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75Y1 - Tissue case - Google Patents

Tissu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75Y1
KR200478075Y1 KR2020130007487U KR20130007487U KR200478075Y1 KR 200478075 Y1 KR200478075 Y1 KR 200478075Y1 KR 2020130007487 U KR2020130007487 U KR 2020130007487U KR 20130007487 U KR20130007487 U KR 20130007487U KR 200478075 Y1 KR200478075 Y1 KR 200478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depression
toilet paper
guide film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6228U (en
Inventor
김애현
Original Assignee
김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현 filed Critical 김애현
Publication of KR20140006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2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면에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인출안내막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절취부를 분리 제거하면 최상단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가 상기 절취부와 함께 상기 인출안내막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more specifically, a cut-away portion formed along a perforated line on one side thereof, and a lead-out guide film for holding a used toilet paper on a portion where the cut- In order to use the toilet paper stored in the case, when the cut-out portion is separated and removed, the toilet paper stack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cut-out portion out of the outgoing guide fil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Description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Tissue case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Tissue case}

본 고안은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면에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인출안내막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절취부를 분리 제거하면 최상단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가 상기 절취부와 함께 상기 인출안내막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more specifically, a cut-away portion formed along a perforated line on one side thereof, and a lead-out guide film for holding a used toilet paper on a portion where the cut- In order to use the toilet paper stored in the case, when the cut-out portion is separated and removed, the toilet paper stack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cut-out portion out of the outgoing guide fil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일반적으로 화장지는 두루마리형 화장지와 낱장형 화장지로 구분되고, 상기 낱장형 화장지(‘티슈형 화장지’이라고도 한다.)는 보통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 속에 한 장씩 차곡차곡 적층된 형태로 유통 및 보관된다.In general, the toilet paper is divided into a rolled toilet paper and a single-piece toilet paper. The single-piece toilet paper (also referred to as a 'tissue-type toilet paper') is circulated and sto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첨부 도 1은 일반적인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직육면체 케이스의 상면에 절취선(A)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가 제거된 부위에는 통상 합성수지 필름 재질로 된 인출안내막(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안내막(20)의 중앙부위에는 슬릿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The cut-away portion 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along the perforated line A. The cut- A lead-out guide film 20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is attached, and a slit portion 22 is form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lead-out guide film 20.

그래서 사용자는 먼저 손잡이홈(10a)을 이용하여 상기 절취부(10)를 분리 제거한 다음에, 상기 슬릿부(22)를 통해서 케이스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화장지를 한 장씩 꺼내어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화장지들은 상하로 한 장씩 서로 맞물리도록 적층되어 있어서 상기 슬릿부(22)을 통해 빠져 나오는 화장지는 그 밑에 적층된 화장지를 한 장씩 물고 빠져 나오게 된다. 이때, 맞물려 나온 화장지는 상기 인출안내막(20)에 의해서 일부만 케이스 밖으로 빠져 나온 상태, 즉 사용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first removes the cut-out portion 10 by using the handle groove 10a, and then takes out the toilet paper stored in the case through the slit portion 22 one by one. The toilet paper stored in the case is stacked vertically one by one so that the toilet paper that comes out through the slit part 22 will suck out the stacked toilet paper one by one. At this time, the toilet paper which is engaged with the toilet paper is partially released from the case by the lead-out guide film 20, that is, is kept in the standby state for use.

이처럼 사용대기 상태의 화장지가 케이스 속으로 빠져 들어가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기술로는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53825호 (1999.05.13.)를 비롯하여 USP No. 5,316,177 (May 31, 1994), No. 6,053,357 (April 25, 2000) 및 No. 7,134,572 (November 14, 2006) 등이 있다.As a technique relating to a toilet paper case for holding the toilet paper in a waiting state so that it does not fall into the case, for example, USP No. 20-0153825 (issued May 13, 1999) No. 5,316,177 (May 31, 1994); No. 6,053,357 (April 25, 2000) 7,134,572 (November 14, 2006).

