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64Y1 -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 Google Patents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64Y1
KR200477264Y1 KR2020130008145U KR20130008145U KR200477264Y1 KR 200477264 Y1 KR200477264 Y1 KR 200477264Y1 KR 2020130008145 U KR2020130008145 U KR 2020130008145U KR 20130008145 U KR20130008145 U KR 20130008145U KR 200477264 Y1 KR200477264 Y1 KR 200477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hole
nuts
cross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410U (en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이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호 filed Critical 이태호
Priority to KR2020130008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64Y1/en
Publication of KR20150001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1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6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6Cushions or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대와 세로대를 연결시켜서 당구대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1 너트,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2 너트,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3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으로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너트에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서 동시에 나사 결합하는 양방향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역회전시켜서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양방향 고정볼트와, 제1 및 제2 너트들을 통하여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시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분해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접합면의 정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for constructing corners of a billiard table by connecting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comprising: a first nut inserted into a first hole formed adjacent to a joining edge of a cross bar; A second nut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and a second hol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from a third hole facing each other at a corner of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lled together to integrally coupl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by rotating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together, or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Corner of a billiard table configured to push the second nuts in opposite directions and separate the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from each other Sum provides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or separat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t a time through on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thereby facilitating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and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joint surface, and even if the disassembly and the assembly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precision of the joint surface can be kept good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본 고안은 당구대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가로대와 세로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각으로 연결되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하나의 양방향 볼트와 복수의 너트를 사용하여 일시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of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constituting corners of a billiard table, and more specifically,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which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can be easily fixed at one time using a single bidirectional bolt and a plurality of nu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an improved billiard tabl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has a strong coupling structure to greatl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일반적으로, 당구대는 직사각 테이블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 테두리에는 복수의 가로대와 세로대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고 있다.Generally, a billiard table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table, and a plurality of cross bars and a vertical bar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form a square corner.

이와 같은 당구대는 당구장에 옮겨져서 제위치에서 조립되어 사용되는데, 보통은 1 년에 3~4회 정도 천갈이를 하게 되며, 이때에는 당구대의 조립 역순으로 분해후, 천을 교채하여 재조립하게 되며, 비교적 빈번하게 분해, 조립을 하는 제품이다.Such a billiard table is moved to a billiard room and assembled at the same position. Usually, the billiard table is used three to four times a year. At this time, the billiard table is disassembled in the reverse order of assembly, It is a product that disassembles and assembles frequently.

또한, 이와 같은 당구대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 및 부분품을 개선하여 한 부분품이라도 절감할 수 있다면, 그 만큼 제작 및 조립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분해 조립의 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어서 현장 조립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f such a billiard table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parts and parts constituting the billiard tabl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assembly cost, and the time for disassembly and assembly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종래에는 당구대를 조립하기 위하여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 조립 공정에 다수의 고정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특수 연결 부품들을 사용하여 직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었다.Conventionally, when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are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assemble a billiard table, a plurality of fixing bolts and nuts are used in the assembling process, or they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using separate special connecting parts.

예를 들면, 별도의 접합부재 등을 "ㄱ"자 형태로 가공하고, 다수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분해 조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정밀성이 반복적으로 반감되어 접합면이 정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도출되는 폐단이 있었다. For example, when a separate joining member or the like is formed into an "a " shape and connected by using a plurality of screws or the like, the accuracy is repeatedly reduced by half during the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failure to get out.

또한,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들을 각각 별도로 준비하는 번거로움과,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현장 작업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bolts and nuts are used, it takes a lot of time to prepare these parts separately, and the assembling time is required to be individually reassembled in the fiel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시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분해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접합면의 정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t a time so that the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is simple and easy, and the rigid coupling structure can greatl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orner joint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in which the precision of the joint surface can be maintained well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even if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repeatedly performed.

