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49Y1 -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49Y1
KR200477349Y1 KR2020150000683U KR20150000683U KR200477349Y1 KR 200477349 Y1 KR200477349 Y1 KR 200477349Y1 KR 2020150000683 U KR2020150000683 U KR 2020150000683U KR 20150000683 U KR20150000683 U KR 20150000683U KR 200477349 Y1 KR200477349 Y1 KR 20047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main outlet
form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2020150000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내용물이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함체와, 이 용기함체의 상단에서 나사맞춤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하측 전체가 개방부를 이루고, 상면은 야구공의 모양중 소정부분의 모양을 3등분하여 제1덮개모양부, 중심측의 주출구를 커버한 상태의 제2덮개모양부 및 제3덮개모양부를 이루는 덮개면부를 이루는 용기뚜껑과,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하향 원추형을 이루되 위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수개의 링형틀체, 이들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들, 최상단은 상기 용기함체의 상연부에 안착되는 안착링을 형성하고, 최하측 링형틀체은 개구공간에 날개형의 교반익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뚜껑과 용기함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파지홈,이 파지홈에서 연결되는 배출로 및 이 배출로로 둘러싸이는 원형 주출구를 형성하고, 뒷부분은 회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축홈을 형성하는 개폐면부; 및 상기 축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를 형성하고, 이 축돌기의 사이에 가이드편을 형성하며, 전방 저면에는 동심원상 돌출되어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제2밀폐링을 형성하는 회동캡부 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Cap for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of comprising them}
본 고안은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쉐이커(shaker,음료혼합용기,이하 음료용기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혼합되어진 음료 배출시 주출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개폐용 캡(이하 회동캡부라 함)이 구현된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쉐이크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고, 용기함체와 뚜껑은 긴밀한 결합을 위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내용물이 넘쳐 나오지 않도록 기밀성이 강화되어 왔다.
아울러, 쉐이크 용기들은 대부분 내부에 혼합 혹은, 교반(혼합: 2가지 이상의 물질이 화학적인 결합을 하지 아니하고 섞이는 일을 의미하고, 교반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이므로 혼합과 교반의 정의에서 화학적인 변화가 없이 2가지 이상의 물질을 섞어준다는 의미)용 구조를 내장하여 내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해당하는 예로는 도 1a 내지 도 lc가 공개되어 있다. 이것들에 따르면,
음료용기의 상단 개방부로 결합되며, 상단 일측으로 음료배출구가 관통 형성된 뚜껑몸체와, 상기 뚜껑몸체의 음료배출구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음료배출구의 상부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밀폐수단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뚜껑으로서, 음료배출구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은 뚜껑몸체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회동작동에 의해 음료배출구를 밀폐하는 마개와, 마개의 상단으로 힌지결합되어 상하회동작동에 의한 지렛대원리로 상기 마개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뚜껑몸체는 상부 내측으로 요입되어 바닥면을 갖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이 요입부의 바닥면 일측에 음료배출구가 형성되며, 이 요입부 양측면에는 제1힌지공과 제2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의 상단으로 가압돌기가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요입부의 바닥면 중앙으로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요입부로 상기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폐수단 마개의 내부에는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공간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 내부 측면에는 손잡이가 힌지결합되기 위한 제2힌지공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의 외부 양측에는 제1힌지가 돌출형성되어 제1힌지가 상기 뚜껑몸체의 제1힌지공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뚜껑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용기뚜껑의 문제점은 음료 배출구가 밀폐력없이 닫혀져 용기함쳬의 전도시 혹은 사용중 배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음료수가 새어나오거나 쉐이커 같은 경우 혼합,교반시 내압으로 인해 배출구측으로 내용물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용기뚜껑에 여러 가지 동물을 형상화한 것이 알려져 있고, 용기내부에 