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14Y1 -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 Google Patents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14Y1
KR200477514Y1 KR2020140006465U KR20140006465U KR200477514Y1 KR 200477514 Y1 KR200477514 Y1 KR 200477514Y1 KR 2020140006465 U KR2020140006465 U KR 2020140006465U KR 20140006465 U KR20140006465 U KR 20140006465U KR 200477514 Y1 KR200477514 Y1 KR 20047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witch
e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양순
Original Assignee
신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13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751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양순 filed Critical 신양순
Priority to KR2020140006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1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셀카봉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셀카봉을 구성하는 다단 접철식 연장대의 길이가 변하더라고 셀카봉의 스위치에 연결된 배선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으며, 별도의 밧데리를 사용하지 않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ar bar, which has a switch on a cellar bar, and even when the length of the multi-stage foldable extension constituting the cellar bar is changed, the length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switch of the cellar bar is not changed, It is about the cellar rods.

Description

셀카봉{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본 고안은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셀프 카메라를 적당한 거리에서 찍을 수 있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upporting rod, which is a self-supporting rod that allows a user to take a self-camera at a suitable distance by using a smart phone by allowing the user to separate the self-supporting rod.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카메라를 별도로 가지고 다니지 않으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빈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에 장착된 렌즈의 구경이 작아 카메라에 비해 영상이 어둡게 촬영되거나 역광일 때 사람의 얼굴을 식별할 수 없는 문제 등이 발생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와 비교할 때 영상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는 있으나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이 점점 보급화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smartphones expands, the number of times that people take pictures using smart phones is increasingly increasing, without carrying a separate camera. The size of the lens attached to the smartphone is so small that the image is darker than the camera, or when the backlight is not able to identify the human face, the quality of the image is lowered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m separately, and photographing using a smart phone is becoming more popular.

그런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의 모습과 배경을 적합하게 촬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스마트폰을 손에 든 상태에서 최대한 팔을 멀리 이격시켜도 신체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대략 30cm ~ 60cm 정도의 거리밖에 이격시킬 수 없으므로 촬영자와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사진 촬영을 위한 충분한 거리만큼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However,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in using a smart phone to shoot a proper figure and background without help of others. Even with your smartphone in your hand, you can keep your arms as far apart as you can, but you can keep them away from the distance of about 30cm ~ 60cm. It is because there is no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셀카봉이라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거치대 하단에 연결되고 휴대 시에는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사용 시에는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하는 연장대가 구비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셀카봉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을 대략 1m 내외 추가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과 촬영자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거리 확보가 가능하여 촬영자가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ellar rod is recently used. The cellar bar is a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a cradle that mounts the smartphone and an extension tha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radle and keeps the length of the cradle at a short time while it is used. By using such a stick,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photographer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ince the smartphone can be further separated by about 1 meter or more, so that the photographer can obtain a desired image.

셀카봉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문제는 사진을 원하는 시점에 촬영하도록 하는 별도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 타이머 촬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스마트폰에서 사진 촬영을 타이머 방식으로 변경한다. 그런 후,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킨 후 연장대를 뽑아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시킨 후 타이머가 작동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머를 이용한 촬영 방식은 타이머가 작동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힘들고 촬영자가 그 시점에 경직되는 경향을 보여서 표정이 살아있는 사진 촬영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problem that arises when using a cellar rod is that a separate technique is required to photograph the image at a desired point in time. The usual way to use it is to use timer shooting when taking pictures using a smartphone. To briefly explain how to use it, the smart phone changes the picture taking to the timer method first. Then, after the smartphone is fixed to the cradle, the extension is pulled out, separated by the desired distance, and then waiting for the timer to work.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timing when the timer is operated and the photographer tends to be stiff at that point of time.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697호 (2014.03.21.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1697 (published on March 21, 201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셀카봉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스위치를 눌렀을 때 스위치 누름 신호를 별도의 밧데리 또는 무선 통신모듈과 같은 고가의 모듈을 사용함이 없이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in a cellular phone bar and to transmit a switch push signal to a smart phone without using an expensive module such as a battery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about the cellar rods.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적절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는 셀카봉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40)와, 거치대(40)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 끼움부재(20a, 20b, 20c)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다단 접철식 연결대(20)와, 연결대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일 단은 상기 연결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타 단은 상기 연결대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이어잭 연결선(53)과, 이어잭 연결선(53)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는 이어잭(51)과, 다단 접철식 연결대(20)를 구성하는 최외각(가장 큰 직경을 갖는)에 위치하는 끼움부재(20c)의 표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0)와, 최외각(가장 큰 직경을 갖는)에 위치하는 끼움부재(20c)의 표면을 따라 상기 스위치(10)로부터 상기 이어잭 연결선(53)의 일 단까지 설치되는 두 가닥의 배선(10a, 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which photographs images using a camera attached to a smartphone while maintaining a proper distance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The smartphone includes a cradle 40 for mounting a smartphone, 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unit 20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0a, 20b and 20c and is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in multiple stages,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jack connecting line 53. The earphone socke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socket of the smartphone, A switch 10 installed on a surface of a fitting member 20c located at an outermost (largest diameter) constituting the multi-stage foldable link 20, Large diameter And two wirings 10a and 10b provided from the switch 10 to one end of the ear connector connecting line 53 along th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20c located at the rear end It can be achieved by a cellar rod.

