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70Y1 - 가방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가방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70Y1
KR200478570Y1 KR2020140005396U KR20140005396U KR200478570Y1 KR 200478570 Y1 KR200478570 Y1 KR 200478570Y1 KR 2020140005396 U KR2020140005396 U KR 2020140005396U KR 20140005396 U KR20140005396 U KR 20140005396U KR 200478570 Y1 KR200478570 Y1 KR 200478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g
materials
bush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만
Original Assignee
(주)이건만에이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만에이앤에프 filed Critical (주)이건만에이앤에프
Priority to KR2020140005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디자인의 가방을 제작하며 사용자의 기호나 용도에 따라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가방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동일 내지 다른 소재를 연결하여 가방을 제작하는 가방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어느 한 소재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도록 부싱을 갖는 장식버튼, 상기 장식버튼의 부싱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두 소재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식버튼과 고정버튼의 결합을 통해 중첩되는 두 소재를 손쉽게 연결하여 가방을 제작하므로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직접 기호나 용도에 부합되는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방용 연결부재{JOINT MEMBER FOR BAG}
본 고안은 가방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디자인의 가방을 제작하며 사용자의 기호나 용도에 따라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가방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방은 물건을 넣어 들거나 메고 다는 용구로서, 가죽이나 천, 비닐 따위로 만들어진다.
근래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다양한 가방이 출시되고 있으며, 용도나 메는 방식에 따라 어깨에 메는 숄더백(shoulder bag), 손에 들거나 팔에 걸치는 토트백(tote bag) 및 쇼퍼백(shopper bag), 등에 메는 백팩(back pack), 토트백과 쇼퍼백을 겸하는 멀티백(multi bag), 쇼퍼백 안에 넣고 다니는 세컨드백(second bag)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위에서 나열한 종류의 가방을 모두 구입하기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므로 용도나 장소, 옷차림에 어울리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2005-0122054호(2005.12.28) ‘가방세트’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가방은 일반적으로 용도에 맞게 재단된 가죽이나 천 따위의 소재를 재봉으로 연결하여 숄더백, 토트백, 쇼퍼백, 백팩, 멀티백 및 세컨드백 등으로 제작한다.
그러나, 상술한 과정으로 제작된 가방은 디자인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가방은 특정 용도에 따라 디자인된 하나의 가방만을 제작할 뿐 하나의 콘셉트(concept) 내에서 그와 유사하거나 다른 용도의 가방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재단된 소재를 재봉으로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다양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과정으로 제작된 가방은 소비자가 가방용 소재 및 부자재를 구매하여 기호나 용도에 맞는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직접 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부연하면, 소비자가 가방용 소재 및 부자재를 구매하더라도 재봉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 및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직접 하기 어려운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콘셉트 내에서 그와 유사하거나 다른 용도의 가방을 손쉽게 제작하여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하며, 소비자의 기호나 용도에 따라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직접 할 수 있는 가방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동일 내지 다른 소재를 연결하여 가방을 제작하는 가방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어느 한 소재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도록 부싱을 갖는 장식버튼, 상기 장식버튼의 부싱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두 소재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버튼은,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버튼홀 및 이 버튼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후크가이드홀을 갖는 버튼홀더, 상기 양측 버튼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후크가이드홀을 따라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부싱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각각 걸리도록 후크를 갖는 한 쌍의 푸시버튼, 상기 양측 걸림공에 걸린 후크를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푸시버튼을 탄력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푸시버튼의 내면에는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고정하도록 스프링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공은 중첩되는 소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후크의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버튼과 고정버튼의 결합을 통해 중첩되는 두 소재를 손쉽게 연결하여 가방을 제작하므로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직접 기호나 용도에 부합되는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가방용 연결부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방용 연결부재는,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10a)(1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공(12a)(12b), 어느 한 소재(10a)의 관통공(12a)으로 삽입되도록 부싱(110)을 갖는 장식버튼(100), 장식버튼(100)의 부싱(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10a)(10b)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200)을 포함한다.
