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72Y1 -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 Google Patents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172Y1 KR200478172Y1 KR2020140004424U KR20140004424U KR200478172Y1 KR 200478172 Y1 KR200478172 Y1 KR 200478172Y1 KR 2020140004424 U KR2020140004424 U KR 2020140004424U KR 20140004424 U KR20140004424 U KR 20140004424U KR 200478172 Y1 KR200478172 Y1 KR 2004781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ortable display
- base plate
- guide groove
- siz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A portable display pedestal is disclosed. A portable display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A size adjuster that adjusts a size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portable display, the front panel of the portable display being downwardly receiv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leg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splay pedestal.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이 많이 보급되어져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영화를 감상하거나 TV 혹은 DMB를 시청하는 등 해당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의 경우 보는 것이 주가 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come popular, so users are using various devices such as searching for desired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watching movies, watching TV or DMB. Especially, smart phones or tablet PC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portable display products that are mainly used for viewing.
이러한 휴대용 디스플레이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 PC의 화면 크기가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무게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The screen size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becoming larger in order to be suitable for such a portable display, and the weight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이 경우 침대 혹은 방바닥에 누워 휴대용 디스플레이로 영화 감상, TV/DMB 시청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손으로 몸체를 잡고 있어야 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팔이 아프고 천장에 설치된 조명으로 인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여 화면에 집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when laying on a bed or a floor and watching a movie with a portable display or watching a TV / DMB, it is necessary to hold the body by han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the arm is si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ocus on.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13-0007455호(스마트폰용 거치대)에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때 스마트폰을 얼굴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르더라도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해당 장치를 사용할 수는 없으며, 스마트폰 주위가 외부 환경 혹은 조명에 의해 밝아 화면 집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 related ar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07455 (a stand for a smart phone) for supporting a smart phone to be disposed in front of a face when vie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 not use the device in a lying state even though the user is lying down, and the periphery of the smartphone is bright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r illumination, and the screen concentration is difficult.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 background information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invention or derived from the derivation of the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이용한 영상 시청이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display pedestal capable of viewing video images comfortably with a portable display product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without using a hand.
본 고안은 화면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부에 대해서는 상부 조명이 차단되어 어둡게 만들어 줌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고 화면 집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display pedestal that allows the screen to be concentrated without causing glare by making the upper light off and darkening the periphery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around the screen.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ze adjuster that adjusts a size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portable display, the front panel of the portable display being downwardly receiv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leg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에 설치되며, 내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 및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기둥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ize adjus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s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guide plates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so tha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상기 가이드 홈은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간섭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guide groove includes a first plate guide groove and a second plate guide groove, wherein the first plate guide groove and the second plate guide groove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horizontally It is possible to have a height differe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movement.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공간이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is a space on the base plate caus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size thereof can be adjusted by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및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가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어 연통되는 경우 관통 삽입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삽입 보관될 수 있다.Wherein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a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long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and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the plurality The first and second plates may be inserted and stored in a storage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have.
상기 다리의 일 끝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leg may be hinged to a hinge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rotatable 360 degre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다리는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일 수 있다.The leg may be a telescopic type or a folding stick type.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prevent the portable display from escaping.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ig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이용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화면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부에 대해서는 상부 조명이 차단되어 어둡게 만들어 줌으로써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고 화면 집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ew the image using the portable display product comfortably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without using his or her hand. In the peripheral part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cree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centrate the screen without generating gla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정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splay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4,
