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82Y1 -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 Google Patents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82Y1
KR200476182Y1 KR2020140006804U KR20140006804U KR200476182Y1 KR 200476182 Y1 KR200476182 Y1 KR 200476182Y1 KR 2020140006804 U KR2020140006804 U KR 2020140006804U KR 20140006804 U KR20140006804 U KR 20140006804U KR 200476182 Y1 KR200476182 Y1 KR 200476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witch
external operation
tub
motor
s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석진
Original Assignee
주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진 filed Critical 주석진
Priority to KR2020140006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8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8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87Therapeutic baths with agitated or circulated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욕조통; 상기 욕조통의 하부로 배치되는 스파 모듈; 상기 욕조통의 상부인 욕실 천장 내에 배치되며, 제1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듈과 연결되는 스파 모터; 및 상기 욕조통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스파 모터를 구동시키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A spa module disposed below the tub; A spa motor disposed within the bathroom ceiling abov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 module by a first wire; And an external operating switch disposed outsid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 motor by a second electric wire to drive the spa motor.

Description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본 고안은,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스위치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동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of an operation switch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into the operation switch .

욕조(bathtub)는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의 물을 받아 놓을 수 있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욕실용 부재이다.A bathtub is a bathroom element with a water reservoir to receive water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use.

이러한 욕조는 예컨대, 그 기능에 따라 동양식 욕조와 서양식 욕조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bath can be divided into a bath of the same type and a bath of the Western type, for example, depending on its function.

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동양식 욕조의 경우는 사용자가 좌정하여 몸의 상체를 담글 수 있게 함으로써 뜨거운 물에 의한 근육 이완 효과를 높이는 구조로 마련된다.In brief, in the case of the bathtub of the same type, the user is allowed to sit down and soak the upper body of the body, thereby enhancing the muscle relaxing effect by the hot water.

이에 반해, 서양식 욕조의 경우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기대어 누울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로 인해 가슴 아랫부분을 주로 담글 수 있게 함으로써 편안한 자세로 쉬면서 인체를 편안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서양식 욕조의 경우, 각종 아로마를 첨가하여 아로마 욕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재, 아파트 등에 적용되는 욕조의 대부분은 서양식 욕조를 모방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estern style bathtub, the user is provided with a length that allows the user to lean down in a relaxed posture, thereby allow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hest to be mainly soaked to relax the body in a comfortable posture while relaxing the body. In addition, in the case of western style baths, it is possible to enjoy aroma baths by adding various aromas. Currently, most of the baths applied to apartments are imitated western style bathtubs.

종전만 하더라도 욕조는 단순히 물을 받는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에는 욕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다.In the past, only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water was performed. 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bathtub.

예컨대, 욕조의 바닥이나 내벽에서 기포(bubble)를 분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포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줌은 물론, 물속에 용존된 기포가 사용자의 피부에 스며들게 하여 모공 속 피지, 모낭충 및 노폐물 등이 제거되게 하기도 한다.For example, bubbles are ejected from the bottom or inner wall of a bathtub, thereby providing a massage effect to the user by air bubbles, as well as allowing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to permeate the user's skin, thereby removing sebum, .

실제, 기포를 분출하는 기능성 욕조의 경우, 그 사용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에 발맞추어 본 출원인 역시,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욕조에 대해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한 바 있다.Actually, in the case of a functional bath for jetting air bubbles, the use thereof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In view of this, the present applicant has also filed a patent application for the functional bath having such functions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한편, 이러한 기능을 비롯하여 근자에 출시되어 사용되는 욕조, 특히 고급형 욕조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내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욕조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동스위치가 마련된다.Meanwhile, various functions are contained in bathtubs, especially high-class bathtubs,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used, including these functions. In order to operate these functions, various types of operation switches are provided in the bathtub.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1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출시되는 기능성 욕조(1, 스파, 월풀 등)의 경우, 욕조통(10)의 상단부 표면에 작동스위치(40)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most of functional bathtubs (1, spas, whirlpools, etc.) to be released, operating switches (40) are most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thtub (10).