소재(10a)(10b)는 천연 또는 합성 피혁이나 천, 비닐 따위의 재질 중 어느 한 재질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재질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재(10a)(10b)는 가방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되는데, 이와 같이 재단된 소재(10a)(10b)의 가장자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12a)(12b)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8의 (a)와 같은 디자인의 가방(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면소재(14), 1개의 후면소재(15), 한 쌍의 지퍼소재(16), 상단 및 하단마감소재(17), 4개의 측면마감소재(18) 등이 필요하고, 각 소재(14~18)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관통공(12a)(12b)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식버튼(100)은 가방(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려하게 장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식버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밑면에는 부싱(110)이 형성된다. 부싱(110)은 대략 사각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걸림공(112)이 천공되는데, 이러한 걸림공(1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소재(10a)(10b)의 두께 또는 소재(10a)(10b)의 중첩되는 개수에 따라 후술하는 후크(224)의 걸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식버튼(1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금 또는 은 따위를 도금하여 미려하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장식버튼(100)을 금속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하고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입혀서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고정버튼(200)은 장식버튼(100)의 부싱(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10)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버튼(200)은,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버튼홀(212) 및 이 버튼홀(2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후크가이드홀(214)을 갖는 버튼홀더(210), 양측 버튼홀(2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후크가이드홀(214)을 따라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부싱(110)의 양측 걸림공(112)에 각각 걸리도록 후크(224)를 갖는 한 쌍의 푸시버튼(220), 양측 걸림공(112)에 걸린 후크(224)가 고정되도록 한 쌍의 푸시버튼(220)을 탄력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버튼(200)은 장식버튼(110)과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금 또는 은 따위를 도금하여 미려하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고정버튼(200)을 금속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하고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입혀서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버튼홀더(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고 좌우 양측이 수직으로 절단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는 좌우로 연이어져 통하는 버튼홀(212)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버튼홀(212)에 연이어져 통하는 후크가이드홀(214)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1에서는 버튼홀더(210)를 장식버튼(100)과 대응되는 원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버튼홀(212) 및 후크가이드홀(214)을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푸시버튼(2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좌측 및 우측 버튼홀(21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데, 한 쌍의 푸시버튼(220)이 마주하는 그 내면 상단부에는 수직의 연결편(222)이 연결되고 이 연결편(222)의 상단부 외측에는 후크(224)가 형성되어 부싱(110)의 내면으로 결합되면서 걸림공(112)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푸시버튼(220)의 내면 중앙에는 스프링홈(226)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코일스프링(230)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상기 복원부재는 한 쌍의 푸시버튼(220)을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복원시켜서 양측 걸림공(112)에 걸린 후크(224)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복원부재는 한 쌍의 푸시버튼(220)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30)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스프링(230)의 양단부는 푸시버튼(220)의 스프링홈(226)에 결합되어 압축 및 인장 시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원부재는 한 쌍의 푸시버튼(220)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가방(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소재(10a)의 관통공(12a)과 내부에 배치되는 소재(10b)의 관통공(12a)이 상호 연이어져 통하도록 중첩시키고, 외부 소재(10a)의 관통공(12a)에는 장식버튼(100)을 배치하고 내부 소재(10b)의 관통공(12b)에는 고정버튼(200)을 배치한다.
그리고 손을 이용하여 장식버튼(100)을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 부싱(110)을 소재(10a)(10b)의 관통공(12a)(12b)으로 삽입한다.
이어서, 한 쌍의 푸시버튼(220)을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230)이 탄력적으로 압축되어 푸시버튼(220)은 버튼홀(212)의 안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연결편(222)은 후크가이드홀(214)을 따라 안내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버튼(200)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결합하면 후크(224)는 부싱(110)의 걸림공(112)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푸시버튼(220)에서 손을 떼면 도 7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230)이 탄력적으로 인장되면서 한 쌍의 푸시버튼(220)은 버튼홀(212)의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편(222)은 후크가이드홀(214)을 따라 바깥쪽으로 안내되어 후크(224)가 부싱(110)의 걸림공(11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식버튼(100)을 관통공(12a)(12b)으로 삽입하고, 고정버튼(200)의 푸시버튼(220)을 눌러서 장식버튼(100)의 부싱(110)으로 결합하는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중첩되는 두 소재(10a)(10b)를 매우 손쉽게 연결하게 된다.
