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19Y1 - Rainwater Combine Watertank - Google Patents

Rainwater Combine Water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19Y1
KR200478119Y1 KR2020150001080U KR20150001080U KR200478119Y1 KR 200478119 Y1 KR200478119 Y1 KR 200478119Y1 KR 2020150001080 U KR2020150001080 U KR 2020150001080U KR 20150001080 U KR20150001080 U KR 20150001080U KR 200478119 Y1 KR200478119 Y1 KR 200478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rainwater
supply hol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갑자
하홍섭
Original Assignee
이갑자
하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자, 하홍섭 filed Critical 이갑자
Priority to KR202015000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 겸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부(1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에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물배출부(3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 청소 및 정비 작업시 작업자가 투입되는 개폐부(16)과; 상기 개폐부(16)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16)을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물탱크커버(2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면(12)과;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에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22)와;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저장부(22)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물탱크부(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빗물공급홀(14);를 포함하는 빗물 겸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는, 물탱크부의 저장수가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원수의 공급을 최소화 할 수 하고, 빗물의 사용량을 최대화하여 불필요한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탱크의 사용목적에 따라 원수공급관 및 차단수단의 설치위치를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물탱크의 설치목적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원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combined with rain water, comprising: a water tank part 10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inside or outside of the water tank for storing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A water discharge part 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to supply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An opening / closing part 16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water tank part 10 so as to be vertically passed therethrough and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part 10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of the water tank part 10; A water tank cover 2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to block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part 1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A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nclin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and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side; A rainwater storage part (2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part (10)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storing rainwater inside; And a rainwater supply hole (14)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and guid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water tank.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portion is used as agriculture water, the supply of the raw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use amount of the rainwater can be maximiz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unnecessary raw water used .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blocking means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of the water tank, the supply amount of the raw water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urpose of the user's water tank.

Description

빗물 겸용 물탱크{Rainwater Combine Watertank}Rainwater Combine Watertank}

본 고안은 빗물 겸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부의 상측에 빗물저장부와 빗물공급홀이 설치되어 물탱크부의 상측으로 낙하는 빗물이 물탱크부의 내부로 저장되어 원수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빗물 겸용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water storage tank, and more particularly, a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rainwater supply hole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a water tank, and rainwater falling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is stored inside the water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ank for rain water which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식음용수, 농업용수 또는 산업용수 등의 취수를 위한 취수정(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수중펌프를 설치한 곳)이나 관정(지방관서에서 관리하는 우물) 또는 가압장(상수원으로부터 취수되어 정수장 등을 거쳐 정수된 원수를 공급하는 곳)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송수관을 통하여 소정 거리에 설치된 물탱크와 같은 저장수단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급수관을 통하여 취수하였다.Generally, water intake for drinking water, agricultural water, industrial water, etc. (where water pumps are installed to take ground water) or gauges (wells managed by local authorities) or pumping stations (water taken from water sources, The raw water supplied from purified water source) is stored in a storage means such as a water tank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a water pipe, and is taken in through a water pipe when necessary.

이러한 물탱크의 내부에 수위를 감지하는 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39293에 개시되어 있다.A device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39293.

상기와 같은 물탱크는 저수된 원수의 수압변화를 송수관의 일측에 장착된 수압감지수단이 물탱크에 저수된 원수의 보다 실질적인 저수위점, 즉, 펌핑수단이 재구동되어 원수를 취수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물탱크로부터 원수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설정된 저수위점에서 원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펌핑수단을 가동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e water tank described above, the water pressure change of the raw water stored is detected by the water pressure sensing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water pipe to detect a more substantial low water level point of the raw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at is, So that the controller can operate the pumping means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filled at the set low water level while the raw water is being used from the water tank.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물탱크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만을 사용하므로, 다량의 원수가 소모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빗물을 재활용할 수 없어 원수의 소비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only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used in the water tank, a large amount of raw water is consumed and the rainwater supplied from outside can not be recycled, so that consumption of the raw water is large.

