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38Y1 -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 Google Patents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38Y1
KR200476938Y1 KR2020130009927U KR20130009927U KR200476938Y1 KR 200476938 Y1 KR200476938 Y1 KR 200476938Y1 KR 2020130009927 U KR2020130009927 U KR 2020130009927U KR 20130009927 U KR20130009927 U KR 20130009927U KR 200476938 Y1 KR200476938 Y1 KR 200476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ot
bent portion
cover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9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주)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30009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3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은, 전방에 심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1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게 배치되어 에스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2슬롯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상부공간의 일측에 편심 설치되며,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 또는 분리시 전단의 걸림단이 걸림 해지 방향으로 벌어진 후 탄성 복귀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측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의 걸림 해지 방향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시 상기 걸림부의 걸림 해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 핀을 포함한다.The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lot for inserting a SIM card in the front and a second slot for inserting a SD card higher than the first slot,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formed in the first slo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formed in the second slot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and the SD card, A locking pin which is eccentrical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D card and which is elastically returned after the locking end of the front end of the SD card is inserted or removed so as to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SD card, And a support pi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to limit the hooking position of the hook when the SD card is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do.

Description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Dual Socket for Memory Card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 단으로 절곡 형성된 록킹 핀의 일측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 핀을 보조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록킹 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support pin having an elastic force on one side of a multi-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capable of optimally maintaining operat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메모리 카드는 휴대폰, PDA,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장비에 저장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외장으로 이용된다.In general, a memory card is used as an external device for expanding storage space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 digital camera.

그리고, 메모리 카드는 그 크기와 규격에 따라 SD(Secure Digital), MMC(Multimedia Card), CF(Compact Flash), 메모리스틱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The memory card is being released in various forms such as SD (Secure Digital), MMC (Multimedia Card), Compact Flash (CF), and memory stick depending on its size and standard.

또한, 심 카드(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는 사용자의 개인 금융 결제정보 등을 저장하고 비접촉식 전자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 선불카드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점차 그 이용도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stores user's personal financial settlement information, and is used as a contactless electronic credit card, a transportation card, a prepaid card, and the like. The trend is increasing.

특히,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는 그 기능 또한 더욱 다양해져 본체의 내부에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내장하고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서부터,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장치로 까지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Particularly,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has a wide variety of functions, so that a function of using a credit card or the like as a built-in information for a payment means and a music and video reproducing device is used.

이를 위해, 종래의 휴대기기에는 메모리 카드와 심 카드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듀얼 카드 소켓이 제시된 바 있다.To this end, a dual card socket for coupling a memory card and a SIM card together has been propos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이러한 듀얼 카드 소켓의 내부에는,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 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록킹 핀 등이 구성되는데, 상기 록킹 핀은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및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걸림 방향과 걸림 해지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 방식을 갖는다.In the dual card socket, a locking pin for locking the memory card is inserted into the socket, and the locking pin is moved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the locking relea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emory card insertion / Respectively.

그런데, 종래의 듀얼 카드 소켓은 메모리 카드를 반복적으로 삽탈하는 경우, 록킹 핀에 피로가 누적되어 파손되거나 형태가 변형되어, 정확한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ual card socket, when the memory card is repeatedly inserted and removed, fatigue is accumulated on the locking pin and the memory card is damaged or the shape is deformed, so that the accurate locking state can not be maintained.

