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00Y1 -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 Google Patents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00Y1
KR200479600Y1 KR2020130003380U KR20130003380U KR200479600Y1 KR 200479600 Y1 KR200479600 Y1 KR 200479600Y1 KR 2020130003380 U KR2020130003380 U KR 2020130003380U KR 20130003380 U KR20130003380 U KR 20130003380U KR 200479600 Y1 KR200479600 Y1 KR 200479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heating
heat
heat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76U (ko
Inventor
서영철
Original Assignee
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철 filed Critical 서영철
Priority to KR2020130003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0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9/00Central heating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heat transfer fluid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24D1/00 - F24D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난방을 하기 위한 난방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공개특허 제10-2010-0111880호 (발명의 명칭, 온풍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난방기구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보일러탱크를 일부 변형한 보일러로서 보일러를 가동하여 근적외선히터가 발열하는 빛의 열기로 온돌바닥에 따듯한 난방을 함과 동시에 난로의 기능으로는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도록 실내 난방을 하면서 난로의문은 필요에 따라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 소비전력을 줄이는 효과와 함께 난방의 효율을 높이면서 일상생활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난로의문이 부착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색인어]
난로기능 및 보일러기능 , 도어스위치 , (조립 형)온돌매트 , 조광스위치 , 난로의문 , 구멍이 천공된 보일러탱크

Description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omitted}
본 고안은 공개특허 제10-2010-0111880호(발명의 명칭, 온풍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하여 보일러탱크 일 부분을 변형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에너지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난방을 하기 위하여 보일러탱크 전(앞)면의 일부에는 구멍을 천공하고 또 난로의문을 설치하였다 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방을 할 때 난로의문을 열고 난방을 하게 되면 이때 온풍공급용홴이 정지된 상태로 난방을 하게 됨으로 전력소비량이 절감되면서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발열량으로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실내의 온돌바닥에 따듯한 난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난로의 기능에 있어서는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발열량의 빛은 태양열의 햇빛과 같은 기능작용이 있어 이때 실내내부에 따듯한 빛의 열기로 직접방출을 하여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도록 난방을 하여주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실내난방 외에도 실내에 보관중인 식물(화초)들도 건강하게 성장을 하면서 잘 자랄 수 있도록 빛의 에너지를 공급하여 주여 주게 된다 또한 밀폐된 실내공간에는 공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빛의 에너지로 번식을 차단 하여주게 된다 그리고 다시 난로의문을 닫아주면 종래와 같은 동일한 난로의 기능 방법이 되게 됨으로 보일러탱크 전(앞)면 부위는 다시 어두워 지면서 이때 종래와 같이 온풍공급용 홴이 가동되어 온풍으로 실내난방을 하도록 하는 난로기능을 함께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난로의문이 부착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 사용되고 있는 난방기구들은 각종 여러 종류로 다양하다.
나무를 사용한 화목 난로 및 화목보일러, 연탄을 사용한 연탄난로 및 연탄보일러, 가스를 사용한 가스난로 및 가스보일러 및 석유등 기름을 사용한 석유난로 및 석유등 기름 보일러가 있다
이외에 전기를 사용한 전기장판과 전기난로 및 전기보일러 등 각종난방기구가 있다.
이와 같이 겨울철 난방기구는 각종 종류가 다양하며 최근 들어서 고유가 및 경기침체로 인하여 가장 싶게 소비자가 선호 하고 있는 난방기구들을 살펴보면 전기장판과 전기 난로는 공해를 일으키지 않으며 인체에도 매우 유용한 기능들이 많이 장착되어 있기도 한다 이들 전기 난로 중 니크롬선을 이용한 난로는 구입가격이 낮은 장점은 있으나 전기스위치를 바로 켰을 때 니크롬선 히터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은 그 속도가 느리고 상대편 물체로 전달되는 온도가 늦어지면서 또한 발열량이 평소 낮으면서도 전력소모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그럼으로 최근에는 일명 할로겐 이라 부르는 근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난로는 구입가격은 높으나 스위치를 켰을 때 근적외선(전구) 히터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은 높고 빠른 속도로 상대방의 물체에 전달되면서 평소의 발열량도 매우 높은 상태에서 소비전력량도 낮은 장점이 있다 또 전기장판 종류들을 살펴보면 일반 전기장판이 있으며 건강에 유용한 옥 매트장판과 방석이 있으며 이외에 조립식 전기 판넬과 전기필름장판 등 각종 다양한 제품들이 있다 이와 같은 난방 기구들을 사용한 실내온도 등을 살펴보면 실외 외부 날씨 온도가 영하 3 ℃ 이하의 날씨에서는 외부공기가 아주 낮고 차갑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도 따라서 아주 낮아 지게 된다 이때에 옥 매트의 2인용 1장의 경우 소비전력 약260w로는 발열량이 낮아 침실실내공간 약2,5평의경우 적합한 실내의 공기온도 약 20 ℃ 이상은 높일 수가 없어 옥 매트 외에 별도의 난로나 보일러 등 난방기구를 제 사용하여 실내의 찬 공기를 더 높여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소비전력 및 기타에너지 손실이 이중으로 손실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조립식 전기 판넬이나 전기 필름 장판들은 실내의 공간 약2,5평의 경우에서는 약1,000∼1300w정도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이 커 주택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기본전기요금을 추가하고 누진요금이 크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 장시간 사용에는 많은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또 온돌바닥은 따듯하나 발열하는 열량자체가 낮아 실내공기는 차갑고 낮기 때 문에 외부의 별개난방기구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석유나 가스보일러의 난방비용에 있어서는 석유보일러 난방비는 가스보일러에 비하여 약40∼50%가 더 높게 지출됨으로 고유가 및 경기 침체시대로서 난방비용은 소비자들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으며 또 난방기구가 매시간마다 운전될 때에 지구에 온난화 온실가스 공해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가스를 수시로 방출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점이 되고 있으며 난방비용이 높아 많은 외화를 낭비하고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럼으로 이와 같이 각종 많은 난방기구중 이의 난방에 대한 문제점들을 보다 상세하게 지적하여보면 전기 옥 매트나 전기조립식 판낼과 전기필름 장판은 실내 온돌바닥 지면은 대부분 따듯하나 실내의 찬 공기는 높게 올려주지 못함으로 실내의 찬 공기를 약20 ℃ 이상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높여주려면 항상(전원) 난방 온도조절기를 고온으로 높여서 운전을 하여야 차가운 실내공기를 따듯하게 올려주도록 사용하면서도 때로는 실내공기가 차가워 별개의 난로난방기구를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난방손실 비용이 약50%이상 더 손실이 되고 있어 많은 에너지 손실과 외화를 낭비하고 있는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에너지 손실문제는 가스 및 석유보일러에 있어서도 난방열량은 매우 높다 하지만 난방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보일러가 가동이 되면 보일러탱크내의 온수 물은 약 60 ℃이상 고온으로 상승하여 온수 순환펌프가 동작하여 실내 바닥난방 관으로 온수를 순환을 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때 철 파이프 난방관은 열전도 효율이 높은데 시설비가 높은 관계로 철 파이프 관이 아닌 합성수지 난방 관을 대부분 설치 사용하고 있다 그럼으로 합성수지 난방 관은 철 파이프 난방 관에 비하여 열전도 효율이 느리고 낮아 약8%이상 온도를 감소하며 전달되고 있다 또 실내바닥에 깔려있는 난방 관은 4면 모두를 두꺼운 시멘트로 감싸고 있어서 온돌바닥 위에 방출되는 난방 관의 발열량은 바닥시멘트에서 약10∼15%의 온도를 다시 감소하는 상태에서 온돌 위에 발열함으로 그 발열량이 낮아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꾸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럼으로 실제 기상청에서 발표한 온도가 영하 3 ℃ 이하의 경우 보일러를 가동하여 실내공간 약2,5평 서민주택의 경우 실내온돌바닥에 깔려있는 난방 관으로 실내 온도를 3 ℃를 올리려면 약2∼3시간가량 보일러의 가동시간이 소요됨으로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고 있어 고유가 및 경제침체 시대에 소비자들의 가정에 난방비의 많은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그럼으로 최근에는 난방비가 싸고 부담이적은 연탄보일러를 많은 가정에서 사용을 하고 있으나 연탄보일러는 자칫 관리를 잘못하면 연탄중독으로 생명을 잃을 수 도 있으며 연탄불이 꺼지지 않도록 늘 관리를 해주고 또 쓰레기를 버려야 하는 등 어려움들을 주고 있다 또 가스나 석유보일러는 보일러가 가동될 때마다 지구의 온난화 온실가스 