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22Y1 - 담배 꽁초 수집기 - Google Patents

담배 꽁초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22Y1
KR200478222Y1 KR2020140000019U KR20140000019U KR200478222Y1 KR 200478222 Y1 KR200478222 Y1 KR 200478222Y1 KR 2020140000019 U KR2020140000019 U KR 2020140000019U KR 20140000019 U KR20140000019 U KR 20140000019U KR 200478222 Y1 KR200478222 Y1 KR 20047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air
smoking room
cigarette butt
bu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72U (ko
Inventor
허석기
유상연
문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Priority to KR202014000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2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21Ash-trays comprising self-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9Ash-trays with automatically-acting safety devices, e.g. heat-respons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연방에 관한 것으로, 흡연방 안의 담배연기 및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배출하되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로부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담배꽁초 및 담뱃재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수세식 재떨이를 활용한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흡기구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나갈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열교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연방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정화 장치 또는 상기 열교환 장치가 필요시 간헐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흡연방 내에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담배 꽁초 수집기{A device for collecting cigarette butt}
본 고안은 담배 꽁초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담배꽁초 및 담뱃재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담배 꽁초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흡연의 폐해가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도 흡연자로부터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간접흡연으로 인한 폐해도 널리 인식되어 실내나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길거리나 휴게소, 공원 또는 대학 교정 내에서의 흡연도 금지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공공장소 등에는 흡연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을 담배연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나, 단순히 공간의 구분에 불과하여 담배연기가 그대로 흡연공간에서 배출되어 별도로 마련된 흡연공간 주위가 담배연기와 유해가스로 오염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 제10-1268659호는, 환풍구가 구비되는 천장과 배기구가 구비되는 지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과 실내 공간과 연통하는 재순환통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천장의 환풍구와 지붕의 배기구 주변에 필터가 장착되어 각기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와; 천장의 내부에서 각 환풍구와 연통하도록 장착되고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환풍구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는 배풍장치로 구성하여, 천장과 지붕 사이의 공간이 배기통로 역할을 하고, 환풍구를 통해 상기 배기통로를 통과하며 실내의 담배연기를 포함한 공기가 정화된 후 일부는 재순환통로를 통해 다시 한번 정화과정을 거치도록 한 후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하는 흡연 부스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배출되는 공기와 별개로 흡기구를 설치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에 따라 외부 공기가 그대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냉방 또는 난방되는 경우 냉난방된 공기가 그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그대로 되므로 열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여름철 실내에서 냉각된 공기를 그대로 배출해 버리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경우 상당한 전력이 낭비되어 흡연 부스를 그대로 계속 가동하는 경우 많은 전력을 소모하여 냉각된 공기를 그대로 계속 배출하는 결과로 되어 심각한 전력낭비가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흡연자가 흡연 부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아니거나 흡연 부스를 가동하는 시스템이어서 에너지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흡연 구역은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빈번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로운 점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이에 대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 제10-1268659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연방 내부의 담배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되는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를 서로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가 배출될 때 흡입되는 공기가 폐열을 활용하여 냉방되거나 난방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흡연방 내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거나 흡연방 출입자를 감지하는 등, 흡연방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흡연방의 사용자가 없는 때나 야간에는 흡연방의 에어컨, 조명, 공기정화 장치, 열교환 장치 등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게 하여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흡연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연방 내의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여 흡연방의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항상 쾌적한 흡연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나갈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열교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연방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정화 장치 또는 상기 열교환 장치가 필요시 간헐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흡연방 내에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를 구비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은, 연기감지 센서와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은, 흡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밖으로 나갈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열교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연방 내에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를 구비하되,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는, 담배 꽁초 투입구와, 이 투입부 아래에 배치되고 물을 담아서 담뱃불을 끄도록 된 담뱃불 소화부, 이 담뱃불 소화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담배 꽁초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는 경우 담뱃불 소화부를 비우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담뱃불 소화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담배 꽁초 수거망과 물을 구비하는 하부 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에 있어서,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방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 예컨대 연기감지 센서(24)나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동하여 흡연방의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흡연방 내의 에어컨, 조명, 공기정화 장치, 열교환 장치 등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흡연방에 의하면, 흡연방 내부의 담배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되는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를 서로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가 배출될 때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미리 냉방되거나 난방되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흡연방 내의 연기 농도를 감지하거나 흡연방 출입자를 감지하는 등, 흡연방의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흡연방의 사용자가 없는 때나 야간에는 흡연방 내의 에어컨, 조명, 공기정화 장치, 열교환 장치 등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게 하여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안에 따른 흡연방에 의하면, 흡연방 내의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여 흡연방의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잔류연기 및 냄새를 즉시 제거하여 항상 쾌적한 흡연방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수세식 담배 꽁초 수집기를 적용하여 화재의 예방과 주변의 더럽혀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흡연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흡연방에 설치되는 담배 꽁초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흡연방에 설치되는 담배 꽁초 수집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개념도로서, 흡연방(10)에 바깥의 공기를 들여보내는 흡기구(12)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4)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구(12)나 배기구(14)에는 급기팬(16)이 구비된다. 