본 고안의 셀카봉은 스마트폰의 이어잭 소켓에 삽입되는 이어잭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별도의 전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도 셀카봉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 설정을 음성 신호 인식으로 전환시키고, 본 고안에 따른 셀카봉은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스위치가 눌러질 때 스마트폰에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었다.By using the earphone jack inserted in the earphone socket of the smartphone,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smartphon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witch provided on the smartphone charger is oper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In addition, the camera shooting setting of the smartphone is switched to voice signal recognition, and the cellular phon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to the smartphone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reby facilitating camera shooting.

본 고안의 셀카봉은 촬영 시점을 스마트폰에 알리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데 다단 접철식 연장대가 길게 늘어나더라도 스위치에 연결된 배선의 길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여 접점 단자가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었다.
The self-styling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witch for informing the smartphone of the shooting time point. Even if the multi-fold folding extension is extended, the length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switch is not influenced so that the contact terminal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damag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셀카봉으로서 연장대를 최소 길이로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셀카봉으로서 거치대가 제외된 상태에서 연장대를 최대 길이로 연장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셀카봉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와 이어잭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가봉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와 이어잭 사이의 회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ongated bar is folded to a minimum length as a self-support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bar is extended to the maximum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stand is removed as a self-support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ate of a switch element and an ear jack provided in a cella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between a switch element and an ear jack provided in a cell evacuation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셀카봉으로서 연장대를 최소 길이로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셀카봉으로서 거치대가 제외된 상태에서 연장대를 최대 길이로 연장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연장대를 최대 길이로 연장시킬 경우 스위치(10)와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연장대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더라도 스위치(10)와 연결되는 배선을 안정적으로 스마트폰과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위치(10)가 눌러질 경우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밧데리를 사용함이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치가 필요하게 되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align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align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tended perspective view. 2, the distance between the switch 10 and the smartphone is changed when the extension is extended to the maximum length. Therefore, even if the length of the extens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it is necessary to stably connect the wire connected to the switch 10 with the smartphone so as to be stably conne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n the switch 10 is pushed, a power source must be supplied, so that it is necessary to use a separate battery so as to be able to supply power to the switch.

본 고안에 따른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40)와, 거치대(40)를 고정 및 지지시키는 고정기구와, 다단의 결합체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를 줄이거나 연장시킬 수 있는 연장대(20)로 구성된다. 거치대(40)는 스마트폰을 타이트하게 거치시키는 기구물로서, 스마트폰의 크기에 적합하게 수평방향(A) 또는 수직방향(B)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거치대(40) 하부에는 거치대 결합구(31)가 구비된다. 거치대 결합구(31)는 원형 회전구와 이러한 원형 회전구의 일 축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홈을 갖는 숫나사로 구성된다. 거치대 결합구(31) 하부에는 내부에 거치대 결합구(31)의 원형 회전구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일 측에는 원형 회전구를 고정시키는 조절나사(37)가 구비되는 결합 고정부(35)가 구비된다. The handkerchie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adle 40 for mounting a smartphone,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cradle 40, an extension 20 for reducing or extending the entire length, . The holder 40 is a mechanism for tightly mounting the smartphone,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or the vertical direction (B)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martphone. A cradle coupling (31) is provided under the cradle (40). The mount coupling hole 31 is formed of a circular rotary shaft and a male screw which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one axis of the circular rotary shaft and has a screw groove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coupling fixing part 35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31 for coupling the circular rotation hole of the coupling part 31 to the coupling part 31 and has an adjusting screw 37 for fixing the circular rotary part. .