이러한 종래 화장지 케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절취부(10)를 이탈시킨 후에 첫 번째 화장지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상기 슬릿부(22) 속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서 최상층에 적층된 화장지를 꺼내야 하는데, 케이스 속에는 화장지가 꽉 들어차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얇고 부드러운 화장지를 인출하려면 화장지가 찢어지거나, 여러 장의 화장지가 한꺼번에 뭉쳐서 빠져나오는 등 화장지 인출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ilet paper case, in order to take out the first toilet paper after the user removes the cut-out portion 10, the toilet paper must be taken out from the uppermost layer by inserting the fingers into the slit portion 22 inevitab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oilet paper was torn or a lot of toilet paper came out togeth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toilet paper was troublesome and uncomfortable.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슬릿부(22)가 늘어나거나 손상될 우려가 높고, 이렇게 되면 사용 과정에서 상기 슬릿부(22)가 화장지를 확실히 붙잡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대기 상태의 화장지가 케이스 속으로 빠져 들어가서 이를 다시 꺼내어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Also, in this proces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lit part 22 is stretched or damaged. In this case, the slit part 22 does not firmly catch the toilet paper during use, Sometimes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m again.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153825호 (1999.05.13.)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53825 (May 13, 1999) USP No. 5,316,177 (May 31, 1994)USP No. 2; 5,316, 177 (May 31, 1994) USP No. 6,053,357 (April 25, 2000)USP No. 2; No. 6,053,357 (April 25, 2000) USP No. 7,134,572 (November 14, 2006)USP No. 2; 7,134,572 (November 14, 2006)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케이스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를 분리 제거할 때, 케이스 내부의 최상단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가 상기 절취부와 함께 인출안내막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user removes the cut-ou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toilet paper stacked on the uppermost portion inside the case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cut- To-use toilet paper case.

본 고안에 따른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는, 일면에 제1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인출안내막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취부에는 제2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면서 적어도 일변이 상기 절취부와 연결되어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의 자유단부의 저면에는 점착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안내막에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eet-like toilet paper case, wherein a cut-out portion that is separated along a first perforation lin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lead-out guide film that holds the used toilet paper is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cut-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which is separated along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nd at leas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an adhesive surfac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 end por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And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른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는, 상기 절취부에 구비된 함몰부를 상기 인출안내막의 개구부 속으로 함몰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로부터 상기 절취부를 제거하면, 케이스 내부의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가 상기 함물부의 저면에 구비된 점착면에 부착되어 상기 절취부와 함께 상기 개구부 밖으로 빠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the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t-out portion is removed from the case body while the depression provided in the cut-out portion is recessed into the opening of the lead-out guide film,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 and is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opening part together with the cut-out part,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도 1은 일반적인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화장지 케이스에 대한 C-C'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절취부(10) 및 인출안내막(20)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과 이형지(40)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이형지(4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착면(12)과 이형지(40)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이형지(4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toilet paper cas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toilet paper case of FIG. 2,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cutout portion 10 and the lead-out guide film 20 in Fig. 2 Also,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parator 30 and the release paper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aper 40 is opened in FIG. 5,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surface 12 and the release paper 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aper 40 is opened in FIG.

본 고안에 따른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의 일면에 제1 절취선(A1)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인출안내막(2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2, a cut-off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case body along a first perforation line A1, and the cut-out portion 10 is separated and removed And a lead-out guide film 20 is attached to a portion where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formed.

상기 절취부(10)는 케이스 몸체와 한 몸으로 형성되어 있다가 화장지(T) 인출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절취선(A1)을 따라 케이스 몸체에서 분리 제거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 손잡이홈(1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t-out portion 10 is formed as one body with the case body and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along the first perforation line A1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drawing the toilet paper T. The cut- 10a are preferably formed.

