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06Y1 -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 Google Patents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06Y1
KR200478006Y1 KR2020140000327U KR20140000327U KR200478006Y1 KR 200478006 Y1 KR200478006 Y1 KR 200478006Y1 KR 2020140000327 U KR2020140000327 U KR 2020140000327U KR 20140000327 U KR20140000327 U KR 20140000327U KR 200478006 Y1 KR200478006 Y1 KR 200478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support
unit
lower port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882U (en
Inventor
유영철
Original Assignee
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철 filed Critical 유영철
Priority to KR2020140000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06Y1/en
Publication of KR20150002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8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체결부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축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지레버는 상기 고정레버의 상부에 위치한다.A fixing device for a bogie fixing a bogie to a floor, the bogie fixing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A body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located therein and a slot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penetrates; A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pass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driving unit disposed parallel to the coupling unit and having a fixing lever for lowering the supporting uni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a release lever for lifting the supporting unit; And a link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shaft and the driv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lever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lever.

Description

대차의 고정 장치{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comprises:

본 고안은 대차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차를 발로 외력을 가해 바닥면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a bogi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gie fixing device for fixing or releasing a bogie, which is widely used as a carrying devic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a floor surface.

일반적으로 수화물 등을 적재하여 일정한 장소로 운반하는 경우에 적재함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적재함의 일측에 핸들이 설치되어 적재 및 이동이 용이한 대차(臺車)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차는 대개 공장이나 매장 등의 건물내와 같은 한정된 구역에서 수화물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BACKGROUND ART Generally, when a cargo is transported to a certain place, a wheel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and a handl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ading box to use a cart which is easy to load and move. And is used to move luggage to a required place in a limited area such as a factory or a building.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대차는 적재함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작되는 아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시 작업자가 대차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고 있어야 한다든가 별도의 쐐기형상의 버팀목을 구비하여 대차의 바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Since the conventional bogie used in this way has a very simple structure that is made to be movable by installing a wheel on a loading box,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hold the bogie so that the bogie does not flow during operation or a separate wedge- And is inserted and fixed on the wheel side.

그러나, 대차를 이용한 적재 및 운반작업시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은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 혼자 대차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특히 경사진 곳에서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편이 충분하지 못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stopped bogie during the loading and transportation work using the bogie, a separate worker is required to reduce the work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worker has to work alone , There was not enough means to mainta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lorry, especially at a sloping place, and it posed a danger of a fatal safety accident.

따라서,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대차의 고정 장치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of a fixing device for a bogie to prevent the flow of the stopped bogie.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0990132 (2010. 10. 20)Korea Patent No. KR 10-0990132 (Oct. 20, 2010)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지된 대차의 유동을 방지하는 대차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bogie that prevents the flow of a stopped bogie.

또한, 경사진 곳에서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대차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bogie that can maintain a stopped state of a bogie at a tilted position.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는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체결부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축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지레버는 상기 고정레버의 상부에 위치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for a bogie, which fixes a bogie to a floor, the fixing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A body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located therein and a slot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penetrates; A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pass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driving unit disposed parallel to the coupling unit and having a fixing lever for lowering the supporting uni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a release lever for lifting the supporting unit; And a link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shaft and the driv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lever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lever.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에 구비된 제1 연결축에 결합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한다.And a latch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coupled to a first connecting shaft provided on the link unit, wherein the body unit includes a latching jaw to which the latching member is hooked.

상기 바디부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nylon surface treat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상기 받침부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height adjustmen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는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 상기 체결부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축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for a bogie,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a bogie to a floor, the fixing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A body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located therein and a slot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penetrates; A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pass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wheel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 driving unit having a fixing lever positioned parallel to the coupling unit and lowering the supporting uni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a release lever for lifting the supporting unit; And a link portion tha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through shaft and the driving portion.

상기 해지레버는 상기 고정레버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release lever is positioned above the fixing lever.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에 구비된 제1 연결축에 결합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한다.And a latch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coupled to a first connecting shaft provided on the link unit, wherein the body unit includes a latching jaw to which the latching member is hooked.

상기 바디부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nylon surface treat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상기 받침부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height adjustment.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대차의 고정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에 따르면, 발로 외력을 가해 대차를 바닥에 고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ad can be fixed to the floo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oot.