공해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가스를 수시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점이 되고 있으며 또 난방비용이 높아 많은 외화를 낭비하고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외의 난방방법은 석유난로(스토브)에 보일러탱크를 부착하여 석유난로에서 방출는 열기로 실내 난방을 하게 된다 또한 보일러탱크에 들어있는 따듯한 온수 물로 바닥 온돌난방을 하는 난방방법이 있으나 석유난로(스토브)는 석유를 태워 난방을 하게 되면 이때 일산화 가스가 발생하여 실내내부에 계속 쌓이게 되어 인체에 큰 해를 주게 됨으로 난방을 할 때에는 수시로 창문을 열어놓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들어있는 공기를 순환시켜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가스난로(스토브) 사용의 경우도 동일하다)또한 석유난로(스토브)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석유를 태워내는 열기로 난방을 하기 때문에 이의 열기는 석유난로(스토브)가 설치되어 있는 가까운 부위는 높은 열기로 따듯하다 그러나 약간 떨어져있는 먼 거리에서는 열기가 낮아져 온도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또한 석유값이 고유가 이기 때문에 1일 난방비의 연료값이 높아 사용자에게는 큰 부담이 되게 된다 또한 전기난로에 사용하고 있는 열선 히터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근래에 구입 가격이 낮아 널리 사용을 하고 있는 전기 원적외선난로는 전기열선을 감아 사용하고 있는 히터로서 이는 전기를 넣어 히터를 발열하여 난방을 하게 되면 히터에서 발열하는 붉은 색상의 열은 난로의 주변만 바로 따듯하여지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은 크면서 난방의 효과도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근적외선히터를 사용하고 있는 난로는 전기를 넣어 히터를 발열하여 난방을 하게 되면 히터에서 발열하는 열과 빛은 태양열의 햇볕과 같은 작용이 있어 난로의 주변이 따듯하고 또 먼 거리에 있는 물체에도 따듯한 온기가 빛으로 바로 전달되어 따듯하여지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은 낮으면서 난방의 효과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참고할 사항은 인체가 추위를 느끼는 과정은 실내 바닥은 따듯하나 실내의 공기가 차가우면 추위를 많이 느끼며 반대로 실내바닥은 차가우나 실내 공기가 따듯하면 추위를 많이 느끼질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고 첨단 시대에 와서는 추운 겨울철 난방을 하는 난방의 기구들도 난방을 하는 방법 외에 주의환경에 도움이 더 되도록 많이 변화하고 또 발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살펴 소개를 하여보면 지구상에 있는 각종 동식물들도 건강을 지키려면 어느 정도 햇볕을 쪼여주어야 한다 하지만 겨울철의 날씨는 기온이 낮고 매우 춥기 때문에 화분에 심어놓은 각종 화초(식물) 들은 추위에 얼어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온이 따듯한 실내내부로 들여놓게 되나 실내내부에 들여놓은 화초(식물)들은 태양빛을 제대로 쪼이질 않아 건강을 잃어버리게 되는 아쉬운 문제도 있으며 또한 식물뿐 아니라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내부에는 외부에서 찬바람이 틈새를 타고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에 비닐 및 보온재료로 덮어 봉합을 하게 됨으로 실내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 및 햇볕이 더욱더 들어오기가 매우 어려워 곰팡이들이 많이 번식을 하게 된다 또한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추위관계로 나이가 든 노약자들이나 대부분 사람들이 외부를 나가지 않고 실내내부에 갇혀 생활들을 하게 됨으로 인체가 햇볕을 접하는 시간들이 너무 부족한 생활들을 하고 있다 우리의 인체의 몸도 자주 햇볕을 쪼여주어야 건강한 피부 및 건강한 몸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비타민D는 인체의 피부가 햇볕을 쪼일 때 만들어진다고 한다 하여 본 고안에서는 공개특허10-2010-0111880호의 난방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보일러탱크(10)는 도7에서와 같이 길이가 긴 둥근 원통형으로 몸체자체가 밀폐 되어있어 근적외선히터(5)는 원통형으로 되어 길이가 긴 보일러탱크(10) 내부에 삽입되어있다, 길이가 긴 둥근 원통형으로 되어있는 보일러탱크(10) 내부에는 또 하나의 방열판(4)이 들어있으며 방열판(4)의 그 내부에는 근적외선히터(5)가 삽입되어 들어있어서 이때 난방을 하는 방법은 이와 같다 먼저 전원을 공급하면 근적외선히터(5)가 발열을 하게 되다 이때 근적외선히터(5)의 발열량은 방열판(4)과 또 보일러탱크(10)에 고 열량을 공급함으로 방열판(4)주변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어있어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열기)들이 순식간에 주변에 쌓이게 됨으로 이때 온풍공급용 팬(50)이 회전을 하면서 보일러탱크(10)내부 방열판(4)주변에 쌓여있는 고 열량(열기)의 뜨거운 열기를 통풍구(36)(36')를 통하여 실내 내부에 온풍으로 공급을 하여 난로의 기능으로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가 되도록 바꿔주면서 동시에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온돌바닥에 난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난방방법에 대하여 장점과 또 단점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계를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 장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가)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들을 온풍공급용팬(50)을 이용하여 따듯한 공기로 실내에 난방을 하게 됨으로 보일러 몸체주변 동서남북 4면이 모두다 따듯한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어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다
나)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 들은 온풍공급용팬(50)을 이용하여 실내에 따듯한 공기로 직접방출을 함으로 보일러 몸체주변부위가 모두 은폐되어 어두워짐으로 치침을 할 때 에 깊은 수면을 편안하게 취할 수 있다
다) 보일러의 기능은 바닥에 온돌난방을 하고 난로의 기능은 열풍으로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는 난방을 하는 2가지 기능으로만 사용된다
** 단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1) 온풍공급용팬(50)을 이용하여 따듯한 공기를 실내로 방출하여 난방을 할 때에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감기환자나 노약자에게는 난방을 하기 위해 방출되는 공기로 인하여 호흡하기에 부담을 안겨 주는 아쉬움이 때로는 발생을 한다
2) 보일러를 가동 할 때에 온풍공급팬(50)에 이상이 생겨 가동을 하지 못하면 이때 근적외선히터(5)몸체가 삽입되어 있는 보일러탱크(10)내부 방열판(4)주변에는 뜨거운 고 열량이 순식간에 가득하게 쌓이게 됨으로 근적외선히터(5)의 수명이 바로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4)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로의 기능은 온풍으로 난방을 할 때에 근 적외선히터(5)에서 고열을 방출하여도 도7에서와 같이 보일러탱크(10)몸체가 근적외선히터(5)의 몸체를 모두다 가려져 있음으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의 고열의 빛을 인체에 직접 쪼일 수 가 없어 낮은 전력으로 난방을 할 때에는 추위를 더 느끼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5) 근적외선히터(5)는 보일러탱크(10)내부에 밀폐되어 있으므로 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방을 할 때에 보일러의 기능은 바닥의 온돌난방을 따듯하게 하고 난로의 기능은 온풍으로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는 난방을 하는 2가지 난방기능으로만 사용할 수박에 없어 난방의 기능 외에 실내에 보관중인 화초(식물)는 겨울철 내내 햇볕을 접하지 못함으로 성장이 약해지게 된다. 또 밀폐되어 있는 실내내부는 햇볕이 스며들지 못하며 또 환기도 잘 안됨으로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다. 또 추운 날씨에 외출을 하고 돌아와 손이 곱아있는 손가락을 난로기능에서 직접 녹일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날씨가 추워 노약자나 환자는 거동이 불편함으로 인체의 피부에 햇볕을 접하는 시간들이 너무 적어 건강에 어려움이 있으나 난방을 하는 방법 외에는 더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6) 난방을 할 때에는 온풍공급용 팬(50)이 가동됨으로 인하여 깊은 밤 늦은 시간에는 소음소리가 경미하게 들리는 어려움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일러탱크 전(앞)면에 구멍을 천공하고 또 보일러탱크 전(앞)면에는 난로의문을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서 난로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부착함으로 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히터가 발열을 하는 빛은 보일러탱크를 직접 가열함으로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온돌바닥에 난방관을 통하여 바닥난방을 하게 된다 이때 난로의문을 열어주면 도어스위치를 통하여 온풍공급홴이 정지됨으로 전력소모량이 절감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를 계속 가열하면서 방출하고 있는 근적외선히터의 열량과 빛의 일부는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을 하게 됨으로 실내에 방출되는 근적외선히터의 발열하는 열량과 빛은 태양열 햇빛과 유사한 기능작용을 함으로 실내에 보관중인 식물(화초)에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에너지공급을 하여주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 밀폐된 실내 내부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공팡이의 번식 억제와 함께 또 남녀노소 외출한 후에 돌아와 추위에 곱아있는 손가락을 난로에 직접 쪼여 녹일 수가 있으며. 