또한, 물탱크의 청소시 외부와 연통되는 청소홀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청소후 잔존하는 폐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물탱크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구홀을 통해 폐수를 배출해야하므로 물탱크 청소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stewater after cleaning, the wastewater should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hol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working time at the time of cleaning the water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43929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39293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의 상단부에 빗물저장부와 빗물공급홀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물탱크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물탱크부의 내부에 저장되어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빗물 겸용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unit and a rainwater supply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a water tank so that rainwater falling from the outside to the water tank is stored inside the water tank,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rainwa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에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물배출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상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 청소 및 정비 작업시 작업자가 투입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통해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물탱크커버와, 상기 물탱크부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면과,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 테두리에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와, 상기 빗물저장면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물탱크부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빗물공급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ain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portion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room to store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A water discharging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to supply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part and a water discharging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and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center of the water tank part, A water tank cover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which blocks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par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water tank cover which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A rainwater storage surface on which rainwater is stored; a water tank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by being protrud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rainwater storage portion, is formed penetrating up and dow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side, includes a rain water stored in the rain, rain water supply storing portion holreul leading to an inside of the water tank unit.

상기 빗물저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빗물저장부의 청소 작업시 상기 빗물저장부의 하단부에 저장되는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폐수배수홀이 더 구비된다.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stewater drain hole for guiding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lower end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상기 물탱크부의 측면에는, 상기 물배출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량의 원수가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농업용급수홀과,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까지 원수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식수용급수홀과, 상기 농업용급수홀 또는 식수용급수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농업용급수홀 또는 식수용급수홀과 인접한 위치에 원수 또는 빗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부력에 의해 상기 농업용급수홀 또는 식수용급수홀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griculture water supply hol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portion for guiding a small amount of ra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and an agriculture water supply hole provided above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A drinking water supply hole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and a water supply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and storing raw water or rainwat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And a blocking means for blocking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by buoyancy.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에 의하면, 물탱크부(10)의 상측에 빗물저장부가 설치되어, 물탱크부의 외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빗물공급홀(14)을 통해 물탱크부의 내부에 빗물이 저장된다.According to the invented rain water tank,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so that the rainwater falling down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can be stored, Rainwater is stored inside the booth.

따라서, 물탱크부의 저장수가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원수의 공급을 최소화 할 수 하고, 빗물의 사용량을 최대화하여 불필요한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used as the agricultural water, the supply of the raw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amount of rainwater can be maximiz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unnecessary raw water.

또한, 사용자가 물탱크의 사용목적에 따라 원수공급관 및 차단수단의 설치위치를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물탱크의 설치목적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원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blocking means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of the water tank, the supply amount of the raw water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urpose of the user's water tank.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ater tank for combined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ainwater-combined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ater tank for combined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ain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tank combined with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bined rainwater ta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bined rain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bined rain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부(1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에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물배출부(3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 청소 및 정비 작업시 작업자가 투입되는 개폐부(16)와, 상기 개폐부(16)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16)를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물탱크커버(2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면(12)과,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에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22)와,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저장부(22)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물탱크부(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빗물공급홀(14)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water tank combined with the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portion 10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being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for storing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A water discharging portion 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tank portion 10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to supply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6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tank part 10, A water tank cover 20 for blocking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unit 10 and a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unit 10, , And a water tank portion (10) A rainwater storage part 22 in which rainwater is stored and stored inside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and a rainwater storage part 22 which is formed vertically in a central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and which stores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A rainwater supply hole 14 for guiding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like.