따라서, 반복적인 사용시에도 형태가 파손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정확한 록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maintaining an accurate locking state because the shape is not destroyed or deformed even when repeatedly used.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1234호(2011년 04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카드 장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41234 (Apr. 21, 2011), which discloses an apparatus for mounting a memory card of a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의 목적은 다 단으로 절곡 형성된 록킹 핀의 일측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 핀을 보조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록킹 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ory card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and deformation of a locking pin by providing a supporting pin having an elastic force on one side of a multi- For example, a dual socke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스디 카드 결합시 지지 핀이 복귀 탄성력에 의해 록킹 핀을 타격하므로, 록킹 핀의 걸림 동작시 사용자에게 클릭 감을 전달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which can transmit a click feeling to a user in a locking operation of a locking pin because the support pin strikes the locking pin by the returning elastic force when the SD card is engaged.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은, 전방에 심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1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게 배치되어 에스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2슬롯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상부공간의 일측에 편심 설치되며,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 또는 분리시 전단의 걸림단이 걸림 해지 방향으로 벌어진 후 탄성 복귀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측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의 걸림 해지 방향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시 상기 걸림부의 걸림 해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lot for inserting a SIM card in the front and a second slot for inserting a SD card higher than the first slot,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formed in the first slo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formed in the second slot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and the SD card, A locking pin which is eccentrical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D card and which is elastically returned after the locking end of the front end of the SD card is inserted or removed so as to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SD card, And a support pi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to limit the hooking position of the hook when the SD card is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2슬롯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2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includes a first cov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ot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M card, and a second cover provided on the second slot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D card,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ver.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1접속터미널 및, 상기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2접속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and connected to a lower terminal of the SIM car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2 connection terminal.

또한,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지지 핀은 상기 제2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며, 각각의 후방측 상단이 상기 제2커버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ar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econd cover and bending it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part, and each rear-side upp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또한, 상기 록킹 핀은 상기 제2커버에 후방측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슬롯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걸림단의 걸림 해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1차 절곡부 및, 상기 1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슬롯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전단에 상기 걸림단이 연결되는 2차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pi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of the second slot in a state where a rear upper end of the locking cov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and a locking por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forwardly of the second slo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having the hooked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thereof.

또한, 상기 걸림단은 상기 2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3차 절곡부와, 상기 3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해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4차 절곡부 및, 상기 4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슬롯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5차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oking end may include a third bent portion extending in a hooking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secondary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extending in a hooking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third bent portion, And a fifth bent portion extending and extending backward from the second slot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ourth bent portion.

또한, 상기 3차 절곡부와 상기 4차 절곡부의 연결 부위는 걸림 방향이 상기 제2슬롯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bent portion and the fourth bent portion is formed with a convex curved surfac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slot.

또한,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1차 절곡부의 걸림 해지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턱 및, 상기 2차 절곡부의 걸림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over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ing jaw for supporting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latching direction and a second latching jaw for supporting the latching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제2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상부로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and then bending the second cover.

또한, 상기 제2커버의 일측 전단에는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지지 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단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at one front end of the second cover to bend the lower portion at right angles to shield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지지 핀의 전단은 상기 걸림단과 함께 걸림 해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탄성 복귀되면서 상기 걸림단의 걸림 해지 방향을 타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may bend in the direction of latching together with the latching end, and then be elastically returned to strike the latching direction of the latching end.

또한,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심 카드의 전후 방향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전후단에는 상기 심 카드를 삽입 또는 분리시 상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front side of the SIM card in a downward direction is protrud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and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IM card to the top when the SIM card is inserted or removed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 .

또한,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에는 푸시 록(Push Lock) 및 푸시 언록(Push Unlock) 동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를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결착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member capable of inserting or separating the SIM card through a push lock and a push unlock operation.

본 고안은 다 단으로 절곡 형성된 록킹 핀의 일측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 핀을 보조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록킹 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upport pin having an elastic force at one side of a locking pin formed in a multi-step manner to prevent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locking pin, thereby optimally maintain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또한, 에스디 카드 결합시 지지 핀이 복귀 탄성력에 의해 록킹 핀을 타격하므로, 록킹 핀의 걸림 동작시 사용자에게 클릭 감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the support pin strikes the locking pin by the returning elastic force when the SD card is engaged, the click feel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in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p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의 록킹 핀과 지지 핀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에서 에스디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록킹 핀과 지지 핀이 걸림 해지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의 에스디 카드 삽입 후 록킹 핀과 지지 핀이 걸림 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에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in and a support pin of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are engag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D card in the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are returned in the latching direction after inserting the SD card of the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related art or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Lt; / RTI > is a plan view for showing the socke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은 하우징(100)과, 접속부(200)와, 록킹 핀(300)과, 지지 핀(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nection portion 200, a locking pin 300, and a support pin 400.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디지털카메라, 컴퓨터, PDA, 전자사전, GPS와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기기 등에 설치된다.First, the housing 100 is installed in a portable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computer, a PDA, an electronic dictionary, GPS,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심 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10)와 에스디 카드(SD: Secure Digital card, 20)를 장착할 수 있는 2개의 슬롯을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한다.Here, the housing 100 is formed with two slots, which can accommodate a SIM car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10 and a SD (Secure Digital) card 20, in different layers.

