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96Y1 -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96Y1
KR200476796Y1 KR20140007510U KR20140007510U KR200476796Y1 KR 200476796 Y1 KR200476796 Y1 KR 200476796Y1 KR 20140007510 U KR20140007510 U KR 20140007510U KR 20140007510 U KR20140007510 U KR 20140007510U KR 200476796 Y1 KR200476796 Y1 KR 200476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case
user termina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5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효원
Original Assignee
박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원 filed Critical 박효원
Priority to KR20140007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9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를 케이스 외부로 인출시켜 용이하게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체결되는 케이스에 구성되는 다단 로드부를 인출하여 다단 로드부에 결합된 카메라를 사용자로부터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된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모습 뿐만 아니라 배경을 함께 셀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셀프 촬영에 대한 편의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단말에 체결되는 케이스에 구성함으로써 기존 셀프 촬영 용도로 한정되며 휴대가 번거로운 보조장치에 비해 범용성 및 휴대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ase provided with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coupled to a user terminal and capable of self-photographing easily by pulling the camera out of the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stage load unit constituting a case fastened to a user terminal can be drawn out and a camera coupled to the multi-stage load unit can be positioned at a remote location from a user. Thus,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self-shooting of the background together, it is not only convenient for the self-shooting but also the camera for the self-shooting is constituted in the case fastened to the terminal, so that it is limited to the self- And the portability are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본 고안은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를 케이스 외부로 인출시켜 용이하게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ase provided with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coupled to a user terminal and capable of self-photographing easily by pulling the camera out of the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현재 제공되는 카메라는 셀프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셔터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촬영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타이머 설정을 통해 별도의 촬영자 없이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The camera currently provided provides a self-timer function so that the shutter is automatically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self-photographing without setting a timer through the timer setting.

이러한 셀프 촬영시 카메라를 촬영 대상을 향해 지향하도록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삼각대를 설치하고, 삼각대에 구비된 안착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촬영대상을 지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do this, a user needs to set up a tripod and fix the camera on a seating part provided on the tripod so as to direc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삼각대는 대부분 무게와 부피가 상당하여 휴대 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촬영시마다 삼각대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삼각대의 안착부 상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currently available tripods are mostly heavy in weight and bulky,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not very portable, and it is troublesome to install a tripod and fix the camera on the seat of the tripod.

최근 이러한 삼각대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단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봉 형태의 셀프 촬영 보조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elf-photographing assistant devices in the form of rods have been emerging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such a tripod and install a camera at the end.

이러한 셀프 촬영 보조 장치는 봉 형태로 구성되어 삼각대와 같이 촬영시마다 매번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삼각대보다 크기가 작아 어느정도 휴대성을 개선하고 있다.This self-assisting assistant device has a rod shape, so it does not have to be installed every time when taking a picture like a tripod, and it is somewhat smaller than a tripod to improve portability to some extent.

그러나, 이러한 봉 형태의 셀프 촬영 보조 장치 역시 크기가 상당하여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셀프 촬영을 위한 장치로 용도가 국한되므로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bar-shaped self-photographing assistant device is also inconvenient to carry separately because it is large in size,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versatility is greatly deteriorated because it is limited to a self-photographing device.

한국등록특허 제10-1441888호Korean Patent No. 10-1441888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용이하게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coupled to a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allow a self-photographing camera to be taken out of the case to facilitate self-photographing,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self- There is no need to carry it,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convenience.