그리고, 상기 인출안내막(20)은 상기 절취부(10)가 제거된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대기 중인 화장지(T)를 일부만 케이스에 빠져 나온 상태로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종이나 부직포, 또는 얇은 직물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cut-out portion 10 is removed, and functions to hold a part of the toilet paper T waiting for use in a state of being out of the cas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aper, a nonwoven fabric, or a thin fabric if necessary.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절취부(10)에는 제2 절취선(A2)을 따라 분리되면서 적어도 일변이 상기 절취부(10)와 연결되어 있는 함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1)의 자유단부의 저면에는 점착면(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11)는 상기 절취부(10)와 한 몸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적당한 압력으로 눌러주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 절취선(A2)을 따라 분리되어 케이스 몸체 속으로 함몰되는 부분이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pression 11 is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10 along a second perforation line A2 so that at leas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10, 11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1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 end. The depressed portion 11 is formed as one body with the cut-out portion 10, but when depressed with an appropriate pressure, the depressed portion 11 is separated along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2 as shown in Figs. 2 and 3, to be.

상기 함몰부(11)가 함몰되면, 상기 점착면(12)이 케이스의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T) 위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11)에는 적소에 접힘선(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점착면(12)이 화장지 상면에 보다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도와준다. 상기 점착면(12)은 상기 함몰부(11)의 저면에 통상적인 점착성(粘着性) 고분자 물질을 도포하여서 형성한다.When the depressed portion 11 is depressed, the adhesive surfac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T stack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case. At this time, a folding line (B) is formed at the depression (11) at the proper position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12) can be more easily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paper. The sticking surface 12 is formed by applying a conventional sticky polymer materi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

상기 도 2 및 도 3은 상기 함몰부(11)가 절취부(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자유단부가 2개이고, 이들 두 자유단부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구조로서, 편의상 우측 자유단부만 함몰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 사용시에는 상기 함몰부(11)의 양쪽 자유단부를 모두 함몰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show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portion of the depression 11 is separated from the cutout portion 10 and the two free end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Show. However, in actual use, it is preferable to use both free ends of the depressed portion 11 in a state of being depressed.

그리고 상기 함몰부(11)의 구조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유단부가 한 개로서 세변에 제2 절취선(A2)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변은 절취부(10)에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 구조일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depressed portion 11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ree end may be a quadrilateral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erforated line A2 is formed at three sides, and the remaining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utout 10.

이와 같이, 상기 함몰부(11)를 함몰시킨 상태에서 절취부(10)를 분리하면, 상기 점착면(12)에 부착된 화장지가 절취부(10)와 함께 케이스 몸체 밖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When the cut-out portion 10 is detached in a state where the depression 11 is depressed, the toilet paper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12 is pulled out of the case body together with the cut-out portion 10.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인출안내막(20)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11)에 대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함몰부(11)를 눌러서 케이스 몸체 속으로 밀어 넣을 때 상기 인출안내막(20)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공간을 열어주는 기능을 한다.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1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11, as shown in FIG. The opening 21 functions to open the space so that the lead-out guide film 20 does not obstruct the depression 11 when the depression 11 is pushed into the case body.

그리고, 상기 케이스 속에 저장되어 있던 화장지(T)는 상기 개구부(21)를 통해서 한 장씩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1)의 크기가 너무 크면, 사용대기 화장지가 다시 케이스 속으로 빠져들어 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21)는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하고, 그 양쪽에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슬릿부(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ilet paper T stored in the case comes out through the opening 21 one by one. Therefore, if the size of the opening 21 is too large, the toilet paper for use may fall back into the case. Therefore, the opening 21 may be formed to have a minimum siz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portion 22 be formed.

한편, 첨부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절취부(10)의 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격리판(3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격리판(30)에는 상기 함몰부(11)에 대응하는 격리창(31)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격리창(31)에는 상기 함몰부(11)의 하강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격리창살(3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5 and 6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parator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utout 10, The isolation window 3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11 is penetrated and the isolation window 31 is formed with the isolation window 32 which is broken by the down pressure of the depression 11. [

상기 격리판(30)은 케이스 몸체 속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지로부터 상기 함몰부(11)의 저면에 도포된 점착면(12)을 이격시켜서 상기 함몰부(11)를 하강시키기 이전에 화장지가 상기 점착면(12)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30)의 저면에 이형지(40)가 부착될 경우 상기 격리창살(32)은 상기 함몰부(11)를 하강시키기 이전에는 상기 점착면(12)에 상기 이형지(40)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고 하강 중에는 서로 들러붙더라도 다시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separating plate 30 separates the adhesive surface 12 appli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 from the toilet paper stored in the case body so that the toilet paper is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12 before descending the depression 11. [ (12). When the releasing paper 4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or 30, the separating paper 32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per 12 by the releasing paper 40 before the depression 11 is lowered. It prevents the sticking and separates the sticks even if they stick to each other during descending.