예컨대, 도 8의 (a)와 같은 디자인의 가방(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전면소재(14) 사이에 한 쌍의 지퍼소재를 배치하여 본 고안의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전면소재의 후면에 후면소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 상단 및 하단마감소재(17)를 본 고안의 연결부재로 연결하며, 전면소재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측면마감소재를 본 고안의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디자인의 가방을 용이하게 제작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기호나 용도에 따라 가방의 제작·수리·장식을 직접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가방 10a, 10b : 소재
12a, 12b : 관통공 100 : 장식버튼
110 : 부싱 112 : 걸림공
200 : 고정버튼 210 : 버튼홀더
220 : 푸시버튼 224 : 후크
230 : 코일스프링

Claims (5)

  1. 동일 내지 다른 소재를 연결하여 가방을 제작하는 가방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호 중첩되는 두 소재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어느 한 소재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도록 부싱을 갖는 장식버튼, 상기 장식버튼의 부싱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두 소재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버튼은,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버튼홀 및 이 버튼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후크가이드홀을 갖는 버튼홀더, 상기 양측 버튼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상기 후크가이드홀을 따라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부싱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각각 걸리도록 후크를 갖는 한 쌍의 푸시버튼, 상기 양측 걸림공에 걸린 후크를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푸시버튼을 탄력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연결부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연결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푸시버튼의 내면에는 코일스프링의 양단부를 고정하도록 스프링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연결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중첩되는 소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후크의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연결부재.
KR2020140005396U 2014-07-18 2014-07-18 가방용 연결부재 KR200478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96U KR200478570Y1 (ko) 2014-07-18 2014-07-18 가방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96U KR200478570Y1 (ko) 2014-07-18 2014-07-18 가방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570Y1 true KR200478570Y1 (ko) 2015-10-22

Family

ID=5443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96U KR200478570Y1 (ko) 2014-07-18 2014-07-18 가방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7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531A (ja) * 2004-06-21 2006-01-05 Takahashi Katsumitsu 釦、飾り具等装飾具及びその取付作業用具
KR200438450Y1 (ko) 2006-11-06 2008-02-19 대하산업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JP2008302167A (ja) * 2007-06-06 2008-12-18 Toshihide Yamaoka 木製バッ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531A (ja) * 2004-06-21 2006-01-05 Takahashi Katsumitsu 釦、飾り具等装飾具及びその取付作業用具
KR200438450Y1 (ko) 2006-11-06 2008-02-19 대하산업주식회사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JP2008302167A (ja) * 2007-06-06 2008-12-18 Toshihide Yamaoka 木製バッ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9671A1 (en) Support device for hanging objects on garments
CN103919341B (zh) 一种diy拼接组合件及使用该拼接组合件制成的手袋
US20110277276A1 (en) Customizable garment accessory
US20110253273A1 (en) Handbag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embellishment
US10624432B2 (en) Changeable bag
KR200478570Y1 (ko) 가방용 연결부재
KR20170053558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200478571Y1 (ko) 가방용 연결부재
US10455905B1 (en) Interchangeable accessory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433880B1 (ko) 트렌스폼 가방
JP3141848U (ja) 装飾カバー
KR100895440B1 (ko) 장식 연결구
JP2016540533A (ja) ファッションアクセサリ
KR200479166Y1 (ko) 의복에 부착된 손이 닿지 않는 지퍼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JP2016119945A (ja) タペストリー
KR102211031B1 (ko) 액세서리 고정부 제조 방법
KR101664117B1 (ko)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710B1 (ko) 커버가 교체 가능한 가방
CN205831244U (zh) 磁性针扣
KR101025573B1 (ko) 양면 쿠션형 장식구를 갖는 누름식 필기구
CN209931657U (zh) 一种可拆换式磁性组件
JP3117701U (ja) 飾り付きバッグ
US9119446B1 (en) Snap pin
CN205624782U (zh) 一种可换装饰物的皮带扣
KR20120002198U (ko) 패션 팔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