또한 본 고안은 현장에서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최소한의 구성 부품으로 가로대와 세로대의 신속한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조립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현장 조립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on-site assembly work by greatly shortening the assembling work time by enabling quick assembling of crossbar and vertical bar with minimum component parts in case of disassembly and assembling in the fiel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로대와 세로대를 연결시켜서 당구대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oining structure in which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are connected to form a corner of a billiard table,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1 너트;A first nut inserted into a first hole formed adjacent to a joining edge of the cross bar;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2 너트;A second nut inserted into a second hole formed adjacent to the joining edge of the vertical bar;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3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으로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너트에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서 동시에 나사 결합하는 양방향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역회전시켜서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A bidirectional fixation in which both side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from a third hole facing each other at the junction edge of the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and are simultaneously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nuts in different screw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lled together to integrally join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by rotating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in a forward direction, or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ull the first and second nuts against each other To thereby separat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from each other.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구멍은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단홈과,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상기 제1 절단홈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단홈이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홈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으로는 제1 볼트공이 가로대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홈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는 제2 볼트공이 세로대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트공 내부에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의 양방향 나사산이 각각 위치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Preferably, the third hole has a first cut groove formed concavely at a corner of the cross bar, and a second cut groove formed conca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t groove at a corner of the vertical bar, Wherein a first bolt hole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cross bar from the first cut groove and a second bolt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hole from the second cut groove to the second hole, And a bi-directional screw thread of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is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bolt holes,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는 중앙부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제3 구멍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3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체결 공구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Preferably,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 is formed with a polygonal head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readed portion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head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third hol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lled together to integrally join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or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sh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 corner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for separating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from each other is provided.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너트는 그 테두리가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대의 제1 구멍과 상기 세로대의 제2 구멍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구멍내에서 각각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로 향한 각각의 측면에는 나사공의 둘레에 직경이 확대된 원추면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와의 결합시 양방향 나사산의 단부를 나사공으로 각각 안내하여 나사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nuts have a polygonal rim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seated in the first hole of the crosspiece and the second hole of the vertical bas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les are resp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in the reverse rotation, and a conical surface having a diameter enlarged around the screw hole is formed on each of the side surfaces toward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ner joint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whi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threading by guiding the ends of the bi-directional threads to the threaded holes.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대 또는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의 일측면에는 안내 키(key)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 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상기 세로대 또는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의 밀착 결합시, 가로대와 세로대의 수평 레벨을 일치시키도록 구성된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Preferably, a guide key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joining edge of the cross bar or the vertical bar, and a key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key is formed concavely in the joining edge of the vertical bar or the cross bar, There is provided a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configured to match horizontal levels of a cross bar and a vertical bar when the cross bar is tightly coupled with the vertical bar.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대에 끼워지는 제1 너트와, 세로대에 끼워지는 제2 너트를 양방향 고정볼트로 연결하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역회전시켜서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ut fitted to the cross bar and the second nut fitted to the vertical bar are connected by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and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are rotated forward to pull the first and second nuts toge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sh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o separat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from each other.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양방향 고정볼트와, 제1 및 제2 너트들을 통하여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시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분해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접합면의 정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or separate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t a time through one bi-directional fixing bolt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thereby facilitating disassembly and assemb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by maintaining the precision of the joint surface well even if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repeatedly performed.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하면 현장에서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최소한의 구성 부품으로 가로대와 세로대의 신속한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조립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현장 조립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is performed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quickly assemble the crossbars and the vertical bands with the minimum number of component parts,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assembling work time, Excellent effec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당구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lliard table to which an ed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whole.
2 is an exploded assembl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joint structure of 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assembly sectional view showing a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a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대(102)의 사방 모서리에서 각각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연결시켜서 직각 모서리를 구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as a whole, the corner joint structure 100 of the billiard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t four corners of the billiard table 102 to form a right angle corner.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04)의 접합 모서리(104a)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구멍(112)으로 삽입되는 제1 너트(110)를 구비한다.The billiard corner fitting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nut 110 inserted into a first hole 112 formed adjacent to a joining edge 104a of the cross bar 104, .