상기 격리판(30)과 격리창살(32)은 케이스 몸체와 동일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격리창살(32)은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면 파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에는 상기 격리창살(32)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격리창살(32)은 가로방향이나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격리창(31)의 형상도 사각형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parator 30 and the isolation grate 32 are made of the same paper material as the case body. In particular, the isolation grate 32 is broken when a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hereto. In FIG. 6, the isolation grate 3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isolation grate 32 may b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inclined direction. The shape of the isolation window 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a rectangular shape.

또한, 상기 격리판(30)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창(31)을 덮으면서, 상기 함몰부(11)가 하강할 때는 제3 절취선(A3)을 따라 분리되는 이형지(4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절취선(A3)은 가로방향으로 상기 점착면(12)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형지(40)는 상기 점착면(12)을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격리창(31)의 가로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격리창살(32)에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A release sheet 4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or 30 to cover the isolation window 31 and to be separated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when the depression 11 descends .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dhesive surface 1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release paper 40 has a function of covering and protecting the adhesive surface 12 and i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isolation window 3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not bonded to the isolation window 32.

상기 이형지(40)는 화장지의 생산 공정 중이나 유통 중에 상기 점착면(12)을 보호하고 있다가, 화장지 사용 초기에 상기 함몰부(11)가 함몰될 때 그 압력으로 인하여 도 6과 같이, 제3 절취선(A3)을 따라 양쪽으로 분리되면서 상기 점착면(12)이 화장지(T) 위에 밀착되도록 통로를 열어 준다. 따라서 상기 제3 절취선(A3)은 상기 제1 절취선(A1)이나 제2 절취선(A2)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거의 절단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ease paper 40 protects the adhesive surface 12 during or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toilet paper. When the depression 11 is depressed at the beginning of the use of the toilet paper, And opens the passage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T while being separated along the perforated line A3.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is substantially cut so a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perforation line A1 or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2.

상기 함몰부(11)가 함몰될 때 혹시라도 상기 점착면(12)과 이형지(40)가 서로 접촉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점착면(12)과 이형지(4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형지(40)에 다양한 형상의 구멍들을 천공할 수도 있다. The adhesive surface 12 and the release sheet 40 may contact each other even if the depression 11 is depresse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12 and the release sheet 40, 40 may be punched holes of various shapes.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격리판(30)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거나 또는 격리판(30)의 두께가 얇더라도 격리창(31)의 크기가 충분히 작으면, 상기 격리판(30) 자체만으로도 어느 정도 점착면(12)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형지(40)를 생략할 수도 있다. If the separator 30 is sufficiently thick or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30 is small enough, if the size of the separator window 31 is sufficiently small, The release paper 40 can be omitted because the protection paper 12 can be protected.

또한, 상기 점착면(12)과 상기 이형지(40)를 인접시켜 놓더라도 서로 달라붙지 않는 점착제, 예컨대 반복해서 떼었다가 붙일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점착제가 상기 점착면(12)에 도포된 경우에는 상기 격리판(30)을 생략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12 is coat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does not stick to each other even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12 and the release paper 40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parator 30 may be omitted.

도 7 및 도 8은 상기 격리판(30)이 생략되고 이형지(40)만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함몰부(11)가 하강할 때 점착면(12)과 이형지(40)와의 접촉을 줄이고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착면(12)이 상기 이형지(40)의 제3 절취선(A3)을 따라 함몰부(11)의 저면 중앙부분에만 길이방향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7 and 8 show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ng plate 30 is omitted and only the release paper 40 is attached. When the depression 11 descends,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12 and the release paper 40 The adhesive surface 12 may be longitudinally applied only to the bottom central portion of the depression 11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of the release paper 40 in order to reduce friction and minimize friction.

