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17Y1 -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17Y1
KR200479217Y1 KR2020140006920U KR20140006920U KR200479217Y1 KR 200479217 Y1 KR200479217 Y1 KR 200479217Y1 KR 2020140006920 U KR2020140006920 U KR 2020140006920U KR 20140006920 U KR20140006920 U KR 20140006920U KR 200479217 Y1 KR200479217 Y1 KR 200479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esent
main body
coupling
decorati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경
Original Assignee
안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은경 filed Critical 안은경
Priority to KR2020140006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17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금, 은 등의 귀금속재질로 형성된 장식체를 사다리꼴 형상의 체결구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투명재질커버를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장식체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하고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등의 각종 기념일과 또는 학교, 회사, 모임 등에서 입학/졸업/축하/근속/퇴임 등의 각종 행사에서 고급스러운 선물형태로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다리꼴 형상의 체결구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투명재질커버를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장식체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의 면상에 확대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장식체가 돋보이도록 하여 전시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는 한편, 각종 기념일이나 행사에서 선물형태로 사용됨에 있어, 종래의 케이스에 비해 제작과정과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되어 생산성이 증대됨은 물론,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Kit for storing a novel-metal ornaments}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 은 등의 귀금속재질로 형성된 장식체를 사다리꼴 형상의 체결구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투명재질커버를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장식체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하고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등의 각종 기념일과 또는 학교, 회사, 모임 등에서 입학/졸업/축하/근속/퇴임 등의 각종 행사에서 고급스러운 선물형태로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에 관한 것이다.
귀금속이란 산출량이 적어 값이 비싼 금속으로써 금, 은, 백금 등의 금속을 말하는 것으로, 화학 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고 아름다운 광택을 지니는 것들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귀금속의 함량(순도), 광택, 형태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되므로, 그 가치를 보증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귀금속 감정사가 진품여부(감별)와 품질 및 가치를 평가(감정)하고 이를 보증하는 품질보증서가 수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제품들은 주로 생일, 결혼기념일 등의 각종 기념일에 선물형태로 주거나 또는 학교, 회사, 모임 등에서 입학/졸업/축하/근속/퇴임 등의 각종 행사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열쇠 형태로 이루어진 귀금속을 주로 선물하는데 이는 예로부터 한 집안의 살림을 총괄하는 사람만이 곳간 열쇠를 지녔는데, 곳간 열쇠로부터 시작되는 모든 열쇠는 부의 상징이었으며, 또한 독일에서는 임신한 여성이 열쇠를 지니고 있으면 순산할 수 있다고 믿었고, 에트루리아인들은 열쇠를 부적으로 삼았으며, 그리스인들은 우박과 싸라기눈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밭이나 과수원 주위에 열쇠를 매달았던 습관이 있었던 점에서 닫힌 것을 열어주는 열쇠의 역할과 맞물려 열쇠가 부와 행운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러한 귀금속 장식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로 인해 귀금속 열쇠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이에 보호케이스나 보관함 등을 이용하여 수납하도록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175909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쿠션부재를 보충하여 귀금속 장식체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스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완충재로 인해 제작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단순히 귀금속 장식체를 보호하기 위한 단일목적으로만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금, 은 등의 귀금속재질로 형성된 장식체를 사다리꼴 형상의 체결구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투명재질커버를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장식체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하고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등의 각종 기념일과 또는 학교, 회사, 모임 등에서 입학/졸업/축하/근속/퇴임 등의 각종 행사에서 고급스러운 선물형태로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네모서리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지되,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구(110)가 구비되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 대응되는 체결홈(210)이 구비되며, 중앙부에 수납면(220)이 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수납면(220)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금, 은과 같은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체(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100)는 외부에서 장식체(300)가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 커버(10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확대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00)는 커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체결홈(210)의 하단부에 나사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는 관통홈(111)이 구비되어 커버(100)와 본체(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110)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다보결합구(4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납면(220)은 상기 장식체(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본체(200)의 면상에 식각홈(2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면(220)은 상기 장식체(300)의 외측 둘레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장식체(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다리꼴 형상의 체결구에 의한 원터치 방식의 투명재질커버를 이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장식체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의 면상에 확대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장식체가 돋보이도록 하여 전시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종 기념일이나 행사에서 선물형태로 사용됨에 있어, 종래의 케이스에 비해 제작과정과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되어 생산성이 증대됨은 물론,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커버(100), 본체(200), 장식체(300)로 구성된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네모서리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지되,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구(1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100)는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단면두께는 