6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display pedest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an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multipl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gain in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6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 베이스 플레이트(10), 다리(30), 힌지부(32), 크기 조절부(20), 수용부(25), 휴대용 디스플레이(100), 기둥(50),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 가이드 홈(52, 54), 가이드 돌기(64, 74), 고정핀(80), 보관홈(82), 위치조정용 홀(62, 72)이 도시되어 있다. 1 to 6 show a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크기에 따라 수용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화면 주위의 빛샘을 막아주어 화면 집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가 있어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손과 같은 신체 부위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는 TV/DMB 시청, 영화 감상, 웹 서핑 등이 가능한 화면을 구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크기 조절부(20), 다리(3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 형상으로, 그 상면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거치된다. 이 때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는 화면이 있는 전면패널이 하방을 향하도록 거치되어, 사용자는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통해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The
도면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정사각형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크기 조절부(20)가 설치된다. 크기 조절부(20)는 간단한 조작 방식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수용되는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크기 조절부(20)는 기둥(50),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 The
기둥(5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각 코너에 설치되며,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The
기둥(50)의 측면 중에서 타 기둥과 마주보는 측면(내측면)에는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52, 54)이 형성되어 있다. Guide grooves 52 and 54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52, 54) 내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돌기(64, 74)가 길게 돌설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6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높이(H1)는 기둥(50)의 제1 너비(W1)와 동일하고, 제1 플레이트(60)의 길이(L1)는 기둥(50) 사이의 제1 간격(G1)과 동일할 수 있다. The height H1 of the
또한, 제2 플레이트(7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높이(h2)는 기둥(50)의 제2 너비(w2)와 동일하고, 제2 플레이트(70)의 길이(L2)는 기둥(50) 사이의 제2 간격(G2)과 동일할 수 있다. The height h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제품 호환성을 위해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H1=H2, L1=L2)될 수도 있으며, 기둥(50)의 단면은 정사각형(W1=W2)일 수 있다. The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64, 74)는 가이드 홈(52, 54) 내에 삽입된 이후 가이드 홈(52, 54)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용부(25)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The guide protrusions 64 and 74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여기서, 수용부(25)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의 공간으로, 그 내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iving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은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 사이는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플레이트(7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기둥(5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동일한 높이에 가이드 홈(52 혹은 54)이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60 혹은 7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A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위치조정용 홀(62, 72)이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제1 위치조정용 홀(62)과 제2 위치조정용 홀(7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을 경우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핀(80)이 서로 중첩된 제1 위치조정용 홀(62)과 제2 위치조정용 홀(72)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고정핀(80)은 제1 플레이트(60) 및 제2 플레이트(70)의 두께 합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5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보관홈(82) 내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xing
평상시에는 보관홈(82) 내에 고정핀(80)이 끼워진 상태로 보관되며,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한 이후에는 보관홈(82) 내에 보관되어 있는 고정핀(80)을 빼내어 서로 교차하는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에 대해 중첩되는 위치조정용 홀(62, 72) 내에 끼움으로써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즉,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가 수용부(25) 내에 수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고정시킬 정도로 수평 이동한 이후에는 고정핀(80)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제1 플레이트(6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100)가 고정된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고정핀(80)을 빼내어 보관홈(82)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그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추후 사용 시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use is completed, the fixing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 즉 제1 플레이트(60), 제2 플레이트(70), 기둥(50)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빛이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부 조명이 하부로 비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복수의 다리(30)가 설치되어 있다. Here, a plurality of
다리(3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타입으로,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일 수 있다. The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32)가 설치되어 있고, 힌지부(32)에는 다리(30)의 일 끝단이 18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A
따라서, 다리(30)는 힌지부(32)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수평면(XY 평면)에 대해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수직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힌지축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자유로이 그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안정적인 수평 유지를 위해 다리(30)의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1)는 수용부(25)에 수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수평 이동에 의해 크기 조절된 수용부(25) 내에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고정시킨 이후 그 상부를 덮어 줌으로써 수용부(25)와 휴대용 디스플레이(100)의 형상 차이에 따른 잔여 공간을 통해 발생하는 미세한 빛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제1 플레이트(60) 혹은 제2 플레이트(70)의 상면에는 커버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커버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커버부의 양측 하부가 커버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의 양측 하부와 커버 고정부의 결합 방식은 벨크로 방식으로, 둘 중 하나에는 갈고리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달려 있고, 다른 하나에는 올가미 형태가 달려 있어 접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A cover fixing portion (not shown) for fixing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면에서는 기둥(50)의 일 내측면에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2)이 형성되고 타 내측면에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Although the first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둥(5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 모두에 2단으로 가이드 홈(52, 5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guide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1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심에 거치시키기 위해 한 쌍의 제1 플레이트(60) 및 한 쌍의 제2 플레이트(70)를 구비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평 이동 가능한 제1 플레이트(60)와 제2 플레이트(70)를 하나씩만 구비하고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고정형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제1 플레이트(60)와 1개의 제2 플레이트(70)만을 조정하여 수용부(2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on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10: 베이스 플레이트