또한 활동량이 적은 노약자 및 병약자의 인체의 피부에도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난로의문을 닫아주면 종래의 난방 방법과 같이 도어스위치를 통하여 온풍공급홴이 다시 가동되면서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되는 따듯한 열기를 통풍구 구멍을 통하여 실내에 공기로 직접 불어넣어 난방을 하게 됨으로 보일러탱크 전(앞)면 주위 모두가 어두워져 취침을 할 때에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난로의문이 부착되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일러를 이용하여 바닥난방을 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석유나 가스보일러의 바닥온돌배관에 연결 사용하거나 또는 단열효과가 높은 조립식 판낼이나 온돌매트를 제작하여 난방 관과 연결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온돌형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일러탱크의 전면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열량의 빛으로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실내온돌바닥에 난방 관을 통하여 난방을 하고 난로의 기능에는 히터에서 발열하는 빛이 보일러탱크의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되도록 하여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도록 난방을 함과 동시에 식물(화초)에 에너지공급과 곰팡이의 번식억제와 인체의 피부에 에너지공급과 노약자 및 환자의 호흡기 질환 보호에 도움을 주도록 보일러탱크의 전면에 구멍을 천공된 보일러탱크 및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일러의 보일러탱크내부에 설치된 근적외선히터가 발열하는 전면부위 난방케이스 일면에 난로의문을 부착하고 필요에 따라서 난로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며 온풍공급 홴은 난로의문의 움직임과 도어스위치 동작에 따라서 가동되도록 난로의문이 부착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의 난로의 기능에 있어서는 보일러를 가동하여 온돌바닥 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히터의 발열량 빛은 태양열의 햇빛과 같은 기능작용이 있어서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투과하여 노출로 방출되면서 실내 내부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로 바꿔서 난방을 하여줌과 동시에 겨울철 실내에 보관중인 식물도 잘 자라도록 태양빛과 같은 에너지를 공급을 하여주는 효과와 함께 실내 내부에 곰팡이의 번식을 차단하여주는 효과와 함께 또 추운 겨울철에 외부 활동이적은 병자나 또는 노약자의 피부에도 태양빛과 같은 에너지의 공급을 하여줌으로 피부에 건강을 줄 수 있다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열량의 빛을 실내 내부에 직접 방출하여 난방을 함으로 인하여 온풍공급용홴을 정지하여 난방을 함으로 이때 온풍공급용홴 미사용에 대한 전력소비량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풍공급용홴에서 방출하는 난방 공기가 발생하지 않아 노약자나 감기환자의 호흡기 건강에도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으며 남녀노소 머리를 감은 경우도 헤어 드라이의 대용으로 머리도 직접 말릴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실내에 난방을 할 때에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이 실내내부로 투과하여 난방을 할 때에 보일러탱크 전면(앞)주변에는 배(뒤쪽)면과 비교하여보면 따듯한 열량과 빛이 한곳에 모여있는 현상이 되므로 적은 전력으로 사용한 난방에서도 약 2∼10 C의 온도차이가 나게 된다 그러므로 따듯한 난방을 하게 됨으로 좁은 실내공간에서는 소비전력을 약30%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난로의문을 부착함으로 필요에 따라서 수시로 난로의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리고 난로의문을 닫아서 보일러를 가동하면 보일러탱크 내부 근적외선히터 몸체 부위에 쌓여있는 열기들은 온풍공급용 홴을 통하여 실내내부에 따듯한 공기로 방출하여 실내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보일러탱크 앞 주변은 난로의문이 닫혀짐으로 하여 어두워지기 때문에 이때 종래와 같은 동일한 난방방법이 됨으로 늦은 밤 취침을 할 때 깊은 수면을 취하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또한 보일러의 기능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가스보일러 나 석유보일러의 난방 관과 서로연결 하여도 바닥난방을 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단열이 높은 조립식 온돌 매트를 제작하여 난방 관과 결 사용함으로 적은 전력에서도 더욱 더 따듯한 온돌난방을 할 수 있다
보일러 및 난로의 기능에 히터의 발열하는 열량조절은 조광W/S를 통하여 전력소비량으로 기재하고 사용하도록 함으로 난방의 열량조절이 가능하고 또 소비전력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는 적은 전력소비량으로도 실내의 따듯한 난방을 하게 되어 에너지절감으로 난방비용을 크게 줄일 수 가 있어 외화를 절감하는 큰 효과와 함께 가스나 석유보일러를 대체사용 하도록 함으로 공해의주범인지구의온난화 온실가스공해와 이산화탄소배출가스의 배출함량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보일러 탱크 전면중앙에 구멍이 천공되어있는 보일러 탱크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2의 (가)는 보일러탱크가 일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나)는 혼풍공급용 홴을 나타낸 도이다
도3은 보일러탱크에 근적외선히터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4는 [실시 예1]의 난로의문이 없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에 대한 외형 모양을 나타낸 예의 도이다
도5는 조광스위치의 사용범위에 대한 전력소모량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실시 예2]의 난로의문이 부착되어있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에 대한 외형 모양으로 난로의문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면서 난로의문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예의 도이다
도7은 종래의 보일러탱크로서 근적외선히터가 삽입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8은 단열재료를 사용한 (온수)온돌매트로서 일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9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와 바닥온돌 (온수)난방 관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0은 전기의 흐름을 나타낸 배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흡입관 2 , 2' : 온수배출관 3 : 외부급수공급관 4 : 방열판 5 : 근적외선히터 6 : 반사도금 10 : 보일러탱크 20 : 온수순환펌프 25 : 보호 망 30 : 난방관 36 , 36' : 통풍구 40 : 보일러 난방케이스 50 : 온풍공급홴 54 : 온수온도조절기 Sw5 : 전원스위치(Sw5) Sw60 : 도어(난로 문)스위치 70 : 급수물통 80 : 조광스위치 85 : (히터전력)조정스위치 88 : 손잡이 90 : 난로이문 홴들 100 : 난로의문 300 : (조립 형)온돌매트
본 고안에 있어서는 근적외선히터(5)을 이용한 난로의 기능과 보일러의 기능 등 2가지 기능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난로의 기능 및 구조는 1가지로 정해진 것은 아니며 다소 변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7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30330호) 종래의 보일러탱크(10)에 근적외선히터(5)가 삽입 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다음 도1은 본 고안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일러탱크(10)전면(앞)부위에 구멍(15)을 천공하여 사용되는 보일러탱크(10)의 구조도 이며 도3은 근적외선히터(5)가 보일러탱크(10)에 삽입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다음 [실시 예1]에서 도4의 보일러탱크(10)의 구조는 난로의 기능 중 난방을 실시하면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열량과 빛이 실내내부에 있는 물체에 직접 바로 노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난로의문(100)을 설치하지 않고 (난로의문이 없는 상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구조도 이다 그리고 다음[실시 예 2], 도6의 보일러탱크(10)의 구조는 난로의 기능 중 도10의 전기배선도 에서와 같이 난방을 실시하면서 난로의문(100)이 설치되어있어서 난로의문을 열어주면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열량과 빛이 실내에 있는 물체에 직접 바로 노출로 전달되도록 도어스위치(Sw60)가 동작을 하여 온풍공급용 팬(50)이 정지된다 그리고 다시 난로의문(100)을 닫아주면 도어스위치(Sw60)은 동작을 하므로 이때 온풍공급용 팬(50)은 가동되어 보일러탱크(10)내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열량과 빛의 열기들을 (풍향)바람으로 통풍구(36)(36')를 통하여 실내내부로 흡입하고 방출을 하면서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난로의문(100)이 닫혀지면 실내내부가 어두워 지도록 하여 야간에 수면을 취할 때에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로의문(100)이 부착되어 있는 보일러의 구조도 이다
난로의문이 없이 사용하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의 제조방법
