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72Y1 - 식품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72Y1
KR200476672Y1 KR2020130008436U KR20130008436U KR200476672Y1 KR 200476672 Y1 KR200476672 Y1 KR 200476672Y1 KR 2020130008436 U KR2020130008436 U KR 2020130008436U KR 20130008436 U KR20130008436 U KR 20130008436U KR 200476672 Y1 KR200476672 Y1 KR 200476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elastic
ca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류근선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전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전연태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하단이 상기 용기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개 몸체; 상기 마개 몸체의 상단에 결합하며, 통기공이 형성된 외부 마개;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내부 마개; 상기 내부 마개를 통해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탄성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몸체가 상기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가 변형하는 식품 용기의 마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식품 용기의 마개 {CAP FOR 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식품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질 또는 액상의 양념류나 음료 등의 식품은 유리,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에 포장, 유통된다. 고온 충전이나 레토르트 살균 공정을 진행하는 식품이나 음료는 충전 또는 살균 직후에 식품 용기를 밀봉하여 식품, 음료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온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 유통된다.
한편, 고온 충전이나 살균 직후에 밀봉된 식품 용기가 보관, 유통되는 과정에서, 상온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면서, 용기 내부의 식품이나 음료, 공기의 부피가 낮아져, 용기의 내부 압력이 밀봉 시점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가 고온 충전이나 살균 직후에 밀봉된 경우, 보관, 유통과정에서 수축되어 영구 변형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압력이 낮아져 용기가 일부 수축되어, 용기를 개봉하는 과정에서 공기 유입 등으로 인한 소음을 통해 소비자는 용기의 밀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수축이 과도하여 영구 변형된 용기는 충분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 가능한 식품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용기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봉될 때 소음을 발생하여 제품의 밀봉 상태를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식품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하단이 상기 용기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개 몸체;
상기 마개 몸체의 상단에 결합하며, 통기공이 형성된 외부 마개;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내부 마개;
상기 내부 마개를 통해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탄성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몸체가 상기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가 변형하는 식품 용기의 마개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가 변형하고, 상기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 마개로 유입되거나 상기 외부 마개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마개는, 상기 내부 마개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이동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 마개 몸체의 내주면에 마주보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부 마개의 내측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상단 사이에 고정되어 밀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용기의 입구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지지부 사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와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마개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속 부재를,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속홀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내부 마개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결속홀에 결속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스프링들이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과 상기 마개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마개는 상기 마개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마개를 상기 마개 몸체의 내부에 구속하는 후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품 용기의 마개는, 마개의 내부 공간을 탄성 마개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식품 또는 음료가 저장된 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마개의 내부에서 탄성 마개가 변형하고, 식품 또는 음료가 저장된 공간과 격리된 마개의 다른 내부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밀봉 당시에 고온 충전 또는 살균 후 상온으로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마개의 내부에서 탄성 마개가 변형됨으로써 용기 또는 마개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된 용기를 개봉할 때, 식품이나 음료가 저장된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함에 따라 탄성 마개가 복원되면서 소음 등을 발생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밀봉 상태가 정상적으로 보존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개를 구비하는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개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개의 일부분(E)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마개 몸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외부 마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부 마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탄성 마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탄성 마개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마개의 내부 마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 따라 더욱 명확하게 정의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제2' 등의 서수를 사용한 것은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개를 구비하는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개가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개의 일부분(E)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개(100)는 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리하는 탄성 마개(103)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 마개(103)가 변형함으로써 용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예를 들면, 음료 용기로서, 고온 충전이나 살균 처리 직후 밀봉됨이 바람직하며, 상온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 유통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시점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 유통되기 때문에, 내부 압력이 밀봉 시점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개(100)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 마개(103)가 변형하므로 외형상 상기 용기(10)나 마개(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개(100)는 마개 몸체(101), 외부 마개(102), 탄성 마개(103) 및 내부 마개(104)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 몸체(101)는 상기 외부 마개(102), 탄성 마개(103) 및 내부 마개(104)를 수용하여 외형상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하며, 상기 용기(10)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게 제공된다. 