30: 다리 32: 힌지부
20: 크기 조절부 25: 수용부
100: 휴대용 디스플레이 50: 기둥
60: 제1 플레이트 62: 제1 위치조정용 홀
64: 제1 가이드 돌기 70: 제2 플레이트
72: 제2 위치조정용 홀 74: 제2 가이드 돌기
52, 54: 가이드 홈 80: 고정핀
82: 보관홈1: Portable display base 10: Base plate
30: leg 32: hinge branch
20: size adjusting portion 25: accommodating portion
100: Portable Display 50: Column
60: first plate 62: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
64: first guide projection 70: second plate
72: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 74: second guide projection
52, 54: Guide groove 80: Fixing pin
82: Storage home
Claims (8)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전면패널이 아래를 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이격시키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에 설치되며, 내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 및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기둥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A base plate;
A size adjuster that adjusts a size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portable display, the front panel of the portable display being downwardly receiv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nd a plurality of leg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size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s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nd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slidably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s, wherein guide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상기 가이드 홈은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플레이트용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시 간섭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가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groove includes a guide groove for a first plate and a guide groove for a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plate guide groove and the second plate guide groove have height differences such that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공간이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절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s a space on the base plate caus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is adjusted by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및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2 위치조정용 홀 중 하나가 동일한 수평 위치에 있어 연통되는 경우 관통 삽입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보관홈 내에 삽입 보관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a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long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A fixing pin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by inser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s in the same horizontal position, Wherein the portable display pedestal is inserted and stored in a storage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상기 다리의 일 끝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one end of the leg is hinged to a hinge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rotatable 360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다리는 텔레스코픽 타입 혹은 폴딩 스틱 타입인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g is a telescopic or folding stick type portable display pedestal.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portion that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vents the portable display from escap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en) | 2014-06-12 | 2014-06-12 |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en) | 2014-06-12 | 2014-06-12 |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8172Y1 true KR200478172Y1 (en) | 2015-09-04 |
Family
ID=5434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4424U KR200478172Y1 (en) | 2014-06-12 | 2014-06-12 |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172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6071A (en) | 2015-01-09 | 2016-07-19 | 주식회사 이몰드 | Food dehydrator |
KR101834897B1 (en) | 2017-09-29 | 2018-03-06 |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 Image Drawing System |
KR20190001368A (en) * | 2017-06-27 | 2019-01-04 | 임광철 | Module type monitor stand |
KR102202887B1 (en) * | 2020-08-19 | 2021-01-18 | 나이스레이저(주) | A stand where Laptop and Monitors are seated. |
-
2014
- 2014-06-12 KR KR2020140004424U patent/KR200478172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6071A (en) | 2015-01-09 | 2016-07-19 | 주식회사 이몰드 | Food dehydrator |
KR20190001368A (en) * | 2017-06-27 | 2019-01-04 | 임광철 | Module type monitor stand |
KR101964057B1 (en) | 2017-06-27 | 2019-04-01 | 임광철 | Module type monitor stand |
KR101834897B1 (en) | 2017-09-29 | 2018-03-06 |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 Image Drawing System |
KR102202887B1 (en) * | 2020-08-19 | 2021-01-18 | 나이스레이저(주) | A stand where Laptop and Monitors are seat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02575B2 (en) |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pport apparatus | |
KR200478172Y1 (en) | Support for portable display | |
US20150060615A1 (en) | Holder Assembly | |
KR102091540B1 (en) | Display Devic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9027747B2 (en) |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 |
US9282670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stand thereof | |
TWM526800U (en) | Elevatable supporting device | |
TW201503811A (en) | Electronic device | |
KR101138065B1 (en) | Portable beam projector | |
US10098252B2 (en) |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 |
CA2837945C (en) |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97420A (en) | Folding stand for notebook and portable device | |
KR101475490B1 (en) |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
US9389497B2 (en) | Micro-projection-display devices and adjustable display screens | |
US20120104194A1 (en) |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 |
KR20130027147A (en) | The fixing device of tablet pc | |
KR200485749Y1 (en) | easel of adjustable angle | |
BR102013033029A2 (en) | DISPLAY DEVICE | |
KR101591869B1 (en) | Adjustable card-type smart phone holder | |
KR20140058852A (en) | A reading stand | |
KR200493615Y1 (en) | a projector and screen stand | |
KR101757212B1 (en) | Table having display device | |
KR200475511Y1 (en) | Portable projector for child | |
KR101106723B1 (en) | One body type screen and projector frame moving apparatus | |
KR20160025784A (en) |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