난로의문(100)이 미 설치되는 보일러에 있어서는 보일러에 사용되는 근적외선히터(5)의 발열량의 빛이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되도록 하는 보일러탱크(10)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1 에서와 같이 그 모양은 둥근 파이프 관과 같이 근적외선히터(5)의 몸체를 삽입하여 감싸주도록 둥근 원형형태로 형성하고 보일러탱크(10)의 전면방향의 외부 일면과 내부의 일면 부위에는 둥근 원형형태로 구멍(15)을 천공하여 이의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보일러탱크(10)내부에 삽입되어 발열되는 근적외선히터(5)의 몸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고 또 보일러탱크(10)에 둥근 원형형태로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된 열량의 빛의 일부가 실내 내부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보일러탱크(10)내면에는 반사도금(6)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양쪽부위 상단 면에는 난방 관(30)과 연결할 수 있는 온수 흡입관(1)을 형성하고 정면좌측 하단 면에는 온수공급 순환펌프(20)와 연결할 수 있는 온수 배출관(2)을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상단에는 외부에서 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공급관(3)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보일러탱크(10)는 난방케이스(40)내부의 상단에 부착을 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상단 일면에 급수(물)통(70)을 설치하고 급수공급 관과 서로 연결한다 부착된 급수(물)통(70)부위에는 수위(물) 감지센서스위치(Sw3)을 부착한다 그래서 수위(물)감지센서스위치(Sw3)는 급수(물)통(70)내에 물이 부족할 때 릴레이(R4)가 동작하면 R4릴레이 a접점(R4Sw)이 동작하여 부자(27) 소리 및 램프가 점등되도록 형성을 한다 그리고 부착된 보일러탱크(10)일면에는 온도과열차단 스위치(Sw7)을 부착하여 보일러탱크(10)에 과열로 이상온도가 발생시에는 근적외선히터(5)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또 보일러탱크(10)내면에는 근적외선히터(5)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온수온도감지 센서스위치(Sw2)를 부착한다 그리고 바닥 하단 면에는 넘어질 때 전원이 차단되도록 안전스위치(Sw6)을 부착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의 외면에는 열에 강한 보온재료로 보온을 하여 준다 그리고 난방케이스(40)외부 전면에는 온수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54)을 부착을 한다 또 (PL1)은 전원표시를 나타내는 램프이며 부착된 순환펌프(20)의 흡입 관은 보일러탱크(10)의 배출관(2)과 서로 연결 결합한다 부착된 각종 모든 전기 기구들은 사용 용도에 맞도록 도10에서와 같이 배선을 하고 또 각각 결선을 하여주면 이와 같이 난로의문(100)이 없는 보일러로서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40)가 형성 제조되게 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내면의 천공된 구멍(15)의 일부 면에는 근적외선히터(1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을 반사하여 실내 내부로 방출할 때 도움을 주도록 보일러탱크(10)의 내벽 부위에 반사도금(6)을 형성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을 한 바와 같이 실시 예1은 난로의문(100)이 부착되지 안는 보일러로서 온풍공급용 홴(50)과 난로의문(100)과 도어스위치(Sw60)가 미 부착됨으로 부피가 작아지고 가벼워지게 된다 그리고 또한 제조원가가 낮아져 소비자에게도 낯은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온풍공급 팬(50)이 미 부착됨으로 전력소모량이 감소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낮은 전력을 사용하여 난방을 하여도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의 빛의 열기가 인체 및 실내에 있는 물체에 직접 바로 노출로 방출되어 전달되도록 함으로 노약자나 감기환자에게 도움을 줌과 동시에 이외에도 기타 각종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또한 보일러 탱크(10)내부에 들어있는 물은 보일러를 가동하여 온도가상승하게 되면 탱크(10)내부에 들어있는 뜨거운 물은 보일러탱크(10)에 연결되어있는 바닥온돌 난방 관(30)으로 자연순환을 하게 되어 온돌난방이 가능하여 적은 공간에서는 순환펌프를 미 부착하여도 온돌난방이 가능하다
난로의문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의 제조방법
난로의문(100)이 부착되어있는 보일러에 있어서는 보일러탱크에 사용되는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이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1에서 형성되는 보일러탱크(10)와 같이 동일하게 그 모양은 둥근 파이프 관과 같이 근적외선히터(5)의 몸체를 삽입하여 감싸주도록 둥근 원형형태로 형성하고 보일러탱크(10)의 전면방향의 외부 면과 내부면 부위에는 둥근 원형형태로 구멍(15)을 천공하여 이의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보일러탱크(10)내부에 삽입되어 발열되는 근적외선히터(5)의 몸체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고 또 둥근 원형형태로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그 빛이 함께 실내 내부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보일러탱크(10)내면에는 반사도금(6)을 형성하여준다 그리고 다음 보일러탱크(10)양쪽부위 상단 면에는 온돌바닥난방 관(30)과 연결할 수 있는 온수 흡입관(1)을 형성하고 정면좌측 하단 면에는 온수공급 순환펌프(20)와 연결할 수 있는 온수 배출관(2)을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상단에는 외부에서 급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공급관(3)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보일러탱크(10)는 난방케이스(40)내부의 상단에 부착을 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상단 일면에 급수물통(70)을 설치하고 급수공급 관과 서로 연결한다 부착된 급수물통(70)부위에는 수위(물) 감지센서스위치(Sw3)을 부착한다 그래서 수위(물)감지센서스위치(Sw3)는 급수물통(70)내에 물이 부족할 때 릴레이(R4)가 동작하면 R4릴레이 a접점(R4Sw)이 동작하여 부자(27) 소리 및 램프가 점등되도록 형성을 한다 그리고 부착된 보일러탱크(10)일면에는 온도 과열차단 스위치(Sw7)을 부착하여 보일러탱크(10)에 과열로 이상온도가 발생시에는 근적외선히터(5)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또 보일러탱크(10)내면에는 근적외선히터(5)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온수온도감지센서스위치(Sw2)를 부착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외면에 방열 판(4)과 근적외선히터(5)가 삽입되어있는 공간 부위에는 온풍공급용 홴(50)을 부착하여 준다.
그리고 바닥 하단 면에는 넘어질 때 전원이 차단되도록 안전스위치(Sw6)을 부착한다
그리고 보일러난방케이스(40)외부전면 측 보일러탱크(10)가 부착되어있는 상단 일면에는 사용자는 그 필요에 따라서 난로의문(100)을 수시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난로의문(100)을 설치부착 한다 그리고 또 난로의문(100)의 일면에는 작은 크기의 돌출부위를 형성하여 난로의문(100)을 열고 닫을 때에 온풍공급용 팬(50)에 전원이 도면 도10에서와 같이 공급되어 ON/OFF 할 수 있도록 도어스위치(Sw60)를 부착한다 그리고 이의 난로의문(100)은 실내난방을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상 하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홴들(90)을 형성하여준다 그리고 난방케이스(40)외부 전면에는 보일러의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sw5)와 온수온도를 조절을 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54)와 조광스위치(80)와 조절스위치(85)를 부착을 한다 또 전원표시를 나타내는 램프(PL1)와 온풍기능의 통풍구멍(36)(36')을 형성한다 다음 난방케이스(40) 하단 내면에는 온수공급 순환펌프(20)을 매입하여 부착 한다 부착된 순환펌프(20)의 흡입 관은 보일러탱크(10)의 배출관(2)과 서로 연결 결합한다 부착된 각종 모든 전기 기구들은 사용 용도에 맞도록 도10에서와 같이 배선을 하고 또 각각 결선을 하여주면 이와 같이 난로의문(100)이 부착되어있는 보일러로서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40)가 형성제조 되게 된다
그리고 보일러탱크(10)내면의 천공된 구멍(15)의 일부 면에는 근적외선히터(1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을 반사하여 실내 내부로 방출할 때 도움을 주도록 보일러탱크(10)의 내벽 근적외선히터(5)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반사도금(6)을 형성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2는 난로의문(100)이 부착되는 보일러(40)로서 온풍공급용 홴(50)과 난로의문(100)과 도어스위치(Sw60)를 부착 함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져 소비자에게도 높은 가격으로 공급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의 빛의 열기를 온풍공급용 홴(50)을 통하여 따듯한 공기를 실내에 불어서 난방을 하게 됨으로 실내 내부의 4면 방향모두가 따듯한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난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난방을 하면서 난로의문(100)을 닫아주면 실내 주변이 모두다 어두워져 누구나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또 난로의문(100)을 열어주면 난로의문(100)의 일면에 부착된 도어스위치(Sw60)가 온풍공급용 홴(50)의 전원을 (OFF)차단하여서 가동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이때에는 [실시 예1]의 도4와 같이 동일한 기능작용으로 난로의문(100)이 열려있으므로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의 열기를 실내내부로 직접 바로 노출로 방출이 되어 인체의 피부 및 물체에 접촉되도록 난방을 하게 됨으로 (온풍공급용 홴(50)에서 방출하는 (풍향)바람이 없음) 노약자나 감기환자에게 도움을 줌과 동시에 기타 여러 가지 일상생활에도 도움을 더 줄 수 있다
보일러 및 난로의 기능으로 난방을 하는 실시의 경우
이상에서 [실시예1]의 도4와 또 [실시예2]의 도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난로의 기능을 갖는 보일러로서 난로기능의 구조에 대한 차이점은 이와 같다 [실시 예1]의 도4는 난로의문(100)이 없는 보일러이다 그리고 또 [실시 예2]의 도6은 난로기능에는 난로의문(100)이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난방을 할 때에 그 필요에 따라서 난로의문(100)을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점이 각각 서로 다를 뿐이다
이와 같이 난로기능을 갖는 보일러(40)와 조립식온돌매트(300)와 연결 및 그 사용방법에 대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9에서와 같이 보일러탱크(10)의 배출관(2)은 온수공급 순환펌프(20)의 흡입구(2)와 연결하고 온수순환펌프의 배출관(2')은 조립식온돌매트(300)의 난방관(30)이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온돌바닥난방관등 2면 중 1면과 서로 연결 결합하고 반대편에 남아있는 난방관(30) 1면은 보일러탱크(10)온수 흡입관(1)과 서로연결 결합하여 준다