교반부재가 내장되어 용기를 흔들어 혼합,교반하기 위한 프로펠러형의 날개가 형성된 것등이 알려져 있으나, 용기뚜껑의 위에 추가적으로 동물모양을 구성하는 것은 금형제작상 그리 어렵지는 않지만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들을 가능하면 용기뚜껑의 기본 형태를 변형하지 않으면서 소정의 모양을 형상화함이 필요로 되는 것이고, 아울러 용기함쳬내에 충전된 물이나 음료수에 기타 분말상의 재료를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용 교반수단이 회전날개만을 수평위치에 형성한 구조이므로 교반효율이 개선되지는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용기함체와 뚜껑만으로 이루어지되 뚜껑 자체에서 음료수 주출구의 개폐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용기뚜껑에 주출구 개폐수단을 강구하더라도 회동,개폐되는 밀폐캡의 회동궤적을 정밀하게 하여 회동,개폐시 정확하게 주출구가 차단되는 밀폐능력을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회동,개폐수단의 밀폐성에 더하여 주출구 개폐시의 주출구면과 개폐수단의 접촉부분을 보강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개폐,회동되는 주출구 마개수단의 축돌기,축홈의 X축 축점이 이동되더라도 주출구에 이르는 캡의 회동궤적이 수 개의 가이드편에 의하여 정확한 궤적으로 회동됨으로써 주출구에 덮여지는 밀폐링의 압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개페캡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개페캡의 선단 아래면에 형성된 주출구 개폐구조가 동심원상 내측 돌출링이 주출구 내경에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링형틀에 연질의 밀폐성을 보강하는 돌출링부재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주출구 내경 압입면도 경사면을 형성하되 그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압입후에는 견고하게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출구 밀폐상태가 향상된 용기뚜껑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뚜껑의 형상을 특정 스포츠, 예를들면 야구와 같은 스포츠용품에 어울리는 형상을 이루게 하되 용기뚜껑의 기본형상을 변형하지 않는 용기뚜껑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음료용기 내부에서 혼합되어 섞이는 분말상의 음료와 물의 혼합이 잘 섞이도록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음료용 예비재료를 별도 보관하지 않고 음료용기에 휴대,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용 용기뚜껑은,
덮개면부의 제2덮개모양부에서 주출구가 열린 상태로서, 앞부분은 수직면까지 요입시켜 파지홈,이 파지홈에서 연결되는 배출로 및 이 배출로로 둘러싸이는 원형 주출구를 형성하고, 뒷부분은 후방측에서 수직면으로 연결되도록 깊게 요입된 회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회동공간 양측 내면에 축홈을 형성하는 개폐면부; 및 상기 개폐면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회동,개폐하도록 소정의 평판형의 몸체를 이루되, 그 후방 양측면을 수직,연장하여 상기 축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를 형성하고, 이 축돌기의 사이에 상기 회동공간을 따라 접촉하면서 회동하는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을 형성하며, 전방 저면에는 동심원상 돌출되어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제2밀폐링을 형성하되, 제2밀폐링의 하단부는 상기 주출구에 압입되어 걸림,해제되는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회동캡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용기뚜껑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용 용기뚜껑은 상기 회동캡부의 연질 가이드편은 길이를 달리하여 수 개의 선단접속면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공간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가이드홈에 상기 선단접속면이 대응하여 접속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용 용기뚜껑의 상기 주출구는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단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캡부의 제2밀폐링은 그 하단 연부측에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 걸림연부가 걸림턱에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용기는,
원통형을 이루고, 내용물이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함체와; 이 용기함체의 상단에서 나사맞춤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하측 전체가 개방부를 이루고, 상면은 야구공의 모양중 소정부분의 모양을 3등분하여 제1덮개모양부, 중심측의 주출구를 커버한 상태의 제2덮개모양부 및 제3덮개모양부를 이루는 덮개면부를 이루는 용기뚜껑; 및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하향 원추형을 이루되 위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수개의 링형틀체, 이들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들, 최상단은 상기 용기함체의 상연부에 안착되는 안착연부를 형성하고, 최하측 링형틀체는 개구공간에 날개형의 교반익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뚜껑과 용기함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덮개면부의 제2덮개모양부에서 주출구가 열린 상태로서, 앞부분은 수직면까지 요입시켜 파지홈,이 파지홈에서 연결되는 배출로 및 이 배출로로 둘러싸이는 원형 주출구를 형성하고, 뒷부분은 후방측에서 수직면으로 연결되도록 깊게 요입된 회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회동공간 양측 내면에 축홈을 형성하는 개폐면부; 및 상기 개폐면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회동,개폐하도록 