물론 이 급기팬(16)은 다른 대응 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흡연방(10)의 내부는 일반적으로 냉난방 장치(18)에 의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흡기구(12)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밖으로 나갈 공기가 서로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열교환 장치(20)를 구비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냉방이 이루어지는 여름철에는 바깥의 더운 공기가 상기 흡기구(12)를 통해 들어오고 냉방된 실내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배기구(14)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상당한 열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그런데, 열손실을 염려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다시 실내로 되돌리는 것은 실내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의 농도를 높이게 되어 실내 공기의 오염이 심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 장치(20)에 의하여 실내외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열낭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공기정화 장치(22)로 공기를 정화시킨 후에 배출시킨다. 공기정화 장치(22)는 공지의 탄소필터, 집진설비나 광촉매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에는 연기가 실내에 함유된 정도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24)가 구비될 수 있다. 흡연방(10)은 연속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흡연방(10) 내의 설비를 연속적으로 가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흡연자가 흡연방(10)을 이용할 때만, 냉난방 장치(18)나 열교환 장치(20) 또는 공기정화 장치(22)를 간헐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방(10) 내에 하나 이상의 연기감지 센서(24)를 구비하여 공기 중의 연기농도를 감지함으로써 흡연자가 흡연방(10)을 사용하는 것을 감지하여 흡연방의 에어컨, 조명, 공기정화 장치, 열교환 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자가 흡연을 시작하면 연기를 감지하여 흡연방 내의 상기 설비들을 작동시킨 다음 공기 중의 연기 농도가 희박해지면 상기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출입문에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설비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연방 출입자를 감지하여 사람이 들어오면 흡연방의 설비들이 가동을 시작하고 흡연방 내에 아무도 없는 경우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흡연방의 사용상태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흡연방(10)의 사용자가 없는 때나 야간에는 흡연방(10)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어서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흡연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흡연방 내에 담뱃재와 담배 꽁초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를 구비하는데, 일반적인 종래의 담배 꽁초 수집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보인 담배 꽁초 수집기(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30)는, 담배 꽁초 투입구(32)와, 이 담배 꽁초 투입구(32) 아래에 배치되고 물을 담아서 담뱃불을 끄도록 된 담뱃불 소화부(34), 이 담뱃불 소화부(34)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담배 꽁초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는 경우 담뱃불 소화부(34)를 비우도록 하는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의 아래에 배치되고 담배 꽁초 수거망(38)과 물을 구비하는 하부 용기(4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담뱃불 소화부(34)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들은 하우징(4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자가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로 담배 꽁초를 투입하면, 물이 담겨 있는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로 떨어져서 담뱃불이 꺼지게 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거나, 소정량의 담배 꽁초가 쌓이면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를 회전시켜 이를 비울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의 무게가 소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회전시켜 비우거나,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의 하부에 담배 꽁초 카운터(32a)를 구비하여 일정 갯수 이상의 담배 꽁초가 투입되면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를 회전시켜 비우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담뱃불 소화부(34) 아래에 배치된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은 망으로 되어 있거나 부직포와 같은 재료로 포대 형태로 만들어져 담배 꽁초를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리자는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을 비워 담배 꽁초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을 분리하여 버리고 새로운 망을 걸어 두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용기(40)에는 물이 담겨져 있어서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펌프(42)에 의해 소정량의 물을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와 상기 펌프(42)를 제어하는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는 상기 연기감지 센서(24)나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와 같은 흡연방의 사용상태 감지 수단과 연동하도록 하여 흡연방의 사용자가 없는 때나 야간에는 담배 꽁초 수집기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어서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흡연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흡연방에 설치되는 담배 꽁초 수집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30)는, 담배 꽁초 투입구(32)와, 이 담배 꽁초 투입구(32) 아래에 배치되고 물을 담아서 담뱃불을 끄도록 된 U-트랩 형식의 담뱃불 소화부(34), 이 담뱃불 소화부(34)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담배 꽁초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는 경우 담뱃불 소화부(34)를 비우도록 하는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의 아래에 배치되고 담배 꽁초 수거망(38)과 물을 구비하는 하부 용기(4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담뱃불 소화부(34)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들은 하우징(4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자가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로 담배 꽁초를 투입하면, 물이 담겨 있는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로 떨어져서 담뱃불이 꺼지게 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거나, 소정량의 담배 꽁초가 쌓이면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를 빨아당겨 이를 비울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를 빨아당겨 이를 비우거나,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의 하부에 담배 꽁초 카운터(32a)를 구비하여 일정 갯수 이상의 담배 꽁초가 투입되면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를 빨아당겨 비우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담뱃불 소화부(34) 아래에 배치된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은 망으로 되어 있거나 부직포와 같은 재료로 포대 형태로 만들어져 담배 꽁초를 모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리자는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을 비워 담배 꽁초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상기 담배 꽁초 수거망(38)을 분리하여 버리고 새로운 망을 걸어 두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용기(40)에는 물이 담겨져 있어서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펌프(42)에 의해 소정량의 물을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와 상기 펌프(42)를 제어하는 상기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36)는 상기 연기감지 센서(24)나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와 같은 흡연방의 사용상태 감지 수단과 연동하도록 하여 흡연방의 사용자가 없는 때나 야간에는 담배 꽁초 수집기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어서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흡연방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고안의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이러한 형태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 흡연방 12: 흡기구
14 : 배기구 16 : 급기팬
18 : 냉난방 장치 20 : 열교환 장치
22 : 공기정화 장치 24 : 연기감지 센서
30 : 담배 꽁초 수집기 32 : 담배 꽁초 투입구
34 : 담뱃불 소화부 36 : 담배 꽁초 수집기 제어부
38 : 담배 꽁초 수거망 40 : 하부 용기
42 : 펌프 44 : 하우징