그리고 또 이와 같이 사용준비가 끝난 후 급수공급관(3)은 외부에서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도관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는 급수(물)통(70)에 물을 직접 부어주면 난로기능을 갖는 보일러(40)을 바로 가동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럼으로 이와 같은 작업공정이 끝난 후에는 도4보일러와 도6보일러는 도10의 전기배선 도와 같이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에 있어서는 난방을 하기 위하여 전원스위치(Sw5)을 (ON)투입을 한 후 온도조절기(54)로 보일러탱크(10)의 온수온도 값을 설정하여 주면 그 설정온도 값에 따라서 온수온도센서(Sw2)의 감지신호로 릴레이(R2)가 동작되고 상기 동작된 릴레이(R2)의 a접점(R2sw)은 전원을 공급하여주므로 이때 근적외선히터(5)는 붉은색상으로 고 열량과 빛을 방출하여 보일러탱크(10)에 들어있는 온수 물이 상승하도록 가열을 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탱크(10)내부에 들어있는 온수 물의 온도가 상승을 하게 되며 온도센서(sw1)는 동작을 하여 릴레이(R1)에 전압을 공급하고 릴레이 R1접점(R1Sw)은 온수공급 순환펌프(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보일러탱크(10)내부에 들어있는 뜨거운 온수 물을 조립식온돌매트(방석)(300)의 난방관(30)에 공급을 하여주면 실내바닥에 깔려있는 조립식온돌매트(방석)(300)의 난방관(30)은 온도가 상승하면서 온돌매트(300)의 표면 위가 바로 따듯하도록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난로의 기능에 있어서는 보일러탱크(10)내면에 설치된 근적외선히터(5)가 발열을 하는 열량과 빛은 보일러탱크(10)에 들어있는 온수 물을 뜨겁게 가열을 하여주면서 동시에 남은 열량과 빛들은 반사도금(6)부위에서 반사가 되면서 보일러탱크(10)전면(앞)부위에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실내내부 조금 멀리 떨어져 있는 거리의 물체까지도 태양열의 햇볕과 같이 따듯한 열기를 반사하여 실내내부로 직접전달 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발명의 명칭, 온풍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이용 하여 실내 난방을 하는 방법의 경우를 살펴보면 도7에서와 같이 근적외선히터(5)의 외주 면을 보일러탱크(10)로 감싸 아서 가려져있음으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따듯한 열기들은 온풍공급용 팬(50)을 이용하여 실내내부에 공기로 방출하여 난방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난방을 하는 효과는 보일러의 전(앞)면 부근을 포함하여 좌 우 배면 등 실내 모두가 온도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따듯한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난방을 하게 되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1에서와 같이 보일러탱크(10)의 전(앞)면 부위 쪽 일부에 구멍(15)을 천공을 한 다음 천공된 구멍(15)에는 도3에서와 같이 보일러탱크(10)의 내면에 근적외선히터(5)를 삽입을 하여 난방을 하는 방법으로써 근적외선히터(5)에서 고열을 발열하면 이때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온돌바닥에 난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보일러탱크(10)의 내부에 삽입되어있는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고열들은 보일러탱크(10)의 전(앞)면에 천공되어있는 구멍(15)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따듯한 빛의 열기를 직접 방출하여 인체 및 기타 물체에 바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난방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탱크(10)의 배면과 좌 우 측면에는 온도가 낮아지는 차이가 발생하지만 이때 보일러탱크(10) 전(앞)면에는 상승되는 평균온도가 약 2 ~ 10℃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다. 실재로 추운 겨울철 난방을 하다 보면 사람들은 대부분 온돌매트(300)위에서 시간들을 많이 보내면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아래 도표1에서 설명을 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표 1
Figure 112015502108602-utm00001
이와 같이 보일러탱크(10)의 전면(앞)부위에 구멍(15)을 천공을 하여 보일러의 기능으로 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고열의 빛의 일부를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시켜 난로의 기능으로 난방을 하도록 하는 난방방법으로써 도표1에서와 같이 시간당 소비전력이 450W의 낮은 전력을 사용면서 비교를 하여보아도 배면과 측면 쪽의 실내온도는 18 ℃로 낮은 온도 이지만 보일러탱크(10)의 전면(앞)부위의 온도는 22 ∼ 32 ℃의 높은 온도로서 배면과 측면 쪽의 온도와 비교하여보면 거리에 따라서 약 4 ∼ 14 ℃의 큰 온도 차이가 나도록 온도가 높게 상승됨으로 인하여 좁은 실내의 공간에서는 따듯한 난방을 할 수 가있어 난방비를 약 30%정도 크게 절감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온풍공급용홴(50)이 없는 상태에서도 실내 난방이 직접 가능함으로 온풍공급용홴(50)에 대한 전력사용 절감과 함께 온풍공곱용홴(50)에서 발생하는 경미한 소음소리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다
이와 같이 난로의 기능으로 실내에 난방을 할 때에 보일러탱크(10)에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방출되는 근적외선히터(5)의 고열의 빛은 태양열의 햇빛과 같은 기능작용으로 실내 내부에 빛으로 열기를 직접 방출하게 되면 겨울철 실내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곰팡이 번식을 억제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 추위로 인하여 실내에 들여놓아 보관중인 화분 속에 화초 등 식물들도 잘 자랄 수 있도록 에너지를 공급하여 주기도 한다 또한 추위로 인하여 활동량이 적은 노약자나 병약자의 피부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추운 날씨 남녀노소 외출을 한 후 집에 돌아와 추위에 곱아있는 손가락을 난로의 기능에서는 직접 바로 녹일 수 도 있으며 머리를 감은 후에도 젖은 머리카락을 헤어 드라이어 대용으로 바로 말릴 수 있는 편리함도 있다 더욱이 외출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지는 시간만큼 추운 겨울철 서민들의 주택의 경우는 건축물 자체가 단열상태가 아주 낮아 실내의 온도가 영상10 ℃나 또는 5 ℃이하로 낮게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여 실내내부라고 하지만 실재로 추위를 크게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자주 발생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라 하여도 위의 도표1에서 시간당 소비전력이 450W와 같이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난방을 하여도 보일러탱크(10)의 기능으로는 온돌바닥에 따듯한 난방을 하여줌과 동시에 난로의 기능으로는 보일러탱크(10) 전면(앞)부위 즉 근적외선히터(5)에서 방출되는 부위의 열기는 실내의 온도는 거리에 따라서 약 22 ∼ 32 ℃의 따듯한 온도로 평균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내부에는 바닥온돌과 또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동시에 바꾸어줌으로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 편리하게 난방을 하도록 하는 방법은 근적외선히터(5)에 공급되는 소비전력사용량을 보다 편리하게 절전을 하면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광스위치(80)와 히터(5)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정스위치(85)등 2가지의 기능으로 나누었다 조정스위치(85)의 기능이란 외출을 하고 돌아왔을 때 실내 내부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 조정스위치(85)의 접점방향을 도10에서와 같이 아래쪽(하단)방향으로 키게 되면 근적외선히터(5)에 공급되는 전압이 바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빛의 열량이 높아 실내의 온도가 바로 급상승을 하게 됨으로 이때 실내의 온도가 어느 정도로 상승을 하게 되면 조정스위치(85)의 접점을 다시 위쪽(상단)방향으로 바꿔 조광스위치(80)쪽으로 켜주면 조광스위치(80)에서는 근적외선히터(5)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강 ∼ 약으로 조절하면서 사용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여 본다면 일반 석유 및 가스보일러를 사용하여 온돌바닥난방을 하는 경우로서 실내면적이 약2,5평의 넓이에 실내 온도를 약 3 ℃를 올리려면 약 2시간 정도 난방 시간이 소요 되지만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난로 및 보일러의 기능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는 소비전력 약1KW짜리 근적외선히터(5)사용으로도 실내온도를 약 3 ℃ 올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20분이면 가능하다 그럼으로 이와 같이 짧은 난방 시간에 실내의 온도가 적합한 온도로 상승을 하게 되면 이때에 조광스위치(80)를 사용하도록 하는 사용방법은 조광스위치(80)에 대한 강 ∼ 약 조절 범위에 대한 표기를 소비전력량 200W, 300W, 400W, 500W, 600W, 1000W(1kw) 등으로 각각 소비전력으로 표기를 하고 난방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조광스위치(80)의 손잡이(88)를 손가락으로 잡고 돌려서 표기된 전력(W)용량에 맞추어 난방을 하게 되면 실제로 난방을 하고 있는 전력사용량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어 난방을 할 때에 누진되는 전기요금을 직접 대비하면서 편리하게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절전에 대하여 보다 더 효과적으로 난방을 하며 사용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표 2는 도표1에 대한 난방방법으로 난방을 할 때에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면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조광스위치(80)는 가격이 고가 금액이기 때문에 난방기구에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도표 2
Figure 112015502108602-utm00002