또한, 본 고안은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구성하는 동시에 카메라를 인출시키기 위하여 케이스에 구비되는 다단 로드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기존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와 달리 범용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is constituted in a case coupled to a user terminal, and a multi-stage rod provided in the case is detached from the case to be used as a touch pe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ersatility in contrast to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the user.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의 본체에 체결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되어 생성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충전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일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로 인입되는 다단 로드부 및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일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인입시 상기 무선충전부와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art which is fastened to a main body of a user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art which is formed inside the case part and which is coupled with an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A multi-stage rod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and partially drawn out of the case portion or drawn into one sid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and a multi-stage rod portion coupled to one end portion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for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operating a shutter in response to a shutter drive signal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ike.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후면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art may be a back cover of the user terminal.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단 로드부는 타단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팁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어 터치펜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load unit includes a touch tip for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the other end, and is used as a touch pen separated from the case uni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다단 로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axis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portion may include a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camera portion to adjust a directing angle of the camera portion.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인출시 상기 다단 로드부의 타단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고정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ing part for latching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multi-stage rod part when the multi-stage rod part is pulled ou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par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되어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충전 코일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는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카메라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충전 코일부와 상기 안테나 코일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카메라부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코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연결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coil unit coupled to the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to provide charging power and an antenna coil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is connected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camera unit to selectively switch connection between any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and the antenna coil unit and the camera unit, Whe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mera un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antenna coil unit and the camera unit. can do.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이며, 상기 안테나 코일부는 NFC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n NFC, and the antenna coil unit may be an NFC antenna.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에 체결되는 케이스에 구성되는 다단 로드부를 인출하여 다단 로드부에 결합된 카메라를 사용자로부터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된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모습 뿐만 아니라 배경을 함께 셀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셀프 촬영에 대한 편의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단말에 체결되는 케이스에 구성함으로써 기존 셀프 촬영 용도로 한정되며 휴대가 번거로운 보조장치에 비해 범용성 및 휴대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out a multi-stage rod portion formed in a case fastened to a user terminal and position a camera coupled to the multi-stage rod portion from a user at a remote location, By providing a camera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of the self as well as the background togeth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self-shooting is guaranteed, and a camera for self-shooting is formed in a case fastened to the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versatility and portability compared to an auxiliary device which is limited and portab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케이스는 카메라 미사용시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어 이미지 정보의 저장 편의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여 카메라의 충전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을 충전시킬 수 있어 충전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ase with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image information stored in a camera to a user terminal when a camera is not used, thereby assuring storage convenience of image information and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the convenience of charging.

더하여,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케이스는 셀프 촬영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본체 보호를 위한 케이스 구성과 케이스에 구성된 다단 로드부를 이용한 터치펜 구성을 제공하여 범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ase with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easiness of self-photographing but also a cas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body of a user terminal and a touch pen structure using a multi- It is effective.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과의 분리 및 결합 형태에 대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의 다른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부와 다단 로드부의 결합 구조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케이스에서 다단 로드부의 터치펜 이용에 대한 구성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erminal case is separated from and combined with a user terminal.
Figs. 3 to 4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amera section and a multi-stage rod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a touch pen of the multi-stage rod unit in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과의 분리 및 결합 형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의 본체에 체결되는 케이스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에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외부로 일부가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로 인입되는 다단 로드부(110)와,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단부(113)에 체결되는 카메라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a user terminal. As shown in the figure, Wherein one end portion 12 of the case portion 10 is partial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portion 10 or inserted into the one side portion 12 of the case portion 10, A rod unit 110 and a camera unit 120 fastened to one end 113 of the multi-stage rod unit 110 can be configured.

이때,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에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고정부(130)가 구성되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인출시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타단부(111)에 형성된 돌기부(140)가 상기 걸림고정부(130)에 걸려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부(10)에서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e side portion 12 of the case portion 10 is formed with a latching fixing portion 130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When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pulled out, The protruding portion 140 formed at the other end 111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hooked on the retaining portion 130 so that a part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hooked on the case portion 10 .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안테나가 구비되는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avigation terminal, and the like.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에서 사용자 단말(20)과 체결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체결부(11)의 내부에는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을 통해 충전전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무선 충전부(200)가 구성될 수 있다.A wireless charger 20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charging power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coupling is provided in a coupling part 11 including a space to be coupled with the user terminal 20 in the case part 10, .

또한, 상기 체결부(11)의 일측에는 상기 무선 충전부(200)와 카메라부(120)를 연결하기 위한 접점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다단 로드부(110)가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 또는 케이스부(10) 방향으로 인입시 상기 카메라부(120)에 구성된 단자부(미도시)가 상기 접점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200)의 충전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1 is formed with a contact portion 300 for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er 200 and the camera portion 120.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case portion 10, A terminal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camera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300 to allow the charging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200 to be supplied And can be charged.