상기 물탱크부(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 및 빗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물탱크부(10) 설치목적에 따라 식수용, 농업용, 공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tank portion 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aw water and rain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tored in the water tank unit 10 and can be used for drinking water, agricultural use, and industrial wate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water tank unit 10 of the user.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에는 빗물저장면(12)이 형성된다. 상기 빗물저장면(12)은 소정 각도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면에 빗물이 저장된다. 상기 빗물저장면(12)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상부면에 저장되는 빗물이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저장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a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s formed.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ainwater is stored on the upper surface.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so that the rainwater sto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s stor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상부면에는 필터부재(13)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3)는 부직포 또는 다공성 섬유재질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3)는 후술할 빗물공급홀(14)을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투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빗물공급홀(14)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A filter member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The filter member 13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a porous fiber material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The filter member 13 not only removes impurities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unit 10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removes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tank unit 1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unit 10.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빗물공급홀(14)이 형성된다. 상기 빗물공급홀(14)은 상기 물탱크부(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빗물공급홀(14)은 후술할 빗물저장부(22)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빗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빗물이 투입되도록 안내한다.A plurality of rainwater supply holes (14)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guides rainwater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rainwater is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빗물공급홀(14)의 내부에는 빗물마개(15)가 설치된다. 상기 빗물마개(15)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빗물마개(15)는 상기 빗물공급홀(1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A rainwater stopper (15)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he rainwater stopper 15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rainwater stopper 15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o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into the water tank 10.

상기 물탱크부(10)의 중앙 상측에는 개폐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6)는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중앙에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유입홀(18)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6)를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수리 및 청소시에 외부의 작업자가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An opening / closing part 1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n inlet hole 18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up and down. An external worker can be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part 10 during repair and cleaning of the water tank part 1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

상기 개폐부(16)의 상단에는 물탱크커버(20)가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커버(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부가 하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커버(20)의 상기 개폐부(16)의 상단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18)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A water tank cover (20)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16). The water tank cover 20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im of the water tank cover 20 is protrud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ter tank cover 20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and blocks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water tank part 10 through the inlet hole 18.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빗물저장부(22)가 설치된다. 상기 빗물저장부(2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부에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빗물저장부(22)는 빗물의 저장량을 늘리기 위해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저장부(22)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A rainwater storage part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may b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lower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torage amount of the rainwater.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is a part where rainwater falling down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is stored.

상기 빗물저장부(22)의 하부에는 폐수배수홀(24)이 형성된다. 상기 폐수배수홀(24)은 상기 빗물저장부(22)의 하부를 따라 다수개가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폐수배수홀(24)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단부 또는 빗물저장부(22)의 청소시 발생되는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A wastewater drainage hole (24)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he wastewater drainage holes 24 are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along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wastewater drainage hole 24 guides wastewater generated when cleaning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unit 10 or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to the outside.

상기 폐수배수홀(24)의 내부에는 개폐마개(26)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마개(26)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마개(26)는 상기 폐수배수홀(2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폐수배수홀(24)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An opening / closing cap (26) is installed inside the wastewater drainage hole (24). The opening / closing cap 2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opening / closing cap 26 is inserted into the waste water drainage hole 24 to block the waste water drainage hole 24.

즉,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단부 또는 빗물저장부(22)의 청소시에는 상기 개폐마개(26)를 제거하여 상기 폐수배수홀(24)을 개방하고, 상기 빗물저장부(22)에 빗물의 저장시에는 상기 개폐마개(26)를 상기 폐수배수홀(24)에 삽입하여 상기 폐수배수홀(24)을 폐쇄한다.That is, when cleaning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unit 10 or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the opening / closing cap 26 is removed to open the waste water drain hole 24, When the rainwater is stored, the opening / closing cap (26) is inserted into the wastewater drainage hole (24) to close the wastewater drainage hole (24).

상기 물탱크부(10)의 측면에는 폐수배수관(28)이 설치된다. 상기 폐수배수관(28)은 일반적은 파이프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폐수배수관(28)은 상기 폐수배수홀(24)과 연결되어 상기 폐수배수홀(24)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폐수를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wastewater drainage pipe (28)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28 is a general pipe pi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28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discharge hole 24 and serves to guide the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hrough the wastewater discharge hole 24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부에는 물배출부(30)가 설치된다. 상기 물배출부(30)는 일반적인 급수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물배출부(30)는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 water discharge portion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The water discharge portion 30 is a general water supply pi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water discharging part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supplies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part 10 to the outside.