또한, 상기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6a)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구멍(122)으로 삽입되는 제2 너트(120)를 포함한다.And a second nut 120 inserted into a second hole 122 formed adjacent to the joining edge 106a of the vertical pole 106. [

이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 너트(110,120)는 그 테두리가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로대(104)의 제1 구멍(112)과 상기 세로대(106)의 제2 구멍(122) 내에 안착된다.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have a polygonal rim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112) and the second hole (122) of the vertical pole (106).

따라서,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너트(110,120)는 이후에 설명되는 양방향 고정볼트(140)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구멍(112,122)내에서 각각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이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are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first and second holes 112 and 122, respectively, whe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

또한,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너트(110,120)는 상기와 같은 사각형의 구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단면, 예를 들면 원기둥형상의 너트 또는 육각 모서리 너트등, 볼트와 결합가능하며 너트 기능을 하는 임의의 단면 모두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include a rectangula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can be combined with a bolt such as a cylindrical nut or a hexagonal nut, Lt; RTI ID = 0.0 > a < / RTI >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100)는, 상기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4a,106a)에서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3 구멍(130)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112,122)으로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너트(110,120)에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서 동시에 나사 결합하는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포함한다.The corrugated joint structure 100 of 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rner holes 104a and 106a of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re separated from the third hole 130, And a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s (112, 122) and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120) simultaneously in different screw directions.

이와 같은 상기 제3 구멍(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04)의 접합 모서리(104a)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단홈(132a)과,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6a)에서 상기 제1 절단홈(132a)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단홈(132b)이 상호 작용하여 형성된 것이다.1 and 2, the third hole 130 has a first cut groove 132a formed concavely in the joining edge 104a of the cross bar 104 and a second cut groove 132a formed in the joining edge 104a of the cross bar 104, And second cutting grooves 132b formed in the corners 106a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utting grooves 132a and facing each other.

이와 같이 제3 구멍(130)을 형성하는 제1 절단홈(132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상기 제1 구멍(112)으로 향하는 제1 볼트공(134a)이 가로대(104)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홈(132b)은 그 내측에 상기 제2 구멍(122)으로 향하는 제2 볼트공(134b)이 세로대(106)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3, the first cutting groove 132a forming the third hole 130 has a first bolt hole 134a directed to the first hole 112 in the inside thereof, And the second cut groove 132b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vertical base 106 and the second bolt hole 134b directed toward the second hole 122 is formed horizontally inside the vertical base 106 have.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볼트공(134a,134b) 내부에는 양방향 고정볼트(140)의 양방향 나사산(142a,142b)이 각각 위치된다.Bidirectional threads 142a and 142b of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bolt holes 134a and 134b.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다각형의 머리부(144)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양방향 나사산(142a,142b)들이 각각 형성된 구조이다.As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has a polygonal head 144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bi-directional threads 142a and 142b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따라서, 이와 같은 양방향 고정볼트(140)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들이 제1 및 제2 너트(110,120)에 각각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정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너트(110,120)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역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s 140 are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rotated forward, the first and second nuts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can be pulled to each other to integrally couple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Whe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104 and the vertical pole 106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머리부(144)가 제3 구멍(130)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3 구멍(130)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체결 공구(150)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다.4, the head portion 144 of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positioned in the third hole 130, so that the fastening bolt 140, which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hole 130, (15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은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로 향한 각각의 측면에서 나사공(114,124)의 둘레에 직경이 확대된 원추면(116,126)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와의 결합시 양방향 나사산(142a,142b)의 단부를 나사공(114,124)으로 각각 안내하여 나사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3 and 4,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preferably have a diameter (diameter) around the screw holes 114 and 124 at the respective sides toward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By forming the enlarged conical surfaces 116 and 126 respectively, the ends of the bi-directional threads 142a and 142b are guided by the screw holes 114 and 124, respectively, whe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engag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104) 또는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4a,106a)의 일측면에는 안내 키(key)(1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 키(160)에 대응하는 키홈(162)이 상기 세로대(106) 또는 가로대(104)의 접합 모서리(104a,106a)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1 and 2, the corner joining structure 100 of th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joining edges 104a and 106a of the cross bar 104 or the vertical bar 106 is provided with a guide key and a key groove 162 corresponding to the guide key 160 is recessed in the joining edges 104a and 106a of the vertical base 106 or the cross base 104. [

