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43Y1 - 지중관수 기구 - Google Patents

지중관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43Y1
KR200478843Y1 KR2020130009451U KR20130009451U KR200478843Y1 KR 200478843 Y1 KR200478843 Y1 KR 200478843Y1 KR 2020130009451 U KR2020130009451 U KR 2020130009451U KR 20130009451 U KR20130009451 U KR 20130009451U KR 200478843 Y1 KR200478843 Y1 KR 200478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injection
water supply
injection space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84U (ko
Inventor
정명일
한승원
김재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30009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4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지중관수 기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는 물 주입공간을 구비하여 저부가 지중에 박힌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된 물 주입부재; 및 상기 물 주입공간의 물을 전달받아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수홀을 구비하도록 상기 물 주입부재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물 공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관수 기구{underground water supply tool}
본 고안은 지중관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중관수는 지중에 매설된 급수관을 이용하여 식물 뿌리 쪽으로 직접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증발량을 최소화시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관수 형태를 가리킨다.
일반적인 지중관수 설비는 통상 지중에 매설되는 급수관 외에도 저수조와, 저수조의 물을 급수관으로 강제 펌핑하기 위한 급수펌프를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404호는 이와 같은 종래 지중관수 설비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저수조의 물을 급수펌프의 펌핑력을 이용하여 지중의 급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종래 지중관수 설비는 급수관이 넓은 영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거나, 저수조와 급수관 사이가 멀리 떨어진 환경에서는 적합할 수 있겠으나, 도시에 있는 작은 규모의 텃밭이나 옥상 정원과 같이 저수시설이 미비한 환경이나 소규모의 식물에 간이식으로 지중관수를 수행하기에는 가격적인 부담이나 활용면에 있어서 적합하지 못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404호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작은 규모의 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간이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지중관수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주변에 별도의 저수설비가 없는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지중관수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 주입공간을 구비하고, 저부에 형성된 첨단부가 지중에 박힌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된 물 주입부재; 및 개방된 일단과 폐쇄된 타단 사이에 복수의 관수홀을 구비하는 관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가 상기 물 주입공간 저부와 통하도록 상기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물 주입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물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관수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재는 복수의 상기 관수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물 공급부재의 개방된 일단에서 폐쇄된 타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재는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연장된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홀은 상기 곡선 구간을 따라 상기 곡선 구간의 내주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부재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공간은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손잡이는 하단이 상기 물 주입공간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물 주입공간 상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물 주입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부재는 상기 물 주입공간의 체적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부재는 상기 첨단부를 구비하는 저부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중관수 기구는 상기 물 주입공간의 물을 상기 물 공급부재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주입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물 주입공간을 구비하여 저부가 지중에 박힌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된 물 주입부재; 및 상기 물 주입공간의 물을 전달받아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수홀을 구비하도록 상기 물 주입부재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물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관수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부재 저부에는 첨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 공급부재는 상기 관수홀 복수개가 개방된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상기 물 주입공간 저부와 통하도록 상기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물 주입부재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는 물 주입공간이 마련된 물 주입부재와 물 주입공간의 물을 전달받아 지중으로 공급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물 공급부재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작은 규모의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간이식 지중관수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저수설비가 미비한 환경에서도 지중관수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가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를 이용하여 지중관수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물 주입공간의 체적가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물 주입공간의 물이 가압부재를 통해 물 공급부재 내부로 압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A)는 소량이나 개별 식물(P)의 뿌리 주변 근권(根圈)부(r)로 천천히 고르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간이식으로 마련된 것으로, 물 주입공간(10a)을 구비하는 물 주입부재(10)와, 물 주입공간(10a)에 주입된 물을 공급받아 지중으로 공급하도록 물 주입부재(10)에 일체로 연결된 물 공급부재(20)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 주입부재(10)는 대략 뒤집어진 원뿔형태로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된 중공으로 구성되어 저부가 첨단부(11)를 형성하면서 중공의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물 주입공간(10a)을 형성하게 된다. 첨단부(11)가 지중에 박힌 물 주입부재(10)는 자연스럽게 토양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저부에 첨단부(11)를 구비하며, 물 주입공간(10a)으로 물의 주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물 주입부재(10)는 뒤집어진 중공의 각뿔 모양이나 하단이 막힌 깔때기 모양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재질 역시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이 가능하다.