상기 물배출부(30)의 상측에는 농업용급수홀(32)이 형성된다.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은 상기 물배출부(30)의 인접한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측면에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은 후술할 원수공급관(60)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원수를 공급하는 부분이다.An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formed above the water discharge part (30).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discharge part (30), and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connected to a raw water supply pipe 60 to supply raw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측면에는 차단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을 차단하는 차단판(42)과, 상기 차단판(4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2)의 회동 운동시 상기 차단판(42)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축(44)과, 상기 회동축(44)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 또는 빗물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차단판(42)을 회동시키는 볼탑부(46) 등으로 이루어진다.A blocking means (4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shutoff means 40 includes a shutoff plate 42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0 and rotatably installed to shut of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A rotating shaft 44 provided below the rotating shaft 44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plate 42 when the blocking plate 42 is rotated and a rotating shaft 44 provided outside the rotating shaft 44, And a ball tower 46 which is moved upward by raw water or rainwater stored inside the ballast tank 10 and rotates the blocking plate 42.

상기 차단판(42)은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 및 빗물이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위치까지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을 차단한다.The blocking plate 42 has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raw water and the rainwater which are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unit 10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unit 10 reach the position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And blocks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when stored.

상기 차단판(42)의 하부에는 회동축(44)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축(44)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44)의 외주면에 상기 차단판(42)이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판(42)이 회전된다.A rotating shaft (44) is provided below the blocking plate (42). The pivot shaft 44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locking plate 42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44 and the blocking plate 42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4.

상기 회동축(44)의 중앙에는 볼탑부(46)가 설치된다. 상기 볼탑부(46)는 상기 회동축(44)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44)을 회전시키는 지지부(48)와, 상기 지지부(48)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부(10)에 저장되는 원수 및 빗물에 의해 띄워지는 부력부(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탑부(46)는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 또는 빗물에 의해 띄워지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원수 또는 빗물이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인접한 위치까지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을 차단한다.A ball tower 4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ivot shaft 44. The ball tower 46 is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44 and rotatably supports the pivot shaft 44. The ball tower 46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 48 to rotate the water tank 10, And a buoyancy portion 50 floated by rainwater and the like. The ball tower part 46 is floated by raw water or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part 10 and raw water or rain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part 10 flows into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blocked.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내부에는 식수용급수홀(52)이 설치된다.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부 측면에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은 후술할 원수공급관(60)과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원수를 공급하는 부분이다.A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is connected to a raw water supply pipe 60 to supply raw water into the water tank 10.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측면에는 상기 차단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농업용급수홀(32)에 설치되는 차단수단(40)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ielding means (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The shutoff means 4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hutoff means 40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농업용급수홀(32)과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내부에는 차단마개(53)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마개(53)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마개(53)는 상기 농업용급수홀(32) 또는 상기 식수용급수홀(52)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외측의 원수 또는 빗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A shutoff stopper (53) is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and the water supply water supply hole (52). The blocking cap 53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shutoff stopper 53 is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to block the discharge of raw water or rainwater outside the water tank 10.

즉, 사용자가 농업용수로 상기 물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원수의 공급을 적게 하기 위해 상기 농업용급수홀(32)에 원수공급관(60)을 설치하여 원수를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공급한다.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water tank as agriculture water, a raw water supply pipe (60) is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n order to reduce the supply of raw water into the water tank unit (10)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또한, 사용자는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측면에 상기 차단수단(40)을 설치하여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인접한 위치까지 원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을 차단하고, 상기 물탱크부(10)에 원수가 저장되지 않은 공간에는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when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user disconnects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by installing the blocking means (40) on the sid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 And rainwater is stored in a space where the raw water is not stored in the water tank unit (10).