따라서, 상기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밀착 결합시, 안내 키(160)는 정해진 위치의 키홈(162)으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가로대(104)와 세로대(106)가 항상 정해진 수평 레벨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re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key 16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6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lways mainta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vel So as to be stab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04)의 제1 구멍(112)으로는 제1 너트(110)를 삽입하고, 세로대(106)의 제2 구멍(122)으로는 제2 너트(120)를 삽입한다.3, a first nut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12 of the cross bar 104, and the first nut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12 of the cross bar 104, And the second nut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122 of the second housing 106.

그리고, 상기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4a,106a)에서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3 구멍(130)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112,122)측으로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삽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는 제1 볼트공(134a)과 제2 볼트공(134b)내에 위치된다.The bidirectional fixing bolts 140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holes 112 and 122 from the third holes 130 formed at the joining edges 104a and 106a of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nd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positioned in the first bolt hole 134a and the second bolt hole 134b.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로대(104) 또는 세로대(106)의 접합 모서리(106a)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 키(key)(160)를 세로대(106) 또는 가로대(104)의 접합 모서리(104a)에 오목하게 형성됨 키홈(162)으로 밀어 넣고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밀착 결합시키면, 안내 키(160)는 정해진 위치의 키홈(162)으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가로대(104)와 세로대(106)가 항상 정해진 수평 레벨을 유지하면서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되게 밀착되고, 양방향 고정볼트(140)는 서로 다른 방향의 양방향 나사산(142a,142b)들이 제1 및 제2 너트(110,120)에 각각 밀착된다.In this state, a guide key 160 formed on one side of the joining edge 106a of the cross bar 104 or the vertical bar 106 is connected to the joining edge 104a of the vertical bar 106 or the cross bar 104, The guide key 160 is slid into the key groove 162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re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62, And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s 14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respectively, with bidirectional threads 142a and 142b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while the first and second nuts 106 and 106 are stably stuck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vel .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에 형성된 직경이 확대된 원추면(116,126)들은, 각각 양방향 나사산(142a,142b)의 단부를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의 나사공(114,124)으로 각각 안내하여 나사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The enlarged diameter conical surfaces 116 and 126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s of the bidirectional threads 142a and 142b are inserted into the screw holes 114 and 124 of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So that the screw connection is facilitat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멍(130)을 통해서 체결 공구(150)를 삽입하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정회전시키면 양방향 나사산(142a,142b)들이 각각 제1 및 제2 너트(110,120)에 동시에 나사결합하면서 제1 및 제2 너트(110,120)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일체로 쉽게 결합시키게 된다.4, when the fastening tool 150 is inserted through the third hole 130 and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is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the bidirectional threads 142a,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are pul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ross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can be easily and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by screwing them simultaneously to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이와 같은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결합 상태에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분리시키고자 한다면, 체결 공구(150)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140)를 역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밀어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서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If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r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 cross 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 140 is reversely rotated through the fastening tool 150,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can be pushed simultaneously in opposite directions to easily separate the crossbar 104 and the crossbar 106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양방향 고정볼트(140)와,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을 통하여 가로대(104)와 세로대(106)를 일시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분해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어서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접합면의 정밀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bar 104 and the vertical bar 106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at one time through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And it is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by greatly maintaining the precision of the joint surface even when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repeatedly performed.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현장에서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최소한의 구성 부품으로 가로대(104)와 세로대(106)의 신속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현장 조립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performed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crossbars 104 and the vertical rods 106 with the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work time, The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양방향 고정볼트(140)와 제1 및 제2 너트(110,120)들을 나란하게 병렬 배치하거나, 안내 키(160)와 키홈(162)을 다수 나란하게 병렬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임의의 다각 형상으로 양방향 고정볼트(140)의 머리부(144)를 구성하거나, 제1 및 제2 너트(110,120)의 테두리 형상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structur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on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or the guide key 160 and the keyway 16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Further, the head 144 of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140 may be formed in an arbitrary polygonal shape, or the shape of the rims of the first and second nuts 110 and 120 may be configured.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all such obv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102: 당구대
104: 가로대 106: 세로대
104a,106a: 접합 모서리 110: 제1 너트
112: 제1 구멍 114,124: 나사공
116,126: 원추면 120: 제2 너트
122: 제2 구멍 130: 제3 구멍
132a: 제1 절단홈 132b: 제2 절단홈
134a: 제1 볼트공 134b: 제2 볼트공
140: 양방향 고정볼트 142a,142b: 양방향 나사산
144: 머리부 150: 체결 공구
160: 안내 키(key) 162: 키홈
100: Corner coupling structure of billiard table 102: Pool table
104: crossbar 106: vertical bar
104a, 106a: joining edge 110: first nut
112: first hole 114, 124:
116, 126: conical surface 120: second nut
122: second hole 130: third hole
132a: first cutting groove 132b: second cutting groove
134a: first bolt hole 134b: second bolt hole
140: bi-directional fixing bolt 142a, 142b: bi-
144: head part 150: fastening tool
160: key 162: keyway

