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44Y1 - 휴대 전화 방수팩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방수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44Y1
KR200476844Y1 KR20130008443U KR20130008443U KR200476844Y1 KR 200476844 Y1 KR200476844 Y1 KR 200476844Y1 KR 20130008443 U KR20130008443 U KR 20130008443U KR 20130008443 U KR20130008443 U KR 20130008443U KR 200476844 Y1 KR200476844 Y1 KR 200476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cellular phone
presen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21U (ko
Inventor
신창길
Original Assignee
신창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길 filed Critical 신창길
Publication of KR20140003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은,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으로서,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개구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는 휴대 전화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전화 방수팩{waterproof pack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 전화 방수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으로서,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개구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는 휴대 전화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는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스마트 기기, 소위 스마트 폰이라고 불리는 다기능 휴대전화가 개발되어 폭넓은 유저층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는 내부에 정밀한 전기, 전자 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분 등에 취약한 구조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여름철의 워터파크나 해수욕장과 같이 필연적으로 수분과 접할 기회가 많은 공간에서는 방수 및 휴대의 곤란성으로 인해 이러한 휴대 전화의 보관이 매우 어렵게 된다.
등록고안 20-0307341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은,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으로서,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개구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는 휴대 전화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은,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으로서,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은, 상기 개구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착면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절곡되게 연결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이 맞닿아 접착되되, 상기 개구가 밀봉되도록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연결 고리, 및 상기 연결 고리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보조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수납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구속부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와 삽입부는,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히거나 말린 상태에서 체결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에어 쿠션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 쿠션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 및 상기 완충 패드에 구비되며 에어가 충진되는 공간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에 의하면,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구의 밀봉을 달성하는 커버가 구비됨에 따라서,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휴대 전화의 방수가 더욱 신뢰성있게 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의 개폐가 개폐부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가 커버에 의해서 밀봉됨에 따라서, 수납 공간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를 제거하여 휴대 전화를 사용한 후, 새로운 커버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를 다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개선되며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됨에 따라서 커버 및 몸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휴대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서, 예컨대 워터 파크, 또는 해수욕장과 같이 휴대 전화의 휴대가 불편한 공간에서도 상기 거치 수단에 의해서 휴대 전화의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에 보조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수납부는 소정의 카드와 같은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워터 파크 및 해수욕장과 같이 카드 및 현금 등의 휴대가 불편한 공간에서도 상기 보조 수납부에 카드 등을 수납하여 휴대 전화와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부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물건의 보관이 더욱 신뢰성있게 달성되며, 상기 보조 수납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부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보조 수납부에 소정의 물건의 수납 및 취출이 더욱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에 완충 패드가 부착되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이 에어 쿠션부를 구비함에 따라서, 내부에 보관된 휴대 전화의 보호가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쿠션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키는 쿠션으로 기능하여, 휴대 전화를 보관 중에 휴대 전화가 낙하하거나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의 파손 및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전화를 내장한 방수팩이 분실되어 물에 빠진 경우에도, 상기 에어 쿠션부(100)에 에어가 충진됨으로써 부력을 받아 방수팩이 물에 뜰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 전화의 분실이 방지되고 더욱 효과적인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휴대 전화 방수팩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상부", "하부" 등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가로놓을 경우, "상하방향" 은 "가로방향" 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하"는 좌우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고안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은,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1)으로서,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12)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1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0); 및 상기 개구(12)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30)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32)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32)은,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몸체(10)는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H)를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 전화(H)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0)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휴대 전화가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개구(12) 및 상기 개구(12)를 통해 휴대 전화(H)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일 측이 개방된 소정의 주머니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개구(12)를 통해 휴대 전화(H)가 수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개구(12) 주변에는 개구(12)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는 예컨대 개구(12)의 내측에 형성된 지퍼락(Ziploc)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30)는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구비된다. 즉, 개폐부(20) 만으로는 개구(12)를 통한 수분 침투 차단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의 침수가 더욱 신뢰성있게 방지되도록 상기 개구(12)를 밀봉하는 커버(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직물과 같은 구성을 갖되, 소정의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32)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커버(30)는 소위 파스(pasta)와 같이 상기 접착면(32)이 형성된 면에 소정의 패치(34)가 부착되어, 사용시에 상기 패치(34)가 분리되어 접착면(32)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높은 방수 기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32)은,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된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면(32)은 제1 면(A) 및 상기 제1 면(A)과 절곡되게 연결되는 제2 면(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A)과 제2 면(B)이 맞닿아 접착되되,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상기 제1 면(A)과 제2 면(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면(A)과 제2 면(B)이 부착되는 몸체(10)의 일 부분은 상기 개구(12)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몸체(1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는 절곡되게 구성되되, 커버(30)가 절곡되어 서로 맞닿는 면에 접착면(32)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면(32)이 상기 개구(12)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상기 몸체(10)의 일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12)를 밀봉함으로써 방수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는 개구(12)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커버(30)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20)를 닫은 후, 상기 커버(30)를 접어서 상기 개구(12)를 커버(30)하며 상기 접착면(32)이 몸체(10)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12)의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개구(12)를 개폐하는 개폐부(20), 및 상기 개구(12)의 밀봉을 달성하는 커버(30)가 구비됨에 따라서, 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는 휴대 전화의 방수가 더욱 신뢰성있게 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12)의 개폐가 개폐부(20)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12)가 커버(30)에 의해서 밀봉됨에 따라서, 수납 공간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상기 커버(30)를 제거하여 휴대 전화(H)를 사용한 후, 새로운 커버(30)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12)를 다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개선되며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됨에 따라서 커버(30) 및 몸체(10)가 일체로 구성되어 휴대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연결 고리(40), 및 상기 연결 고리(40)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고리(40)는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고리(40)는 상기 개구(12)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연결 고리(4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거치부(50)의 연결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아니한다.