이 중,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는 심 카드(10)를 삽입하기 위한 제1슬롯(110)이 위치된다.A first slot 110 for inserting the SIM card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100.

여기서, 상기 제1슬롯(110)의 내부에는 심 카드(10)를 삽입시키기 위한 하부공간(111)이 대응되게 형성된다.Here, a lower space 111 for inserting the SIM card 10 is formed in the first slot 110 in a corresponding manner.

그리고, 상기 제1슬롯(11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공간(111)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커버(112)가 설치된다.A first cover 112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pace 111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ot 110.

상기 제1커버(112)는, 상기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의 상부면과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112 may support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SIM card 10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111.

또한, 상기 제1커버(112)는 후술 될 제2슬롯(120)과 제1슬롯(110)을 상하로 구분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112 may divide the second slot 120 and the first slo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아울러, 하부공간(111)의 바닥면에는 심 카드(10)의 전후 방향을 하방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3)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111 to support the front side of the SIM card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below.

이때, 상기 심 카드(10)는 지지돌기(113)에 의해 하부공간(111)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M card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111 by the support protrusion 1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13)의 전/후단에는, 심 카드(10)를 삽입 또는 분리시 최상단으로 상기 심 카드(10)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113a)이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113a for guiding the SIM card 10 to the uppermost position when the SIM card 10 is inserted or removed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 113. [

또한, 상기 지지돌기(113)의 상단은 심 카드(1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horizontally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IM card 10.

이와 같은 상기 지지돌기(113)는,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를 외부로 분리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1접속터미널(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속용 핀에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SIM card 10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111 is separated to the outside, the support protrusion 113 is buckled on the connecting pi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Do not occur.

한편, 하부공간(111)의 일측에는 누름 동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10)를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결착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bind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pace 111 to insert or separate the SIM card 10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상기 결착부재는, 푸시 록(Push Lock) 또는 푸시 언록(Push Unlock) 동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10)의 삽입 또는 분리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can change the insertion or separation state of the SIM card 10 through a push lock or a push unlock operation, and a structure that is commonly used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상기 결착부재는 심 카드(10)를 하부공간(111)에 삽입시 상기 심 카드(10)의 측단에 걸리는 걸림부재와, 상기 심 카드(10)의 누름 동작시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미도시)와, 상기 이동부재에 압축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미도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nd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a side end of the SIM card 10 when the SIM card 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111, (Not shown),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moving member, and the like.

제2슬롯(120)은, 에스디 카드(20)를 전방으로 삽입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2슬롯(120)의 후방에 더 높게 위치된다.The second slot 120 is for inserting or separating the SDI card 20 forward, and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slot 120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제2슬롯(120)의 내부에는 에스디 카드(20)를 삽입하기 위한 상부공간(121)이 대응되게 형성된다.An upper space 121 for inserting the SD card 20 is formed in the second slot 120 in a corresponding manner.

그리고, 상기 제2슬롯(120)의 상부에는 상부공간(121)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2커버(122)가 설치된다.A second cover 12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lot 12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pace 121.

상기 제2커버(122)는, 상기 상부공간(121)에 삽입된 에스디 카드(20)의 상부면과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한다.The second cover 122 supports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SD card 20 inserted in the upper space 121.

또한, 상기 제2커버(122)의 일측 전단에는 하부로 직각 절곡시킨 차단판(12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blocking plate 122a bent downward at right angles may be further formed at a front end of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122.