Claims (5)

가로대와 세로대를 연결시켜서 당구대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1 너트;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구멍으로 삽입되는 제2 너트;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제3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으로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너트에 서로 다른 나사방향에서 동시에 나사 결합하는 양방향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를 역회전시켜서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In the coupl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to form the corners of the billiard table,
A first nut inserted into a first hole formed adjacent to a joining edge of the cross bar;
A second nut inserted into a second hole formed adjacent to the joining edge of the vertical bar;
A bidirectional fixation in which both side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oles from a third hole facing each other at a joint edge of the crossbar and the vertical bar and are simultaneously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nuts in different screw directions Bolts < / RTI >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lled together to integrally join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by rotating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shed in opposite directions by reversely rotating the bidirectional fastening bolts, The billiard table has an edge coupl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멍은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절단홈과,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에서 상기 제1 절단홈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절단홈이 서로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홈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으로는 제1 볼트공이 가로대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홈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는 제2 볼트공이 세로대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트공 내부에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의 양방향 나사산이 각각 위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hole has a first cutting groove recessed at a joining edge of the cross bar, and a second cutting groove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tting groove at a joining edge of the vertical bar, A first bolt hole is formed horizontally inside the cross bar from the first cut groove and a second bolt hole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vertical bar from the second cut groove to the second hole, Wherein a bi-directional thread of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lt hol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는 중앙부에 다각형의 머리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제3 구멍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3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진입하는 체결 공구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너트를 서로 당겨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일체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 및 제2 너트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분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3]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of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has a polygonal head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readed portion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head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third hole,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lled together so that the cross bar and the vertical bar are integrally joined together or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push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ba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너트는 그 테두리가 다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대의 제1 구멍과 상기 세로대의 제2 구멍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구멍내에서 각각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로 향한 각각의 측면에는 나사공의 둘레에 직경이 확대된 원추면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고정볼트와의 결합시 양방향 나사산의 단부를 나사공으로 각각 안내하여 나사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nuts have a polygonal rim, and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seated in the first hole of the crosspiece and the second hole of the vertical base, Respectively, and a conical surface having a diameter enlarged around the screw hole is formed on each of the side surfaces facing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so that when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is engaged with the bi-directional fixing bolt, And an end portion of the thread is guided by a screw hole so as to facilitate scre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 또는 세로대의 접합 모서리의 일측면에는 안내 키(key)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 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상기 세로대 또는 가로대의 접합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와 세로대의 밀착 결합시, 가로대와 세로대의 수평 레벨을 일치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의 모서리 결합구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key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joining edge of the cross bar or the vertical bar, and a key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key is formed concavely in the joining edge of the vertical bar or the cross bar, And the horizontal level of the vertical bar is aligned with the horizontal level of the vertical bar when the vertical bar is tightly coupled.
KR2020130008145U 2013-10-02 2013-10-02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KR2004772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45U KR200477264Y1 (en) 2013-10-02 2013-10-02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45U KR200477264Y1 (en) 2013-10-02 2013-10-02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10U KR20150001410U (en) 2015-04-10
KR200477264Y1 true KR200477264Y1 (en) 2015-05-26