한편, 상기 카메라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unit 120 operates the shutter according to the shutter driv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To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상술한 구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단부(113)에 체결된 카메라부(120)를 상기 케이스부(10)에서 인출되는 다단 로드부(110)의 길이 신장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조작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카메라부(120)의 셔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자신의 모습을 용이하게 셀프 촬영할 수 있다.2, the camera unit 120 fastened to the one end 113 of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multi-stage rod unit 110 drawn out from the case unit 10, And the user can easily take a picture of himself or herself by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120 located at a remote place by operating the user terminal 20 have.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카메라부(1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메라부(10)를 통해 촬영되는 자신의 이미지를 근거리에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어 원하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Also, since the user terminal 20 can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unit 10 to the display, the user can photograph the image of himself / herself taken through the camera unit 10 while observing it from a close distance, An image can be easily obtained.

한편, 카메라부(120)의 사용 완료에 따라 상기 다단 로드부(110)를 상기 케이스부(10) 방향으로 인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120)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접점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When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unit 1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use of the camera unit 120, the camera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unit 300 through the terminal unit. And may be charged with the charging power provid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더하여, 상기 무선 충전부(200)는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무선 충전 코일과 커플링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충전전력을 제공하여 충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may be coupl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coil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to charge the user terminal 20 with charging power.

이외에도, 상기 케이스부(10)는 일측단에 연장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부(10)에 체결된 사용자 단말(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면 플립커버(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플립커버(13)가 사용자 단말(20)을 덮는 경우 상기 전면 플립커버(13)의 개방부(131)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20)의 화면을 통해서도 카메라부(120)가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는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case 1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flip cover 1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ase 1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20 fastened to the case 10. When the front flip cover 13 covers the user terminal 20, the camera unit 120 is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displayed through the opening 131 of the front flip cover 13,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mag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더하여, 상기 케이스부(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e 10 may be formed as a cov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20.

이외에도, 상기 무선 충전부(200)는 별도의 보조 배터리부로 대체되어 상기 접점부(300)를 통해 연결된 카메라에 충전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 배터리부 구성시 상기 케이스부(10)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may be replaced with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unit, and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charging power to the camera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unit 300.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battery unit, And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unit may be provided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의 다른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는 상기 다단 로드부(110) 및 상기 카메라부(120)의 일부를 내부공간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3 to 4 show another example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one side 12 of the case part 10 is connected to the multi-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camera unit 120 as an internal space.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에 구성되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다단 로드부(110)를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인출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부(130)에 의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타단부(111)에 형성된 돌기부(140)가 걸림 고정되어 상기 다단 로드부(110)가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scade rod portion 110 can be pulled out or pulled into the hous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med at the one side portion 12 of the case portion 10, The protruding portion 140 formed at the other end 111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engaged and fixed by the retaining portion 130 formed inside the housing when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is pulled out, Lt; / RTI >

또한, 상술한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같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인출시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단부(113)에 결합된 카메라부(120)를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20)와 사용자 단말(20)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셔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부(120)는 셔터 구동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해당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1 and 2, the camera unit 120 coupled to the one end 113 of the multi-stage rod unit 110 can be positioned at a long distance when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s pulled out. The camera unit 120 receiving the shutter driv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era unit 120 and the user terminal 20 operates the shutter according to the shutter drive signal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target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도 1 내지 도 4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과 카메라부(120)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은 WIFI, 블루투스(Bluetooth), RF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1 to 4,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Bluetooth, and RF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camera unit 12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20)에 체결되는 케이스부(10)로부터 다단 로드부(110)의 인출에 의해 원거리에 위치된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 표시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된 카메라부(120)를 통해 자신의 모습 뿐만 아니라 배경을 함께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셀프 촬영에 대한 편의성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본체 보호를 위한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어 셀프 촬영 용도로 국한되며 휴대가 불편한 기존 셀프 촬영을 위한 보조장치에 비해 범용성 및 휴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mera unit 10 which is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ase unit 10 fastened to the user terminal 20 by drawing out the multi- The user can view and store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20 on the user terminal 20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photograph the background image as well as his / her own appearance through the camera unit 120 located at a long distan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ase for protecting the user terminal as well as convenience for the self-photograph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versatility and portability compared to the auxiliary device for the self-photographing which is limited to the self-photographing purpose and inconvenient to carry .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의 평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로드부(110)의 인입시 카메라부(120)는 케이스부(10)의 일측부(12)에 구성된 접점부(300)와 상기 카메라부(120)의 단자부가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300)는 무선 충전부(200)와 전원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200)로부터 상기 전원선을 통해 제공되는 충전전력을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20)로 제공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FIG. 5 is a plan view of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s pulled in, The contact unit 300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camera unit 120 and the contact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through a power line, The charging power provided through the power line can be supplied to the camera unit 120 through the terminal unit and charged.

