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18Y1 -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 Google Patents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18Y1
KR200478518Y1 KR2020110006079U KR20110006079U KR200478518Y1 KR 200478518 Y1 KR200478518 Y1 KR 200478518Y1 KR 2020110006079 U KR2020110006079 U KR 2020110006079U KR 20110006079 U KR20110006079 U KR 20110006079U KR 200478518 Y1 KR200478518 Y1 KR 200478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erminal
power connection
hair iron
electric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03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110006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18Y1/ko
Priority to PCT/KR2011/006854 priority patent/WO2012111898A1/ko
Publication of KR20130000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자 간의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구비되고, 전단부에 몰딩부가 형성되는 전기코드부; 전기코드부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부가 몰딩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단자; 제1단자와 분리형성되고, 제1단자와 결합 및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제2단자가 고정되는 전원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전원접속부 후단에는, 제1단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방캡이 분리형성되어 결합되고, 후방캡의 내측 또는 앞쪽에 위치하며 외경이 후방캡의 내경보다 큰 고정링이 분리형성되고, 몰딩부 또는 제1단자의 테두리에는, 앞쪽은 고정링의 내경보다 크고 뒤쪽은 고정링의 내경보다 작으며 고정링이 위치하는 링걸림부가 형성되며, 고정링과 전원접속부는 결합시 서로 걸림되어, 고정링이 전원접속부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A HAIR IRON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EASY DISASSEMBLING}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에 의한 임의분해는 방지될 수 있는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hair iron)에 관한 것이며, 헤어아이론은 외부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는 전기코드가 장치 본체 쪽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이러한 연결부분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헤어아이론의 사용시에는 통상 장치 본체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방향에서 머리카락의 성형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움직이게 마련이다.
이처럼 헤어아이론은 사용시에 계속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장치의 본체가 전기코드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꺾이거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 부분과 전기코드 부분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무리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이 반복되는 경우 전기장치의 파손 내지는 전기접속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헤어아이론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31243호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등록고안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며, 헤어아이론 본체 후미에 설치되는 전기코드를 이용하여 전류 공급을 하도록 하는데 있어 상기 전기코드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벌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양호한 전기코드 회전과 전기 공급을 도모하도록 개선된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에 관한 고안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실용 제20-0331243호는, 종래의 헤어아이론과 비교할 때, 전기코드가 회전되면서 전기 공급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그 전기코드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끄덕거림이 없게 됨으로써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헤어아이론의 수명 증대 효과 및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인은, 상기 한국등록실용 제20-0331243호에 따른 헤어아이론을 포함하여 현재 개시되고 있는 다른 형태의 헤어아이론에 대한 개선점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국등록실용 제20-0331243호에 따른 헤어아이론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한국등록실용 제20-0331243호에 따른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내외부 케이스는 서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지며, 후단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부에 너트구가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어아이론에서는, 전기코드가 회전되면서도 그것을 견고히 붙잡고 있을 수 있는 코드결속수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코드결속수단은 가이드돌기가 있는 부분의 외곽이 되는 내, 외부케이스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에 하나의 너트구를 체결시킴으로서, 후단부의 전체 외주면을 조이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헤어아이론에 있어서는, 전기코드가 내, 외부케이스 쪽에 결합되고 조립되기 위해서는, 내, 외부케이스가 먼저 결합될 수 없으며, 내, 외부케이스의 결합이 전기코드에 우선하여 결합될 수 없다. 즉, 내, 외부케이스를 우선 조립할 수 없으며, 내, 외부케이스의 조립 및 전기코드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구조는 조립시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조립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조립된 헤어아이론은 그 자체로 안정된 조립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쉽게 분해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예컨대, 헤어아이론이 분해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 내지는 전극이 외부로 쉽게 노출되는 경우에는,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처럼, 헤어아이론의 구조는 조립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임의분해는 방지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분해가 방지되는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기코드부와 이러한 전기코드부를 제외한 기기 부분 간의 조립에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분해시 전기코드부의 분리가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헤어아이론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단자 간의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구비되고, 전단부에 몰딩부가 형성되는 전기코드부; 상기 전기코드부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몰딩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단자; 상기 제1단자와 분리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결합 및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고정되는 전원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접속부 후단에는, 상기 제1단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방캡이 분리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후방캡의 내측 또는 앞쪽에 위치하며 외경이 상기 후방캡의 내경보다 큰 고정링이 분리형성되고, 상기 몰딩부 또는 제1단자의 테두리에는, 앞쪽은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크고 뒤쪽은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고정링이 