상기 차단판(122a)은, 후술 될 록킹 핀(300)과 지지 핀(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blocking plate 122a has a function of shielding the locking pin 300 and the support pin 4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차단판(122a)은 이물질 등이 상부공간(1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갖는다.The blocking plate 122a also has a function of blocking foreign matt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upper space 121. [

접속부(200)는, 제1슬롯(110)에 형성된 하부공간(111)의 바닥면과 제2슬롯(120)에 형성된 상부공간(121)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다.The connection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111 formed in the first slot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121 formed in the second slot 12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접속부(200)는 심 카드(10)와 상기 에스디 카드(20)의 단자에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Here, the connection uni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IM card 10 and the SD card 20,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200)는 제1접속터미널(210)과, 제2접속터미널(220)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0, respectively.

상기 제1접속터미널(210)은, 하부공간(1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심 카드(10)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속을 이룬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111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M card 10.

여기서, 상기 제1접속터미널(210)은, 하부공간(111)의 측방을 따라 다수의 접속용 핀들이 배열된다.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ranged along the side of the lower space 111.

이러한, 상기 제1접속터미널(210)은 상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심 카드(10)의 단자들에 접속되고, 하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패턴들에 접속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10 with the upwardly facing connection pins, and the downwardly oriented connection pins are connected to the patterns of the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즉, 제1슬롯(110)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Sim card,10)는 상기 제1접속터미널(210)을 통해 회로기판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at is, the SIM card 10 inserted in the first slot 110 can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0.

제2접속터미널(220)은, 상부공간(12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에스디 카드(20)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속을 이룬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121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DI card 20.

여기서, 상기 제2접속터미널(220)은, 상부공간(121)의 측방을 따라 다수의 접속용 핀들이 배열된다.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0,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arranged along the side of the upper space 121.

이러한, 상기 제2접속터미널(220)은 상부의 접속용 핀들이 에스디 카드(20)의 단자에 접속되고, 하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패턴에 접속된다.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0, the upper connection pin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D card 20, and the lower connection pins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attern provid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즉, 제2슬롯(120)에 삽입된 상기 에스디 카드(20)는 상기 제2접속터미널(220)을 통해 회로기판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at is, the SDI card 20 inserted in the second slot 120 can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0.

록킹 핀(300)은, 상부공간(121)의 일 측방에 설치되며, 전단에 형성된 걸림단(340)이 에스디 카드(20)의 일 측단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21)과 걸림 또는 걸림 해지를 이룬다.The locking pin 3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space 121 and has a retaining end 340 form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a retaining groove 21 formed at one end of the SDIC card 2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록킹 핀(300)은 일정 탄성 복귀력을 갖기 위해 금속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pin 3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have a certain elastic restoring force, but a variety of materials may be used as the material thereof.

이를 위한 상기 록킹 핀(300)은 연결부(310)와, 1차 절곡부(320)와, 2차 절곡부(330)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in 300 may be formed of a connecting portion 310, a first bending portion 320,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330.

상기 연결부(310)는, 제2커버(122)에 후방측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제2슬롯(120)의 전방으로 연장된다.The connection part 310 extends forwardly of the second slot 120 with the rear side upp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122.

여기서, 상기 연결부(310)는 대기 상태와 에스디 카드(20)와의 걸림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에스디 카드(20)의 측단과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D card 20 is moved to the standby position between the standby state and the SD card 20, the connection unit 310 may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side of the SD card 20.

1차 절곡부(320)는, 상기 연결부(310)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걸림단(340)의 걸림 해지 방향(에스디 카드(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다.The first bent portion 320 is bent and extend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atching end 340 is engaged with the hooking direc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SD card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10. [

2차 절곡부(330)는, 1차 절곡부(320)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제2슬롯(120)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다.The second bent portion 330 is bent and extended forward of the second slot 12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320.

여기서, 상기 2차 절곡부(330)는 걸림 대기 상태와 걸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에스디 카드(20)의 측단과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ent portion 330 may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side edge of the SD card 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bent portion 330 is moved to the latching standby state and the hooking position.