1~3m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100)는 외부에서 장식체(300)가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 커버(10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확대부(120)가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100)의 중앙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볼록렌즈의 효과를 갖도록 확대부(120)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장식체(300)가 실물보다 크게 보이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 대응되는 체결홈(210)이 구비되며, 중앙부에 수납면(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00)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 중 택일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휘거나 구부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홈(210)은 상기 체결구(110)와 동일하게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210) 및 체결구(110)는 절곡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딩처리되어 반복적인 체결을 수행하여도 쉽게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커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체결홈(210)의 하단부에 나사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는 관통홈(111)이 구비되어 커버(100)와 본체(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110)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다보결합구(4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보결합구(400)는 상기 커버(100)와 본체(200)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하는 한편, 장시간 전시하는 경우 오목한 형태의 체결구(110)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누적되어 전시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면(220)은 상기 장식체(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본체(200)의 면상에 식각홈(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면(220)은 상기 장식체(300)의 외측 둘레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장식체(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은 벽이나 장식장 등에 세워서 거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장식체(300)가 수납면(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식각홈(221) 또는 돌출부(222)를 마련하여 장식체(300)를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장식체(300)는 본체(200)의 수납면(220)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금, 은과 같은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식체(300)는 기념일이나 행사의 취지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부와 행운을 의미하는 열쇠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커버 110 ... 체결구
111 ... 관통홈
200 ... 본체 210 ... 체결홈
220 ... 수납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며, 네모서리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지되, 상부에 비해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구(110)가 구비되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 대응되는 체결홈(210)이 구비되며, 중앙부에 수납면(220)이 형성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수납면(220)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금, 은과 같은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체(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00)는 외부에서 장식체(300)가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 커버(10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확대부(120)가 형성되는 되며, 상기 본체(200)는 커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체결홈(210)의 하단부에 나사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0)의 체결구(110)에는 관통홈(111)이 구비되어 커버(100)와 본체(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110)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다보결합구(400)가 형성되는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10) 및 체결구(110)는 절곡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라운딩처리되어 반복적인 체결을 수행하여도 쉽게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면(220)은 장식체(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본체(200)의 면상에 식각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면은 장식체 외측 둘레와 대응된 형태로 구비되어 장식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KR2020140006920U 2014-09-23 2014-09-23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KR200479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20U KR200479217Y1 (ko) 2014-09-23 2014-09-23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20U KR200479217Y1 (ko) 2014-09-23 2014-09-23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17Y1 true KR200479217Y1 (ko) 2016-01-05

Family

ID=551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20U KR200479217Y1 (ko) 2014-09-23 2014-09-23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1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19Y1 (ko) * 2001-02-01 2001-07-04 강희정 장신구 케이스
KR20090010131U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엠케이에스상사 상패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19Y1 (ko) * 2001-02-01 2001-07-04 강희정 장신구 케이스
KR20090010131U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엠케이에스상사 상패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19928S1 (en) Buckle for watch bracelet
USD541182S1 (en) Watchcase
USD539688S1 (en) Watch dial
USD564907S1 (en) Wristwatch
USD603276S1 (en) Watch case with bracelet
USD959293S1 (en) Watch case with dial
USD559722S1 (en) Watch crown
USD525148S1 (en) Watch case
USD630017S1 (en) Decoration for a watch or jewelry box
USD524175S1 (en) Watch case
KR200479217Y1 (ko) 귀금속 장식체의 수납키트
USD565993S1 (en) Ivy cut jewel
USD616328S1 (en) Precious stone cut for the crown portion of the precious stone having 29 facets
USD534831S1 (en) Stone cut
USD611381S1 (en) Precious stone cut large corner crown design having 49 facets
USD610938S1 (en) Precious stone cut for the crown portion of the precious stone having 37 facets
USD556623S1 (en) Gemstone
USD571248S1 (en) Watch dial
USD955914S1 (en) Watch bracelet
KR200482700Y1 (ko) 귀금속 장식체 수납용 보호케이스
USD550116S1 (en) Gemstone
USD539175S1 (en) Watch
USD503354S1 (en) Precious stone cut
USD602761S1 (en) Key
USD610942S1 (en) Precious stone cut short corners crown design having 41 fac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