거치부(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 고리(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으로 이루어진 거치부(50)의 양단이 상기 2개의 연결 고리(4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50)가 소정의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거치부(50)를 사용자의 목, 또는 손목 등에 걸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 및 휴대 전화 방수팩(1)에 수납된 휴대 전화(H)를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서, 예컨대 워터 파크, 또는 해수욕장과 같이 휴대 전화(H)의 휴대가 불편한 공간에서도 상기 거치 수단에 의해서 휴대 전화(H)의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보조 수납부(60)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보조 수납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수납부(60)는 몸체(10)에 형성된 수납 공간과 별개로 형성된 수납 공간으로서,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수납부(60)는 몸체(10)의 일 측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재를 덧댐으로써, 상기 몸체(10)와 상기 부재 사이의 공간이 수납 공간으로 활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수납부(60)는 신용 카드 및 전화 카드와 같은 소정의 카드(C)가 수납되기에 적절한 규격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카드(C)가 상기 보조 수납부(60)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보조 수납부(60)에는 상기 카드(C)와 같은 소정의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보조 개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10)에 보조 수납부(60)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수납부(60)는 소정의 카드(C)와 같은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워터 파크 및 해수욕장과 같이 카드 및 현금 등의 휴대가 불편한 공간에서도 상기 보조 수납부(60)에 카드 등을 수납하여 휴대 전화와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수납부(60)의 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커버(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커버(72)는 보조 수납부(60)의 수납공간의 입구인 보조 개구(62)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커버(72)는 상기 커버(30)와 같이 소정의 접착면(32)이 형성된 구조를 가져서 소정의 물건을 상기 보조 수납부(60)에 수납한 후 상기 접착면(32)을 상기 몸체(10)의 일 면에 부착시킴으로서 상기 보조 수납부(60)의 개구(12)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보조 커버(72)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보조 수납부(60)에 수납된 물건의 유실이 방지되며, 상기 물건의 보다 신뢰성 있는 휴대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수납부(6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개방부(64)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일 측에 덧대어져 보조 수납부(60)를 형성하는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카드(C)와 같은 소정의 물건을 상기 보조 수납부(60)에 수납했을 때, 상기 개방부(64)를 통해 노출된 상기 카드(C)의 일 면을 손끝으로 조작하여 상기 카드(C)의 용이한 수납 및 취출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64)의 크기 및 형상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체결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결부재(80)는 연결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84), 및 상기 삽입부(84)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속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84)는 상기 몸체(10)의 일 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부(82)는 상기 개구(12)가 형성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커버(30)를 부착하여 개구(12)를 밀봉한 후, 상기 구속부(82)가 형성된 부분을 접거나 말아서 상기 구속부(82)와 삽입부(84) 사이의 체결이 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개구(12)의 밀봉이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10)에는 에어 쿠션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쿠션부(100)는 몸체(10)의 외면에 소정의 부재를 덧대어 부착시키거나, 또는 몸체(1)를 구성하는 재질 내에 공간을 형성한 후, 소정의 에어를 충진시켜 팽창되도록 한 부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일 예로, 몸체(10)의 외측에 비닐,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완충 패드(110)를 부착시키며, 상기 완충 패드(110)에 구비되며 에어가 충진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 쿠션부(100)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공간부(120)는 완충 패드(110)와 몸체(10)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완충 패드(110)가 상기 공간부(120)를 내포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완충 패드(110)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부착될 경우,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측은 서로 접착되거나 연결되어 상기 완충 패드(110)가 부착되기에 적절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에어 쿠션부(100)를 구성하는 완충 패드(110)는 복수 개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완충 패드(110)가 부분적으로 몸체(10)에 부착되어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에어 쿠션부(100)의 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몸체(10)의 내측, 또는 임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그 형태 또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10)에 완충 패드(110)가 부착되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 방수팩(1)이 에어 쿠션부(100)를 구비함에 따라서, 내부에 보관된 휴대 전화의 보호가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쿠션부(100)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키는 쿠션으로 기능하여, 휴대 전화를 보관 중에 휴대 전화가 낙하하거나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의 파손 및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전화를 내장한 방수팩이 분실되어 물에 빠진 경우에도, 상기 에어 쿠션부(100)에 에어가 충진됨으로써 부력을 받아 방수팩이 물에 뜰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 전화의 분실이 방지되고 더욱 효과적인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휴대 전화 방수팩
