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54Y1 -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 Google Patents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54Y1
KR200477154Y1 KR2020150000713U KR20150000713U KR200477154Y1 KR 200477154 Y1 KR200477154 Y1 KR 200477154Y1 KR 2020150000713 U KR2020150000713 U KR 2020150000713U KR 20150000713 U KR20150000713 U KR 20150000713U KR 200477154 Y1 KR200477154 Y1 KR 200477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computer
upper plat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스트림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스트림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스트림팩토리
Priority to KR2020150000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케이스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전면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케이스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컴퓨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의 컴퓨터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에 올려 배치되거나 상기 전면판 플레이트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Desk for PC room}
본 고안은,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판 플레이트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피씨방(PC방)이라 하여 한 공간(room)에 다수의 PC(Persona Computer), 즉 컴퓨터를 설치하고, 여러 사람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락 시설이 점차 늘고 있다.
피씨방은 남녀노소를 물문하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혹은 몇몇이서 편을 나누어 컴퓨터 게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피씨방은 피씨방의 설비를 구축해주는 전문 설비업체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보통은 컴퓨터 한 대당 하나의 피씨방용 책상을 측 방향으로 배열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때의 피씨방용 책상은 독서실 책상처럼 측벽이 있는 타입과 그렇지 않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는데, 어떠한 타입일지라도 통상적으로는 컴퓨터 본체를 피씨방용 책상의 하부에 배치하거나 피씨방용 책상의 상판 플레이트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함께 올려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컴퓨터 본체를 피씨방용 책상의 하부에 배치할 경우에는 의자와의 간섭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리나 발로 컴퓨터 본체를 건드릴 우려가 높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피씨방용 책상의 상판 플레이트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함께 올려 배치하는 것이 다소 유리하지만, 이처럼 피씨방용 책상의 상판 플레이트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함께 올려 배치할 경우에는 상판 플레이트의 공간이 비좁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그렇다고 해서 사이즈가 큰 책상을 사용할 경우,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책상을 몇 개 배치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은 수의 피씨방용 책상을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피씨방용 책상일지라도 그 상판 플레이트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0899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450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9381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00547호
본 고안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판 플레이트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케이스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전면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케이스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컴퓨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의 컴퓨터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에 올려 배치되거나 상기 전면판 플레이트에 걸이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판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홀더; 및 상기 다수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격벽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케이스는, 상기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장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 및 상기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덮개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장착부에 걸리는 걸림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통기용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통기용 플레이트에 교차되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면에는 대면적 사각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보다 면적이 좁은 제1 원형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원형 관통부보다 면적이 좁은 제2 원형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용 플레이트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 측면에는 단자 홀이 마련되며, 상기 단자 홀의 주변에는 파워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덮개에는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에 마련되는 상기 컴퓨터 부품들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더미 플레이트; 및 상기 더미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지지유닛은 고정형 또는 회전형일 수 있으며, 회전형인 상기 모니터 지지유닛은, 상기 더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볼 포켓; 및 상기 볼 포켓에 삽입되어 상기 볼 포켓 내에서 자유회전되는 볼과, 상기 볼과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고리를 구비하는 모니터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판 플레이트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100)은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상판 플레이트(110)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판 플레이트(110), 다리부(120), 전면판 플레이트(130), 격벽 플레이트(160),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 플레이트(1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넓은 면적을 이루며, 도시 않은 모니터 등이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상판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케이스 장착부(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장착부(111)는 전면판 플레이트(130)와 접하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일측에서 관통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리부(120)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판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도면에는 다리부(120)가 단순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으나 다리부(1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전면판 플레이트(130)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일측에서 상판 플레이트(110)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이다.
전면판 플레이트(130)가 적용됨에 따라 컴퓨터 케이스(140) 내의 컴퓨터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미도시)는 상판 플레이트(110) 또는 컴퓨터 케이스(140)의 상면에 올려 배치되거나 전면판 플레이트(130)에 걸이식으로 매달려 결합될 수 있다.
격벽 플레이트(160)는 피씨방용 책상(100)을 이웃된 피씨방용 책상(100)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격벽 플레이트(160)가 사용되기 위해 상판 플레이트(110)와 전면판 플레이트(130)의 일측에는 다수의 홀더(161)가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홀더(161)에 격벽 플레이트(1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격벽 플레이트(160)는 불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일 수도 있고, 아니면 투명 혹은 반투명의 유리,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한편, 컴퓨터 케이스(140)는 다수의 컴퓨터 부품들이 내부에 갖춰지는 일종의 하드 케이스로서, 도 1처럼 상판 플레이트(110)의 케이스 장착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컴퓨터 케이스(140)가 기존에 알려진 구조와 다른 독특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판 플레이트(110)의 케이스 장착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상판 플레이트(110)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굳이 사이즈가 큰 피씨방용 책상(10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가급적 많은 개수의 피씨방용 책상(10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케이스(140)는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 장착부(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바디(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판 플레이트(110)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142)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케이스 바디(141)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작은 사이즈를 갖는 케이스 덮개(142)가 상판 플레이트(1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이 우수해질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덮개(142) 사이에는 걸림 플랜지(143)가 마련되는데, 이 걸림 플랜지(143)가 케이스 장착부(111)에 걸리기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140)를 상판 플레이트(110)의 케이스 장착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컴퓨터 케이스(14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컴퓨터 케이스(140)를 이루는 케이스 바디(141)의 일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통기용 플레이트(145)가 결합된다.
