는 펠티에효과에 의해 상기 흡열판(211)을 냉각하기 위한 열전소자(210);
상기 흡열판(211)에 설치되어, 상기 흡열판(211)의 냉각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220); 및
상기 방열판(212)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212)에서 방출하는 열을 상기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팬(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tor (200)
A heat absorbing plate 211 for absorbing heat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heat dissipating plate 212 for discharging he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so that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is formed between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and the heat dissipating plate 212 A thermoelectric element 210 for cooling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by a Peltier effect;
A cooling fan 220 installed on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for supplying cool air generated by cooling of the heat absorbing plate 211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nd a heat dissipation fan (230) formed 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for discharg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plate (212)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erature sensor unit 30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40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0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냉장하기 위한 기준 온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500); 및
상기 온도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기준 온도를 판독하며, 입력받은 온도와 판독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장부(200)를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memory unit 500 for presetting and storing a reference temperature for refrige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300 receives the measured temperature, reads the reference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unit 500, compares the received temperature with the read reference temperature, and outputs the reference temperature to the refrigerator 200 And a controller (600) for driving the functional contai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버튼 입력을 상기 제어부(600)로 통보하는 입력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700) for sensing a button input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notifying the controller (600) of the detected button input.
KR2020140005601U 2014-07-25 2014-07-25 Functional Container KR2004796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01U KR200479650Y1 (en) 2014-07-25 2014-07-25 Functional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01U KR200479650Y1 (en) 2014-07-25 2014-07-25 Functional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07U KR20160000407U (en) 2016-02-03
KR200479650Y1 true KR200479650Y1 (en) 2016-02-25

Family

ID=5535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601U KR200479650Y1 (en) 2014-07-25 2014-07-25 Functional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50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024B1 (en) * 1995-07-04 1999-10-15 마쯔이 요시유끼 Adiabatic box
KR200319326Y1 (en) * 2003-04-19 2003-07-07 오토사이언스(주) COSMETIC COOLER (Digital Temp. Display & Temp.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024B1 (en) * 1995-07-04 1999-10-15 마쯔이 요시유끼 Adiabatic box
KR200319326Y1 (en) * 2003-04-19 2003-07-07 오토사이언스(주) COSMETIC COOLER (Digital Temp. Display & Temp.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07U (en)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692B (en) Beverage cooling
CA2608876C (en) Portable temperature-controlled container
US10119755B2 (en) Portable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s using heat transfer devices
US9038412B2 (en) Refreezable ice barrel
CN104428214B (en) Apply the agricultural product transport dispenser of thermoelement
US10302354B2 (en) Precision supercooling refrigeration device
ES2311123T3 (en) FAST COOLING METHOD AND DEVICE.
US10288341B2 (en) Refrigerator
DK1427315T3 (en) showcase
US10932592B2 (en) Indexing cooler
KR200479650Y1 (en) Functional Container
KR101678436B1 (en) Refrigerator
US7159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 product in a thermally stabilized state
ES1144808U (en) Portable container for thermosensitive product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JP3138983U (en) Refrigerated container
KR200477043Y1 (en) Portable baby food container
CN107339844A (en) Wall refrigerator
CN208909516U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JP6150622B2 (en) Supercooling device, refrigeration device having the supercooling device, and supercooling method
CN203473550U (en) Packaging box for biological medicine
JP3120285U (en) Cold and thermal insulation container
KR20160023458A (en) Refrigerator
KR200285167Y1 (en) Multipurpose refrigerator for using thermo electric module
KR20190064165A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for wine and cosmetic
KR200293813Y1 (en) Rice storage unit fof using thermo electric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