10: 몸체
12: 개구
20: 개폐부
30: 커버
32: 접착면
34: 패치
40: 연결 고리
50: 거치부
60: 보조 수납부
62: 보조 개구
64: 개방부
72: 보조 커버
80: 체결부재
82: 구속부
84: 삽입부
100: 에어 쿠션부(100)
110: 완충 패드
120: 공간부

Claims (10)

  1. 방수 재질로 구성되며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방수팩(1)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방수팩(1)은,
    휴대 전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12) 및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1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0); 및
    상기 개구(12)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30);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보조 수납부(60);
    상기 보조 수납부(60)의 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커버(72); 및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에어 쿠션부(100);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30)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재질이 형성된 접착면(32)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면(32)은,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절곡되게 연결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이 맞닿아 접착되되,
    상기 개구(12)가 밀봉되도록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수납부(6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개방부(6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외측의 내부면은 서로 접착되며 상기 외측에 에어 쿠션부(100)가 배치되되,
    상기 에어 쿠션부(100)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완충 패드(110), 및
    상기 완충 패드(110)에 구비되며 에어가 충진되는 공간부(120)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외부면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완충 패드(110)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휴대 전화 방수팩(1).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게 구성된 휴대 전화 방수팩(1).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연결 고리(40), 및
    상기 연결 고리(40)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방수팩(1).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구속부(72)와,
    상기 몸체(10)의 적어도 일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구속부(72)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삽입부(74)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72)와 삽입부(74)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히거나 말린 상태에서 체결되는 휴대 전화 방수팩(1).
  9. 삭제
  10. 삭제
KR20130008443U 2012-12-14 2013-10-14 휴대 전화 방수팩 KR2004768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857 2012-12-14
KR2020120011857 2012-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21U KR20140003921U (ko) 2014-06-25
KR200476844Y1 true KR200476844Y1 (ko) 2015-04-07

Family

ID=5244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443U KR200476844Y1 (ko) 2012-12-14 2013-10-14 휴대 전화 방수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0197B (zh) * 2020-03-24 2021-04-16 湖南工学院 一次性手机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04Y1 (ko) * 2002-11-29 2003-03-26 김일재 완충형 포장체.
JP2004188153A (ja) * 2002-12-11 2004-07-08 Nippon File Kogyo Kk カード用収納体
KR20110007235U (ko) * 2010-01-14 2011-07-20 채희수 충격 완충용 에어 쿠션
KR20110098887A (ko) * 2009-06-05 2011-09-02 이랄라 방수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04Y1 (ko) * 2002-11-29 2003-03-26 김일재 완충형 포장체.
JP2004188153A (ja) * 2002-12-11 2004-07-08 Nippon File Kogyo Kk カード用収納体
KR20110098887A (ko) * 2009-06-05 2011-09-02 이랄라 방수팩
KR20110007235U (ko) * 2010-01-14 2011-07-20 채희수 충격 완충용 에어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21U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6174Y1 (ko) 휴대폰 보관 케이스
KR200469733Y1 (ko)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JP5467195B2 (ja) 携帯電話用防水カバー
US9949555B2 (en) Nested water-resistant pack
KR20140047898A (ko) 밀폐케이스
KR200476844Y1 (ko) 휴대 전화 방수팩
ES2681847T3 (es) Dispositivo de soporte
KR20140074786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ES2433001T3 (es) Soporte de protección deformable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80126857A (ko) 휴대용 방수팩
KR20160004283U (ko)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KR101340346B1 (ko) 교통 카드 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20070096499A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WO2001011848A1 (en) Carrier for a mobile phone
KR200272912Y1 (ko) 귀중품 방수케이스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KR200454736Y1 (ko) 교통카드 겸용 미니앨범
CN210783234U (zh) 一种防水防摔抗震手机袋
CN217089848U (zh) 一种新型电脑包
US20230187721A1 (en) Cell Phone Heat Protector Device
CN212065918U (zh) 防水袋
EP1622280A1 (en) Cellular phone casing
KR20140002198U (ko) 휴대폰 케이스
KR102174355B1 (ko) 위치추적모듈이 설포에 삽입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