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643Y1 - T-shaped safety belt - Google Patents

T-shaped safety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43Y1
KR200478643Y1 KR2020140002687U KR20140002687U KR200478643Y1 KR 200478643 Y1 KR200478643 Y1 KR 200478643Y1 KR 2020140002687 U KR2020140002687 U KR 2020140002687U KR 20140002687 U KR20140002687 U KR 20140002687U KR 200478643 Y1 KR200478643 Y1 KR 200478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ser
seat
back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6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3723U (en
Inventor
김흥규
Original Assignee
김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규 filed Critical 김흥규
Priority to KR2020140002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43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2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4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자형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에 따르면 바닥과 등받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안전벨트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상기 등받이의 전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타측면에 타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제1벨트; 및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다리를 기준으로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벨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벨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벨트를 사용자의 대퇴부까지 당겨서 고정하는 제2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장착된 버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를 고정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종래의 2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시트의 바닥면으로 미끄러져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상복부에 걸쳐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벨트의 가압에 의해 간이나 장이 파열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belt for mounting on a seat made of a floor and a backres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seat belt being formed in a strip shape and being couple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A first belt having one end attached to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so as to surround a user's pelvis; And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rst bel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gs on the basis of the legs of the user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And a second belt fixed and pulled up to the femur of the user to fix the first belt,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belt is provided with a first belt which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a buck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uses the conventional two-point type seatbel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by fixing the user's pelvis and thighs, the user slip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to prevent the seatbelt from spreading over the upper part of the user's upper abdomen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liver or the bow is ruptur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seat belt and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Description

T자형 안전벨트{T-SHAPED SAFETY BELT}T-SHAPED SAFETY BELT < RTI ID = 0.0 >

본 고안은 T자형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에 안전벨트가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사고시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는 T자형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shaped seat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shaped seatbelt which prevents a seatbelt from being pressed against a user's abdome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due to adhesion of the seatbelt to the user's pelvis and thigh .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차량의 주행속력으로 인한 관성 때문에 탑승자가 좌석에서 급속하게 이탈되거나 핸들 및 앞유리와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Generally, a seatbelt mounted on a vehicle is worn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sudden departure of a passenger from the seat due to inertia due to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or collision with the handlebar and windshield.

종래의 3점식 안전벨트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탑승자의 상체를 차량시트에 단단히 압박하여 고정시켰다. The conventional three-point seat belt was firmly pressed and fixed on the seat of the passenger to prevent the passenger from escaping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이러한 3점식 안전벨트는 상체를 차량시트에 압박시킬 수 있어 큰 사고의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으나, 차량충돌시 관성에 의해 움직임이 가능한 인체의 목만 급속하게 전후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목이나 척추에 무리가 가게 되어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three-point seat belt can push the upper body against the seat of a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 great accident. However, only the neck of the human body, which can move due to inertia when the vehicle collides, rapidly shakes back and forth.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wounded.

또한 좌상방 또는 우상방으로 고정된 안전벨트가 의해 인체의 상체를 압박하여 차량충돌 시, 쇄골 부위에 표재성 손상 또는 골절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upper body of the human body by the seat belt fixed to the upper left room or the upper right room, superficial damage or fracture is caused in the clavicle area.

이러한 안전벨트의 다른 예로서 공개실용신안실안1998-048024호는 버스에서 사용하는 2점식 안전 벨트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버스의 안전벨트는 시트의 바닥 좌우측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하복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버스의 안전벨트는 충돌 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복부에 압박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Another example of such a seatbelt i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48024, which is related to a two-point seatbelt used in a bus. The seat belts of these buses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seat so as to fix the lower abdomen. The seat belt of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collision occurs, it exerts a pressure on the user's abdomen.