작동스위치(40)는 욕조통(10)의 하단부로 형성되는 스파 모듈(20)의 구동을 위한 스파 모터(3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peration switch 40 serves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spa motor 30 for driving the spa module 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ub 10.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기술의 경우, 욕조통(10)의 하부 영역 빈공간에 스파 모터(30)가 위치되어 있으며, 그 위치에서 전선(L1,L2)이 스파 모듈(20)들과 작동스위치(40)로 연결되어 있다.1, the spar motor 30 is located in the lower area empty space of the tub 10, and the electric wires L1, L2 at that position are operated with the spa modules 20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 40.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욕조(1)의 경우, 작동스위치(40)가 욕조통(10)의 상단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tub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operation switch 4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tub 10, and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우선, 도 1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욕조(1)의 경우, 전술한 것처럼 작동스위치(40)가 욕조통(10)의 상단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작동스위치(40)에 물이 침투하기 쉽고, 이로 인해 작동스위치(40)가 쉽게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tub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since the operation switch 4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switch 40 is easily burned.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능성 욕조(1)에 마련되는 작동스위치(40)는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눌러야만 동작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반복적인 잦은 동작에 따른 내구성 문제를 야기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작동스위치(40)가 욕조통(10)의 상단부 표면에서 쉽게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switch 40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functional bath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40 is operated only when it is strongly depressed from the top down, it causes a durability problem due to repetitive frequent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henomeno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10 occurs.

특히, 기존의 기능성 욕조(1)에 마련되는 작동스위치(40)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욕조통(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가 커져서 비용 손실을 유발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Particularly, when a trouble occurs in the operation switch 40 provided in the existing functional bathtub 1,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tub 10 itself or removing the lower shielding plate of the tub 10 It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causes a lot of problems such as a construction cost and a loss of c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se matter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8531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4-000853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6511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4-001651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5827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5-0025827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8026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10-0008026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스위치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동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ng switch capab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operating switch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into the operating switch.

상기 목적은, 욕조통; 상기 욕조통의 하부로 배치되는 스파 모듈; 상기 욕조통의 상부인 욕실 천장 내에 배치되며, 제1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듈과 연결되는 스파 모터; 및 상기 욕조통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스파 모터를 구동시키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bath tub; A spa module disposed below the tub; A spa motor disposed within the bathroom ceiling abov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 module by a first wire; And an external operating switch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rk motor by a second electric wire to drive the spark motor.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 모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파 모터의 온/오프(o/off) 동작, 상기 스파 모터의 타이머(time) 동작, 상기 스파 모듈의 세기 동작이 선택적으로 컨트롤될 수 있다.The controll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and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spa module.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는 상기 욕조통이 배치되는 욕실 벽에 배치될 수 있다.The external operating switch may be disposed on a bathroom wall where the tub is disposed.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가 위치되는 상기 욕실 벽에는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물 침투 저지벽체가 마련될 수 있다.The bathroom wall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located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filtration prevention wall which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상기 물 침투 저지벽체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가 위치되는 상기 욕실 벽에는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덮어 감싸는 비닐시트가 마련될 수 있다.The bathroom wall i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located may be provided with a vinyl sheet cover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상기 비닐시트의 상단부는 상기 욕실 천장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욕실 벽의 금속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vinyl seat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the lower end of the vinyl seat is provided with a magne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metal plate of the bathroom wall.

본 고안에 따르면, 작동스위치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동스위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rability of the operation switch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into the operation switch.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동작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형 작동스위치가 욕조통의 상단부 표면에서 쉽게 탈리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not depressed strongly,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eliminating the phenomenon that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easily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trouble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nly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tub main body or to remove the bottom cover plate of the tub, And the problem of cost loss can be efficiently sol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
1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2. FIG.
4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블록도이다.FIG. 2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with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100)는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욕조통(110), 스파 모듈(120), 스파 모터(1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batht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A spar module 110, a spar module 120, a spar motor 130, and an external operating switch 140.

욕조통(110)은 사용자가 몸을 담글 수 있게 물이 저장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욕조통(110)은 목재, 강화 플라스틱 및 금속 등 어느 것으로도 제조 가능하다.The tub 110 is a place where water is stored so that the user can soak the body. The tub 110 may be made of wood, reinforced plastic, metal, or the like.