소정의 평판형의 몸체를 이루되, 그 후방 양측면을 수직,연장하여 상기 축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를 형성하고, 이 축돌기의 사이에 상기 회동공간을 따라 접촉하면서 회동하는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을 형성하며, 전방 저면에는 동심원상 돌출되어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제2밀폐링을 형성하되, 제2밀폐링의 하단부는 상기 주출구에 압입되어 걸림,해제되는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회동캡부; 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음료용기의 상기 용기뚜껑의 덮개면부는 야구공의 일부면을 평면 형상화하는 것으로서, 상,하연부를 원호형으로 짧게 형성하고, 좌,우 양측면은 길이방향 오목하게 C형으로 모양을 이루는 제2덮개모양부와, 이 제2덮개모양부를 중심에 두고 좌,우 양측면에 C형 볼록면부로서 대응하되 외측의 연부도 반원호형으로 볼록면을 이루되 수직면을 따라 짧게 연장되는 다수 라인을 형성하는 제1,제3덮개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 음료용기의 용기함체의 하측에 나사맞춤의 분말재료 보관통;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용기뚜껑과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 용기는,
용기뚜껑의 형상을 야구와 같은 특정 스포츠용품에 어울리는 형상을 이루게 하되 용기뚜껑의 기본형상을 변형하지 않도록 한 용기뚜껑과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음료용기 내부에서 혼합되어 섞이는 분말상의 음료와 물의 혼합이 잘 섞이도록 하는 교반수단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용기함쳬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뚜껑 자체에서 음료수 주출구의 개폐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용기뚜껑에 강구된 주출구 개폐수단이 X축의 회동과 개폐,회동되는 Y축 궤적을 정밀하게 하여 주출구와 밀폐수단이 정확하게 차단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개페캡의 선단 아래면에 형성된 주출구 차단구조가 동심원상 내,외측 돌출링으로 이루어진 1차 밀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출구 내측 경사면을 타고 압입되는 개폐부재가 연질의 돌출링으로 이루어져 주출구가 2차적으로 밀폐됨으로써 주출구 차단시 밀폐가 크게 개선되어 용기함쳬가 넘어지거나 혹은 강하게 흔들더라도 쉽게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음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개폐구조로도 밀폐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음료용 예비재료를 별도 보관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하측 나사맞춤 조립되는 보관통에 휴대,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알려진 용기뚜껑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들의 예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 용기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용기뚜껑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 뚜껑의 회동캡부가 열린상태의 용기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 용기뚜껑만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 용기뚜껑의 회동캡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5a, 5b는 본 고안 용기뚜껑의 주출구에 회동캡부의 잠금,해제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용기뚜껑의 회동캡부가 열린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a,7b는 본 고안 용기함체의 발췌사시도와 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교반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보관통의 발췌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용기뚜껑을 갖는 음료용기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용기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 뚜껑의 회동캡부가 열린상태에서 본 용기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 용기뚜껑만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 용기뚜껑의 회동캡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5a, 5b는 본 고안 용기뚜껑의 주출구에 회동캡부의 잠금,해제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용기뚜껑의 회동캡부가 열린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a,7b는 본 고안 용기함체의 발췌사시도와 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교반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보관통의 발췌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용기함체(1)와, 용기뚜껑(2)과, 재료보관통(3)과 용기함체(1)내에 설치되는 교반부재(4)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3 내지 도 6에 따르는 본 고안의 용기 뚜껑(2)은,
용기함체(1)의 상단에서 암나선부(27)로 나사맞춤 결합되는 원통형을 이룸과 동시에 평면형태가 뚜껑(2)의 덮개면부(20)가 갖는 야구공의 모양'
Figure 112015009929559-utm00001
'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용기함체(1)에 교반부재(4),뚜껑(2)을 조립하고 보관통(3)을 결합한다.
이 용기뚜껑(2)의 하측 전체는 개방부를 이루고, 상면은 주출구(22)를 구비한 덮개면부(20)로서, 야구공에 나타난 소정부분의 모양을 3등분하여 평면상 제1덮개모양부(20a), 제2덮개모양부(20b) 및 제3덮개모양부(20c)로 구분한다.