또한 [실시 예2]는 도6에서와 같이 보일러탱크(10)전면(앞)에 난로의문(100)을 닫아주면 보일러탱크(10)내에 들어있는 방열 판(4)과 근적외선히터(5)의 중간 사이에 들어있는 고열들을 온풍 공급용 홴(50)을 이용하여 뜨거운 온풍을 실내로 방출하여 주게 된다 이때에 온풍공급용 홴(50)의 온풍바람은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여 내부에 고여있는 높은 열량들을 박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여줌으로 근적외선 히터(5)의 수명을 보호하여주는 효과가 있도록 하면서 실내 내부에 뜨거운 열기로 방출을 하여 난방을 하여준다 이때에 실내로 방출하는 열량들은 실내바닥의 조립식온돌매트(300)난방관(30)에서 방출하는 열량과 서로 합해 지게 되어 단시간 내에 실내의 찬 공기는 사라지고 따듯한 공기로 급상승하여 바꾸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일러와 난로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함으로 따듯한 난방을 할 수 가있다 그러므로 이번에는 난로의문(100)에 대한 사용방법을 소계 하여 보기로 한다 난로의문(100)은 설치되어있는 홴들(90)을 손으로 잡고 돌려 난로의문(100)을 닫아주게 되면 [도면]도10의 전기배선도 에서와 같이 난로의문(100)돌출부위에 부착되어있는 도어스위치(Sw60)가 ON으로 동작을 하여 온풍공급용핸(50)에 전원을 공급시켜줌으로 보일러탱크(10)내부 중심부에 설치되어있는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뜨거운 열기는 온풍공급용 팬(50)에서 발생하는 (풍향)바람은 통풍구(36)(36")를 통하여 외부 박으로 방출을 시켜주면서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야간에 난방을 하면서 난로의문(100)이 닫아지게 되면 보일러탱크(10)(앞) 전면부위 주변이 모두 어두워져 취침을 할 때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한 난로의문(100)의 구조는 보일러탱크(10)(앞)전면부위에 방출되는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빛이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도록 차단을 하는 장치로서 보일러케이스(40)의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90)를 손으로 잡고 상 방향으로 돌려주면 난로의문이 열리고 다시 또 하방향으로 돌려주면 난로의문(100)이 닫아지게 된다 그리고 또 난로의문(100)은 뜨거운 열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두께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준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보일러 및 난로를 겸용한 난방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예
이번에는 종래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30330호 발명의 명칭 온풍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적외선 히터(5)는 보일러탱크(10)가 외면을 모두다 감싸 아 주고 있으므로 보일러탱크(10)내에 들어있는 방열 판(4)과 근적외선히터(5)의 중간 사이에 들어있는 고열 들은 온풍공급용 홴(50)을 이용하여 뜨거운 온풍을 실내로 직접 방출하는 방식으로 보일러의 기능은 온돌바닥에 난방을 하며 난로의 기능은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는 2가지의 기능만 사용 하고 있다 그러므로 겨울철 실내 및 생활환경들을 살펴보면 겨울철에는 실내의 기온이 낮아져 외부에서 유입되는 찬 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창문과 벽에 비닐로 막아 밀폐시켜놓고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창문이 있어도 햇볕이 스며들지를 못하고 있다 또한 실내에 환기도 자주 순환을 시키지 못함으로 습기가 차면서 곰팡이가 번식을 하게 된다 또한 겨울 철에는 외부 밖에 있는 화분의 심겨진 화초를 실내로 들어와서 보관을 하게 된다 또한 날씨가 춥기 때문에 노약자 및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하여 외부출입을 거의 삼가 하고 실내에서만 생활을 하다 보니 인체의 피부가 햇볕과 접하는 시간들이 별로 없게 된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는 외출을 하고 돌아온 후 추위에 손이 꽁꽁 얼어 곱아있어도 난로의 기능이 있어도 편리하게 손을 녹일 수가 없어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난방방법은 온풍공급용 홴(50)을 이용하여 실내에 따듯한 공기로 방출을 하게 됨으로 감기환자나 노약 자의 호흡기질환에 어려움을 주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석유나 가스를 사용하여 보일러 및 난방을 함께 겸용하는 난방기구 또한 문제가있다 석유나 가스를 태워 난방을 하게 되면 실내에서 난방을 하는 도중 일산화 가스가 크게 발생을 하여 실내내부에 쌓이게 되면 큰 인명피해가 발생을 할 수도 있게 됨으로 실내 내부에는 약 4시간 간격으로 창문을 열어주면서 실내의 공기를 자주 순환시켜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바꿔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또 석유 및 가스의 난방기구로 난방을 할 때에는 태양열 햇볕과 같은 기능작용이 부족하게 방출을 한다
본 발명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난방 방법
그럼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1]과 [실시예2]의 보일러를 가동하여 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 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 빛은 반사도금(6)부위에서 반사되고 보일러탱크(10)의 전면(앞)방향에 천공된 구멍(15)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직접 방출하여 물체에 바로 비춰주도록 함으로 이때 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 빛은 태양열의 햇볕과 같은 작용효과로 따듯한 온기가 빛으로 비춰 방출 됨으로 난로의 기능으로는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꿔주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곰팡이 들을 빛의 에너지로 쪼여줌으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면서 차단하는 효과와 함께 실내에 쌓여있는 습기가 마르도록 건조를 시켜주는 효과도 있어 실내내부가 난방을 하다 보면 고 실 고실 마르도록 해준다 또한 실내에 온도가 낮아도 적은 전력을 사용면서 난방을 하도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단시간에 바꿔주므로 난방비 또한 저렴하면서 온돌바닥 난방에서는 전자파가 발생을 하지 않아 건강에도 아주 유용하다 또한 추위 때문에 실내에 보관 중인 식물(화초)도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도록 빛의 에너지를 공급하여 준다 거동이 불편하여 실내에서만 생활하고 있는 노약자 및 환자의 피부에도 빛의 에너지를 공급하게 됨으로 건강한 피부가 되도록 하여준다 또 추운 날씨 외출을 하고 돌아와 추위에 얼어있는 손가락을 난로에서 직접 녹일 수가 있으며 또 남녀노소 머리를 감은 후 물기에 젖은 머리카락을 난로 앞에서 헤어 드라이 대용으로 머리카락을 직접 편리하게 말릴 수도 있다 그리고 다음 [실시예1]의 도4의 경우보일러는 난로의문(100)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무관하다 그리고 [실시예2]의 도6의 경우 보일러에 있어서는 난로의문(100)을 열고 난방을 할 때에는 도어스위치(Sw60)가 공급하고 있는 전원을 (OFF)차단하여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용 홴(50)은 정지되고 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을 실내로 바로 방출하여 난방을 하기 때문에 온풍공급용 홴(50)을 통하여 방출되는 바람(풍랑)이 방출되지 않아 감기환자 및 노약자의 호흡기에도 직접 부담을 주지 안고 난방을 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다음 [실시예2]의 보일러의 난로의문(100)의 기능은 필요에 따라서 자주 열고 닫을 수 있어 난로의문(100)을 열어주면 온풍공급홴(50)이 정지됨으로 이때 소비전력이 감소되면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빛이 실내내부에 노출로 바로 방출되어 난로의 기능으로 난방을 하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다음 난로의문(100)을 닫아주면 보일러탱크(10)에있는 히터(5)에서 발열하는 빛이 가리워져서 보일러주위가 어두워짐으로 수면을 취할 때 편안하게 깊은 수면을 취하도록 하여주면서 이때 온풍공급홴(50)이 가동되어 따듯한 공기를 온풍으로 실내내부에 방출하여 난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실내에 난방을 하는 방법과 그 외에도 식물(화초)에 에너지공급과 또 곰팡이 번식 차단과 또 인체의 피부건강 등 타 기능으로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이 [실시예1]의 도4의 보일러로 난방을 하는 경우나 또는 [실시예2]의 도6에서는 난로의문(100)을 열고 난방을 하는 경우 보일러를 가동하여 실내의 난방을 할 때 에 난로의 기능으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빛의 열기를 반사도금(6)(판)을 거쳐 실내에 바로 방출하게 되면 이는 태양열 햇빛과 같은 기능작용이 있어 빛으로 온기가 먼 거리에 있는 물체까지도 바로 전달됨으로 보일러 탱크 전면(앞)부위에는 온도가 아주 높게 나타나면서 먼 거리까지도 빛으로 따듯한 열기가 전달되게 되는 현상이 있게 된다 또 보일러탱크 전면(앞쪽)부근에는 열기가 한곳에 모아지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보일러탱크(10)의 배(뒤쪽)면은 온도가 보일러탱크 전면(앞쪽) 온도 보다 평균 약 2 ∼ 3 ℃가 더 낮은 반면 보일러탱크 전면(앞쪽)부근에는 보일러 탱크에 가까이 다가 가면 갈수록 온도차이가 높아지게 된다 온도차이는 근적외선히터(5)의 소비전력에 따라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각각 다르지만 300W의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약 2 ∼ 7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적은 전력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에는 온풍공급홴(50)이 정지됨으로 이의 소비전력도 함께 절감을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가스나 또는 석유보일러의 난방 관과 그 난방 방법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기존의 보일러를 가동하여보면 보일러탱크(10)내의 온수 물은 약 60 ℃ 고온으로 상승하면 온수 순환펌프(20)가 동작하여 실내 난방 관으로 온수를 순환 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때 철 파이프 난방 관(30)은 열전도 효율이 약99%로 아주 높은 반면에 시설비가 높은 관계로 철 파이프 관이 아닌 합성수지 난방 관들을 대부분 설치 사용하고 있다 그럼으로 가격이 싼 합성수지 난방 관들을 사용하고 있으나 합성수지 난방 관은 철 파이프 난방 관에 비하여 난방관 외부표면에 나타나는 열전도 효율은 느리고 낮은 상태에서 또 약8%이상 온도를 감소시켜서 전달하고 있다 또 실내바닥에 깔려 있는 난방 관들은 사면 모두를 두꺼운 시멘트로 감싸고 있어서 온돌바닥 위에 방출되는 난방 관의 발열량들은 바닥 시멘트에서 약 10∼15%의 온도를 다시 감소하는 상태에서 발열함으로 온돌바닥 위 표면에는 그 발열량이 낮아 온돌바닥이 따듯해지려면 다소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며 또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꾸려면 시멘트바닥에서 감소되는 상태에서 열량을 방출함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럼으로 실제 기상청에서 발표한 온도가 영하 -3 ℃이하의 경우 서민들의 주택 실내공간 약2,5평의면적에 가스나 석유보일러를 가동하여 시멘트 온돌바닥에 깔려있는 난방 관으로 실내 온도를 3 ℃를 올리려면 약2∼3시간가량 보일러의 가동시간이 소요된다 또 여기서 실내 온돌바닥은 따듯하나 실내공기는 아주 낮아 추움으로 보일러는 실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속가동을 해주어야 함으로 많은 에너지가 손실되어 고유가 및 경제 침체 시대에 소비자들의 가정에 난방비의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어려움들이 있다