또한, 상기 무선 충전부(200)는 상기 케이스부(10)에 상기 사용자 단말(20) 체결시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무선 충전코일(21)과 커플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되어 생성된 충전전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20)을 충전시킬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can be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coil 21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when the user terminal 20 is coupled to the case unit 10, And can charge the user terminal 20 by providing the charging power generated by coupling with the device to the user terminal 20. [

한편, 상기 카메라부(120)는 동영상과 같이 용량이 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20)로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20)이 종료되거나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이미지 정보의 전송에 실패한 경우 이미지 정보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다단 로드부(110)의 인입에 따라 카메라부(120)의 미사용중에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의 구성을 참고로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when the camera unit 120 transmits image information having a large capacity such as a moving image or transmits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the user terminal 20 is terminated or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mera unit 120 can be easily transmitted even when the camera unit 120 is not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ull-in of the multi-stage load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카메라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1), 렌즈부(122), 저장부(123), 통신부(124), 단자부(125) 및 전원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1)는 통신부(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셔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셔터를 동작시키며, 이에 따라 렌즈부(122)를 통해 촬영대상을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6, the camera unit 120 includes a control unit 121, a lens unit 122, a storage unit 123, a communication unit 124, a terminal unit 125, and a power unit 126, The control unit 121 receives the shutter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4 and operates the shutter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hooting object through the lens unit 122 To the user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4.

이때, 상기 제어부(121)는 상기 통신부(124)를 통한 이미지 정보의 전송 실패에 따라 저장부(123)에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1 may store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23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failure of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4. [

한편, 무선 충전부(200)는 외부 무선 충전장치(500)와 커플링되어 충전전력을 생성하는 무선 충전코일부(210)와,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부(22)와 커플링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2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안테나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20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coil unit 210 coupled to the external wireless charging apparatus 500 to generate charging power,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nit 22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And an antenna coil unit 220 receiving and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mera unit 12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카메라부(120)의 미사용에 따른 다단 로드부(110)의 인입시 상기 카메라부(120)의 단자부(125)에 연결되는 상기 접점부(300)와 상기 무선 충전부(20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무선 충전부(200)에 포함된 무선 충전 코일부(210) 및 상기 안테나 코일부(220)와 상기 접점부(300)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절환부(400)가 상기 케이스부(1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s unloaded from the camera unit 120, the contact unit 300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25 of the camera unit 120 and the wireless charger unit 200 And a switching unit 400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F coil unit 210 included in the wireless charger unit 200 and the antenna coil unit 220 and the contact unit 300, (10).

더하여, 상기 절환부(400)와 상기 접점부(300) 사이에는 전원선 외에 신호선 및 제어선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gnal line and a control lin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witching unit 400 and the contact unit 300 in addition to the power line.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0)의 제어부(121)는 미사용에 따라 상기 단자부(125)와 상기 접점부(300)의 연결시 상기 저장부(123)에 이미지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단자부(125)에 연결된 접점부(300) 및 상기 제어선을 통해 상기 절환부(4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when the terminal unit 125 and the contact uni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unused state of the camera unit 120, The controller 300 can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400 through the contact point 300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25 and the control line.

이에 따라, 절환부(400)는 제어신호 미수신시 무선 충전 코일부(210)를 접점부(300)와 연결하며, 이에 따라 접점부(300)에 카메라부(120)의 단자부(125) 연결시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210)와 상기 카메라부(120)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부(210)의 충전전력이 전원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부(126)에 제공되어 충전됨으로써, 상기 전원부(126)가 상기 카메라부(12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26)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portion 125 of the camera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300, the switching unit 400 connects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210 to the contact unit 300 when the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210 and the camera uni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harging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210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26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and charged, The controller 126 may provide power to the camera unit 120. At this time, the power source unit 126 may include a battery.