이때, 상기 함몰부(11)의 양쪽 자유단부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점착면(12)을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40)의 제3 절취선(A3) 중앙에 서로 직교하는 제3 절취선(A3′)을 추가로 설치하여 열십자( + ) 형태의 제3 절취선(A3, A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the adhesive surface 12 to the portions where both free ends of the depression 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third perforated line A3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perforated line A3 of the release paper 40 to form a third perforated line A3'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erforated lines A3 and A3 '.

상기 도 7과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함몰부(11)가 하강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40)가 제3 절취선(A3, A3′)을 따라 사방으로 부드럽게 벌어지면서 상기 점착면(12)과의 접촉 또는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7, when the depression 11 descends, the release paper 40 smoothly spreads in four directions along the third perforations A3 and A3 ', as shown in FIG. 8, Can be minimized.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인출안내막(20)의 개구부(21)에 인출안내막(20)을 연장하여 상하로 2개의 자유단(도시하지 않음.)을 이루게 하고, 이들 자유단이 케이스 내부의 화장지(T)를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21)에 연장된 2개의 자유단이 서로 만나는 부분은 슬릿부(22)와 동일한 선상에 있으며 상기 제3 절취선(A3)의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된다.
In this structure,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extended to the opening 21 of the lead-out guide film 20 so as to form two free ends (not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 portion where the two free ends extending in the opening 21 meet with each other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lit portion 22 and directly below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의 절취부(10) 저면에 격리판(30)과 이형지(40)를 설치하게 되면, 그 두께로 인해서 인출안내막(20)이 일부 밑으로 처질 수도 있으나, 케이스 몸체에서 절취부(10)를 제거하고 나면 인출안내막(2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곧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eparator 30 and the release paper 4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10 of the case body, the lead-out guide film 20 may be partially formed due to its thickness, The flattened state of the leading-out guide film 20 can be maintained due to the stretchability of the leading-out guide film 20.

혹시라도 상기 인출안내막(20)이 평평하게 원상 복귀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스의 상면 내측에 격리판(30)과 이형지(40)의 두께를 더한 만큼의 두께를 갖는 종이로 된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절취부(10)의 외곽에 부착하고, 상기 마운트의 저면에 인출안내막(20)을 부착하면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not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even if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not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a paper mount (not shown)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30 and the release paper 40 (10) to the outside of the cutout portion And attaching the lead-out guide film 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 can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상기 인출안내막(2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함몰부(11)가 형성되었던 절취부(10)에 격리창(31)과 격리창살(32)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부(10)의 상면에는 격리창(31) 및 격리창살(32)과 대응되게 함몰부(11)가 구비된 함몰안내판(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는 한편, 절취부(10)의 저면에는 함몰부(11)의 저면에 구비된 점착면(12)을 덮도록 이형지(40)를 부착할 수도 있다.
Another method for holding the lead-out guide film 20 in a horizontal state is to form the isolation window 31 and the isolation barrel 32 in the cutout portion 10 where the depression 11 is formed, (Not shown)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11 corresponding to the isolation window 31 and the isolation sash 32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10,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release paper 40 so as to cover the adhesive surface 1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ion 11.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절취부(10)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11)의 일측 단부를 케이스 몸체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제2 절취선(A2)이 분리되면서 함몰부(11)의 자유단부가 하강하는 압력에 의해서 격리창살(32)이 파괴됨과 동시에 이형지(40)가 제3 절취선(A3)을 따라 분리되면서 상기 함몰부(11)가 인출안내막(20)의 개구부(21) 밑으로 함몰되고, 상기 자유단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점착면(12)이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T) 위에 밀착된다.A method of using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one end of the depression 11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10 is pushed into the case body. As a result of this,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2 is separated and the separating lance 32 is broken by the pressure at which the free end of the depression 11 descends, and at the same time, the release liner 40 is separated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The depression 11 is recessed below the opening 21 of the lead-out guide film 20 and the adhesive surface 1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ee e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toilet paper T .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홈(10a)을 이용하여 절취부(10)를 분리하면, 상기 절취부(10)와 함께 함몰부(11)가 이탈되고, 따라서 상기 함몰부(11)의 저면에 부착된 화장지가 저절로 인출안내막(20)의 개구부(21)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cut-out portion 10 is separated by using the handle groove 10a, the recessed portion 11 is detached together with the cut-out portion 10, The toilet paper comes out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lead-out guide film 20 by itself.