특히, 제2덮개모양부(20b)는 회동캡부(5)가 덮여진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회동캡부(5)가 열려진 상태에서 나타난다. 회동캡부(5)가 열린상태의 제2덮개모양부(20b)를 특히,개폐면부(20b)라고도 칭한다.
덮개면부(20)중 제1,제3덮개모양부(20a)(20c)는 각각 반원호형 외주연을 따라 수직면에서 연장된 수 개 라인을 짧게 형성하여 야구공 모양의 실밥부분을 형상화하고, 이 제1,제3덮개모양부(20a)(20c)사이의 제2덮개모양부(20b)는 상기 제1,제3덮개모양부(20a)(20c)의 내측의 연부에 대응하여 상,하방으로 C형모양이 대칭적으로 모양을 이루되 좌,우에 주출구(20)와,회동공간(21)을 각각 형성하되 주출구(20)와 회동공간(21)사이에 양측면이 대략 C형(반원호형일 수 있음)의 볼록면(부호생략)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개폐면부(20b)(회동캡부가 열린상태의 제2덮개모양부)는 그 앞부분의 수직면까지 요입시켜 파지홈(26)을 이루고, 이 파지홈(26)을 따라 연속하여 요입되면서 주출후의 잔여 내용물이 스스로 흘러내리도록 잔수배출로(23)를 형성하며, 주출구(22)는 이 잔수배출로(23)가 둘러싸듯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시킨 원형의 주출구(20)를 형성한다.
특히, 주출구(22)는 내경면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22a)을 형성하되 그 단부에는 걸림,해제가 가능한 걸림턱(22b)을 형성하여 회동캡부(5)의 압착으로 압입되는 후술하는 연질의 걸림연부(52a)와 소정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개폐면부(20b)의 뒷부분은 후방측에서 수직면으로 연결되도록 깊게 요입된 회동공간(21)을 형성함과 동시에 회동공간(21) 양측 내면에 축홈(21a)을 형성하며, 폭방향으로 원호형의 접촉곡면(21b)를 형성한다. 접촉곡면(21b)에는 가이드홈(2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폐면부(20b)에는 회동,개폐되는 회동캡부(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리고 닫히게 된다.
회동캡부(5)는 평면상의 판체로서 상,하단부는 원호상 짧고, 좌,우측면은 보다 길게 내측으로 C형 오목면을 형성한 독립적인 판 형상을 갖는다.
회동캡부(5)의 후단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축홈(21a)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54)를 형성하고, 축돌기(54)의 사이에 회동공간(21)을 따라 접촉하면서 회동하는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56)을 회동공간(21)의 접촉곡면(21b) 혹은 가이드홈(21c)에 안내되어 접촉하도록 길이를 달리하여 수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판체로 이루어진 회동캡부(5)의 선단 저면은 동심원상 하향돌출되어 주출구(22)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51),제2밀폐링(52)을 형성하며, 제1밀폐링(51)은 하향 길이를 짧게 하고, 제2밀폐링(52)의 하향 길이는 보다 길게 하되 서로 길이가 다른 제1,제2밀폐링(51)(52)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삽입홈(53)을 형성한다.
이 삽입홈(53)에는 전술한 주출구(22)가 회동캡부(5)의 개폐작동시 삽입되며, 제2밀폐링(52)의 하단부는 주출구(22)에 압입되어 걸림,해제되는 연질의 걸림연부(52a)를 형성한다.
첨부 도면중 도 8은 본 고안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교반부재(4)는 인체내 흡수되더라도 무해한 연질 합성수지재, 혹은 고무재로서, 하향 원추형을 이루되, 위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수개의 링형틀체(42), 이들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대(44)로서 종,횡으로 연결되어 통공(45)를 형성하고, 최상단에는 상기 용기함체(1)의 상연부에 안착되는 안착연부(41)를 이루고, 최하측 링형틀체(42)는 용기함체(1)의 공간(10)에서 교반작동하도록 날개형의 교반익(43)을 형성하며, 교반익(43)은 물론 모든 링형틀체(42)와 지지대(44)로 연결되어진 사이의 통공(45)을 통하여 용기함체(1)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흔들어 물과 함께 충전된 음용재료의 교반,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7a,7b 및 도 9에 따르는 본 고안의 용기함체(1)는,
상단은 개방부를 이루되, 상,하 내측으로 내용물 충전 공간(10)을 형성하도록 함체주벽(11)을 이루며, 이 함체주벽(11)의 상단 외측으로 소정폭으로 숫나선부(12)를 형성하고, 이 숫나선부(12)하측에 용기뚜껑(2)과 밀착되는 테두리(15)를 형성한 대략 원통형의 용기함체(1)를 이룬다. 용기함체(1)의 하단에는 공간(10)과 구분되도록 막히되 소정길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재료보관통(3)이 조립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받침주벽(14)을 형성하고, 그 받침주벽(14)내측에 암나선부(13)를 형성한다.