그리고, 사용자가 식수용수로 상기 물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원수(지하수 또는 상수도)만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식수용급수홀(52)에 원수공급관(60)을 설치하여 원수를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까지 공급한다.When the user uses the water tank as drinking water, a raw water supply pipe (60) is installed in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to supply raw water (ground water or tap water) on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또한, 사용자는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측면에 상기 차단수단(40)을 설치하여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인접한 위치까지 원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을 차단하고, 상기 물탱크부(10)에 원수만 저장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water-containing water-supply hole 52, the water-containing water-supply hole 52 may be provided with the shielding means 40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And only the raw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portion 10. [

이러한, 식수용수의 사용시에는 상기 빗물공급홀(14)에 빗물마개(15)를 삽입하여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빗물이 투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한다.When the water for drinking water is used, a rainwater stopper (15) is inserted into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o completely block the introduction of rainwater into the water tank part (10).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부에는 청소홀(54)이 형성된다. 상기 청소홀(54)은 상기 측면 하단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청소홀(54)은 상기 물탱크부의 측면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 청소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A cleaning hole 5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A plurality of cleaning holes 54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The cleaning hole 54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portion to guide the waste water to the outside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상기 청소홀(54)의 내부에는 원수마개(56)가 설치된다. 상기 원수마개(56)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수마개(56)는 상기 청소홀(54)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홀(54)을 통해 원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A raw water stopper (56) is installed inside the cleaning hole (54). The raw water stopper (56)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raw water stopper (56) is installed inside the cleaning hole (54) to prevent the raw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leaning hole (54).

상기 농업용급수홀(32) 또는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내부에는 원수공급관(60)이 설치된다. 상기 원수공급관(60)은 일반적인 공급파이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수공급관(60)은 지하수 또는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물탱크부(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 raw water supply pipe (60) is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is a general supply pi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serves to supply raw water supplied through ground water or a water supply to the water tank (10).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측에는 원수공급관(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수공급관(60)은 "ㄱ"자 형상의 중공된 파이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수공급관(6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빗물저장부(22)의 내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 raw water supply pipe (60) may be installed above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is a hollow pipe having a "?" Sha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serves to supply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상기 원수공급관(60)의 하부에는 차단수단(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농업용급수홀(32) 또는 식수용급수홀(52)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단수단(4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blocking means 40 may be installed below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The blocking means 4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blocking means 4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or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측까지 원수 또는 빗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상기 원수공급관(60)을 차단하여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blocking means 40 blocks the supply of raw water by shutting off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when raw water or rainwater is stor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즉,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부(10)를 최대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공급관(60)을 상기 빗물저장부(22)에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측까지 원수 또는 빗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탱크부(10)를 최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water tank unit 10 at the maximum capacity,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Or the rainwater can be stored so that the water tank portion 10 can be used at the maximum capacity.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빗물 겸용 물탱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tank combined with the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물탱크부(10)를 농업용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농업용급수홀(32)의 내부에 원수공급관(60)을 설치하여 소량의 원수만을 공급하여 차단수단(40)에 의해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이 차단된다.First, when a user uses the water tank portion 10 for agricultural use, a raw water supply pipe 60 is provided i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o supply only a small amount of raw water,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cut off.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에 형성된 빗물공급홀(14)을 통해 빗물저장부(22)의 빗물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저장된다. 상기 빗물저장부(22)의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은 상기 빗물공급홀(14)을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원수가 저장되지 않은 공간에 저장된다.The rainwater in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is stored in the water tank part 10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part 10. [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is stored in the space where the raw water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is not stored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

따라서,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원수의 공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빗물의 저장량을 최대화하여 원수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ly of the raw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can be minimized, and the amount of raw water can be reduced by maximizing the amount of stored rainwater.

또한,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부(10)를 식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차단마개(53)를 설치하고,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내부에 원수공급관(60)을 설치한다.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을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식수를 공급하여 저장하고, 상기 식수용급수홀(52)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차단수단(40)에 의해 일정 이상의 식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식수의 공급을 차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uses the water tank portion 10 for drinking and drinking, a shutoff stopper 53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is provided, and a raw water supply pipe 60 are installed. The drin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and is stored by the shielding means 4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And the supply of drinking water is cut off when drinking water is supplied.