하부는 연결대(20)를 구성하는 다단 접철식 끼움부 중에서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제1끼움부재(20a) 상부 원주 외면과 접착되도록 결합되며, 상부 외면은 결합 고정부(35)의 하면의 내측 원주면에 삽입되면서 접착 결합되는 상부캡(39)이 구비된다. 상부캡(39)에는 상부에서 중간 이하까지 설치되는 절개부(39a)가 형성되며, 절개부(39a)를 통해서 내부 빈 공간으로 공급되는 이어잭 연결선(53)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e lower part is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t member 20a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among the multi-step foldable type fitting parts constituting the connecting rod 20, and the upper outer surface is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upper cap 39 which is adhesively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cap 39. The upper cap 39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39a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o a middle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39a and the ear hook connection line 53 supplied to the inner void space through the cutout portion 39a is protruded to the outside.

연결대(20)는 다단 접철식 끼움부재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 안테나, 지시봉 등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대(20)를 구성하는 최외각의 제3끼움부재(20c)의 외부 표면에는 돔형 스위치(10)가 구비되고, 돔형 스위치(10)와 연결되는 두 가닥 배선(10a, 10b)은 제3끼움부재(20c) 외면을 따라 하부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3끼움부재(20c)의 하부 영역부터 중간 영역까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그립부(11)가 설치된다.The connecting rod 20 can be changed in length by a multi-stage foldable type bottom member, and is usually used for an antenna, a pointer, etc.,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will be omitted. The dome-type switch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third fitting member 20c constituting the connection block 20 and the two-layer wiring 10a and 10b connected to the dom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20c. A grip portion 11 is provided as a portion held by a user from the lower region to the middle region of the third bottom member 20c.

제3끼움부재(20c)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부 마개(15)가 구비된다. 제3끼움부재(20c) 외면을 따라 배치되며 돔형 스위치(10)로부터 인축되는 두 가닥의 전선은 인쇄회로기판(59)과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59)으로부터 인출되는 두 가닥의 전선은 연결대(20) 내부 빈공간을 통해 상부까지 이동한 후 상부캡(39)의 절개부(39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A lower stopper 15 for accommod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in is provided below the third bottom member 20c. Two wires arrang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am member 20c and drawn out from the dome type switch 10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and two wires drawn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ard (Not shown) through the cutout portion 39a of the upper cap 39 after moving 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inner hollow space of the upper cap 39 and the upper portion.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연결대(20)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마개(15)와 연결되는 이어잭 연결선은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연결대(20)가 길어지더라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돔형 스위치(10)부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돔형 스위치(10)와 연결된 전선이 단락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Even if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block 20 is adjusted by such a structure, the ear hook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lower stopper 15 is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lock 20 can be sufficiently prepared even if the connection block 20 is long.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witch 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lways kept constant,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dome type switch 10 is short-circuite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셀카봉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와 이어잭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3끼움부재(20c)의 외면에 돔형 스위치(10)가 구비되고, 돔형 스위치(10)와 연결되는 배선(10a, 10b)은 제3끼움부재(20c)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어 하부 마개(15)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9)과 단자 a, 단자 b를 통해 연결된다. 하부 마개(15)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9)의 단자 c 및 단자 d는 이어잭(51, 도 2)과 연결되는 이어잭 연결선(53)과 연결된다. 이어잭 연결선(53)은 연결대(20)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상부캡(39)의 절개부(39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나선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하였다. 제3끼움부재(20c)의 외면에는 그립부(11)가 설치되어 돔형 스위치(11)부터 인쇄회로기판(59) 사이에 연결되는 배선을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좋은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립부(11) 내측 외면에는 돔형 스위치(10)와 연결되는 두 가닥 전선이 지나가는 홈이 구비되도록 하였다(미 도시). 제3끼움부재(20c)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그립부(11) 상부를 덮는 보호덮개(13)를 구비하여 돔형 스위치(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후 보호덮개(13)를 통해 눌러지도록 구성하였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ate of a switch element and an ear jack provided in a cella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dome type switch 1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ottom member 20c and the wirings 10a and 10b connected to the dome type switch 10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ottom member 20c, 15 via a terminal a and a terminal b.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provided in the lower stopper 15 are connected to an ear jack connecting line 53 connected to the ear jack 51 (FIG. 2). The jack connecting line 53 is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39a of the upper cap 39 through a hollow space inside the connecting block 20 and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he grip portion 1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ottom member 20c to protect the wiring connected between the dome type switch 1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and provide a good grip to the user. In the insid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1, a groove through which two stranded wires connected to the dome type switch 10 are passed is provided (not shown). The protective cover 13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1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ttom member 20c is constructed so that the dome type switch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n pressed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13. [ Respectively.