재료보관통(3)은 상방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원통형의 납작한 용기로서, 용기함체(1)의 하측 암나선부(13)에 나사맞춤되도록 숫나선부(31)을 상단 외측에 소정폭으로 형성하며, 내측에 수용공간(30)에 필요한 분말재료를 충전하여 보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용기뚜껑(2)의 회동캡부(5)의 축돌기(54)를 축홈(21a)에 조립하여 회동가능하게 한 뒤 주출구(22)에 회동캡부(5)의 제1,제2밀폐링(51)(52)을 압입, 밀착함으로써 평면형태의 덮개면부(20)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야구공의 모양'
Figure 112015009929559-utm00002
'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용기함체(1)에 교반부재(4),뚜껑(2)을 조립하고 보관통(3)을 결합한다.
즉, 원통형 용기함체(1)의 상단에서 내측 공간(10)에 위치하도록 교반부재(4)의 상연부 안착연부(41)를 재치시킨 뒤 용기뚜껑(2)의 하단 암나선부(27)를 숫나선부(12)에 나사맞춤으로 조립하고, 용기함체(1)의 하단에 재료보관통(3)과 용기함체(1)내에 설치되는 교반부재(4)로 이루어진다.
사용시에는 뚜껑(2),교반부재(4),보관통(3)을 분리시킨 뒤 보관통(3)내 음용 가능한 분말상의 재료를 용기함체(1)내 공간(10)에 소정량 넣고 물을 충전한 뒤 교반부재(4)를 재치함과 동시에 뚜껑(2)을 조립하고, 보관통(3)도 용기함체(1) 하측에 조립한 뒤 용기함체(1)를 적당한 방향으로 흔들어 내용물을 충분히 혼합,교반시킨다.
이후 뚜껑(2)에 밀착 유지되는 회동캡부(5)를 열기 위하여 파지홈(26)에 손가락을 넣어 회동캡부(5)의 선단측을 밀어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주줄구(22)와 제1,제2밀폐링(51)(52), 특히, 제2밀폐링(52)의 하단 걸림연부(52a)와 걸림턱부(22b)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순간적으로 강하게 밀어 올리면 딸깍하는 음을 내면서 밀착,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회동캡부(5)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출구(22)를 개방한 한 뒤 혼합 유지된 내용물을 사용자의 입으로 가져가 음용하게 된다. 이때, 기울어진 주출구(22)의 방향에 따라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으며, 대부분 용기함체(1)를 안정상태로 유지하지만 주출구(22) 주위에 형성된 배출로(23)를 타고 파지홈(26)측으로 흘러내려 주출구(22) 주위의 내용물의 지저분한 남김을 거의 제거하게 된다.
사용후, 회동캡부(5)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동캡부(5)를 축돌기(54)를 축으로 회동시키면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며, 이때 주출구(22)와의 밀착상태를 위하여 순간적인 압박으로 회동캡부(5)의 선단측을 누르면 주출구(22)는 제1,제2밀폐링(51)(52)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53)에 삽입,압착됨과 동시에 그 순간 제2밀폐링(52)의 하단연부측에 형성된 걸림연부(52a)가 경사면(22a)을 타고 점차 밀착되면서 하향 이동하다가 소정길이에 이르면 걸림턱(22b)에서 걸림연부(52a)가 약간 튀어나와 걸림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출구(22)와 제2밀폐링(52)의 밀착유지는 용기함체(1)의 전도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주출구의 밀착,압입 상태는 종래의 각종 주출구 개폐장치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이중적인 밀폐,차단구조를 제공하지만 본 고안은 회동캡부(5)의 정확한 회동궤적을 유지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회동캡부(5)의 제1,제2밀폐링(51)(52)이 정확하게 회동후 주출구(22)에 압입되도록 후단부의 축돌기(54)도 정밀한 X축 고정상태가 필요하지만 이 축돌기(54),축홈(21a)의 미세한 유동은 사후 조립으로 인해 발생될 수 밖에 없는 X축의 유동성있는 축범위이지만 본 고안은 이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였다.