상기 물탱크부(10)에 식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빗물공급홀(14)에 빗물마개(15)를 설치하여 외부의 빗물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When drin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portion 10, a rainwater stopper 15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to prevent rain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또한,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부(10)를 최대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부에 상기 원수공급관(60)을 설치하고, 상기 원수공급관(60)의 하부에 차단수단(40)을 설치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uses the water tank unit 10 at the maximum capacity,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40).

사용자는 상기 원수공급관(60)을 통해 원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빗물공급홀(14)을 개방하여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측까지 원수 또는 빗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탱크부(10)를 최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supply the raw water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and store raw water or rainwater up to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unit 22 by opening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It can be used at maximum capacity.

상기 물탱크부(10)의 빗물저장부(22)를 청소할 때에는 상기 빗물저장부(22)의 폐수배수홀(24)을 개방하여 청소시 발생되는 폐수를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있다.When cleaning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the waste water drain hole 24 of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is opened to easily discharge the wastewater generated during cleaning.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를 청소할 때에는 청소홀(54)의 원수마개(56)를 제거하고, 상기 청소홀(54)을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청소시 발생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한다.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unit 10, the raw water stopper 56 of the cleaning hole 54 is removed, and the wastewater generated when cleaning the water tank unit 10 through the cleaning hole 5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10. 물탱크부 12. 빗물저장면
14. 빗물공급홀 20. 물탱크커버
22. 빗물저장부 24. 폐수배수홀
26. 개폐마개 30. 물배출부
32. 농업용급수홀 40. 차단수단
52. 식수용급수홀 60. 원수공급관
10. Water tank part 12. Rainwater storage area
14. Rainwater supply hole 20. Water tank cover
22. Rainwater storage part 24. Wastewater drainage hole
26. Opening and closing plug 30. Water discharging part
32.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40. Blocking means
52. drinking water supply hole 60. raw water supply pipe

Claims (3)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부(1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부에 식수 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물배출부(3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 청소 및 정비 작업시 작업자가 투입되는 개폐부(16)와;
상기 개폐부(16)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16)를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물탱크커버(20)와;
상기 물탱크부(10)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면(12)과;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 테두리에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22)와;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중앙부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저장부(22)에 저장되는 빗물을 상기 물탱크부(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빗물공급홀(14)과;
상기 빗물저장면(12)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부직포 또는 다공성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빗물공급홀(14)를 통해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부재(13)과;
상기 물배출부(30)의 상측에 관통 형성되며, 소량의 원수가 상기 물탱크부(10)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농업용급수홀(32)과;
상기 농업용급수홀(32)의 상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10)의 상측까지 원수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식수용급수홀(52)과;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빗물저장부(22) 상측까지 원수 원수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원수공급관(60)과;
상기 농업용급수홀(32), 식수용급수홀(52), 원수공급관(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농업용급수홀(32), 식수용급수홀(52), 원수공급관(60)과 인접한 위치에 원수 또는 빗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부력에 의해 상기 농업용급수홀(32), 식수용급수홀(52), 원수공급관(60)을 차단하는 차단수단(40);을 포함하는 빗물 겸용 물탱크.
A water tank part 10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side and being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to store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A water discharge part 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to supply drink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An opening / closing part 16 which is vertically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into which a worker is input during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of the water tank part 10;
A water tank cover 2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to block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part 1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6;
A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inclin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and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side;
A rainwater storage part (2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part (10)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storing rainwater inside;
A rainwater supply hole (not shown) for guid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14);
A filter member which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storage surface 12 and which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a porous fiber material and blocks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portion 10 through the rainwater supply hole 14 13);
An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discharge part (30) and guiding a small amount of raw water to be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part (10);
A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and guiding raw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part (10);
A raw water supply pipe (60) installed above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and guiding ra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22);
The water supply hole 62 and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water supply water supply hole 52 and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And a shielding means (40) for shielding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hole (32), the drinking water supply hole (52), and the raw water supply pipe (60) by buoyancy when raw water or rainwater is stored in the rain water storage tank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부(22)의 하단에는,
상기 빗물저장부(22)의 청소 작업시 상기 빗물저장부(22)의 하단부에 저장되는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폐수배수홀(2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겸용 물탱크.
The rainwater storage unit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stewater drain hole (24) for guiding the wastewater stored in a lower end por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a cleaning opera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portion (22).
삭제delete
KR2020150001080U 2015-02-16 2015-02-16 Rainwater Combine Watertank KR2004781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80U KR200478119Y1 (en) 2015-02-16 2015-02-16 Rainwater Combine Water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80U KR200478119Y1 (en) 2015-02-16 2015-02-16 Rainwater Combine Water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19Y1 true KR200478119Y1 (en) 2015-09-14