또한, 절환부(400)는 제어선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코일부(220)를 상기 접점부(300)와 연결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 코일부(220)와 상기 카메라부(120)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120)의 제어부(121)가 상기 저장부(123)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안테나 코일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400 connects the antenna coil unit 220 to the contact unit 300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line so that the antenna coil unit 220 and the camera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21 of the camera unit 120 may provide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3 to the antenna coil unit 220 through the signal line.

이를 통해, 상기 안테나 코일부(220)는 이미지 정보 수신시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부(22)와 커플링되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antenna coil unit 220 is coupl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nit 22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to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in short- Lt; / RTI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 케이스는 사용자 단말(20)로 미전송되어 카메라부(12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카메라부(120)의 미사용중에 용이하게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se with the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20 and can easily transmit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mera unit 120 to the user terminal 20 while the camera unit 120 is not in use. To the terminal (20).

이때, 상기 케이스부(10)에 구성되는 안테나 코일부(220)와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부(2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tenna coil unit 220 formed in the case unit 1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nit 22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20 may be configured a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120)와 다단 로드부(11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단부(113)는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20)를 회전시켜 원하는 수평각도에 맞추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7 (a) and 7 (b) show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amera unit 120 and the multi-stage rod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portion 113 of the cascade rod portion 110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ascade rod portion 110 so as to rotate the camera portion 120 to thereby photograph .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일단부(11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단부(113)와 인접한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인접단부(112)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이 상기 인접단부(1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일단부(113) 전체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2 and 4, the one end portion 113 is supported by the adjacent end portion 112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110 adjacent to the one end portion 113,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adjacent end portion 112, whereby the entire one end portion 113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일단부(11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인접단부(112)에 연결된 지지부(1131) 및 상기 지지부(1131)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132)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1132)는 지지부(113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113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1132)에 체결된 카메라부(1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one end 113 of the multi-stage rod section 110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end of the multi-stage rod section 110 shown in FIGS. And a hinge portion 1132 hinged to the support portion 1131. The hinge portion 113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support portion 1131 so that the hinge portion 1132 can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portion 1131, The camera unit 120 fastened to the hinge unit 1132 may be rotated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은, 다단 로드부(110)에 포함된 일단부(113)의 회전동작과 힌지부(1132)의 회동동작을 통해 카메라부(120)를 원하는 수평각 및 수직각으로 맞추어 상기 카메라부(120)의 지향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카메라부(120)를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켜 셀프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is rotated at a desired horizontal angle and a vertical angle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ne end 113 included in the multi-stage rod unit 110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inge unit 1132, 12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camera unit 120 at a desired angle and perform self photographing.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케이스에서 다단 로드부(110)의 터치펜 이용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로드부(110)는 상기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케이스부(10)에 구성된 걸림고정부(13)를 연질 탄성체로 구성하여 상기 다단 로드부(110)를 상기 걸림고정부(13)로부터 강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touch pen of the multi-stage rod unit 110 in a terminal case having a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fastening part 13 formed on the case 10 may be formed of a soft elastic body so that the multi-stage rod part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art 13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it so as to be detached.

또한, 상기 다단 로드부(110)의 타단부(111) 하부에는 사용자 단말(20)의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데 이용되는 터치펜의 터치팁(16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단 로드부(110)를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하여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다.A touch tip 160 of a touch pen used to touch a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may be formed under the other end 111 of the multi-stage rod unit 110,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case 10 and used as a touch pe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 케이스는 셀프 촬영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0)의 본체 보호를 위한 케이스 구성과 케이스에 구성된 다단 로드부(110)를 이용한 터치펜 구성을 제공하여 범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case having the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body of the user terminal 20 as well as a self- Providing a touch pen configuration can provide versatility.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케이스부 20: 사용자 단말
110: 다단 로드부 120: 카메라부
130: 걸림고정부 140: 돌기부
160: 터치팁 200: 무선충전부
210: 무선충전 코일부 220: 안테나 코일부
300: 접점부 400: 절환부
500: 외부 무선 충전장치
10: Case section 20: User terminal
110: multi-stage rod unit 120: camera unit
130: Joint fixing part 140:
160: Touch tip 200: Wireless charging unit
210: Wireless charging coil part 220: Antenna coil part
300: contact part 400:
500: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Claims (8)