물 주입부재(10)에는 첨단부(11)를 지중에 박을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2)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12)는 하단이 물 주입공간(10a)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이 물 주입공간(10a) 상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중관수 기구(A)의 설치시 작업자는 물 주입공간(10a)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12)의 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물 주입부재(10)의 첨단부(11)를 지중으로 박히도록 가압하여 물 주입부재(10)를 토양에 세워진 상태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물 주입공간(10a)으로 주입한 물의 량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물 주입공간(10a) 안쪽으로 손잡이(12)의 표면에는 물 주입공간(10a)으로 수용되는 물의 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a)가 눈금이나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손잡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물 공급부재(20)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 공급부재는 양단이 개방된 관체(30)와, 관체(30)의 한 쪽 단부를 마개(40)로 막는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관체(30)와 마개(40) 역시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나, 마개(40)의 경우 실링 기능을 수행하기 접합하도록 고무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주입공간(10a)의 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물 공급부재(20)는 내부가 물 주입공간과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단부를 통해 물 주입부재(10)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첨단부 쪽에는 삽입구멍(13)이 마련될 수 있고, 물 공급부재(20)의 개방된 단부는 패킹(50)이 개재된 상태로 삽입구멍(1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물 주입공간(10a)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지중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물 공급부재(20)의 양단 사이에는 복수의 관수홀(21)이 형성되며, 물 주입공간(10a)으로 주입된 물이 수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관수홀(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공급부재(20)는 물 주입부재(10)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개방된 단부가 물 주입공간(10a) 저부와 통하도록 물 주입부재(10)에 연결된다.
물 주입공간(10a)의 물이 물 주입공간(10a)의 수압에 의해 각 관수홀(21)로 배출되는 구조에서는 물 주입공간(10a)에 인접한 관수홀(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량이 물 주입공간(10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관수홀(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아지게 되므로, 물 공급부재(20)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른 량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관수홀(21) 사이의 간격은 개방된 단부 쪽에서 폐쇄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에 표시한 관수홀(21) 사이의 간격(t1,t2) 중에는 물 주입공간(10a)에 보다 인접한 t1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관체(30)는 개방된 단부로부터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직선 구간(30A)과, 직선 구간(30A)으로부터 폐쇄된 단부까지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연장된 곡선 구간(30B)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지중관수 기구(A)의 설치시 물 공급부재(20)는 고리모양의 곡선 구간(30B)을 통해 식물(P)의 뿌리 주변을 감싸도록 지중에 매설된다.