또한 2점식 안전벨트를 장착한 버스에 있어서, 시트의 등받이가 젖혀지면, 승객이 누울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승객의 몸이 시트의 바닥면으로 미끄러지면서 안전벨트가 승객의 상복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안전?트가 승객의 상복부를 가압하면서 간 또는 장이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a backrest of a seat is turned on a bus equipped with a two-point seat belt, the passenger is in a state in which the passenger can lie. In this case,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in the vehicle, the passenger's body slides on the seat bottom surface, To the upper abdomen of the passenger. As a result,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pressed the upper abdomen of the passengers and the liver or the bow was ruptured.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the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desig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of the desig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를 고정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종래의 2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시트의 바닥면으로 미끄러져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상복부에 걸쳐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벨트의 가압에 의해 간이나 장이 파열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user's pelvis and thighs to prevent the user from sliding on the bottom of the seat when the conventional two-point seat belt is us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the liver or the bow is ruptured by the pressure of the seat belt and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복부나 골반을 감싸는 기성제품인 안전벨트에 제2벨트를 결합시켜, T자형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shaped seat belt by attaching a second belt to a seat belt, which is an off-the-shelf product that wraps the user's abdomen or pelvi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바닥과 등받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안전벨트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상기 등받이의 전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타측면에 타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제1벨트; 및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다리를 기준으로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벨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벨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벨트를 사용자의 대퇴부까지 당겨서 고정하는 제2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장착된 버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belt for mounting on a seat made of a floor and a backrest, the seat belt having a belt shape, A first belt having one e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ckrest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to wrap a user's pelvis; And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rst bel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gs on the basis of the legs of the user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And a second belt fixed and pulled up to the femur of the user to fix the first belt,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belt is provided with a first belt which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a buck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formed.

본 고안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등받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장착되되,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상기 등받이의 전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타측면에 타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고,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 일측면에 장착된 버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벨트에 부착되는 제2벨트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다리를 기준으로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벨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벨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벨트를 사용자의 대퇴부까지 당겨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back which is mounted on a seat made of a backrest, has a band shap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with respect to a front surface thereof, has one end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A second belt attached to the first belt with a first end attached to the other end thereof to surround the user's pelvis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selectively removably coupled to a buck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rest, The two belts are formed in a belt-like shape, and one end of the bel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el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gs on the basis of the user's legs,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bottom direc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And is fixed to the floor, and the first belt can be pulled up to the thigh of the user and fixed.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를 고정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종래의 2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시트의 바닥면으로 미끄러져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상복부에 걸쳐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벨트의 가압에 의해 간이나 장이 파열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사용자가 시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ventional two-point type seat belt is us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by fixing the user's pelvis and thigh, the user sli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ver or the bow from being ruptured by the pressure of the seat belt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또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하복부나 골반을 감싸는 기성제품인 안전벨트에 제2벨트를 결합시켜, T자형 안전벨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shaped seat belt can be provided by coupling the second belt to the seat belt, which is a ready-made product that wraps around the user's lower abdomen or pelvis.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1벨트의 임의의 부분이 고정플레이트의 통과부를 왕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eat.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bitrary portion of on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procates in a passing portion of a fixing plat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T자형 안전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1벨트의 임의의 부분이 고정플레이트의 통과부를 왕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ea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shaped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bitrary portion of one be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procates in a passing portion of a fixed plate,

도 1에 도시된 T자형 안전벨트(100)는 일반적인 버스에서 사용가능한 안전벨트로서, 바닥(2)과 등받이(1)로 이루어진 개별 시트에 장착될 수 있다.The T-shaped seat belt 100 shown in FIG. 1 is a seat belt usable in a general bus, and can be mounted on a separate seat made up of a floor 2 and a backrest 1.

이러한 T자형 안전벨트(100)는 버스가 전후 방향으로 충돌하거나 추돌 사고가 발생할 때, 2점식 안전벨트를 사용자의 골반 및 대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즉 T자형 안전벨트(100)는 종래의 안전벨트를 사용할 때 안전벨트가 사용자 상체로 올라가 상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안전벨트의 가압에 의해 사용자의 간이나 장이 파열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The T-shaped seat belt 100 can fix the two-point seat belt to the user's pelvis and thigh when the bus collides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or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That is, the T-shaped seat belt 100 prevents the seat belt from rising to the user's upper body when the conventional seat belt is used, thereby preventing the liver or the bow of the user from rupturing by pressing the seat belt .