위치하는 링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과 상기 전원접속부는 결합시 서로 걸림되어, 상기 고정링이 상기 전원접속부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과 전원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어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단자를 기준으로 3차원회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고리 및 제2고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고리 단부에는, 상기 고정링이 이루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 단부에는, 상기 고리돌기가 삽입되는 고리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 사이에는, 유연하게 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리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양측에서 가압되는 경우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에 의하면, 상기 전원접속부에는, 상기 제2단자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접속부의 외부를 형성하며, 후단 내측에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전원접속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접속케이스는, 상기 걸림홈이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은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의 후단을 감싸며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전원접속부 후단에, 몰딩부 및 제1단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방캡이 형성되고, 외경이 후방캡의 내경보다 큰 고정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링이 링걸림부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전기코드부가 전원접속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전원접속부를 우선 조립한 후 전기코드부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전원접속부와 전기코드부의 조립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원접속부의 분리가 이루어지기전에 전기코드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임의분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링을 제1고리와 제2고리로 나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제1고리와 제2고리가 서로 회동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고정링이 링걸림부에 놓이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링 및 후방캡이 전기코드부에서 구속되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기코드부를 전원접속부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1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 3는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의 일부 구성이 조립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에 사용되는 고정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에 사용되는 고정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되는 전기장치로서, 특히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단자(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서로 연결되면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헤어아이론(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내부에 전선(220)이 구비된 전기코드부(200)를 통하여 전기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전단에는 상기 제1단자(400a)가 고정되는 몰딩부(21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단자(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분리형성된 후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코드부(2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본체부(1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은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조(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자(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태, 나아가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자(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 사이에서 3차원회전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헤어아이론(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쪽을 앞쪽으로 하고 전기코드부(200) 쪽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은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전기코드부(200)와 이러한 전기코드부(200)를 통하여 공급된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는 본체부(10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전기코드부(200)의 연결은 전원접속부(300)를 매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부(300)는, 한쪽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몰딩부(210)를 통하여 전기코드부(200)에 연결되는 것인데, 상기 본체부(100)와의 연결에 있어서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도 1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형태가 도시)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상기 전기코드부(200)와 연결됨에 있어서는, 후술할 제1단자(400a) 및 제2단자(400b)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내부에 상기 제2단자(400b)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충분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은 형태를 포함) 상기와 같이 상기 전원접속부(300)가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접속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한 부분(후단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케이스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2단자(400b)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1전원접속케이스(미도시)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는 좌우 또는 상하 양쪽으로 대칭된 형태로 나뉘어 형성되며,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후 서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의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나사(331) 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가 분리되지 않고, 후술할 후방캡(310)이 분리되더라도 고정링(320)이 링걸림부(44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제1단자(400a)는 상기 제2단자(400b)와 분리형성된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선(20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는 상기 제1단자(400a) 및 상기 제2단자(400b)를 거쳐 상기 본체(100)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1단자(400a)의 외측에는 링걸림부(441)가 형성되며, 이러한 링걸림부(441)에 고정링(320)이 위치함으로써 고정링(32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400a)는 상기 제2단자(400b)에 결합됨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캡(310) 및 고정링(320) 또한 상기 제1단자(400a)의 회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400a)와 상기 제2단자(400b) 각각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1단자(400a)의 회전은 하나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이며, 도 2 이하에서와 같은 3차원회전과는 다르다.