또한, 받침부가 유동 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rest portion can be kept stationary even in a tilted posi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가 대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을 나타맨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bogi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for a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right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4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category of design, and the desig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May be used to readily describe a device or a relationship of components to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 / 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elem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element or sectio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s, steps and / us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가 대차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of a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bogi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gi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의 작동을 나타맨 정면도이다.3A and 3B are right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는 대차(1)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대차(1)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00), 체결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10)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230)과 관통축(230)이 관통하는 장공(220)을 포함하는 바디부(200), 탄성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축(230)이 관통하는 지지부(300),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400), 체결부(100)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외력을 가해 지지부(300)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700)와 지지부(300)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710)를 구비하는 구동부(700, 710) 및 체결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관통축(230) 및 구동부(700, 710)와 연결되는 링크부(800)를 포함한다. 이 때, 해지레버(710)는 고정레버(700)의 상부에 위치한다.1 to 4B, a fixing device 10 for a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10 for fixing a truck 1 to a floor, A penetrating shaft 23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100 and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210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part 100, A supporting part 300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210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230 passes, a receiving part 400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300, A driving unit 700 and 710 having a fixing lever 700 and a release lever 710 for raising the supporting unit 300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supporting unit 300 and lower the supporting unit 30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a link unit 800 connected to the penetrating shaft 230 and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At this time, the cancel lever 7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lever 700. [

체결부(100)의 일측은 바디부(200)와 용접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합 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결합되고, 체결부(100)의 타측은 대차(1)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이 때, 체결부(100)는 복수의 홀(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대차(1)의 하부면에 복수의 볼팅(bolting)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용접 등의 모든 결합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고정 장치(10)는 대차(1)의 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부(100)는 바디부(200)와 대차(1)를 체결 할 수 있다면 그 결합 위치와 방법, 개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0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200 by a method that can be easily comb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weld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1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age 1.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age 1 by a plurality of bolting couplings. However, And the like. A plurality of bogie fixing devices 1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gie 1. The bogie 100 may be configured to fasten the bogie 200 to the bogie 1, The position, the method and the number of the coupling are not limited.

바디부(200)는 상하면이 뚫려 있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디부(200)의 단면 형상은 원뿐만 아니라 타원,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200 may include a support part 300 in the shape of a cylinder having a top and bottom openings.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part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and a polygon as well as a circle.

또한, 체결부(100)의 하부에 결합된 바디부(20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10)가 위치하여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지지부(300)를 바디부(200)의 하부로 밀거나 바디부(200)의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210)는 외력에 의해 압축과 이완가능한 스프링 등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할 수 있는 모든 소재를 포함한다.When the elastic member 210 is positioned inside the body part 2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100 and the constant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part 200, the support part 300 is pus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0, (200).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10 includes all materials that can be employed by a general technician such as a spring that can be compressed and relax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바디부(200)는 탄성부재(210)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230)과 관통축(230)이 관통하는 장공(220)을 포함한다. 관통축(230)은 외력에 의해 장공(22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210)를 이완 시키고, 장공(220)의 상부로 이동하면 탄성부재(210)를 압축시킨다. 여기에서 장공(220)은 바디부(200)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나, 관통축(23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장공(220)의 형상,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The body part 200 includes a through shaft 230 for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210 and a slot 220 through which the through shaft 230 passes. The penetrating shaft 230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ongated hole 220 by an external force to relax the elastic member 210 and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ongated hole 220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210. Although the elongated holes 220 are vertically elonga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00,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ongated holes 22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penetrating shafts 230 can be moved up and down.

지지부(300)는 바디부(200) 중 탄성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측에 위치한 관통홀(미도시)에 관통축(230)이 관통하므로, 지지부(300)는 외력에 의해 바디부(200)의 하부로 이동하거나 내부로 복귀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Since the support portion 300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210 of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penetrating shaft 230 penetrates through hol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00, The user can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00 or return to the inside.

받침부(400)는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고정레버(700)에 의해 지지부(300)가 하강했을 때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받침부(400)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420)를 포함하여, 체결부(100)에 의해 대차의 고정 장치(10)가 대차(1)의 하부에 결합되었을 때,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전체 높이를 소정 길이 조절 가능하여 대차(1)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대차의 고정 장치(10)를 대차(1)의 하면에 설치 후 별도로 정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재(420)는 볼트 형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전체 높이를 소정 길이 조절 가능하다면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가능한 높이 조절 방법, 소재 등을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4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00 an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when the support portion 300 is lowered by the fixing lever 700.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400 inclu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420 for height adjustment. When 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gie 1 by the connecting portion 100, The entire height of 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1 can be adjus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exact position of the bogie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he bogie 1 to the ground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can be separately and precisely adjusted in height after the bogie 1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420 is shown in the form of a bolt. However, if the entire height of the fixing device 10 of the car is adjustable by a predetermined length, .