하부 마개(15)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고, 빈 공간에 인쇄회로기판(59)이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마개(1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9) c단자와 d단자에 연결된 이어잭 연결선만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구멍만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다단 접철식 연결대(20)를 최대 길이로 인장시켰을 때, 인쇄회로기판(59) c단자와 d단자에 연결된 이어잭 연결선(53)을 인쇄회로기판(59)과 바로 연결할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59) c단자와 d단자에 연결된 이어잭 연결선(53)의 납땜 부위가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납땜이 떨어지지 않도록 이어잭 연결선(53)은 하부 마개(15) 내부에서 구멍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매듭을 형성한 후 해당 구멍을 통해 다단 접철식 연결대(20) 내부 빈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다단 접철식 연결대(20)를 완전히 펼치더라도 인쇄회로기판(59) c단자와 d단자에 형성된 납땜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The lower stopper 15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mpty space is provided therei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59 is accommodated in an empty spac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stopper 1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so that only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can escape to the outside . When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block 20 is stretched to the maximum length by this structure, when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53 connected to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There is a risk that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53 connected to the terminal c and the terminal d of the circuit board 59 is dropp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risk, the ear hook connecting line 53 is formed so as to form a kno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ole in the lower stopper 15, Respectively.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on block 20 is completely opened,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oldering formed on the terminals c and 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가봉에 구비되는 스위치 소자와 이어잭 사이의 회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밧데리를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므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거나 스위치를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전원 또는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을 이용하여 두 가지 형태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4 is a circuit diagram between a switch element and an ear jack provided in a cell evacuation st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configuring not to use the batte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power source that can be generated by itself using a pressing force of a switch or a renewable energy Should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to be supplied from the smartphone is used to form two types.

첫 번째 형태는 도 4(a)에 도시된 회로 구성으로 적용한 것이다. 이어잭(51)의 스피커(SPK)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c와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 단자 c는 내부에서 단자 b와 연결된 후, 돔형 스위치(10)을 거쳐 인쇄회로기판 단자 a와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 단자 a는 내부에서 단자 d와 연결된 후, 이어잭(51)의 마이크(MIC) 단자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사용자가 돔형 스위치(10)를 누르면, 이어잭의 스피커(SPK)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이어잭의 마이크(MIC) 단자로 들어가면서 스마트폰에 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이다.The first form is appli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a). The speaker (SPK) terminal of the ear jack 5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 inside and then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a via the dome- do.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a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d and then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terminal of the ear jack 51. When the user presses the dome-shaped switch 10, a current supplied from the speaker (SPK) terminal of the earphone enters a microphone (MIC)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and applies a signal to the smartphone.

두 번째 형태는 도 4(b)에 도시된 회로 구성으로 적용한 것이다. 이어잭(51)의 스피커(SPK)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c와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 단자 c는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 관리부(52)와 연결된다. 전원 관리부(52)는 스피커(SPK)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모듈이다. 돔형 스위치 소자는 단자 a 및 단자 b를 통해 신호 생성부(54)와 연결된다. 신호 생성부(54)는 전원 관리부(5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돔형 스위치(10)가 닫힐 경우 이어잭의 마이크(MIC) 단자에 촬영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듈이다.
The second form is applied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b). The speaker (SPK) terminal of the ear jack 5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52 provided therein. The power management unit 52 is a module that generates power using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speaker (SPK) terminal. The dome-shaped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ing section 54 through the terminal a and the terminal b. The signal generator 54 is a modul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hotographing start signal to a microphone (MIC) terminal of the ear jack when the dome type switch 10 is closed using a power source applied through the power management unit 52.