상기 후방캡(310)은 상기 제1단자(400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걸림부(441)가 상기 제1단자(400a) 상에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후방캡(310)의 내경은 상기 제1단자(400a)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며, 상기 링걸림부(441)가 상기 몰딩부(210) 상에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후방캡(310)의 내경은 상기 제1단자(400a)의 외경 및 상기 몰딩부(210)가 형성하는 일측 외경(링걸림부(441)가 형성되는 지점의 앞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캡(310)은 상기 전원접속부(300)의 후단에서 나사결합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후방캡(310)의 내측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나, 외측은 원형 및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320)과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결합시 서로 걸림되어,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전원접속부(300)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는데, 상기 고정링(320)과 전원접속부(30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어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고정링(320)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고정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링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직각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320)의 외주면에는 후단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걸림돌기(325)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5)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림돌기(325)는 후단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후단부가 비교적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25)의 외경은,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후단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 후단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325)와 대응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325)가 걸리는 걸림홈(335)이 형성되고(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 후단 내부에도 대칭된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됨), 상기 걸림돌기(325)가 수용된 후 이탈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립시, 상기 걸림돌기(325)는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압축력을 받으며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측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335) 내부로 수용되게 되면서 상기 걸림홈(335)에 걸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20)과 전원접속케이스(330b)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25)가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부를 진입시 탄성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걸림돌기(325)가 상기 걸림홈(335)에 수용될 때 본래의 상태로 회복되면서 양자가 서로 걸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걸림돌기(325)는 상기 걸림홈(335)에 걸리는 경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되며, 상기 걸림돌기(325)의 분리가 방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단자(400a)가 고정형성된 상기 전기코드부(200) 또한 상기 전원접속부(300)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안정된 결합이 유지되게 된다. 즉, 상기 후방캡(310)이 상기 전원접속부(300)의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돌기(325)는 상기 걸림홈(335)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간의 결합이 유지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를 분리하여 상기 걸림돌기(325)가 상기 걸림홈(335)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분리되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전원접속부(300) 후단에, 상기 몰딩부(210) 및 제1단자(400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상기 후방캡(310)이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후방캡(310)의 내경보다 큰 상기 고정링(3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링걸림부(441)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상기 전원접속부(300)를 우선 조립한 후 상기 전기코드부(200)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원접속부(300)와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조립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걸림돌기(325)와 상기 걸림홈(335)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접속부(300)의 분리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임의분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의 일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1)은,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3차원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와 전기코드부(200)의 연결은 전원접속부(300)를 매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부(300)는 상기 전기코드부(200)와 연결됨에 있어서는, 후술할 제1단자(400a) 및 제2단자(400b)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3차원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내부에 상기 제2단자(400b)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충분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은 형태를 포함) 상기와 같이 상기 전원접속부(300)가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접속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한 부분(후단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케이스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2단자(400b)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1전원접속케이스(330a)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330a)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는 좌우 양쪽으로 대칭된 형태로 나뉘어 형성되며,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후 서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330a)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의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나사(331)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나사(331)에 의하여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330a)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의 안정된 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후방캡(310)이 분리되더라도 고정링(320)이 링걸림부(441)에서 이탈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임의분해가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3차원회전 가능한 형태의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1단자(400a)는 상기 전기코드부(200)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에 제1외측전극(420) 및 제1내측전극(410)이 각각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외측전극(420)이 (+)전극이라면 상기 제1내측전극(410)은 (-)전극이 된다.
상기 제2단자(400b)는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고정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400a)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00) 쪽으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단자(400b)는 상기 전원접속부(300) 내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전원접속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형태 내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이, 상기 전기코드부(200) 쪽에 형성되는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본체부(100) 쪽에 형성되는 상기 제2단자(400b)와 상대적으로 3차원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제2단자(400b)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은, 상기 제1단자(400a)의 3차원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단자(400a)의 3차원회전 중심점을 구심점으로 하는 다양한 구면이 형성되는데, 제1내측접촉부(411), 제2내측접촉부(451), 제1외측접촉부(421) 및 제2외측접촉부(461)와, 제1내측절연체(430), 제1외측절연체(440) 및 제2내측절연체(470)의 일부면이 서로 동심원을 이루는 구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자(400a)는 제1내측전극(410), 제1내측절연체(430), 제1외측전극(420) 및 제1외측절연체(440)가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1내측전극(410), 제1내측절연체(430), 제1외측전극(420) 및 제1외측절연체(4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400a)의 후단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전단부를 이루는 몰딩부(210) 내부에 고정형성되며, 상기 제1내측전극(410)과 제1외측전극(420)의 후단은 상기 전기코드부(200) 내부를 지나는 전선(220)과 연결된다.