관련하여 T자형 안전벨트(100)는 제1벨트(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shaped seat belt 100 may comprise a first belt 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10)는 사용자의 골반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등받이(1)의 전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벨트(10)는 등받이(1)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등받이(1)의 타측면에 타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감쌀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elt 10 is located in the user's pelvis and is for fixing the user's pelvis. The first belt 10 is formed in a band shape and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backrest 1 . One end of the first belt 1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ckrest 1 and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1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1 so as to cover the user's pelvis.

관련하여 제1벨트(10)의 일측에는 등받이(1)의 일측면에 장착된 버클(3)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11)가 장착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part 11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buckle 3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rest 1 can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belt 10. [

이러한 제1체결부(11)가 버클(3)에 체결되면, 제1벨트(10)가 길이방향 외에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제1벨트(10)의 안정적인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11)와 버클(3)의 체결이 해제되면, 제1벨트(10)의 일측은 등받이(1)와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 is fastened to the buckle 3, the first belt 10 is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table binding force of the first belt 10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stening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1 and the buckle 3 is released, one side of the first belt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ckrest 1.

또한 제1벨트(10)는 제1벨트홀더(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el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lt holder 12.

제1벨트홀더(12)는 제1벨트(10)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장착되어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벨트(1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벨트홀더(12)는 제1벨트(10)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벨트(10)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belt holder 12 can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belt 1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first belts 10 mounted on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belts 10. This first belt holder 12 can be located at any position on the first belt 10 and can be moved laterally on the first belt 10. [

따라서 제1벨트홀더(12)는 사용자의 골반 사이즈에 맞도록 제1벨트(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us, the first belt holder 12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belt 10 to match the size of the user's pelvis.

관련하여 제1벨트홀더(1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first belt holder 12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한편 T자형 안전벨트(100)는 제2벨트(20)를 포함할 수 있다.While the T-shaped seat belt 100 may include a second belt 2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벨트(20)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제1벨트(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다리를 기준으로 다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벨트(20)는 일단이 제1벨트(10)의 중앙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벨트(10)와 수직을 이루도록 바닥(2)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바닥(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벨트(20)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제1벨트(10)를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elt 20 is for fixing the first belt 10 to the thigh of the user, and is formed in a band shape,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gs based on the legs of the user. The second belt 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belt 1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10, As shown in FIG. Whereby the second belt 20 can secure the first belt 10 to the thighs of the user.

또한 제2벨트(20)는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타입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시에는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2벨트(20)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belt 20 is formed into a tube type in which air is injected, so that the user can inject air at the time of use and can discharge air at the time of non-use. At this time, when the user uses the second belt 20, air is not necessarily injected, and air can be inj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r used as is.

이러한 제2벨트(20)에 의해 제1벨트(10)는 사용자의 상복부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벨트(20)는 쿠션감 있는 소재(23)로 감싸거나 공기가 들어있는 튜브로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등받이를 젖힌 상태에서 잠이 든 후에 차량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제2벨트(20)에 의해 제1벨트(10)가 사용자의 대퇴부에 고정되고, 제2벨트(20)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걸리게 된다.By this second belt 20, the first belt 10 may not be caught by the user's upper abdomen. Meanwhile, the second belt 20 can be wrapp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23 or wrapped in a tube containing air. 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seatbelt and the vehicle crashes after the backrest is in the tilted state, the first belt 10 is fixed to the thigh of the user by the second belt 20, (20) is caught between the legs of the user.

이때 제2벨트(20)가 쿠션감 있는 소재나 공기가 들어있는 튜브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재성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belt 20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or a tube containing air, the superficial damage can be prevented.

관련하여 제2벨트(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후술할 고정플레이트(3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21)가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belt 2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21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 fixing plat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thereof.

이러한 제2체결부(21)가 고정플레이트(30)에 체결되면, 제1벨트(10)로부터 제2벨트(20)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제1벨트(10)와 제2벨트(20)의 안정적인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체결부(21)가 고정플레이트(30)와의 체결이 해제되면, 제2벨트(20)는 제1벨트(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 is fastened to the fixing plate 30, the movement of the second belt 20 from the first belt 10 is limited, A stable binding force can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 is disengaged from the fixing plate 30, the second belt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elt 10. [

또한 제2벨트(20)는 제2벨트홀더(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elt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lt holder 22.