본 고안에 제시된 셀카봉을 이용하여 셀프 카메라를 찍는 방식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에서 카메라 설정모드를 '음성촬영'모드로 설정한다(STEP 10). 본 고안에 제시된 셀카봉의 거치대(40)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킨 후(STEP 20),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이어잭(51)을 스마트폰 이어잭 소켓에 삽입한다(STEP 30).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연결대(20)를 길게 뽑아 적절한 길이로 셋팅한 후(STEP 40), 연결대에 제공되는 돔형 스위치(10)를 누르면(STEP 50) 셀프 카메라 촬영이 완성된다.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taking a self-camera by using the self-contained rod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et the camera setting mode to 'voice recording' mode on the smartphone (STEP 10). After the smart phone is mounted on the hold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STEP 20), the earphone 5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socket of the smartphone (STEP 30). After preparing the self-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nnecting rod 20 is pulled out to set an appropriate length (STEP 40), and the dome-type switch 10 provided at the connecting rod is pressed (STEP 50).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고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separately to represent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which does not mean that each component is composed of separate hardware or one software constituent unit. That is, each constituent unit is included in each constituent uni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t least two constituent units of the constituent units may be combined to form one constituent unit, or one constituent uni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stituent units to perform a function. The integrated and separate embodiment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10: 돔형 스위치 11: 그립부
13: 보호덮개 15: 하부 마개
20: 연장대
20a: 제1끼움부재 20b: 제2끼움부재
20c: 제3끼움부재 31: 거치대 결합구
35: 결합 고정부 37: 조절나사
39: 상부캡 39a: 절개부
40: 거치대 52: 전원 관리부
53: 이어잭 연결선 54: 신호 생성부
59: 인쇄회로기판
10: dome type switch 11: grip portion
13: protective cover 15: lower stopper
20: Extension stand
20a: first fitting member 20b: second fitting member
20c: third fitting member 31:
35: joint fixing part 37: adjusting screw
39: upper cap 39a:
40: cradle 52: power management unit
53: ear jack connecting line 54:
59: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5)

삭제delete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는 셀카봉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대(40)와,
상기 거치대(40)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 끼움부재(20a, 20b, 20c)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길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다단 접철식 연결대(20)와,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20)의 하부에는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20) 하부를 막으며, 내부에는 내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마개(15)와,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9)와,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일 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59)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타 단은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이어잭 연결선(53)과,
상기 이어잭 연결선(53)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이어폰 소켓에 삽입되는 이어잭(51)과,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20)를 구성하는 최외각(가장 큰 직경을 갖는)에 위치하는 끼움부재(20c)의 표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0) 및
상기 최외각(가장 큰 직경을 갖는)에 위치하는 끼움부재(20c)의 표면을 따라 상기 스위치(10)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59)까지 설치되는 두 가닥의 배선(10a, 10b)과,
상기 하부 마개(15)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좁은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다단 접철식 연결대(20)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되는 이어잭 연결선(53)은 상기 좁은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59)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잭 연결선(5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59)와 연결되는 일 단과 상기 좁은 구멍 사이에서 상기 좁은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In a cellar bar for photographing using a camera attached to a smart phone,
A cradle 40 for mounting the smartphone,
A multi-stage folding type connecting rod 2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stand 40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ttoming members 20a, 20b, 20c,
The lower end of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rod 20 is closed at the bottom of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rod 20,
A printed circuit board (59)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The other end of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through an internal hollow space of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rod. The other end of the multi- ,
An ear jack 51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ar connector connecting line 53 and inserted into an earphone socket of the smart phone,
A switch 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20c located at the outermost (largest diameter) constituting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block 20 and
Two wirings 10a and 10b provided from the switch 1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along th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20c located at the outermost (with the largest diameter)
The lower stopper (15) is provided with a narrow hole formed in its upper portion,
An ear jack connecting line (53) provided in an internal hollow space of the multi-stage foldable type connecting rod (2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through the narrow hole,
Wherein the ear connector connecting line (53) is formed with a knot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narrow hole between one en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and the narrow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9)에는 상기 스위치(10)와 연결되는 두 개의 단자(a단자, b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이어잭 연결선(53)과 연결되는 두 개의 단자(c단자, d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inted circuit board 59 is provided with two terminals (a terminal and b terminal) connected to the switch 10 and two terminals (c terminal and d terminal) connected to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53. [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자는 상기 이어잭 연결선(53)을 통해 상기 이어잭(51)의 스피커(SPK)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d단자는 상기 이어잭 연결선(53)을 통해 상기 이어잭(51)의 마이크(MIC)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The method of claim 3,
The c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aker (SPK) terminal of the ear jack 51 through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53. The 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51 of the ear jack 51 via the ear jack connecting line 53. [ (MIC) terminal.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c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관리부(52)와,
상기 a단자 및 b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관리부(5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스위치(10)가 닫히는 신호에 의해 카메라 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d단자로 제공하는 신호 생성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ower management unit 52 connected to the terminal c and supplied with power,
A signal generating component connected to the a terminal and the b terminal and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management section 52 and generating a camera photographing signal by a signal that the switch 10 closes and providing the camer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d terminal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are further provided.
KR2020140006465U 2014-09-01 2014-09-01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KR2004775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65U KR200477514Y1 (en) 2014-09-01 2014-09-01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65U KR200477514Y1 (en) 2014-09-01 2014-09-01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514Y1 true KR200477514Y1 (en) 2015-06-17