상기 제1내측전극(410)과 제1외측전극(420)이 결합된 상기 제1단자(400a)의 전단(상기 전기코드부(200) 반대방향)은 3차원회전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둥근 구 형태로 형성되며, 외각 테두리에 상기 제1외측전극(420)이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단이 둥근 구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단자(400a)는, 상기 제2단자(400b)를 기준으로 3차원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단자(400b)와 결합되며, 상기 제2단자(400b)에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단자(400b)는 제2내측전극(450), 제2내측절연체(470), 제2외측전극(460) 및 제2외측절연체(490)가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내측전극(450), 제2내측절연체(470), 제2외측전극(460) 및 제2외측절연체(49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내측전극(450)과 제2외측전극(460)의 전단은 상기 전원접속부(300) 내부에 고정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 쪽으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내측전극(450)은 긴 봉 형태로 형성되고, 후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내측접촉부(451)는 상기 제1내측접촉부(411)와의 접촉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볼록한 구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400a)의 3차원회전시에도 상기 제1내측전극(41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내측전극(450)의 앞쪽에는, 상기 제2내측전극(450)을 상기 제1내측전극(410)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2내측전극(450)을 탄력지지하는 전극탄성체(4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탄성체(4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내측전극(450)의 주변으로는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의 전방으로,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와 결합하며 상기 제2내측전극(450)과 제2외측전극(46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외측절연체(49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의 전방으로는, 후크 형태의 체결돌기(47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외측절연체(490)에는 상기 체결돌기(471)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체결홈(49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와 제2외측절연체(490)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내측전극(450) 및 제2외측전극(460)을 고정시키고, 나아가 상기 제2내측전극(450)의 수직부(463)를 고정시키면서 후술할 수평부(462)와 제2외측접촉부(461)는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2내측전극(450)이 전극탄성체(48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와 제2외측절연체(490)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단자(400b)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내측절연체(470)의 외측으로는 제2외측전극(460)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2외측전극(460)의 제2외측접촉부(461)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외측전극(420)의 제1외측접촉부(421)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외측전극(460)은, 상기 제2외측접촉부(461)와, 상기 제2외측접촉부(461)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전극(420)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462)와, 상기 수평부(462)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전극(420)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463)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400a)는 상기 전기코드부(200) 쪽에 고정형성되며, 상기 제2단자(400b)는 상기 본체부(100) 쪽에 형성되는 전원접속부(300)에 고정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고정되도록 하는 후방캡(310) 및 고정링(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캡(310)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으며, 다만 도 5에는, 외측 형태가 라운드진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후방캡(3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320)은 결합시 상기 후방캡(310)의 내측 또는 앞쪽에 위치하며, 외경이 상기 후방캡(310)의 내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링(320)에 의하여 상기 후방캡(310)이 걸리게 되며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후방캡(310)이 상기 전원접속부(300) 후단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후방캡(310) 뒤쪽으로 빠지지 않게 되며, 나아가 상기 제1단자(400a)가 고정결합된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를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단자(400a) 또는 몰딩부(210)에는 링걸림부(441)가 형성된다. 상기 링걸림부(441)는, 앞쪽은 상기 고정링(320)의 내경보다 크고 뒤쪽은 상기 고정링(320)의 내경보다 작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걸림부(441)의 외경은 상기 후방캡(3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후방캡(310)과 함께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놓이는 경우, 상기 고정링(320)은 상기 링걸림부(441)의 앞쪽으로 구속없이 이동되는 것이 저지되며, 아울러, 상기 후방캡(310)은 상기 고정링(320)에 걸려 상기 제1단자(400a)의 앞으로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결국, 상기 후방캡(310)이 상기 전원접속부(300) 후단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단자(400a)가 고정형성된 상기 전기코드부(200)는 상기 전원접속부(300)에서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상기 전원접속부(300)의 조립이 이미 완료된 후 상기 후방캡(310) 및 고정링(320)과 함께 상기 제1단자(400a)가 고정형성된 전기코드부(200)를 상기 전원접속부(300) 후단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시 상기 전기코드부(200)는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는 것이나,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분해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방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걸림돌기(325)와 걸림홈(335)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고정링(320)의 외주면에는 