Family

ID=5434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80U KR200478119Y1 (en) 2015-02-16 2015-02-16 Rainwater Combine Water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19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57B1 (en) * 2017-02-21 2017-09-15 성일기계공업 (주) Water tank with improved storage and anti-vibration performance
KR20180083051A (en) * 2017-01-12 2018-07-20 심상구 Natural Flow-Type Raining Water Collecting System
CN111255021A (en) * 2020-03-13 2020-06-09 熊龙 Outdoor fire control storage water tank
KR102226880B1 (en) 2020-07-15 2021-03-11 (주)태광물탱크 Rainwater storage tank with increased dissolved oxy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799B1 (en)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nd facility for using rainwater with the device
KR101355342B1 (en) *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Equipment for re-use of rainwater catch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42B1 (en) *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Equipment for re-use of rainwater catchment
KR101340799B1 (en)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nd facility for using rainwater with th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051A (en) * 2017-01-12 2018-07-20 심상구 Natural Flow-Type Raining Water Collecting System
KR101927603B1 (en) * 2017-01-12 2018-12-10 심상구 Natural Flow-Type Raining Water Collecting System
KR101778957B1 (en) * 2017-02-21 2017-09-15 성일기계공업 (주) Water tank with improved storage and anti-vibration performance
CN111255021A (en) * 2020-03-13 2020-06-09 熊龙 Outdoor fire control storage water tank
KR102226880B1 (en) 2020-07-15 2021-03-11 (주)태광물탱크 Rainwater storage tank with increased dissolved oxy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119Y1 (en) Rainwater Combine Watertank
US20090065072A1 (en) Rainwater Irrigation Apparatus
KR100830540B1 (en) low flow waste water tank cleansing device for waste water system
US7934517B2 (en) Water level control system
CA2683616A1 (en) Dust-removal managing pit
CN101268235A (en) Waste water outlet
CN104790501B (en) Rainwater comprehensive regulation and storage application system
JP2010090605A (en)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CN205421400U (en) Roof rainwater recovery unit
CN201794152U (en) Draining device for ground sewers
KR101555447B1 (en) Rainwater treatment and utilizing equipment
KR101854767B1 (en) Water storage Tank
KR20120138545A (en) Non-powered flow control apparatus
CN105544708B (en) A kind of shower house floor drain apparatus
CN101142414A (en) Action keeping siphon unit
KR101564205B1 (en) A flow control device having a regulating means on top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KR101596785B1 (en) A backdraft manhole cover of rainwater detention
KR101462560B1 (en) Having a dual structure cistern fountain
KR101412529B1 (en) Ground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CN201308451Y (en) Water-sucking device of cleaning equipment
CN201901900U (en) Household mobile refreshment water storage device
AU2004100410A4 (en) Grey water interception & reuse system
JP2009299308A (en) Back flow preventing structure and drainage facility
US10640941B2 (en) Water conserving, secure, and environmentnt protective device
US8607373B2 (en) Pool fluid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