즉, 상기 2차 절곡부(330)는 에스디 카드(20)의 측단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1차 절곡부(320)와 후술 될 3차 절곡부(341)와 함께 에스디 카드(20)의 돌출된 측단을 삽입 위치시킨다.That is, the secondary bent portion 330 is formed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side edge of the SD card 20. The secondary bent portion 330 and the SD folding portion 341 together with the SD card 20, As shown in Fig.

걸림단(340)은, 2차 절곡부(330)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에스디 카드(20)의 걸림홈(21)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 가능하게 위치된다.The hooking end 340 is position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hooked or hooked to the hooking groove 21 of the SD card 20 in a state where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ary bent part 330.

이를 위한 상기 걸림단(340)은, 3차 절곡부(341)와, 4차 절곡부(342)와, 5차 절곡부(343)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taining end 340 may be formed of a third bent part 341, a fourth bent part 342, and a fifth bent part 343.

상기 3차 절곡부(341)는, 전술한 2차 절곡부(330)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방향(에스디 카드(2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The third bent portion 341 is bent and extended in the engag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SD card 20) in a state where the third bent portion 341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330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3차 절곡부(341)는 걸림 대기 상태와 걸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2차 절곡부(330)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hird bent portion 341 may be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second bent portion 330 in a state where the third bent portion 341 is moved to the latched state and the hooked position.

4차 절곡부(342)는, 상기 3차 절곡부(341)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해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다.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bent and extend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third bent portion 341.

이때, 상기 4차 절곡부(342)와 3차 절곡부(341)의 연결 부위는 에스디 카드의 걸림홈(21)과 마주보는 걸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ourth bent portion 342 and the third bent portion 341 is protruded in a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hooking groove 21 of the SD card.

이러한 상기 4차 절곡부(342)는, 에스디 카드(20)의 일 측단과 접촉되면서 벌어지는 힘이 전달되는 부위이다.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a portion to which a force is transmit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DI card 20.

5차 절곡부(343)는, 상기 4차 절곡부(342)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슬롯(120)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된다.The fifth bent portion 343 is bent and extended rearward of the second slot 12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ourth bent portion 342. [

여기서, 상기 5차 절곡부(343)는 걸림 해지 방향을 향하는 일면이 후술 될 지지 핀(400)의 전단과 대응되게 이격 위치된다.The fifth bent portion 343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전술한 3차 절곡부(341)와 4차 절곡부(342)의 연결 부위는 걸림 방향이 제2슬롯(1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bent portion 34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342 may be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lot 120. [

물론, 전술한 연결부(310)와, 1차 절곡부(320)와, 2차 절곡부(330)의 연결 부위도 곡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고, 4차 절곡부(342)와 5차 절곡부(343)의 연결 부위도 곡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portion 310, the first bent portion 320, and the second bent portion 330 may be curved in a curved shape, and the fourth bent portion 342 and the fifth bent portion 330 may be bent,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43 may be curved.

아울러, 전술한 제1커버(112)의 상부에는 1차 절곡부(320)의 걸림 해지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턱(112a)과, 2차 절곡부(330)의 걸림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턱(112b)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12 has a first engaging protrusion 112a for supporting the first bent portion 320 and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112b for supporting the second bent portion 330, The second latching jaws 112b may protrude upward.

상기 제1걸림턱(112a)과 제2걸림턱(112b)은, 제2커버(122)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상부로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protrusions 112a and 112b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122 and then bending the second cover 122 upward.

이와 같은 록킹 핀(300)은, 전술한 제2커버(122)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는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Such a locking pin 300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econd cover 122 and then bending it at right angles to form a unitary body.

이때, 상기 록킹 핀(300)에 형성된 연결부(310)의 상단이 제2커버(122)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10 formed on the locking pin 30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122.

이처럼, 상기 제1걸림턱(112a)과 제2걸림턱(112b)이 제2커버(122)와 일체로 성형되고, 록킹 핀(300) 역시 제2커버(122)와 일체로 성형되므로,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Sinc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12a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12b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over 122 and the locking pin 300 is also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ver 122, Th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a dual socket for a card can be reduced.