후단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걸림돌기(3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 후단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325)와 대응된 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325)가 걸리는 걸림홈(335)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돌기(325)와 걸림홈(335)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의 조립시, 상기 걸림돌기(325)는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압축력을 받으며 상기 전원접속케이스(330b) 내측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335) 내부로 수용되게 되면서 상기 걸림홈(33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330a)와 제2전원접속케이스(330b)를 분리하여 상기 걸림돌기(325)가 상기 걸림홈(335)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캡(310)이 분리되는 경우만으로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단자(400a)와 제2단자(400b)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상기 전원접속부(300)를 우선 조립한 후 상기 전기코드부(200)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원접속부(300)와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조립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걸림돌기(325)와 상기 걸림홈(335)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접속부(300)의 분리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기코드부(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임의분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1)에 사용되는 고정링(32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과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3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320)은 도 4 또는 도 6, 7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형태가 변형되거나 분리되는 형태가 아닌, 원형의 링의 형상을 갖는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몰딩부(210) 상에서 고정형성된 후에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놓이기는 곤란하므로(상기 전기코드부(200)의 몰딩부(210) 및 플러그(미도시) 등의 형성에 의하여),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전기코드부(200)와 결합되기 이전, 즉 상기 제1단자(400a)가 사출성형(이중사출)에 의하여 상기 전기코드부(200)에 고정되기 이전에 상기 고정링(320) 및 후방캡(310)이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단자(400a)와 상기 전기코드부(20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고정링(32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의 조립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우선, 상기 고정링(320)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고리(320a) 및 제2고리(320b)로 나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리(320a) 단부 일측에는, 상기 고정링(320)이 이루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고리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320b)에는 상기 고리돌기(321)가 꼭 맞게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고리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돌기(321)가 상기 고리홈(322)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결합되면,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는 원형 링형태의 상기 고정링(3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고리(320a)가 상기 제2고리(320b)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경우 벌어지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링(320)의 내경이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전기코드부(200)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고정링(320)은 아무런 어려움 없이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상기 고리돌기(321) 및 고리홈(3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가 분리되면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완성된 형태의 고정링(320)(원형 형태의 고정링(320)) 형성 및 유지가 용이하며, 상기 고정링(320)을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의 연결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연결편(32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320)은 제조의 편의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고리연결편(323)은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상대적으로 회동할 때 부드럽게 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링(320)은,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가압되는 경우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경우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서 가압하는 경우 탄성변형되면서 도 7(c)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고리형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링(320)은, 상기 제1단자(400a)가 상기 전기코드부(200)에 결합된 후에도, 상기 링걸림부(441)의 외경을 극복하면서 상기 링걸림부(441) 상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후방캡(310)이 상기 전원접속부(300)에 결합되는 경우 양쪽에서 가압되면서 도 6(c)와 같은 원형의 링형태로 변형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전원접속부(300)와 상기 전기코드부(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아이론(1)에 의하면, 상기 고정링(320)을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로 나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기 제1고리(320a)와 제2고리(320b)가 서로 회동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고정링(320)이 상기 링걸림부(441)에 놓이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링(320) 및 후방캡(310)이 상기 전기코드부(200)에서 구속되어 형성(미리 조립)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코드부(200)를 전원접속부(300)에 조립할 수 있으며,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 :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100 : 본체부 200 : 전기코드부