또한, 받침부(400)는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여, 대차(1)가 경사진 곳에 정지해야 할 때 받침부(400)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었을 때보다 받침부(400)의 하면 모두가 지면과 맞닿아 대차(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받침부(400)가 지면과 맞닿는 표면적이 넓어져 받침부(400)의 하단과 지면간의 마찰력이 높아지므로 대차(1)를 경사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경사진 곳에서 대차(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받침부(400)의 회동 가능한 소정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support part 40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when the carriage 1 stops at a sloping position, the support part 4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400 The bogie 1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und. That is, the surface area at which the receiving portion 400 abuts against the paper surface is widened,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400 and the paper surface increases, so that the cart 1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clined paper surface. However, if the carriage 1 can be stably fixed at a slanting position, the predetermined angle at which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rotatable is not limited.

그리고 받침부(400)의 하부에는 마찰력이 높은 받침판(410)을 포함하여 대차(1)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대차(1)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면 받침판(410)의 소재, 형상,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400, a slip can be prevented when the bogie 1 is fixed to the ground by including the support plate 410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However, the material, shape, size, and the like of the support plate 41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slip of the carriage 1 can be prevented.

구동부(700, 710)는 체결부(10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대차의 고정 장치(10)가 대차(1)의 하부면에 체결되었을 때 작업자가 발로 누르기 편하고, 대차의 하면에 걸릴 염려가 없다. 구동부(700, 710)는 작업자가 발로 외력을 가해 지지부(300)를 하강시킬 수 잇는 고정레버(700)와 지지부(300)를 상승시켜 바디부(200)내로 복귀시키는 해지레버(710)를 구비한다. 이 때, 해지레버(710)는 고정레버(700)의 상부에 위치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하고 별도의 부재나 구성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are located parallel to the coupling unit 10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ress the coupling unit 100 when the fixing device 10 of the car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1 .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include a fixing lever 700 capable of lowering the supporting unit 30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worker and a canceling lever 710 for raising the supporting unit 300 and returning the supporting unit 300 back into the body 200 do. 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710 has a simple structur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lever 700, so that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an additional member or structure can be excluded.

링크부(800)는 체결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관통축(230) 및 구동부(700, 710)과 연결되고, 링크부(800)의 일측은 체결부(100)와 제2 연결축(820)에 의해 볼팅 결합되어, 작업자가 발로 구동부(700, 71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외력을 관통축(230)으로 전달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관통축(230)은 링크부(800)와 볼팅(bolting) 결합 되고, 링크부(800)와 구동부(700, 710)는 용접되어 결합되지만,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The link unit 800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penetrating shaft 230 and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One side of the link unit 8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100, And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enetrating shaft 230 when the operator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foot driving units 700 and 710. [ Although the through shaft 230 is bolted to the link portion 800 and the link portion 800 and the drive portions 700 and 710 are welded to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t; RTI ID = 0.0 > a < / RTI >

또한, 구동부(700, 710)의 하부에 연결되고, 링크부(800)에 구비된 제1 연결축(810)에 결합된 걸림부재(72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바디부(200)는, 지지부(300)가 하강하였을 때 걸림부재(720)가 걸리는 걸림턱(240)을 포함한다. 자세한 구동원리는 후술한다.It further includes an engaging member 72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and coupled to a first connecting shaft 810 provided in the link unit 800. At this time, the body part 200 includes a latching jaw 240 to which the latching member 720 is hooked when the supporting part 300 is lowered. The detailed driving principle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바디부(200)의 내면과 지지부(300)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대차(1)를 고정 또는 해지하기 위해 바디부(200)의 내부에 위치한 지지부(300)가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하는 경우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면, 상기 표면 처리되는 소재는 나일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210)도 나일론 표면 처리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00 may be nylon surface treat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Therefore, when the support portion 300 located inside the body portion 200 moves up or down to fix or release the bogie 1,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dy portion 200 and the support portion 300 is reduced, Can be reduced and wear can be prevented. However, i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dy part 200 and the support part 300 is reduced to reduce noise and prevent wear, the material to be surface-treated is not limited to nylon. The elastic member 210 positioned between the body part 200 and the support part 300 is also nylon-treated to prevent wear.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는 대차(1)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대차(1)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00), 체결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10)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230)과 관통축(230)이 관통하는 장공(220)을 포함하는 바디부(200), 탄성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축(230)이 관통하는 지지부(300), 지지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400), 지지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500, 600), 체결부(10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외력을 가해 지지부(300)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700)와 지지부(300)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710)를 구비하는 구동부(700, 710) 및 체결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관통축(230) 및 구동부(700, 710)와 연결되는 링크부(8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B, a fixing device 10 for a bogi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10 for fixing a bogie 1 to a floor, A penetrating shaft 23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100 and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210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part 100, A supporting part 300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210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230 penetrates, a receiving part 400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300, (500, 600)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300), a fixing lever (700) which is placed parallel to the coupling part (100) and lowers the supporting part (30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 driving unit 700 having a lever 710 and a link unit 800 positioned below the coupling unit 100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shaft 230 and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