그리고, 록킹 핀(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mponent or structure for fixing the locking pin 300,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e of installation.

지지 핀(400)은, 록킹 핀(300)의 걸림 해지 방향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공간(121)에 에스디 카드(20)를 삽입시 걸림단(340)의 걸림 해지 위치를 제한한다.The support pin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pin 3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00. When the SD card 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121, .

이와 같은 상기 지지 핀(400)은, 걸림단(340)과 함께 걸림 해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탄성 복귀되면서 걸림단(340)의 걸림 해지 방향을 타격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support pin 400 has a function of bending the engagement end 340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and then striking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engagement end 340 while elastically returning.

이때, 상기 지지 핀(400)과 걸림단(340)이 부딪힘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클릭 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support pin 400 and the latching end 340 collide with each other, noise is generat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eel a click feeling.

이를 위해, 상기 지지 핀(400)은 일정 탄성 복귀력을 갖기 위해 금속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upport pin 4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have a constant elastic return force, but a variety of materials can be used as needed.

그리고, 상기 지지 핀(400)은, 제2커버(122)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support pin 40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econd cover 122, and then bending the support pin 400 at right angles to the lower side.

이처럼, 상기 지지 핀(400)의 후방측 상단이 상기 제2커버(122)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을 이루는 구성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Since the rear upper end of the support pin 4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over 122, th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ual socket for a memory card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지지 핀(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mponent or structure for fixing the support pin 400,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e of installation.

한편, 전술한 상부공간(121)의 내부에는 도 7에서처럼 상기 지지 핀(400)의 전단을 걸림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7, a spring-shaped elastic member 50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in the latching direction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121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코일 스프링 형태나 절곡된 판스프링 형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500 can be selectively us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or a bent leaf spring.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500)는, 지지 핀(400)의 전단이 걸림 해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일정 길이로 압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00 may be compres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is moved in the hooking direction.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0)는 지지 핀(400)의 전단이 걸림 방향으로 복귀될 때 지지 핀(400)의 전단이 원래의 위치로 정확히 복귀되도록 압축 탄성력을 전달한다.The elastic member 500 transmits a compressive elastic force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is accurate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is returned in the engagement direction.

즉, 상기 탄성부재(500)는 지지 핀(400)이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500 allows the support pin 400 to be returned to the correct position even if it is deformed by repetitive operation.

또한,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단과 지지 핀(400)의 전단은 결합되지 않고, 서로 밀착된 상태로만 설치될 수 있다.Also, th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00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400 may not be engaged with each other, but may be install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상부공간(121)에 에스디 카드(20)를 삽입하는 경우, 에스디 카드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걸림단(340)의 4차 절곡부(342)를 걸림 해지 방향으로 밀면서 상부공간(121)으로 진입한다.For example, when inserting the SD card 20 into the upper space 121, th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D card pushes the fourth bent part 342 of the latching end 340 in the latching direction, 121).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단(340)의 5차 절곡부(343)가 지지 핀(400)과 밀착된 상태로 걸림 해지 방향으로 이동된다.In this process, the fifth bent portion 343 of the latching end 340 is moved in the latching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support pin 400.

다음으로, 에스디 카드(2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1, 2, 3차 절곡부(320, 330, 341)가 형성하는 절곡 부위에 삽입된다.Next,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SDI card 20 are inserted into bent portions form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nt portions 320, 330, and 341.

이때, 상기 에스디 카드(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21) 내에 3차 절곡부(341)와 4차 절곡부(342)의 연결 부위가 삽입 위치되어 걸림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bent portion 34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inserted and engaged in the latching groove 21 formed at one side of the SD card 20.

이와 동시에, 상기 3차 절곡부(341)와 4차 절곡부(342)의 연결 부위가 삽입홈에 삽입되는 순간, 지지 핀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탄성력에 의해 5차 절곡부(343)를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At the same time, as soon as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hird bent portion 34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ifth bent portion 343 is bent by the elastic force that the support pi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Hitting produces sound.