식물(P)의 뿌리 주변으로 고르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수홀(21)은 곡선 구간(30B)의 내주 쪽으로만 형성할 수 있으며, 관수홀(21) 사이의 간격은 곡선 구간(30B)의 연장방향을 따라 폐쇄된 단부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물 공급부재(20)의 구조에서는 지중관수 기구(A)의 설치시 항시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모양이 고정된 곡선구간(30B)을 통해 식물(P)의 뿌리 주변을 감싸기가 편리해지며, 관수과정에서 근권부(r) 주변을 보다 고르게 적실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관수 기구(A)를 설치할 때는 소량이나 개별 식물(P) 주위의 토양 표면에 물 공급부재(20) 형태의 홈(a)을 내고, 홈(a) 상부에 물 공급부재(20)가 위치되도록 물 주입부재(10)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첨단부(11)를 토양에 박아 물 주입부재(10)를 토양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물 공급부재(20)는 홈(a) 내부로 위치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물 공급부재(20)가 지중으로 매설되도록 홈(a) 주변을 토양으로 덮게 됨에 따라 지중관수 기구(A)의 설치는 간단히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지중관수를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물 주입공간(10a)으로 물을 채워 게 되며, 물 주입공간(10a)에 채워진 물은 물 주입공간(10a)의 수압을 통해 자연스럽게 물 공급부재(20) 내부로 전달된 상태에서 복수의 관수홀(21)을 통해 지중으로 배출되어 식물 뿌리의 근권부(r) 주변을 고르게 적시게 된다. 도 4에서 물 공급부재(20) 주변에 표시된 화살표들은 물 공급부재(2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물 공급부재(20) 안쪽으로 표시된 화살표들은 관수홀(21)을 통해 지중으로 배출되는 물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관수홀(2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물 공급부재(20) 주변의 토압에 의해 근권부(r) 주변을 점차적으로 서서히 적시게 되므로, 작업자는 식물(P) 주변에 수시로 물공급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A)를 사용하게 되면, 도시에 있는 작은 규모의 텃밭이나 옥상 정원과 같이 저수시설이 미비한 환경에서도 지중관수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간이식으로 설치되는 지중관수 기구(A)는 언제든지 자리를 옮겨가며 지중관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소량이나 개별 식물의 지중관수 작업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물 공급부재(20)는 형태가 고정된 관체를 통해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물 공급부재(20)의 관체(30)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대체가 가능하다. 관체(30)가 호스로 대체될 경우, 물 공급부재는 호스를 말거나 접을 수 있음은 물론 물 공급부재를 지중에 다양한 형태로 매설할 수 있게 되므로, 지중관수 기구의 보관부피를 줄이거나, 지중관수 기구의 관수 위치를 다양한 형태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 7과 같이, 물 주입부재(10)에는 물 주입공간(10a)의 체적이 증가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물병(100)이 뒤집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병(100)은 손잡이(12)에 끼워진 출구 둘레가 물 주입부재(10) 상부 둘레에 지지된 상태에서 물 주입부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물병(100)으로는 일반 생수통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B)의 구조가 도시된 도 5와 같이, 물 주입부재(10)는 관수량의 조절범위가 확대되도록 물 주입공간(10a′)의 체적 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주입부재(10′)는 저부에 첨단부(11)를 구비하는 하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A)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1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하부몸체(10A)에 삽입되는 상부몸체(10B)의 삽입정도에 따라 물 주입부재(10′) 내부 물 주입공간(10a′)의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는 상부몸체(10B)가 하부몸체(10A)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상부몸체(10B)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태로 마련하고, 첨단부(11) 상부의 하부몸체(10A)는 내경이 상부몸체(10B)의 외경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원통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주입공간(10a′)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상부몸체(10B)가 하부몸체(10A) 상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도록 하부몸체(10A)의 상단 내주와 상부몸체(10B)의 하단 외주에는 각각 걸림턱(13a,13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몸체(10B)가 하부몸체(10A)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우려가 없도록 하면서 상부몸체(10B)를 하부몸체(10A) 상부로 슬라이딩 시킬 때 잡기 편리하도록 상부몸체(10B) 상단 외주에는 플랜지(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지중관수 기구가 설치되는 토양의 입자 밀도가 매우 높을 경우, 관수홀(21)을 통한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지중관수 기구는 물 주입공간(10a)의 물을 물 공급부재(2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물 주입부재(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C)의 구조가 도시된 도 6과 같이, 가압부재(60)는 소정 두께의 원판모양으로 마련된 피스톤부(61)와, 피스톤부(61)를 저부로 밀 수 있도록 마련된 로드부(62)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첨단부(11) 상부의 물 주입부재(10) 내경은 피스톤부(61)의 외경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중관수 기구(C)를 이용할 경우에는 먼저 가압부재(60)가 분리되도록 한 상태에서 물 주입공간(10a)으로 물은 채우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물 주입부재(10)에 가압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여 하부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물 주입공간(10a)의 물에는 물 주입공간(10a)의 수압과 함께 가압부재(60)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물 주입공간(10a)의 물은 관수홀(21)을 통해 지중으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관수 기구(C)를 사용하게 되면, 토양의 입자 밀도가 높은 지중에서도 원활한 관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A: 지중관수 기구 10: 물 주입부재