이 때, 바퀴부(500, 600)는 지지부(300)에 연결되는 브라켓(500)과 브라켓(500)에 굴러갈 수 있게 설치된 바퀴(600)를 구비하며, 브라켓(500)과 바퀴(600)는 바퀴결합부재(510)에 의해 볼팅 결합, 나사 결합 등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결합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대차(1)가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경우, 바퀴부(500, 600)가 아닌 지지부(300)가 대차(1)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지지 효율이 높다.The wheels 500 and 600 have a bracket 500 connected to the support 300 and a wheel 600 installed on the bracket 500 so that the bracket 500 and the wheel 600 can be rotated. May be coupled by a wheel coupling member 510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be readily enga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uch as bolting, screwing,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carriage 1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fixing device 10 of the carriage, the supporting portion 300 supports the load of the carriage 1, not the wheels 500 and 600, so that the supporting efficiency is high.

이 때, 지지부(300)가 하강하여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의해 대차(1)가 고정되는 경우, 바퀴부(500, 600)는 지면에 닿거나 공중에 떠 대차(1)를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다만, 바퀴부(500, 600)가 대차(1)를 이동시킬 수 없다면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의해 대차(1)가 고정되는 경우 바퀴부(500, 600)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unit 300 is lowered and the bogie 1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the wheels 500 and 600 are moved to the ground or to move the bogie 1 in the air Can not. However, if the wheel unit 500 or 600 can not move the carriage 1, the position of the wheel unit 500 or 600 is not limited when the carriage 1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10 of the carriage.

또한, 바퀴부(500, 600)는 지지부(300)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므로 실제 대차의 고정 장치(10)가 대차(1)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차(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작업자가 용이하게 대차(1)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바퀴부(500, 600)가 회전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wheel units 500 and 600 can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300,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truck 1 when the fixing device 10 of the actual vehicle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1. [ . However, if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truck 1, the method and structure for rotating the wheels 500, 600 are not limited.

또한, 해지레버(710)는 고정레버(7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별도의 구조를 생략하므로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lease lever 71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lever 700, a separate structure is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또한, 구동부(700, 710)의 하부에 연결되고, 링크부(800)에 구비된 제1 연결축(810)에 결합된 걸림부재(72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바디부(200)는, 걸림부재(720)가 걸리는 걸림턱(240)을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n engaging member 72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s 700 and 710 and coupled to a first connecting shaft 810 provided in the link unit 800. At this time, the body part 200 includes a latching jaw 240 to which the latching member 720 is caught.

또한, 바디부(200)의 내면과 지지부(300)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되어, 지지부(300)가 상승 또는 하강운동을 하는 경우 바디부(200)와 지지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을 줄이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00 are subjected to nylon surface treatment in order to reduce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200 and the support part 300 Reduces friction and reduces noise and prevents wear.

또한, 받침부(400)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420)를 포함하여 대차의 고정 장치(1)의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받침부(400)는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1)를 고정시키고 작업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400 inclu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420 for adjusting the he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fixing device 1 of the balancer can be precisely adjusted. The receiving unit 40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operator can fix the carriage 1 and perform other operations.

이하,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xing apparatus 10 of the bogie 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4B.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대차(1)에 설치된 대차의 고정 장치(10)의 발로 외력을 가해 고정레버(700)를 누르면, 링크부(800)에 의해 상기 외력이 구동축(230)에 전달되어 지지부(300)를 하강시켜 받침부(400)가 지면에 닿게 되어 대차(1)를 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링크부(800)가 하강하면서 걸림부재(720)가 걸림턱(240)에 걸리므로 지지부(300)의 움직임을 저지하게 된다.3A and 4A, when an operator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foot of the fixing device 10 mounted on the carriage 1 and presses the fixing lever 700,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230 So that the support unit 300 is lowered and the support unit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fixing the bogie 1 to the ground. At this time, since the engaging member 720 is caught by the engaging jaw 240 while the link portion 800 is lowered,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portion 300 is prevented.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면,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의해 대차(1)가 지면에 고정된 경우 작업자가 해지레버(710)를 누르면 해지레버(710)와 연결된 걸림부재(720)가 걸림턱(240)에서 살짝 아래로 내려가면서 걸림현상이 풀리게 된다. 이 때,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해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3B and 4B, when the bogie 1 is fixed to the ground by 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braking lever 710, the braking member 720 connected to the braking lever 710 The latching jaw 240 is slightly lowered and the latching phenomenon is released. At this tim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it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s. 3A and 4A.