이 상태에서는, 상기 에스디 카드(20)의 걸림홈(21)이 걸림단(340)에 의해 역 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latching groove 21 of the SD card 20 is not easily releas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latching end 340.

반대로, 상부공간(121)에 삽입된 상기 에스디 카드(20)를 외부로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가 에스디 카드(20)의 상면을 누른 후 후방으로 힘을 가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D card 20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121 is separated to the outside, the user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D card 20 and applies a force to the rear.

이때, 3차 절곡부(341)와 4차 절곡부(342)의 연결 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걸림 해지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bent portion 34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342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connecting portion is pushed and moved in the deten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이 상태에서는, 걸림단(340)과 에스디 카드(20)의 걸림홈(21)이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상부공간(121)으로부터 에스디 카드(20)를 분리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the engagement end 340 and the engagement groove 21 of the SD card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D card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space 121.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다 단으로 절곡 형성된 록킹 핀의 일측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 핀(400)을 보조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provide a support pin 400 having an elastic force on one side of the multi-stepped locking pin.

이로써, 록킹 핀(30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locking pin 300 can be prevented, and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can be maintained at an optimal level.

또한, 에스디 카드(20) 결합시 지지 핀(400)이 복귀 탄성력에 의해 록킹 핀을 타격하므로, 록킹 핀의 걸림 동작시 사용자에게 클릭 감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결합 상태를 소리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upport pin 400 strikes the locking pin by the returning elastic force when the SDI card 20 is engaged, the click feel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during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pin. At this time,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ombined state by sound.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음향기기용 커넥터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concrete embodiments of the connector module for a sou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s well as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심 카드 20: 에스디 카드
21: 걸림홈 100: 하우징
110: 제1슬롯 111: 하부공간
112: 제1커버 112a: 제1걸림턱
112b: 제2걸림턱 113: 지지돌기
120: 제2슬롯 121: 상부공간
122: 제2커버 122a: 차단판
200: 접속부 210: 제1접속터미널
220: 제2접속터미널 300: 록킹 핀
310: 연결부 320: 1차 절곡부
330: 2차 절곡부 340: 걸림단
341: 3차 절곡부 342: 4차 절곡부
343: 5차 절곡부 400: 지지 핀
500: 탄성부재
10: Sim card 20: SD card
21: latching groove 100: housing
110: first slot 111: lower space
112: first cover 112a: first hooking jaw
112b: second engaging jaw 113: supporting projection
120: second slot 121: upper space
122: second cover 122a: shield plate
200: connection unit 210: first connection terminal
220: second connection terminal 300: locking pin
310: connection part 320: primary bend part
330: 2nd bending section 340:
341: third bending section 342: fourth bending section
343: fifth bending section 400: support pin
500: elastic member

Claims (13)