제2벨트홀더(22)는 제2벨트(20)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장착되어 겹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벨트(2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벨트홀더(22)는 제2벨트(20)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벨트(20)상에서 상하방향 즉 제1벨트(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belt holder 22 can be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belts 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overlapped portion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belt 20. [ This second belt holder 22 can be located at any position on the second belt 20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on the second belt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10 .

따라서 제2벨트홀더(22)는 사용자의 골반과 다리의 길이에 맞도록 제2벨트(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us, the second belt holder 22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econd belt 20 to match the length of the user's pelvis and legs.

관련하여 그리고 제2벨트홀더(2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second belt holder 22 may be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한편 T자형 안전벨트(100)는 고정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While the T-shaped seat belt 100 may include a stationary plate 30.

고정플레이트(30)는 제1벨트(10)로부터 제2벨트(20)가 연장되어 이어지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고정플레이트(30)는 제1벨트(10)와 제2벨트(20)가 일체로 이루어질 경우를 제외한 경우, 즉 제1벨트(10)와 제2벨트(20)가 분리되어 형성될 경우, 제1벨트(10)와 제2벨트(20)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fixing plate 30 can be mounted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belt 20 from the first belt 10. That is, when the first belt 10 and the second belt 20 are formed separately, except when the first belt 10 and the second belt 20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when the first belt 10 and the second belt 20 are separately formed, And is means for integrally joining the first belt 10 and the second belt 20 together.

이러한 고정플레이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이 평평한 N각형(N≥3)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술한 제2벨트(20)의 제2체결부(21)가 체결되기 위한 수용공간(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플레이트(3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plate 30 is formed into a flat N-shape (N? 3)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1 of the second belt 20 is fastened A receiving space 31 may be formed. Although the fixing plat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xagonal front surface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hape of the fixing plate 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러한 수용공간(31)에 제2벨트(20)의 일측에 장착된 제2체결부(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21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elt 20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 [

관련하여 고정플레이트(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벨트(10)의 임의의 부분이 통과부(33)를 왕복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30 may be provided with a passage portion 33 as shown in FIG. So that any portion of the first belt 10 can reciprocate through the pass-through portion 33.

이로 인해 제1벨트(10)가 제2벨트(20)에 의해 직각의 장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도, 제1벨트(10)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irst belt 10 can be adjusted even when the first belt 10 is pulled by the second belt 20 at a right angle.

한편 고정플레이트(30)는 클립(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30 may further include a clip 32.

클립(32)은 고정플레이트(30)가 제1벨트(10)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플레이트(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The clip 32 is for fixing the fixing plate 30 so as not to move in the first belt 10 and has a strength and durability that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xing plate 30. [

이러한 클립(32)은 고정플레이트(30)의 수용공간(31)으로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30)가 제1벨트(10)내에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lip 3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 of the fixing plate 30 so that the fixing plate 30 is not moved within the first belt 10 and can be fixed.

본 고안은 제1벨트(10)와 제2벨트(20)가 고정플레이트(30)에 의해 결합된 하나의 T자형 안전벨트(100)를 제공하는 것이나, 기성제품인 사용자의 하복부나 골반을 감싸는 제1벨트(10)에, 제2벨트(20)를 결합시켜 T자형 안전벨트(1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1벨트(10)에 고정플레이트(30)를 끼우고, 고정플레이트(30)에 제2벨트(20)를 결합시켜 T자형 안전벨트(1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design is based on the provision of one T-shaped seat belt 100 in which the first belt 10 and the second belt 20 are joined by a fixing plate 30, One belt 10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belt 20 to provide a T-shaped seat belt 100. That is, the T-shaped seat belt 100 may be provided by inserting the fixing plate 30 on the first belt 10 and engaging the second belt 20 on the fixing plate 30.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 T자형 안전벨트 10: 제1벨트
11: 제1체결부 12: 제1벨트홀더
20: 제2벨트 21: 제2체결부
22: 제2벨트홀더 23: 쿠션소재
30: 고정플레이트 31: 수용공간
32: 클립 33: 통과부
100: T-shaped seat belt 10: First belt
11: first fastening part 12: first belt holder
20: second belt 21: second fastening part
22: second belt holder 23: cushioning material
30: stationary plate 31: accommodation space
32: clip 33:

Claims (7)

바닥과 등받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안전벨트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이루지고, 상기 등받이의 전면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등받이의 타측면에 타단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제1벨트;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양다리를 기준으로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벨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벨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방향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제1벨트를 사용자의 대퇴부까지 당겨서 고정하는, 제2벨트; 및
상기 제1벨트로부터 상기 제2벨트가 연장되어 이어지는 부분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N각형(N≥3)으로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제1벨트의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제1벨트가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의 일측에 장착된 제2체결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의 일측면에 장착된 버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T자형 안전벨트.
A seat belt for mounting on a seat comprising a floor and a backrest,
A first belt which is formed in a strip shape and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backrest with respect to a front side thereof,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ckres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And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rst bel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gs on the basis of the legs of the user and which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elt, A second belt for pulling and securing the first belt to the femur of the user; And
(N > = 3)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elt to the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belt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portion of the first belt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elt includes a fixing plat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Wherein one side of the first belt
Wherein a first fastening portion, which is selectively and detachably coupled to a buck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rest,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벨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T자형 안전벨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lat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lip to be inserted into said receiving space and secured to said first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벨트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겹치는 부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벨트홀더를 더 포함하는, T자형 안전벨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elt
Further comprising a first belt holder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dapt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belt by being attached to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belt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벨트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겹치는 부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2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벨트홀더를 더 포함하는, T자형 안전벨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el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elt holder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dapt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belt by being attached to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second belts,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는,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타입으로 형성하여, 사용시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미사용시에는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T자형 안전벨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belt
A T-shaped seat belt which is formed into a tube type in which air is injected and which injects air during use and discharges the air when not in use.
삭제delete
KR2020140002687U 2014-04-02 2014-04-02 T-shaped safety belt KR2004786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87U KR200478643Y1 (en) 2014-04-02 2014-04-02 T-shaped safety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87U KR200478643Y1 (en) 2014-04-02 2014-04-02 T-shaped safety be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23U KR20150003723U (en) 2015-10-13
KR200478643Y1 true KR200478643Y1 (en) 2015-10-29

Family

ID=5434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687U KR200478643Y1 (en) 2014-04-02 2014-04-02 T-shaped safety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43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224A (en) * 2002-01-31 2003-08-12 Modeii:Kk Seat belt auxiliar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224A (en) * 2002-01-31 2003-08-12 Modeii:Kk Seat belt auxilia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23U (en)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0445T3 (en) SECURITY BELT RETAINING DEVICE AND SYSTEM.
EP2329985B1 (en) Child car seat
US8616632B2 (en) Child safety seat and tether thereof
TWI531493B (en) Children with seats
EP3551506B1 (en) Supplemental restraint harness
US20100244517A1 (en) Child restraint safety device
KR101225929B1 (en) A baby safety seat for car
KR101623438B1 (en) Portable apparatus for fixing safety seat belt for vehicles
CN105531158A (en) An improved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US20120274056A1 (en) Safety seatbelt system for pregnant women
US20130047934A1 (en) Animal restraint system
US10040418B2 (en) Motor vehicle seatbelt restraint arrangement
US7270347B1 (en) Seatbelt attachment for use by pregnant women
KR200478643Y1 (en) T-shaped safety belt
CA2806574A1 (en) An attachment device for a seatbelt restraint system to be used by pregnant women and other passengers
CN106794819A (en) Automobile-used safety belt for pregnant woman guide rail
AU2012234921A1 (en) Restraint system for a child safety seat
PT1690754E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US20160114760A1 (en) Safety harnesses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20190027971A (en) Seat belt of vehicle for pregnant woman
US9580041B1 (en) Vehicle pet harness
KR20100008498U (en) Guide pad for children
KR101833511B1 (en) Assembly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