또한, 상기 인출안내막(20)의 개구부(21)를 연장하여 2개의 자유단을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 초기 함몰부(11)의 하강으로 이형지(40)가 열릴 때 상기 인출안내막(20)의 자유단도 이형지(40)와 함께 열리면서 점착면(12)이 화장지(T)에 밀착되도록 통로를 열어준다. 그리고 상기 인출안내막(20)의 자유단은 절취부(10)가 이탈된 이후에 사용 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When the opening 21 of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extended to form two free ends, the lead-out guide film 20 is formed when the release paper 40 is opened by the downward use initial depression 11, And opens the passageway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T while being opened together with the free- The free end of the leading-out guide film 20 functions to catch the toilet paper for use after the cut-out portion 10 is detached.

이상 본 고안의 화장지 케이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가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예컨대 상기 함몰부(11)나 개구부(21), 슬릿부(22), 격리판(30), 이형지(40)의 구조를 일부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견하지 못한 새로운 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oilet pap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tructure of the depression 11, the opening 21, the slit portion 22, the separator 30, and the release paper 40 may be partially changed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However,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is design change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 new operation effect is not foreseen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절취부 10a; 손잡이홈
11; 함몰부 12; 점착면
20; 인출안내막 21; 개구부
22; 슬릿(slit)부 30; 격리판
31; 격리창 32; 격리창살
40; 이형지
A,A1,A2,A3,A3′; 절취선 B; 접힘선
T; 화장지
10: cut-out portion 10a; Handle groove
11; Depression 12; Adhesive surface
20; Outgoing guide film 21; Opening
22; A slit portion 30; Separator
31; Isolation window 32; Isolation grate
40; Release paper
A, A1, A2, A3, A3 '; Perforation line B; Fold line
T; paper towel

Claims (7)