즉, 본 고안의 회동캡부(5)의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56)은 축돌기(54)의 사이에 수 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접속면(56a)은 회동공간(21)의 가이드홈(21c)에 길이를 달리하여 수 개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캡부(5)의 회동이 시작되면 가이드홈(21b)에 선단접속면(56a)이 접속하면서 회동함으로써 회동캡부(5)의 회동시 발생되는 X축이 미세한 축심의 오차가 있더라도 회동캡부(5)의 회동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주출구(22)와 삽입홈(53)에의 삽입이 오차없이 압입되어 차단됨으로써 반복적인 개폐작동에도 불구하고 손상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동안 음료수를 담은 용기의 대부분은 내부에 교반부재를 구성하였지만 본 고안 교반부재(4)와 같이 수개의 링형틀체(42)와 지지대(44)를 종,횡형성하고, 최하단 개구공간에는 날개형을 이루는 교반익(43)을 형성하여, 마치 상,하로 강하게 출렁이는 물과 재료가 날개형 교반익(43)을 통하여 1차, 혹은 측면의 수개 링형틀체(42)과 지지대(4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충분한 교반,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동안 알려진 단지 날개형만의 교반익을 용기함체(1)내 공간(10)에 형성한 어떠한 구조의 교반구조에 비하여 교반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재료보관통(3)은 용기함체(1)의 하측에 필요한 재료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알려진 바와 같이 공간(10)을 분할하여 각종 음용가능한 혼합재료의 보관도 가능할 것이다.
1:용기함체, 2:용기뚜껑, 3:재료보관통, 4:교반부재, 5:회동캡부, 10:공간, 11:함체주벽, 12:숫나선부, 13:암나선부, 14:받침주벽, 15:테두리, 20:덮개면부, 20a:제1덮개모양부,20b:제2덮개모양부,20c:제3덮개모양부, 21:회동공간, 21a:축홈, 21b:접촉곡면, 21c:가이드홈, 22:주출구, 22a:경사면, 22b:걸림턱, 23:잔수배출로, 26:파지홈, 27:암나선부, 30:수용공간, 31: 숫나선부, 41:안착연부, 42:링형틀체, 43:교반익, 44:지지대, 45:통공, 51:제1밀폐링, 52:제2밀폐링, 52a:걸림연부, 53:삽입홈, 54:축돌기, 56:가이드편, 56a:선단접속면.

Claims (5)

  1. 음료용 용기뚜껑에 있어서,
    덮개면부에서 회동캡부가 열린 상태의 제2덮개모양부의 앞부분은 수직면으로 요입된 파지홈을 이루고,이 파지홈에서 연결되는 잔수배출로를 이루되, 이 잔수배출로로 둘러싸이도록 원형의 주출구를 이루며, 뒷부분은 후방측에서 수직면으로 연결되도록 깊게 요입된 회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회동공간 양측 내면에 축홈을 형성하는 개폐면부; 및
    상기 개폐면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회동,개폐하도록 소정의 평판형의 몸체를 이루되, 그 후방 양측면을 수직,연장하여 상기 축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를 형성하고, 이 축돌기의 사이에 상기 회동공간을 따라 접촉하면서 회동하는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을 형성하며, 전방 저면에는 동심원상 돌출되어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제2밀폐링을 형성하되, 제2밀폐링의 하단부는 상기 주출구에 압입되어 걸림,해제되는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회동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출구는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단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캡부의 제2밀폐링은 그 하단 연부측에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 걸림연부가 걸림턱에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회동캡부의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은 상기 회동공간의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길이를 달리하여 밀착,접촉하는 수개의 선단접속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뚜껑.