온돌매트(판낼)에 대한 제작 및 난방 효율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8에서와 같이 조립식(이동형)온돌(판낼)매트(300)몸체에 부착된 난방관(30)의 외부표면은 부드럽고 유연하면서 단 열성이 있는 우레탄이나 또는 스폰지나 스폰지와 같은 내구성이 있는 재질들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온돌(판낼)매트(30)내부에 첨부되는 단열재료(7)몸체 표면부위 중 난방호스 관(30)을 배열하여 지나가는 온돌 파낼(300)의 단열재료(7)몸체 표면 부위에는 U자 형태로 홈(25)을 형성한다 그리고 단열재료(7)홈(25)이형성 된 U자 내부에는 난방호스 관(30)을 삽입을 한 다음 난방호스 관(30)의 양쪽 끝은 보일러의 난방 관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시켜둔다 다음 삽입된 난방호스 관(30)은 삽입된 자리에서 난방호스 관(30)이 이탈되지 안도록 고정을 한 다음 이의 온돌 판낼(300)(매트)몸체표면은 모두 비닐합성수지와 같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방수가 되는 재료를 택하여 몸체표면을 감싸 아 주면 이동하기에도 용이한 온돌 (판낼)매트(300)가 재조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돌 (판낼)매트(300)를 크게 만들면 단열효과가 높아 침실의 바닥이나 침대 위에 깔아서 따듯한 바닥난방을 할 수 있으며 또 온돌(판낼)매트(300)의 크기를 방석과 같이 아주 작게 줄여서 만들게 되면 사무를 보고 있는 사람들의 의자 위에 방석과 같이 깔아놓고 도9와 같이 보일러기능의 흡입관(1)과 배출관(2)에 각각 연결을 하여주면 난로의 기능으로는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꾸면서 또 히터(5)에서 발열하는 발열량 빛은 사람들의 신체부위를 바로 따듯하게 쪼일 수 있으며 또 보일러의 기능으로는 바닥 온돌난방을 함으로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어 이의 온돌(파낼)매트(300)는 보일러기능을 통하여 따듯한 온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바닥나방의 효과가 높고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가 발생하지 안아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난방을 할 때에 전원스위치를 켜게 되면 단열의 효과가 높기 때문에 곧바로 온돌(판넬)매트(300)가 따듯하게 난방이 되게 됨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가있다
겨울철 각종 난방 소비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을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직장을 다니는 사람을 기준을 하여보면 1일 평균 난방사용량은 약12시간 정도로 계산을 하여보면 본 고안의 난방기구의 사용량은 겨울철 평균 시간당 330W X 1일12시간 X 30일은 = 1개월118KW. 전기사용 양이다 한전 주택요금 표에 의하면100KW이하 사용요금은 1KW당 X 57원90전으로 = 계 5,790원 과 또 100∼200KW이하 (누진)사용요금은 1KW당 120원20전으로 X 18KW 는 = 계 2,163원이다
이를 총 합산하여보면 본 고안의 난방기구의 1개월 전력 사용량은 118KW이며 일반주택의 경우 누진세를 적용하지 안는 상태로서 본 고안의 전기난방 사용요금은 총합계 7,953원으로서 연탄보일러의 사용과 비교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연탄 보일러 사용량은 1일 4장사용 X 30일 = 1개월120장사용 X 연탄1장당 가격은 약480원으로 = 1개월 연탄보일러의 사용금액은 57,600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방법은 연탄보일러의 난방비에 비하여도 현저하게 낮은 금액이다 또 석유보일러의 난방비의 약1/15의 석유 난방비만 가지고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가스보일러의 난방비의 약1/9 가스 난방비만가지고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전기온돌 판넬의 소비전력 난방비에 비하면 약 1/4 전기온돌 판넬의 난방비만 가지고도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도 오히려 실내공기를 더 따듯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전기온돌 판넬은 온도의 발열 선이 가늘어서 발열량이 낮아 추운 곳에서는 온돌바닥에 이불을 덮어두어야 온돌바닥이 따듯하며 또 그 발열량이 낮아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꾸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40)의 난방방법에 있어서는 1개의 근적외선 히터(5) 을 이용하여 난로의 기능은 실내의 찬 공기를 단시간에 따듯하게 하여주면서 또한 동시에 보일러의 기능은 실내의 온돌바닥을 따듯하게 하여주는 효과가 있어 시간당 소비전력이 낮은 효과가 있어 난방비용이 저렴하다 그럼으로 난방비용이 싸다는 연탄보일러의 난방비와 비교하여도 더 낮으며 또 연탄보일러 사용에 있어서는 가스사고로 항상 생명에 위험을 주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 연탄불이 꺼지지 않도록 항상 연탄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또 다 타버린 연탄재를 수시 바꾸며 버려야 하는 불편함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 (40)는 부피가 적고 가벼워 휴대가 가능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침실과 학원 사무실 등 실내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고 또 적은 전력소모 가지고도 실내에 온도를 따듯한 공기로 바꿀 수 있는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 (40) 와 조립식 온돌매트(300)을 제공하여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절감으로 겨울철 높은 난방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또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 난로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를 제공하여 에너지손실과 비싼 난방비용과 지구온난화 온실가스 공해의주범인 가스 및 석유보일러를 대체사용 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조립식 온돌 매트(300)에 있어서도 설치 사용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충하여 설명을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온돌 매트(300)내부에는 단열 효율이 높은 재료로(15)을 내장하여 사용을 함으로 난방효율이 높게 나타남으로 조립식 온돌 매트(300)은 본 고안에서 난로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와 연결하여 사용을 하는 방법 외에도 종래에 기존 아파트나 주택에서 사용을 하고 있는 가스 및 난방 관에 있어서도 실내온돌바닥에 시멘트로 묻혀있는 난방 관을 절단 하고 가스 및 석유보일러와 연결되어있는 메인 배관과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온돌 매트(300)을 실내의 바닥에 설치를 하고 온수 흡입난방 관(30')과 온수배출관(30")과 서로 연결을 하여 난방을 하게 되면 조립식 온돌 매트(300)의 바닥은 10분 이내로 바로 따듯하여 지면서 따듯한 온 열을 지면 위에 바로 방출을 하게 됨으로 실내의 공기도 따라서 따듯해짐으로 온돌 매트(300)만 바꾸어서 난방을 하여도 가스 및 석유 보일러의 연료비를 약15%이상 절감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이유를 간략하게 설명을 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주택의 보일러의 난방 관의 주변은 두꺼운 시멘트로 난방 관을 감싸 아 주고 있음으로 보일러를 가동을 하게 되면 난방 관에서 발열되는 열량들은 난방 관을 감싸 아 주고 있는 시멘트의 표면을 열전도효율로 달구어 주어야 함으로 열전도효율이 낮은 시멘트바닥을 뜨겁게 달구어주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 이유는 묻혀있는 난방 관과 시멘트 바닥 위의 표면까지는 상당한 거리가 있어서 실제로 난방 관의 표면온도는 팔팔 끓어도 난방 관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두꺼운 시멘트 바닥을 거쳐 위로 전달되는 표면 온도는 약 60∼70%로 감소하는 열량으로 아주 낮아지는 현상이 생기게 됨으로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려면 이때 보일러를 가동하는 시간이 길어져야 함으로 시멘트바닥에 묻혀 있는 난방배관은 많은 에너지들을 소비하면서도 난방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게 됨으로 에너지를 절감 하면서 난방효율이 높은 조립식 온돌 매트(300)와 난로기 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를 제공 하고자 한다
[실시 예6] 보일러 및 난로의 기능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 의 장점
본 고안에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의 난로의 기능에 있어서는
1) 보일러를 가동하여 바닥온돌난방을 할 때에 근적외선히터의 발열량 빛은 태양열의 햇빛과 같이 유사하여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실내내부로 투과하여 실내 내부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바로 바꿔서 난방을 하여줌과 동시에 실내내부에 보관하고 있는 화분의 식물에도 직접 비쳐줌으로 식물도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도록 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2) 난로의 기능에서 발열되는 발열량의 빛은 태양열 햇빛과 같이 유사하여 실내내부에 따듯한 (온기) 자외선 빛을 직접 비쳐줌으로 겨울철 습도로 번식하기 쉬운 곰팡이의 번식을 차단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3) 차가운 날씨 외출 후 추위에 얼어있는 손가락을 난로에서 직접 녹일 수가 있다
4) 남녀노소 머리를 감은 경우 헤어 드라이 대용으로 머리카락도 직접 말릴 수도 있는 편리함이 있다
5) 근적외선히터의 발열량의 빛은 태양열의 햇빛과 같은 온기가 빛으로 먼 거리물체 또는 사람들의 피부까지 바로 전달됨으로 난방을 함과 동시에 겨울철 외부활동이 적어 햇볕을 자주 접하지 못한 환자 및 노약들에게 도움이 된다
6) 난로의문을 열어서 난방을 하면 온풍공급용 홴이 정지됨으로 감기환자 및 노약자의 호흡기 질환에 도움이 된다