일면에 제1 절취선(A1)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인출안내막(2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취부(10)에는 제2 절취선(A2)을 따라 분리되면서 적어도 일변이 상기 절취부(10)와 연결되어 있는 함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1)의 자유단부의 저면에는 점착면(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안내막(20)에는 상기 함몰부(11)에 대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의 저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격리판(3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격리판(30)에는 상기 함몰부(11)에 대응하는 격리창(31)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격리창(31)에는 상기 함몰부(11)의 하강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격리창살(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함몰부(11)를 상기 개구부(21) 속으로 함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취부(10)를 제거하면,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T)가 상기 점착면(12)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21) 밖으로 빠져 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A cut-out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t-off line A1 along the first cut-off line A1, and a lead-out guide film 20 for holding the used toilet paper is attached to the cut- Structure,
The cutout portion 10 is formed with a depression 11 which is separated along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2 and at leas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10 and the free end portion of the depression 11 An opening 21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11 is formed in the lead-out guide film 20,
A separator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utout 10 and an isolation window 31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11 penetrates through the separator 30, The isolation window 31 is formed with an isolation window 32 which is broken by the downward pressure of the depression 11,
When the cut-out portion 10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depression 11 is recessed into the opening 21, the toilet paper T stacked on the uppermost lay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12, 2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1)는 2개의 자유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ression (11) i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two free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1)의 양쪽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슬릿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t portion (2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 to hold the toilet paper for u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30)의 저면에는 상기 격리창(31)을 덮으면서, 상기 함몰부(11)가 하강할 때는 제3 절취선(A3)을 따라 분리되는 이형지(4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lease paper 4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eparator 30 to cover the isolation window 31 and to be separated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when the depression 11 descends. Single-piece toilet paper case.
일면에 제1 절취선(A1)을 따라 분리되는 절취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가 분리 제거되는 부위에는 사용대기 화장지를 붙잡아 주는 인출안내막(2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취부(10)에는 제2 절취선(A2)을 따라 분리되면서 적어도 일변이 상기 절취부(10)와 연결되어 있는 함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1)의 자유단부의 저면에는 점착면(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안내막(20)에는 상기 함몰부(11)에 대응하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0)의 저면에는 상기 점착면(12)을 덮으면서, 상기 함몰부(11)가 하강할 때는 제3 절취선(A3)을 따라 분리되는 이형지(40)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함몰부(11)를 상기 개구부(21) 속으로 함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취부(10)를 제거하면,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화장지(T)가 상기 점착면(12)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21) 밖으로 빠져 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A cut-out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t-off line A1 along the first cut-off line A1, and a lead-out guide film 20 for holding the used toilet paper is attached to the cut- Structure,
The cutout portion 10 is formed with a depression 11 which is separated along the second perforation line A2 and at leas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utout portion 10 and the free end portion of the depression 11 An opening 21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11 is formed in the lead-out guide film 20,
A cutout 4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tout 10 to cover the adhesive surface 12 and separate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when the depressed portion 11 descends,
When the cut-out portion 10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depression 11 is recessed into the opening 21, the toilet paper T stacked on the uppermost lay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12, 21). ≪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면(12)은 상기 이형지(40)의 제3 절취선(A3)을 따라 함몰부(11)의 저면 중앙부분에만 길이방향으로 도포되고, 상기 이형지(40)에는 제3 절취선(A3, A3′)이 열십자( + ) 형태로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화장지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dhesive surface 12 is longitudinally applied only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 along the third perforation line A3 of the release paper sheet 40 and the third perforations A3 and A3 ) Is cut in a (+) shape in a cross shape.
KR2020130007487U 2013-06-03 2013-09-06 Tissue case KR200478075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451 2013-06-03
KR2020130004451 2013-06-03
KR20130006552 2013-08-07
KR2020130006552 2013-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28U KR20140006228U (en) 2014-12-11
KR200478075Y1 true KR200478075Y1 (en) 2015-08-27

Family

ID=5246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87U KR200478075Y1 (en) 2013-06-03 2013-09-06 Tissu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75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9183A (en) 2005-12-13 2009-05-14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issue sheet dispens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2010179946A (en) 2009-02-06 2010-08-19 Oji Nepia Co Ltd Sanitary paper storage cart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9183A (en) 2005-12-13 2009-05-14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issue sheet dispens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2010179946A (en) 2009-02-06 2010-08-19 Oji Nepia Co Ltd Sanitary paper storage car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28U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4142091A1 (en) Wipe dispenser
WO2013132782A1 (en) Wet tissue packaging unit
KR101280064B1 (en) Tissue pack
CN109153493A (en) Moist wipe package
KR200478075Y1 (en) Tissue case
US11312556B2 (en) False eyelash packaging
JP4776198B2 (en) Wet tissue packaging
JP2017178356A (en) Pop-up type paper storage body
KR101408146B1 (en) Tissue pack
KR101091072B1 (en) a straw having double stages
KR102128650B1 (en) Twin combo box-tissue
KR200289661Y1 (en) A paper drop preventing means of a tissue box
JP2016523192A (en) Book with writing implement storage groove
KR100610054B1 (en) The tissue box that improvement exit of tissue box
JP3158264U (en) Open envelope
JP6016436B2 (en) Sheet storage container and sheet storage container cap
KR20190124504A (en) A vinyl pack for disposable with pull out
KR20200118546A (en) Tissue box with elastic band
KR101847850B1 (en) Wet Tissue Stacked structure
JP3150968U (en) Package of sheet article
KR100849676B1 (en) A paper drop preventing means of a tissue box
KR200355844Y1 (en) Case of belt paper
KR200366372Y1 (en) tissue case
JP6195406B2 (en) Storage container
KR101540446B1 (en) scrap paper function improvement tissu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