결합 구조나 디자인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상기 마개 몸체(101)는 대체로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마개 몸체(101)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용기(10)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마개 몸체(101)의 하단이 상기 용기(10)의 입구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주면에는 단차면(111)과 후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마개(104)가 상기 마개 몸체(101)에 결합했을 때, 상기 내부 마개(104)는 상기 단차면(111)과 후크(113)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마개 몸체(101)의 하단에는 림(rim)(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림(115)은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10)를 개방할 때, 상기 마개 몸체(101)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마개(102)는 상기 마개 몸체(101)에 결합하여 상기 마개 몸체(101)의 상단을 폐쇄하되,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마개(102)는 상기 마개 몸체(101)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마개(103)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 엘라스토머 재질로 제작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도 8과 도 9를 더참조하면, 상기 탄성 마개(103)는 하단에 위치된 고정부(131), 상단에 위치된 이동부(133) 및 상기 고정부(131)와 이동부(133)를 연결하는 탄성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31)는 상기 내부 마개(104)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마개(103)는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내부 마개(104)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마개(103)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내부 마개(104)가 상기 탄성 마개(103)에, 또는 내부 마개(104)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탄성 마개(103)가 상기 내부 마개(104)와 금형 내에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3)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31)에 대하여 상승,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5)는 상기 고정부(131)와 이동부(13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정상 상태, 예컨대, 외력이나 압력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135)는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1)는 상기 탄성부(135)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 마개(103)는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부에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외부 마개(102)에 둘러싸인 공간을 격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개(100)가 상기 용기(10)에 결합하면, 상기 고정부(131)는 상기 내부 마개(104)와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상단 사이에 밀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마개(102)에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탄성 마개(103)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 마개(103)의 상단, 예컨대, 상기 이동부(133)의 외측면에는 결속 부재(137)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137)는 상기 탄성 마개(103)를 상기 내부 마개(104)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예컨대, 고온 충전된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이 상온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되면, 상기 탄성 마개(103)의 이동부(133)가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마개(102)로 둘러싸인 공간의 압력이 다시 낮아지면서 상기 통기공(1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과 상기 외부 마개(102)로 둘러싸인 공간의 압력이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13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135)는 상기 이동부(133)의 이동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3)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135)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이동부(133)가 상승할 때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개봉하면, 상기 이동부(133)는 상기 탄성부(135)와 하기에서 설명될 스프링(145)의 힘에 의해 정상 상태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마개(104)는 상기 마개 몸체(101)에 수용되며, 상기 탄성 마개(103)를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부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상기 내부 마개(104)는 체결부(141), 지지부(143) 및 스프링(145)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41)는 실린더 형상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마개(104)가 상기 마개 몸체(101)에 수용되면, 상기 체결부(141)의 상단이 상기 단차면(111)에, 상기 체결부(141)의 하단이 상기 후크(113)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내부 마개(104)를 상기 마개 몸체(101)에 구속하게 된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141)의 외주면에는 홈이나 돌기가,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주면에는 그에 상응하는 홈이나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으로써, 나사 결합을 위한 회전 방향에서 상기 내부 마개(104)는 상기 마개 몸체(1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41)의 상단에는 개구부(147)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마개(103)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147)를 통해 상기 체결부(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131)가 상기 개구부(147)를 통해 상기 체결부(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141) 상단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3)는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탄성 마개(103)의 결속 부재(137)에 상응하는 결속홀(149)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145)을 통해 상기 체결부(141)에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145)은 그 일단이 상기 개구부(147)의 외측에, 타단이 상기 지지부(143)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부(143)를 상기 체결부(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프링(145)이 상기 내부 마개(10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마개(103)의 고정부(131)가 상기 체결부(141)에, 상기 결속 부재(137)가 상기 결속홀(149)에 각각 고정되면, 상기 탄성 마개(103)는 상기 내부 마개(104)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부 마개(104)가 상기 마개 몸체(101)와 결합하면, 상기 탄성부(135)는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145)은 상기 탄성부(135)의 외주면과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탄성 마개(103)는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부 공간을 둘로 나누어 격리시킬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상기 마개(100)가 상기 용기(1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탄성 마개(103)는 상기 용기의(10)를 외부 공간과 격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마개(103)가 상기 마개 몸체(101)의 내부에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마개(100)가 상기 용기(10)를 밀봉하는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마개 몸체(101)를 상기 용기(10)의 입구에 정렬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마개(100)가 상기 용기(10)에 결합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마개(104)는 상기 마개 몸체(101)에 회전 방향에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 마개(10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마개(100)는 상기 용기(10)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마개(10)가 상기 용기(10)에 완전히 결합하게 되면, 상기 탄성 마개(103)의 고정부(131)가 상기 내부 마개(104)의 내측면(예컨대, 상기 체결부(141) 상단의 내측면)과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상단에 의해 압축되어 밀봉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용기(10)의 입구(13)는 상기 탄성 마개(103)에 의해 밀봉된다.