Claims (3)

  1. 담배 꽁초 투입구(32)와,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 아래에 배치되고 물을 담아서 담뱃불을 끄도록 된 담뱃불 소화부(34),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담배 꽁초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는 경우 담뱃불 소화부(34)를 비우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담뱃불 소화부(34)의 아래에 배치된 담배 꽁초 수거망(38),
    물을 수용하는 하부 용기(40), 및
    상기 하부 용기에서 상기 담뱃불 소화부(34)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42)를 구비하는 담배 꽁초 수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44)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44)에 의하여 둘러싸이도록 되어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꽁초 투입구(32)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들어오는 담배 꽁초를 카운트할 수 있는 담배 꽁초 카운터(32a)를 구비하고 있는, 담배 꽁초 수집기.
KR2020140000019U 2014-01-02 2014-01-02 담배 꽁초 수집기 KR200478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19U KR200478222Y1 (ko) 2014-01-02 2014-01-02 담배 꽁초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19U KR200478222Y1 (ko) 2014-01-02 2014-01-02 담배 꽁초 수집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330 Division 201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72U KR20150000572U (ko) 2015-02-04
KR200478222Y1 true KR200478222Y1 (ko) 2015-09-11

Family

ID=5248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19U KR200478222Y1 (ko) 2014-01-02 2014-01-02 담배 꽁초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07B1 (ko) * 2015-04-15 2016-02-01 주식회사 세방이앤씨 밀폐형 흡연 부스
KR20180067271A (ko) * 2016-12-12 2018-06-20 하정미 열 교환형 환기시스템을 구비한 흡연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93A (ja) * 2001-08-21 2003-03-05 Midori Anzen Co Ltd 喫煙チャン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93A (ja) * 2001-08-21 2003-03-05 Midori Anzen Co Ltd 喫煙チャンバ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72U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006407U (zh) 一种高效新风机
ES2891363T3 (es) Sistema de ventilación
KR100617082B1 (ko) 초박형 환기장치
CN102844624B (zh) 超级集成安全与空气净化系统
KR101959671B1 (ko) 전열교환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 유니트
KR101320703B1 (ko) 다기능 공기순환기
KR102319017B1 (ko) 전열교환기 결로방지 및 외기냉난방 운전고지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CN102809203A (zh) 一种新风节能系统的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204285637U (zh) 一种单风机多模式pm2.5净化系统
KR102263864B1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101347650B1 (ko)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
CN105444301A (zh) 净化空调
CN109140650A (zh) 一种室内新风换气装置
KR20120040895A (ko) 배기기능을 갖춘 실내공기 순환장치
KR200478222Y1 (ko) 담배 꽁초 수집기
CN209131087U (zh) 一种带混风净化的智能化新风系统
CN205717599U (zh) 一种具有自动加湿功能的空气净化器
CN209026858U (zh) 一种能够净化空气的集成灶
CN203010831U (zh) 可与空调联动的单向流新风系统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CN203628866U (zh) 一种智能多功能新风机
CN204787023U (zh) 一种空气净化通风系统
CN205481460U (zh) 一种往复式新风机
CN205448038U (zh) 一种具有臭氧净化功能的加湿空调
KR101276864B1 (ko)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