  3. 삭제
  4. 원통형을 이루고, 내용물이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함체와;
    이 용기함체의 상단에서 나사맞춤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하측 전체가 개방부를 이루고, 상면은 야구공의 모양중 소정부분의 모양을 3등분하여 제1덮개모양부, 중심측의 주출구를 커버한 상태의 제2덮개모양부 및 제3덮개모양부를 이루는 덮개면부를 이루는 용기뚜껑; 및
    연질 합성수지재로서, 하향 원추형을 이루되 위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수개의 링형틀체, 이들을 수직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들, 최상단은 상기 용기함체의 상연부에 안착되는 안착링을 형성하고, 최하측 링형틀체은 개구공간에 날개형의 교반익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뚜껑과 용기함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덮개면부에서 회동캡부가 열린 상태의 제2덮개모양부의 앞부분은 수직면으로 요입된 파지홈을 이루고,이 파지홈에서 연결되는 잔수배출로를 이루되, 이 잔수배출로로 둘러싸이도록 원형의 주출구를 이루며, 뒷부분은 후방측에서 수직면으로 연결되도록 깊게 요입된 회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회동공간 양측 내면에 축홈을 형성하는 개폐면부; 및
    상기 개폐면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회동,개폐하도록 소정의 평판형의 몸체를 이루되, 그 후방 양측면을 수직,연장하여 상기 축홈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축돌기를 형성하고, 이 축돌기의 사이에 상기 회동공간을 따라 접촉하면서 회동하는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을 형성하며, 전방 저면에는 동심원상 돌출되어 상기 주출구를 개폐하도록 제1밀폐링,제2밀폐링을 형성하되, 제2밀폐링의 하단부는 상기 주출구에 압입되어 걸림,해제되는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회동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캡부의 수개의 연질 가이드편은 상기 회동공간의 접촉곡면에 길이를 달리하여 밀착,접촉하는 수개의 가이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주출구는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단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캡부의 제2밀폐링은 그 하단 연부측에 연질의 걸림연부를 형성하여, 걸림연부가 걸림턱에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덮개면부는 야구공의 일부면을 평면 형상화하는 것으로서, 상,하연부를 원호형으로 짧게 형성하고, 좌,우 양측면은 길이방향 오목하게 C형으로 모양을 이루는 제2덮개모양부와, 이 제2덮개모양부를 중심에 두고 좌,우 양측면에 C형 볼록면부로서 대응하되 외측의 연부도 반원호형으로 볼록면을 이루되 수직면을 따라 짧게 연장되는 다수 라인을 형성하는 제1,제3덮개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20150000683U 2015-01-29 2015-01-29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KR20047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83U KR200477349Y1 (ko) 2015-01-29 2015-01-29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83U KR200477349Y1 (ko) 2015-01-29 2015-01-29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349Y1 true KR200477349Y1 (ko) 2015-06-10

Family

ID=5351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683U KR200477349Y1 (ko) 2015-01-29 2015-01-29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4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558U (ko) * 1985-08-14 1987-02-27
JPH0732438Y2 (ja) * 1990-11-22 1995-07-26 東洋製罐株式会社 レバー付易開放栓
KR20090101105A (ko) * 2008-03-21 2009-09-24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분배 및 밀봉 기구를 갖춘 액체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558U (ko) * 1985-08-14 1987-02-27
JPH0732438Y2 (ja) * 1990-11-22 1995-07-26 東洋製罐株式会社 レバー付易開放栓
KR20090101105A (ko) * 2008-03-21 2009-09-24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분배 및 밀봉 기구를 갖춘 액체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146B2 (en) Lid assembly with button-actuated rotating straw mechanism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RU2685097C2 (ru) Крыш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EP0615509B1 (en) Substance containment apparatus and method
EP2835075B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20230043263A1 (en) A blender for a powder-based beverage
US10994901B2 (en) Cap for a drinking vessel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20120031902A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69080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AU2019418426A1 (en) Container lid with rotatable sipper and flexible handle
KR20110076853A (ko) 용기
KR200477349Y1 (ko) 용기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US20220324637A1 (en) Capsule for the delivery of a solute to a recptacle
TWI736438B (zh) 蓋體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10008482A (ko) 혼합기능을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