7) 시간당 소비전력 약 450W에서도 난로의 기능 중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빛의 열량을 물체에 방출하여 바로 전달되도록 난방을 하게 되면 난로의 전면 부위에는 난로의 측면과 배면의 온도보다 약 2 ∼ 10 ℃ 더 상승되는 온도로 인하여 소비전력을 약30%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8) 난로의 기능 중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빛의 열량을 물체에 방출하여 바로 전달되도록 난방을 하게 되면 난로의 전면 부위에는 난로의 측면과 배면의 온도보다 약 2 ∼ 10 ℃ 더 상승되는 온도가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난방을 하게 됨으로 낮은 전력으로도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9) 보일러탱크탱크를 가열하는 근적외선히터의 열량 빛이 보일러탱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노출로 방출을 함으로 따듯한 빛의 열기가 모여있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보일러탱크 배(뒤쪽)면에 비교 하여보면 보일러탱크 앞 주변에는 온도 차이가 약2∼10 C 이상 높게 상승됨으로 적은 전력으로도 따듯한 난방을 할 수 있어 전력소비량을 약25% 이상 줄일 수 있다
10) 소비전력 200W와 같이 낮은 전력으로도 난방을 할 수 있다
11)보일러의 기능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가스 보일러 나 석유보일러의 난방 관과 서로연결 하여도 바닥난방을 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단열이 높은 조립식 온돌패널이나 매트를 제작하여 난방 관과 연결 사용함으로 적은 전력에서도 더욱 더 따듯한 온돌난방을 할 수 있다
12) 보일러 및 난로의 기능 히터에서 발열하는 열량조절량을 조광W/S를 통하여 강 ∼ 약의 단위를 전력사용량 단위로 표기하여 조절하며 사용하도록 함으로 난방에 대한 소비전력을 편리하게 확인하면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삭제
14) 실내공간 약2,5평의경우 난방을 할 때 전력소모량이 낮아 기존연탄보일러에 비교하여도 직장인의경우 월별난방비가 1/4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15) 전력소모량이 적어 에너지절감으로 난방비용을 크게 줄일 수 가 있어 외화를 절감하는 큰 효과가 있다
16) . 난로의 기능을 겸한 보일러는 적은 전력소비량으로도 실내의 따듯한 난방을 하게 되어 가스나 석유보일러를 대체사용 할수있어 공해의주범인지구의온난화 온실가스공해와 이산화탄소배출가스의 배출함량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17) 난로의문을 열어놓으면 근적외선히터에서 발열하는 빛을 바로 실내내부로 방출하도록 하면서 온풍공급용 홴 전원이 차단됨으로 이의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18) 난방을 하면서 난로의문을 닫아주면 실내가 바로 어두워짐으로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다
19) 난로의문을 닫아주면 온풍공급용 홴을 통하여 따듯한 공기를 실내내부로 방출하게 됨으로 보일러탱크의 주변 4면 모두가 따듯한 공기가 동일하게 분포된다
20) 난로의 기능과 보일러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여 난방을 하게 됨으로 난로의 기능은 실내의 찬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단시간에 상승을 시켜주며 보일러의 기능은 실내의 온돌바닥에 따듯한 난방을 하여줌으로 난방의 효과가 높아 절전의 효과가 있다
21) 보일러기능으로 온돌바닥에 난방을 할 때에는 전자파가 발생하지 안아 건강에 도움이 된다
22) 실시 예1과 같이 온풍공급용 홴을 미 부착을 하면 부피가 줄어짐과 동시에 제조원가가 낮아 소비자에게도 낮은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다
23) 보통 대형전기장판의 소비전력은 보통 350 ∼ 380W이다 이와 같은 소비전력을 사용하여 난방을 하여도 외부의 난방기구의 도움 없이도 실내난방을 아주 따듯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난로의 기능을 갖는 보일러(40)는 부피가 적고 가벼워 휴대가 가능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주택과 아파트의 침실과 학원 사무실 등 실내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고 또 적은 전력소모 가지고도 실내에 온도를 따듯한 공기로 바꿀 수 있어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절감으로 겨울철 높은 난방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또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를 제공하여 에너지손실과 비싼 난방비용과 지구온난화 온실가스 공해의주범인 가스 및 석유보일러를 대체사용 하도록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탱크 및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4)

  1. 전면 중앙에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되는 열량과 빛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멍(15)이 천공된 보일러탱크(10)와, 보일러탱크(10)의 외면에 설치되고 난방관과 연결되는 온수흡입관(1) 및 온수배출관(2)과, 보일러탱크(10)의 내면 중심에 설치되는 근적외선히터(5)와, 보일러탱크(10)의 내면에 설치되는 반사도금(6)과, 보일러탱크(10)를 감싸는 난방케이스(40)와, 보일러탱크(10)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물통(70)과, 보일러탱크(10)를 가열하기 위해 근적외선히터(5)에 전원을 공급하는 온수온도감지센서스위치(sw2)와, 온수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54)와, 근적외선히터(5)의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광스위치(80)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스위치(sw5)와,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기를 난방케이스(40)의 통풍구(36)를 통해 외부로 순환시키는 온풍공급 홴(50)으로 구성된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난방케이스(40)는 외부 전면에 보일러탱크(10)의 근적외선히터(5)에 의해 발열되는 부위가 개폐되도록 핸들(90)이 부착된 난로의문(100)이 설치되고 난로의문(100)은 일면에 난로의문(100)을 개폐시 온풍공급 홴(5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도어스위치(sw6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난로의문(100)과 도어스위치(sw60)는 난로의문(100)이 열리면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량과 빛이 함께 실내로 직접 방출되도록 도어스위치(sw60)가 차단되어 온풍공급 홴(50)이 정지되고, 상기 난로의문(100)이 닫히면 근적외선히터(5)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차단되고 도어스위치(sw60)가 켜져 온풍공급 홴(50)이 가동되면서 근적외선히터(5)에서 발열하는 열기를 온풍으로 난방케이스(40)의 통풍구(36)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3380U 2013-04-30 2013-04-30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KR200479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80U KR200479600Y1 (ko) 2013-04-30 2013-04-30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80U KR200479600Y1 (ko) 2013-04-30 2013-04-30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387 Division 2013-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6U KR20140005476U (ko) 2014-10-22
KR200479600Y1 true KR200479600Y1 (ko) 2016-02-23

Family

ID=5245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380U KR200479600Y1 (ko) 2013-04-30 2013-04-30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26B1 (ko) * 2016-07-11 2016-11-15 주식회사 아이덱스 온풍기능을 구비한 온수매트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79B1 (ko) * 2017-07-06 2019-06-20 서영철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근적외선히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96B1 (ko) 2006-02-14 2006-04-24 김영택 다목적 전기 온풍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96B1 (ko) 2006-02-14 2006-04-24 김영택 다목적 전기 온풍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26B1 (ko) * 2016-07-11 2016-11-15 주식회사 아이덱스 온풍기능을 구비한 온수매트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6U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63092U (zh) 众暖安防节能红外理疗烤火箱
KR200479600Y1 (ko) 난로의 기능을 함께 겸한 보일러
CN205505175U (zh) 一种壁挂炉
KR20150062927A (ko) 습도(수분)을 방출할 수 있는 난로기능을 갖는 보일러
CN203153617U (zh) 可发热座便器盖
KR101225496B1 (ko)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CN206565652U (zh) 一种新型电暖床
KR101166459B1 (ko) 온풍기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20140023107A (ko) 난로의 기능을 갖는 보일러
CN201091140Y (zh) 远红外恒温宠物育幼箱
CN210292040U (zh) 一种脚踏式取暖器
CN202873097U (zh) 碳纤维远红外线暖毯
KR20110006783A (ko) 보일러의 기능을 갖는 난로
CN2232231Y (zh) 一种水气暖沙发床
KR200463988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찜질 및 난방장치
CN208220102U (zh) 一种智能保健发热实木地板
CN201057473Y (zh) 汽暖机
CN210662932U (zh) 一种多功能节能高效热利用系统
KR100426423B1 (ko) 전열식 화로
Turner Beat the winter chills: A guide to electric heating options
CN206239195U (zh) 一种节能环保电烤炉
CN2410566Y (zh) 供暖型加湿器
CN2486890Y (zh) 智能红外柔强低温辐射供暖装置
KR20040070873A (ko) 사우나실의 단열 및 방열구조
CN205980002U (zh) 一种智能空气净化装置三合一电暖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