상기 마개(100)로 상기 용기(10)를 밀봉한 시점에서, 상기 마개(100)는 정상 상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마개(103)가 병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식품이나 음료가 고온 충전된 상태이고, 상온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 유통된다면, 보관, 유통 과정에서는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나 빈 공간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을 낮아지게 하며, 종래의 마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용기(10)는 수축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마개(100)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103)가 변형하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과 외부의 압력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내용물이 점차 냉각되어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103),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33)가 상기 지지부(143)와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 마개(103)가 수축하면서 상기 용기(10)의 감소된 내부 압력을 보상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 마개(103)의 외측에서 상기 마개(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즉, 상기 외부 마개(102)로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탄성 마개(103)의 내부 공간과는 격리되면서 상기 통기공(121)을 통해 외부 공간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마개(102)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 유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133)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3)는 상기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스프링(145)은 상기 이동부(133)와 지지부(143)를 상승시키는 방향, 예컨대,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탄성 마개(103)가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축소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마개(100)를 회전시켜 상기 용기(10)를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가 개봉될 때, 상기 탄성 마개(103),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31)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가 해소되면서 상기 스프링(145)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지지부(143)와 이동부(133)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143)와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지지부(143)와 이동부(133)는 급속도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45)의 힘은 상기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고정부(143)와 상기 용기(10)의 입구(13) 상단의 밀봉 상태가 약해지면, 그 미세한 틈으로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33)와 지지부(143)는 상기 스프링(145)의 힘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고, 미세한 틈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143)와 이동부(133)의 이동에 따른 소음 또는 외부 공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소비자는 상기 용기(10)의 밀봉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용기를 개봉할 때 소음을 발생시켜 소비자가 밀봉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금속성 재질의 마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마개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용기 100: 마개
101: 마개 몸체 102: 외부 마개
103: 탄성 마개 104: 내부 마개

Claims (10)

  1. 식품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하단이 상기 용기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마개 몸체;
    상기 마개 몸체의 상단에 결합하며, 통기공이 형성된 외부 마개;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내부 마개;
    상기 내부 마개를 통해 상기 마개 몸체에 수용되는 탄성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마개는, 상기 내부 마개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이동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마개 몸체가 상기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 마개가 변형하고, 상기 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외부마개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용기의 마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마개 몸체의 내주면에 마주보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식품 용기의 마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내부 마개의 내측면과 상기 용기의 입구 상단 사이에 고정되는 식품 용기의 마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용기의 입구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지지부 사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와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식품 용기의 마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지지되는 식품 용기의 마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마개는 상기 이동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속 부재를,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결속홀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가 상기 내부 마개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결속홀에 결속되는 식품 용기의 마개.
  9. 제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프링이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과 상기 마개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식품 용기의 마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마개를 상기 마개 몸체의 내부에 구속하는 후크를 더 구비하는 식품 용기의 마개.
KR2020130008436U 2013-10-14 2013-10-14 식품 용기의 마개 KR200476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36U KR200476672Y1 (ko) 2013-10-14 2013-10-14 식품 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36U KR200476672Y1 (ko) 2013-10-14 2013-10-14 식품 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72Y1 true KR200476672Y1 (ko) 2015-03-19

Family

ID=5305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36U KR200476672Y1 (ko) 2013-10-14 2013-10-14 식품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353A (ja) * 1994-04-05 1995-10-24 Kao Corp ガス抜き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353A (ja) * 1994-04-05 1995-10-24 Kao Corp ガス抜きキャ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KR101295505B1 (ko)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US20190119015A1 (en) Container and lid with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US4174784A (en) Anti-collapse cap
CN102803089B (zh) 盖和具有盖的容器
KR10149387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AU2008209653B2 (en) Valve carrier ring assembly
US20170369212A1 (en) Vapor-tight container
CN109561755B (zh) 用于包装产品,特别是化妆品成分的包装
WO2009089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sitive pressure in the headspace of a plastic container
HUT74241A (en) Container closure with controlled gas venting
JP2015127236A (ja) 二重容器
KR200476672Y1 (ko) 식품 용기의 마개
CN1960921B (zh) 封闭元件
WO2018129813A1 (zh) 气垫粉盒
JP2021522123A (ja) 飲料容器の弁アセンブリ
CN1953914B (zh) 用于分配流体产品的无空气分配器的封闭装置
US3339605A (en) Lid-covered container
CN118019695A (zh) 用于容器的封闭盖
JP5680981B2 (ja) キャップ
KR102189640B1 (ko)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KR200478706Y1 (ko) 식품 용기용 체크 밸브장치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CN101511690A (zh) 具有密封功能的双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