전방에 심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1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게 배치되어 에스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2슬롯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상부공간의 일측에 편심 설치되며,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 또는 분리시 전단의 걸림단이 걸림 해지 방향으로 벌어진 후 탄성 복귀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측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는 록킹 핀 및, 상기 록킹 핀의 걸림 해지 방향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 상기 에스디 카드 삽입시 상기 걸림부의 걸림 해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 핀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2슬롯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2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1접속터미널 및, 상기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2접속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지지 핀은, 상기 제2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며, 각각의 후방측 상단이 상기 제2커버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A housing having a first slot for inserting a SIM card in front and a second slot for inserting a SD card at a higher position behind the first slot;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formed in the second slot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SIM card and the SD card, A locking pin which is engag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in a side end of the SD card so as to be locked or unlocked when the locking end of the locking pin is released, And a support pin for restricting the disengagement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SD card is inserted into the space,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ot for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IM card, and a second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lot for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D card,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and connected to a lower terminal of the SIM car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pace, And a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are integrally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econd cover and bending the first cover downwar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end of each rea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Dual sockets for car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핀은,
상기 제2커버에 후방측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슬롯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걸림단의 걸림 해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1차 절곡부 및,
상기 1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슬롯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전단에 상기 걸림단이 연결되는 2차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in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orwardly of the second slot in a state that a rear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A first bending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atching end is engag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extending forwardly from the second slot in a state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having a hooked end connected to a front end there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2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3차 절곡부와,
상기 3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해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4차 절곡부 및,
상기 4차 절곡부의 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슬롯의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5차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of claim 5,
The engaging end
A third bent portion extending in a hooking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ary bent portion,
A quadratic bent portion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n inclined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third bent portion,
And a fifth bent portion extending in a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lo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fourth ben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3차 절곡부와 상기 4차 절곡부의 연결 부위는,
걸림 방향이 상기 제2슬롯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bent portion
And the engaging direction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urfac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econd slo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1차 절곡부의 걸림 해지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1걸림턱 및,
상기 2차 절곡부의 걸림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A first engaging jaw for suppor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ent portion is engaged,
And a second latching jaw for supporting the latching direction of the secondary bent portion is form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제2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상부로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Wherein a part of the second cover is incised and then bent upward to integrally form the dual so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일측 전단에는,
하부로 직각 절곡시켜, 상기 록킹 핀과 상기 지지 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단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cover,
And a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locking pin and the support pi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integrally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핀의 전단은,
상기 걸림단과 함께 걸림 해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탄성 복귀되면서 상기 걸림단의 걸림 해지 방향을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in
Wherein the latching portion is bent in the latching direction along with the latching end, and is elastically returned to strike the latching direction of the latching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심 카드의 전후 방향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전후단에는,
상기 심 카드를 삽입 또는 분리시 상단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pace,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IM card from below is protru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protrusions,
And a sloped surface for guiding the SIM card to the top when inserting or removing the SIM c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에는,
푸시 록(Push Lock) 및 푸시 언록(Push Unlock) 동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를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결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듀얼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member capable of inserting or separating the SIM card through a push lock and a push unlock operation.
KR2020130009927U 2013-12-02 2013-12-02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KR2004769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27U KR200476938Y1 (en) 2013-12-02 2013-12-02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27U KR200476938Y1 (en) 2013-12-02 2013-12-02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38Y1 true KR200476938Y1 (en) 2015-04-16

Family

ID=5343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927U KR200476938Y1 (en) 2013-12-02 2013-12-02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38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477Y1 (en) * 2006-02-20 2006-05-03 킹콘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Memory card connector
KR101228837B1 (en) * 2011-08-03 2013-02-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Sim card socket
KR200465571Y1 (en) * 2012-07-16 2013-02-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card
KR101267845B1 (en) * 2011-10-21 2013-05-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dual memory card type so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477Y1 (en) * 2006-02-20 2006-05-03 킹콘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Memory card connector
KR101228837B1 (en) * 2011-08-03 2013-02-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Sim card socket
KR101267845B1 (en) * 2011-10-21 2013-05-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dual memory card type socket
KR200465571Y1 (en) * 2012-07-16 2013-02-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80450B (en) IC card with retractable tray
US7118395B2 (en) Card connector locking member arrangement
JP4694340B2 (en) Card connector
JP5049003B2 (en) Card Connector and Housing SubAssy Manufacturing Method
US20170373711A1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KR101032077B1 (en) Card connector
CN101242052B (en) Connector for card
TWI235958B (en) C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stopper for eject mechanism
US6652299B2 (en) Card connector
US7192292B1 (en) C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supporting structure for ejecting mechanism
JP4527675B2 (en) IC card connector
WO2007114591A1 (en)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JP5871725B2 (en) Card connector
US6981885B2 (en)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JP2007287438A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JP4808743B2 (en) Card connector
JP2012123976A (en) Card connector
KR200476938Y1 (en) Dual card socket for memory card
JP4964800B2 (en) Card connector
JP2012113984A (en) Card connector
CN101515676B (en) socket for connection
KR100717741B1 (en) Switch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or of mobile phone
JP2003317862A (en) Card connector
JP4391239B2 (en)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KR101361740B1 (en) Dual card type socke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