그리고 통기용 플레이트(145)에 교차되는 케이스 바디(141)의 일 측면에는 대면적 사각 관통부(146)가 형성된다. 대면적 사각 관통부(146)의 상부 영역에는 대면적 사각 관통부(146)보다 면적이 좁은 제1 원형 관통부(147)가 형성된다. 대면적 사각 관통부(146)에 파워서플라이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대면적 사각 관통부(146)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케이스 덮개(142)의 일 측면에는 제1 원형 관통부(147)보다 면적이 좁은 제2 원형 관통부(148)가 형성된다.
통기용 플레이트(145)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케이스 덮개(142)의 일 측면에는 단자 홀(149)이 마련되며, 단자 홀(149)의 주변에는 파워 스위치(1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케이스 덮개(142)에는 손잡이 홀(151)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70)는 파워 스위치(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터 케이스(140) 내에 마련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파워 스위치(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터 케이스(140) 내에 마련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파워 스위치(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터 케이스(140) 내에 마련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70)가 파워 스위치(15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터 케이스(140) 내에 마련되는 컴퓨터 부품들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1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상판 플레이트(110)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200) 역시, 상판 플레이트(110), 다리부(120), 전면판 플레이트(130), 격벽 플레이트(160),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면판 플레이트(130)에는 더미 플레이트(280)가 마련되고, 더미 플레이트(280)에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유닛(29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모니터를 상판 플레이트(110) 또는 컴퓨터 케이스(140)의 상면에 올려 배치하지 않고, 전면판 플레이트(130)에 걸이식으로 결합시키는 형태인데, 이와 같은 경우, 상판 플레이트(110)의 상면을 좀 더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2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300) 역시, 상판 플레이트(110), 전면판 플레이트(130), 그리고 격벽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면판 플레이트(130)에는 더미 플레이트(380)가 마련되고, 더미 플레이트(380)에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유닛(390)이 마련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니터 지지유닛(390)은 회전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모니터 지지유닛(390)은 더미 플레이트(270)에 결합되는 볼 포켓(391)과, 볼 포켓(391)에 삽입되어 볼 포켓(391) 내에서 자유회전되는 볼(392a)과, 볼(392a)과 연결되고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고리(392b)를 구비하는 모니터 홀더(39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모니터 지지유닛(390)이 적용될 경우, 볼 포켓(391)에 대하여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홀더(392)가 도 9의 점선처럼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각도에 따라 모니터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3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400) 역시, 상판 플레이트(110), 다리부(120), 전면판 플레이트(130), 격벽 플레이트(160),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판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부(411)에는 컴퓨터 케이스(140)의 걸림 플랜지(143)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용 단턱부(411a)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판 플레이트(110)의 케이스 장착부(411)에 자리 배치용 단턱부(411a)가 형성되고, 이곳에 컴퓨터 케이스(140)의 걸림 플랜지(143)가 자리 배치될 경우, 흔들림 없이 컴퓨터 케이스(140)를 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4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500) 역시, 상판 플레이트(110), 다리부(120), 전면판 플레이트(130), 격벽 플레이트(160),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부(511)에도 컴퓨터 케이스(140)의 걸림 플랜지(143)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용 단턱부(51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자리 배치용 단턱부(511a)의 상부에는 진동 흡수판(512)이 마련된다. 진동 흡수판(512)은 케이스 장착부(511)에 컴퓨터 케이스(140)가 설치되어 동작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5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600) 역시, 상판 플레이트(110), 다리부(120), 전면판 플레이트(130), 격벽 플레이트(160),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케이스 장착부(611)에도 컴퓨터 케이스(140)의 걸림 플랜지(143)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용 단턱부(61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자리 배치용 단턱부(611a)에는 홈(611b)이 형성되며, 이 홈(611b)에는 흡음재(612)가 마련된다. 흡음재(612)는 컴퓨터 동작 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600)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740) 역시,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 장착부(111, 도 2 참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바디(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판 플레이트(110)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142)와,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덮개(142)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 플랜지(1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판 플레이트(110)에는 모니터가 자리 배치되기 위한 모니터 자리 배치홈(752)이 더 형성된다. 이처럼 상판 플레이트(110)에 모니터 자리 배치홈(752)이 형성되고 이곳에 모니터가 자리 배치될 경우, 모니터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미도시)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에 적용되는 컴퓨터 케이스(840) 역시,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 장착부(111, 도 2 참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바디(1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142)와, 걸림 플랜지(843)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 플랜지(843)는 케이스 바디(141)와 케이스 덮개(142) 사이가 아닌 케이스 덮개(142)의 상면에 마련되는데, 이럴 경우, 컴퓨터 케이스(840)는 그 대부분이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어 상판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더욱 넓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한정된 공간의 피씨방 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용 책상(미도시)을 가급적 많이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공간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피씨방용 책상 110 : 상판 플레이트