또한, 본 고안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는 대차(1)의 하부면 중 외곽에 위치하여 체결부(100)는 대차(1)의 하부면에 체결되고 구동부(700, 710)는 대차(1)의 하부면 밖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고정레버(700) 및 해지레버(710)를 발로 누를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10 of the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gie 1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00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gie 1, 700, and 710 may be formed out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age 1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ress the fixing lever 700 and the release lever 710.

본 고안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고정 장치(10)에 의하면 작업자가 평지뿐만 아니라 경사진 곳에서도 대차(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해지레버(710)가 고정레버(700)위에 설치되므로 생산비를 감소시키고 생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퀴부(500, 600)와 지지부(300)를 결합시킴으로써, 대차(1)에 바퀴와 대차의 고정 장치(10)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x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embodiment, the operator can stably fix the bogie 1 even at the inclined place as well as the flat position, and the releasing lever 710 can be fixed to the fixing lever 7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In addition, by coupling the wheels 500, 600 with the support 300,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the wheel and the truck fixing device 10 on the truck 1,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space efficienc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대차
10: 대차의 고정 장치
100: 체결부
200: 바디부
300: 지지부
400: 받침부
500, 600: 바퀴부
700, 710: 구동부
800: 링크부
1: Bogie
10: Fixing device of truck
100:
200:
300:
400:
500, 600:
700, 710:
800: link portion

Claims (9)

대차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차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장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축이 관통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의 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
상기 체결부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해지레버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체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축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지레버는 상기 고정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상기 바디부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나일론 표면 처리되는, 대차의 고정 장치.
A fixing device for a bogie, which fixes a bogie to the floor,
A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ruck;
A body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for compressing or relaxing the elastic member located therein and a slot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penetrates;
A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and through which the penetrating shaft pass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wheel portion having one wheel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 driving unit disposed parallel to the coupling unit and including a fixing lever for lowering the support uni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a release lever for lifting the support unit; And
And a link portion tha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through shaft and the driving portion,
The release lever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lever,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adjusting member for height adjustment,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wheel portion is rotatabl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re nylon surface-treat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에 구비된 제1 연결축에 결합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대차의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k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coupled to a first connection shaft provided on the link unit,
And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atching jaw to which the catching member is cau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40000327U 2014-01-15 2014-01-15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KR2004780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7U KR200478006Y1 (en) 2014-01-15 2014-01-15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7U KR200478006Y1 (en) 2014-01-15 2014-01-15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2U KR20150002882U (en) 2015-07-23
KR200478006Y1 true KR200478006Y1 (en) 2015-08-17

Family

ID=5387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27U KR200478006Y1 (en) 2014-01-15 2014-01-15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06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2U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8909A1 (en) Semi-trailer fixing device for railway transportation
KR101450625B1 (en) Trolley
US9809144B2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JP6903768B2 (en) Cargo loading system
US9745002B2 (en) Movable platform system for pickup truck
KR101760923B1 (en) Moving cart for heavyweight with trapped part
US8337127B2 (en) Latch arrangement for cargo restraint
KR200478006Y1 (en)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KR200429036Y1 (en) Structure of slide load frame
KR200478007Y1 (en) The fixing apparatus for a cart
KR101515221B1 (en) Floor Lock for cart
KR101635367B1 (en) Carrier
CN211765789U (en) Casting and forging piece conveying device
US10738491B2 (en) Positioner for mobile work platforms
KR100790321B1 (en) Structure of slide load frame
CN106494479B (en) A kind of engine cylinder cover line reprocesses vehicle
KR101323758B1 (en) Stopper for moving device
KR20120007320U (en) Evenness jig for car deck
KR101808031B1 (en) Locking apparatus for container
US10391617B1 (en) Canopy removal and storage systems and methods
JP5940889B2 (en) Fall prevention device
KR20180007882A (en) Landing apparatus of latch type for Movable structure of multipurpose
KR102442501B1 (en) Hand crane equipped with fixation device
US8100624B2 (en) Sack truck
KR101743889B1 (en) Forklift fork length adj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