10a: 물 주입공간 11: 첨단부
12: 손잡이 20: 물 공급부재
21: 관수홀 30: 관체
30B: 곡선구간 40: 마개
50: 패킹

Claims (11)

  1. 물 주입공간을 구비하고, 저부에 형성된 첨단부가 지중에 박힌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된 물 주입부재; 및
    개방된 일단과 폐쇄된 타단 사이에 복수의 관수홀을 구비하는 관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가 상기 물 주입공간 저부와 통하도록 상기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물 주입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물 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주입부재는 상기 물 주입공간의 체적 가변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재는 복수의 상기 관수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물 공급부재의 개방된 일단에서 폐쇄된 타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재는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연장된 곡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홀은 상기 곡선 구간을 따라 상기 곡선 구간의 내주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부재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공간은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손잡이는 하단이 상기 물 주입공간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물 주입공간 상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물 주입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부재는 상기 첨단부를 구비하는 저부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9. 물 주입공간을 구비하고, 저부에 형성된 첨단부가 지중에 박힌 상태로 세워지도록 마련된 물 주입부재;
    개방된 일단과 폐쇄된 타단 사이에 복수의 관수홀을 구비하는 관 형태로 마련되되, 내부가 상기 물 주입공간 저부와 통하도록 상기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물 주입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물 공급부재; 및
    상기 물 주입공간의 물을 상기 물 공급부재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주입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 기구.
  10. 삭제
  11. 삭제
KR2020130009451U 2013-11-18 2013-11-18 지중관수 기구 KR200478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51U KR200478843Y1 (ko) 2013-11-18 2013-11-18 지중관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51U KR200478843Y1 (ko) 2013-11-18 2013-11-18 지중관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84U KR20150001984U (ko) 2015-05-28
KR200478843Y1 true KR200478843Y1 (ko) 2015-11-20

Family

ID=5351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51U KR200478843Y1 (ko) 2013-11-18 2013-11-18 지중관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617A (ko) 2021-04-13 2022-10-20 조창건 지반 조성용 드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76B1 (ko) * 2018-12-14 2021-03-31 대한민국 화단용 지중 유체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617A (ko) 2021-04-13 2022-10-20 조창건 지반 조성용 드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84U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174B2 (en) Plant watering device
US8381437B2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US6453607B1 (en) Root-level plan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US20170290324A1 (en) Spike Attachment for Steam Weed Killing Apparatus
KR101416661B1 (ko) 압력식 수간 주입기
US20180084743A1 (en) Pot flower
KR200478843Y1 (ko) 지중관수 기구
US20150373934A1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CA1267043A (en) Applicator device
WO2011117442A8 (es) Dispositivo de riego por exudación y/o goteo, aplicable a macetas y a plantaciones exteriores en tierra
CA2794264C (en) Device for injecting at least one chemical substance and/or preparation into trees and/or palmacea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20160135391A1 (en) Plant water reservoir
CN102668951A (zh) 自动水灌溉装置
US10517240B2 (en) Tree water bag and drip emitter device
US20070274783A1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CN201976438U (zh) 一种树木施肥器
ES2288447R (es) Jardinera
KR102234476B1 (ko) 화단용 지중 유체 공급장치
US20070243789A1 (en) Decorative irrigation and soluble product delivery system
US20160286716A1 (en) Chemical Distribution System
KR100768880B1 (ko) 농원예용 분무호스의 가이드장치
KR200460053Y1 (ko) 수목용 점적 관수장치
CN106664932A (zh) 一种灌溉施肥装置
JP2006246727A (ja) 液体供給機構
KR200420132Y1 (ko) 휴대용 지하 주수기(携帶用 地下 注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