Family

ID=5351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65U KR200477514Y1 (en) 2014-09-01 2014-09-01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514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481A (en) 2016-02-01 2016-02-19 이기영 The stick with servo moter for smartphone selfie
KR20170127153A (en) 2016-05-11 2017-11-2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Mobile cradle installing a device for a mobile
KR101948607B1 (en) * 2018-08-29 2019-04-02 고운택 Free Rotating Apparatus for Electric Devices
KR20200094989A (en)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ipod with remote contr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839B2 (en) * 1996-04-02 2001-07-1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Driving cable waterproof device for auto sliding door
JP2010224506A (en) * 2009-03-19 2010-10-07 Takeshi Inoue Back scratcher of camera
KR20140000986U (en) * 2012-05-25 2014-02-12 젱리앙 리 A Bluetooth Remote-Control Photograph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839B2 (en) * 1996-04-02 2001-07-1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Driving cable waterproof device for auto sliding door
JP2010224506A (en) * 2009-03-19 2010-10-07 Takeshi Inoue Back scratcher of camera
KR20140000986U (en) * 2012-05-25 2014-02-12 젱리앙 리 A Bluetooth Remote-Control Photograph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481A (en) 2016-02-01 2016-02-19 이기영 The stick with servo moter for smartphone selfie
KR20170127153A (en) 2016-05-11 2017-11-21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Mobile cradle installing a device for a mobile
KR101948607B1 (en) * 2018-08-29 2019-04-02 고운택 Free Rotating Apparatus for Electric Devices
KR20200094989A (en)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ipod with remot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514Y1 (en) Rod for self photographing with smart phone
FI106167B (en) Hand release module
US9473190B1 (en)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WO2003079169A3 (en) Flexible foldable keyboard
KR20040089090A (en) Collapsi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N104967716A (en) Multifunctional self-photographing rod
WO2018101538A1 (en) Selfie stick having auxiliary battery
JP2013207325A (en) Image pickup device equipped with accessory shoe
US20160248962A1 (en) Handle-Type Photo Shooting Remote Control Device
CN108900755A (en) A kind of camera module and terminal
JPWO2017014227A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30126873A (en) Hand phone
CN104468884A (en) Mobile terminal camera and mobile terminal
CN201893821U (en) Mobile terminal with magnifying glass function
JP4313545B2 (en) Folding mobile phone device with camera
CN208940014U (en) A kind of intelligent mobile device with flexible folding screen
JP2007199908A (en) Emoticon input apparatus
KR101616542B1 (en) Portable terminal cradle
CN206130501U (en) Self -timer bar
CN209419828U (en) A kind of wireless audio receiver
JP384833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N203120024U (en) Camera shoo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200071524A (en) Self photographing stick having function for wireless charging of smart device
WO2017177568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ystem
JP3500563B2 (en) Power warning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07

Effective date: 2016011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37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808

Effective date: 201611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