111 : 케이스 장착부 120 : 다리부
130 : 전면판 플레이트 140 : 컴퓨터 케이스
141 : 케이스 바디 142 : 케이스 덮개
143 : 걸림 플랜지 145 : 통기용 플레이트
146 : 대면적 사각 관통부 147 : 제1 원형 관통부
148 : 제2 원형 관통부 149 : 단자 홀
150 : 파워 스위치 151 : 손잡이 홀
160 : 격벽 플레이트 161 : 홀더
170 : 컨트롤러

Claims (7)

  1.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케이스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전면판 플레이트; 및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케이스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컴퓨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의 컴퓨터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에 올려 배치되거나 상기 전면판 플레이트에 걸이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컴퓨터 케이스는, 상기 컴퓨터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장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 및 상기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덮개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장착부에 걸리는 걸림 플랜지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통기용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통기용 플레이트에 교차되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 측면에는 대면적 사각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보다 면적이 좁은 제1 원형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면적 사각 관통부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원형 관통부보다 면적이 좁은 제2 원형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용 플레이트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케이스 덮개의 일 측면에는 단자 홀이 마련되며,
    상기 단자 홀의 주변에는 파워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덮개에는 손잡이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0713U 2015-01-30 2015-01-30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KR200477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3U KR200477154Y1 (ko) 2015-01-30 2015-01-30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3U KR200477154Y1 (ko) 2015-01-30 2015-01-30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54Y1 true KR200477154Y1 (ko) 2015-05-20

Family

ID=5351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13U KR200477154Y1 (ko) 2015-01-30 2015-01-30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040A (ko) * 2015-08-04 2017-02-15 주식회사 울트라 Pc방용 컴퓨터 책상
KR101756782B1 (ko) * 2016-09-22 2017-07-26 주식회사 익스트림팩토리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책상
KR20230045957A (ko) * 2021-09-29 2023-04-05 문필상 세로형 서랍을 장착한 다용도 책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628U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소형 텔레비젼 받침대
KR200311625Y1 (ko) * 2003-02-07 2003-05-01 우동균 컴퓨터용 책상
KR200471496Y1 (ko) *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628U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소형 텔레비젼 받침대
KR200311625Y1 (ko) * 2003-02-07 2003-05-01 우동균 컴퓨터용 책상
KR200471496Y1 (ko) *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040A (ko) * 2015-08-04 2017-02-15 주식회사 울트라 Pc방용 컴퓨터 책상
KR101707922B1 (ko) * 2015-08-04 2017-02-20 주식회사 울트라 Pc방용 컴퓨터 책상
KR101756782B1 (ko) * 2016-09-22 2017-07-26 주식회사 익스트림팩토리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책상
KR20230045957A (ko) * 2021-09-29 2023-04-05 문필상 세로형 서랍을 장착한 다용도 책상
KR102609819B1 (ko) * 2021-09-29 2023-12-05 문필상 세로형 서랍을 장착한 다용도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496Y1 (ko)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200477154Y1 (ko)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피씨방용 책상
KR200471494Y1 (ko) 누드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101743474B1 (ko) 컴퓨터 책상
TW201427543A (zh) 平板電子裝置之後蓋以及具有該後蓋之平板電子裝置
KR101726499B1 (ko) 슬라이딩 모니터거치대를 갖는 컴퓨터용 책상
CN207611337U (zh) 一种适用于大数据处理的计算机设备
CN203952807U (zh) 一种多功能桌子
CN206162270U (zh) 一种便携式防反光计算机显示器
CN201438282U (zh) 硬盘承载装置
KR200427456Y1 (ko) 상단의 본체 수납대를 갖는 pc방용 컴퓨터 테이블
KR101756782B1 (ko)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책상
KR101091790B1 (ko)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CN211092431U (zh) 一种新型智能桌子
CN209068114U (zh) 一种用于计算机的防震主机托盘
KR200489066Y1 (ko) 듀얼 모니터 거치대
CN204087098U (zh) 易拆装环抱立体机箱
CN107242686A (zh) 便于键盘鼠标收纳的电脑桌
KR200313950Y1 (ko) 스피커시스템을 내장하는 테이블
CN204863820U (zh) 一种病床桌
CN212086329U (zh) 一种具有防震功能的护眼电视机
KR102598213B1 (ko) 로보 데스크 시스템
KR20170017040A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KR100873209B1 (ko) 컴퓨터 내장형 의자
US20130154451A1 (en) Technology kitchen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