사용자 단말의 본체에 체결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성되며,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되어 생성된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충전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에 구성되어 일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로 인입되는 다단 로드부; 및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일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인입시 상기 무선충전부와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외부 무선 충전장치와 커플링되어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충전 코일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충전부와 상기 카메라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충전 코일부와 상기 안테나 코일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카메라부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안테나 코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연결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절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로드부의 인출시 상기 다단 로드부의 타단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고정부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A case part fastened to the body of the user terminal;
A wireless charging unit configured in the case unit and coupled to the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to provide the generated charging power;
A multi-stage rod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and partially drawn out of the case portion or introduced into one sid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in response to the shutter drive signal receiv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via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coil unit coupled to the external wireless charging device to provide charging power and an antenna coil unit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switc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camera unit and the connection between any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unit and the antenna coil unit and the camera unit,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the antenna coil unit and the camera unit upon reception to allow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mera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other end of the multi-stage rod portion when the multi-stage rod portion is pulled ou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후면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part is a back cover of the user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로드부는 타단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팁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어 터치펜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stage rod unit has a touch tip for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the other end, and is used as a touch pen separated from the cas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다단 로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e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ral axis of the multi-stage rod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camera portion and adjusts a directing angle of the camera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이며, 상기 안테나 코일부는 NFC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FC, and the antenna coil unit comprises an NFC antenna.
KR20140007510U 2014-10-16 2014-10-16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KR2004767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10U KR200476796Y1 (en) 2014-10-16 2014-10-16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10U KR200476796Y1 (en) 2014-10-16 2014-10-16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96Y1 true KR200476796Y1 (en) 2015-04-08

Family

ID=5303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510U KR200476796Y1 (en) 2014-10-16 2014-10-16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96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9Y1 (en) 2014-11-05 2015-09-10 강태경 Mobile phone case with selfie stick
KR101621922B1 (en) 2015-01-06 2016-05-17 임동훈 The smartphone case which embed withdrawal type camera-module
KR101621816B1 (en) 2015-03-26 2016-05-23 이학찬 Cellular phone case installed a selfca-stick
WO2019190087A1 (en) * 2018-03-29 2019-10-03 박태규 Built-in selfie sti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700A (en) * 2012-09-18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Back cover for a mobile terminal
KR20140046327A (en)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display apparatus, input pen, multi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multi display system
KR20140113853A (en) * 2013-03-15 201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700A (en) * 2012-09-18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Back cover for a mobile terminal
KR20140046327A (en)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display apparatus, input pen, multi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multi display system
KR20140113853A (en) * 2013-03-15 2014-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ca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9Y1 (en) 2014-11-05 2015-09-10 강태경 Mobile phone case with selfie stick
KR101621922B1 (en) 2015-01-06 2016-05-17 임동훈 The smartphone case which embed withdrawal type camera-module
KR101621816B1 (en) 2015-03-26 2016-05-23 이학찬 Cellular phone case installed a selfca-stick
WO2019190087A1 (en) * 2018-03-29 2019-10-03 박태규 Built-in selfie st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422875B2 (en) Remote view and controller for a camera
CN204420520U (en) A kind of hand-held from The Cloud Terrace of surely taking pictures
KR200476796Y1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US9571716B2 (e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US20170366215A1 (en) I-Scope Cell Phone Smart Case Providing Camera Functonality
CN109788091B (en) Electronic device
WO2008117101A1 (en) A camera comprising a detachable projector
CN110326286B (en) Portable handle
JP4371016B2 (en) Electronics
KR101605098B1 (en) Case for mobile device
CN105681508A (en) Portable selfie rod
KR101633865B1 (en) Self Camera Photographing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37325A (en) 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CN106101513A (en) External camera and intelligent terminal equipment
CA2882423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tablet device
KR101614617B1 (en) A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N115665294A (en) Mobile terminal
KR101616542B1 (en) Portable terminal cradle
KR20160035421A (en)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KR200476768Y1 (en)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US20210258462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martphone or camera
KR102416457B1 (en) Charging method, device, terminal, program and storage medium of mobile terminal
KR102285457B1 (en) Externally installable exercis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