Family

ID=5302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45U KR200477264Y1 (en) 2013-10-02 2013-10-02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64Y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906Y1 (en) * 1983-05-02 1985-05-17 우영계 Device for fixing edge cushions on a billiardtable
KR19990041552U (en) * 1998-05-21 1999-12-15 유양권 Dembang fastening device fixed to billiard table
KR200322411Y1 (en) * 2003-05-15 2003-08-09 임현수 Cushion fixing apparatus for a billiard table
KR20070054417A (en) * 2005-11-23 2007-05-29 김용근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KR100725115B1 (en) * 2006-07-10 2007-06-04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Duplex supporting body of glass panel
KR20100107122A (en) * 2009-03-25 2010-10-05 정봉학 Easily-assemblable billiard table of exterior panel
KR20110005457U (en) * 2009-11-26 2011-06-01 김인수 The join-structure with separation or sticking for panel of billiard
KR20120008227U (en)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허리우드 A billiard table stone and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KR20130065367A (en) * 2011-12-09 2013-06-19 이성국 Golf putting practice machine
KR101369694B1 (en) * 2013-10-04 2014-03-03 이희중 Billiard tabl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906Y1 (en) * 1983-05-02 1985-05-17 우영계 Device for fixing edge cushions on a billiardtable
KR19990041552U (en) * 1998-05-21 1999-12-15 유양권 Dembang fastening device fixed to billiard table
KR200322411Y1 (en) * 2003-05-15 2003-08-09 임현수 Cushion fixing apparatus for a billiard table
KR20070054417A (en) * 2005-11-23 2007-05-29 김용근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KR100725115B1 (en) * 2006-07-10 2007-06-04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Duplex supporting body of glass panel
KR20100107122A (en) * 2009-03-25 2010-10-05 정봉학 Easily-assemblable billiard table of exterior panel
KR20110005457U (en) * 2009-11-26 2011-06-01 김인수 The join-structure with separation or sticking for panel of billiard
KR20120008227U (en)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허리우드 A billiard table stone and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KR20130065367A (en) * 2011-12-09 2013-06-19 이성국 Golf putting practice machine
KR101369694B1 (en) * 2013-10-04 2014-03-03 이희중 Billiard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10U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2262B2 (en) Beam-column joint structure at beam-winning joint
US9003981B2 (en) Furniture connector and furniture using same
EP3017201B1 (en) A tube connector
CA2622205A1 (en) Shelving system
US20140140758A1 (en) D-type Screwing Assembly for Furniture
WO2016026162A1 (en) Threaded fastening assembly
JP5090288B2 (en) Square pipe connection device
KR20140134546A (en) assembly type angle display stand
KR101619719B1 (en) Protection for Wood Panel
KR200477264Y1 (en) Jointing structure for the corners of a billiard table
CN107630877B (en) Mortise and tenon component
US20200355210A1 (en) Frame for steel furniture and frame assembly
KR101977679B1 (en) Connecting devices for assembling horizontal and vertical panels of furniture
KR101369521B1 (en) Connect apparatus of aluminum profile
KR101656736B1 (en) the connect tool for assembly furniture and the assembly furniture therewith
KR101755111B1 (en) Bolt
KR200489569Y1 (en) Pipe combination structure for furniture frame
KR20180107615A (en) Frame locking apparatus
KR200466150Y1 (en) Cable Tray
KR200482289Y1 (en)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JP6595373B2 (en) Window frame corner joint structure
KR100722114B1 (en) A display box of assemblely type
JP4309816B2 (en) Corner joint for sash frame assembly
CN111288052B (en) Built-in connecting device
KR102649416B1 (en) Eco-friendly Combilock module using a protruding bolt connector and its assembl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