210 : 몰딩부 220 : 전선
300 : 전원접속부 310 : 후방캡
320 : 고정링 320a : 제1고리
320b : 제2고리 321 : 고리돌기
322 : 고리홈 323 : 고리연결편
325 : 걸림돌기
330a : 제1전원접속케이스 330b : 제2전원접속케이스
331 : 결합나사
335 : 걸림홈
400a : 제1단자 400b : 제2단자
410 : 제1내측전극 411 : 제1내측접촉부
420 : 제1외측전극 421 : 제1외측접촉부
430 : 제1내측절연체 431 : 삽입홀
432 : 접촉리브 440 : 제1외측절연체
441 : 링걸림부
450 : 제2내측전극 451 : 제2내측접촉부
460 : 제2외측전극 461 : 제2외측접촉부
462 : 수평부 463 : 수직부
470 : 제2내측절연체
480 : 전극탄성체 490 : 제2외측절연체

Claims (10)

  1. 단자 간의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헤어아이론에 있어서,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구비되고, 전단부에 몰딩부가 형성되는 전기코드부;
    상기 전기코드부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몰딩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단자;
    상기 제1단자와 분리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와 결합 및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가 고정되는 전원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접속부 후단에는, 상기 제1단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후방캡이 분리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후방캡의 내측 또는 앞쪽에 위치하며 외경이 상기 후방캡의 내경보다 큰 고정링이 분리형성되고,
    상기 몰딩부 또는 제1단자의 테두리에는, 앞쪽은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크고 뒤쪽은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고정링이 위치하는 링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과 상기 전원접속부는 결합시 서로 걸림되어, 상기 고정링이 상기 전원접속부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과 전원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어 후단방향으로 이동이 저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4.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단자를 기준으로 3차원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6.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고리 및 제2고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 단부에는, 상기 고정링이 이루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 단부에는, 상기 고리돌기가 삽입되는 고리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와 제2고리 사이에는, 유연하게 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리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양측에서 가압되는 경우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10.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부에는, 상기 제2단자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접속부의 외부를 형성하며, 후단 내측에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전원접속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접속케이스는, 상기 걸림홈이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은 상기 제1전원접속케이스 및 제2전원접속케이스의 후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KR2020110006079U 2011-02-18 2011-07-04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KR200478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9U KR200478518Y1 (ko) 2011-07-04 2011-07-04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PCT/KR2011/006854 WO2012111898A1 (ko) 2011-02-18 2011-09-16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79U KR200478518Y1 (ko) 2011-07-04 2011-07-04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03U KR20130000303U (ko) 2013-01-14
KR200478518Y1 true KR200478518Y1 (ko) 2015-10-14

Family

ID=5242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79U KR200478518Y1 (ko) 2011-02-18 2011-07-04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86B1 (ko) * 2013-09-11 2015-03-26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회전형 롤 고데기
CN110444976A (zh) * 2019-09-03 2019-11-12 东莞丽丝智能科技有限公司 便携卷发器的电源线可拆装结构
EP4040607A1 (en) * 2021-02-08 2022-08-10 Dongguan Lisi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Power cord detachable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IT202100004271A1 (it) * 2021-02-24 2022-08-24 Ligo Patents Sa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elettrico di elettrodomestici o apparecchi elettrici per la cura dei capel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43Y1 (ko) 2003-06-24 2003-10-23 이승수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43Y1 (ko) 2003-06-24 2003-10-23 이승수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03U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518Y1 (ko) 전기코드분해방지구조의 헤어아이론
CN104456458B (zh) 一种灯具固定装置
US7438258B2 (en) Reel device for winding an electrical cable thereon
WO2016082300A1 (zh) 一种灯具固定座和灯具连接座以及一种灯具固定装置
US20100197171A1 (en) Connector
TWM477712U (zh) 具切換結構之改良式線纜連接器
US10044129B2 (en) Telescopic power plug with rotated handle
TW200839107A (en) Connecting device
US9531120B2 (en) Circular connectors
TWM491979U (zh) 線纜連接器之切換結構
CN111520688B (zh) 灯具固定装置
KR101753912B1 (ko) 분해조립이 용이한 헤어아이론
CN210510918U (zh) 一种便携式支架
TW201430894A (zh) 旋轉開關
CN210726710U (zh) 电子烟的防童装配结构
US2311877A (en) Tubular lamp fixture
KR20180000786U (ko) 휴대용 커넥터
US2153366A (en) Lamp socket
TWM453256U (zh) 連接器組合
CN202514838U (zh) 卷发棒
CN212814932U (zh) 美发器的旋转驱动结构
KR20140006162U (ko) 볼트너트캡
KR200478310Y1 (ko) 휠 라이트
CN218247458U (zh) 电动牙刷手柄及电动牙刷
CN220253554U (zh) 一种连体对接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