또한 욕조통(110)은 물을 저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 가능한데, 예컨대, 욕조통(110)은 그 자신을 지지하기 위한 욕조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 욕조 케이스와 분리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htub 1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on the assumption that the bathtub 110 has a space capable of storing water. For example, the bathtub 11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a bathtub case for supporting itself , And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ub case.

스파 모듈(120)은 욕조통(110)의 하부로 배치되어 욕조통(110)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해 기포 등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능성 욕조(100)는 단순한 목욕 외에도 건강상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The spa module 120 is disposed below the bathtub 110 and serves to generate air bubbl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thtub 110 toward the upper part. Therefore, the functional bathtub 100 of this embodiment is sufficient to provide a health effect in addition to a simple bath.

스파 모터(130)는 제1 전선(L1)에 의해 스파 모듈(120)과 연결되어 스파 모듈(120)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pa motor 130 is connected to the spa module 120 by the first wire L1 to operate the spa module 120.

종전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 스파 모터(130)는 욕조통(110)의 상부인 욕실 천장 내에 배치된다.Unlike the prior art, in this embodiment, the spar motor 130 is disposed in the bathroom ceiling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athtub 110.

종전의 경우, 도 1처럼 욕조통(110)의 하부에 스파 모터(130)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작업성이 대단히 좋지 않았다.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spar motor 130 is provided under the tub 110 as shown in FIG. 1, the workability is not very good.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스파 모터(130)는 욕조통(110)의 상부인 욕실 천장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아진다. 특히, 욕실 천장은 통상적으로 개폐 가능한 내장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러한 욕실 천장에 스파 모터(130)를 설치하면 설치, 유지보수의 효과가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par motor 130 is disposed i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bathtub 110, workability is improved. Particularly, since the bathroom ceiling is usually provided as an interior material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f the spa motor 13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the effec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s improved.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는 종전의 도 1과 달리, 욕조통(1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전선(L2)에 의해 스파 모터(130)와 연결되어 스파 모터(13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1,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is disposed outside the tub 110 and connected to the spark motor 130 by the second electric line L2 to drive the spark motor 130 .

특히, 본 실시예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는 욕조통(110)에 설치되지 않고, 욕조통(110)을 제외한 다른 장소, 예컨대 욕조통(110)이 배치되는 욕실 벽에 배치된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is not installed in the bathtub 110 but is disposed in a place other than the bathtub 110, for example, in a bathroom wall where the bathtub 110 is disposed.

본 실시예처럼 외장형 작동스위치(140)가 욕실 벽에 배치될 경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1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1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is disposed in the bathroom wal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only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needs to be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110 or to remove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110. Thus, troublesome and costly problems can be effectively sol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100)에는 컨트롤러(160)가 더 마련된다. 컨트롤러(160)는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스파 모터(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Meanwhile, a controller 160 is further provided in the functional batht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13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이때, 컨트롤러(160)에 의해 스파 모터(130)의 온/오프(o/off) 동작, 스파 모터(130)의 타이머(time) 동작, 스파 모듈(120)의 세기 동작이 선택적으로 컨트롤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130,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130, and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spa module 120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have.

이러한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61, a memory 162, and a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스파 모터(130)의 온/오프(o/off) 동작, 스파 모터(130)의 타이머(time) 동작, 스파 모듈(120)의 세기 동작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ur motor 13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in this embodiment,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ur motor 130 , And may be one of a variety of computer processors that may be industrially applica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spa module 120.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The memory 16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 The memory 162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OM, a floppy disk,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circuit 16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a support circuit 16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스파 모터(130)의 온/오프(o/off) 동작, 스파 모터(130)의 타이머(time) 동작, 스파 모듈(120)의 세기 동작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60)가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스파 모터(130)의 온/오프(o/off) 동작, 스파 모터(130)의 타이머(time) 동작, 스파 모듈(120)의 세기 동작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13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130, And selectively controls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module 12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ur motor 13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ur motor 130, A series of processes and the lik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2.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100)에 따르면,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bat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d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100)에 따르면, 종전처럼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를 하방으로 강하게 누르지 않더라도 동작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형 작동스위치(140)가 욕조통(110)에서 쉽게 탈리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functional batht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can be operated without pressing down strongly,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can be operated in the tub case 110 can easily be elimina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100)에 따르면,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1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1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1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1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functional bathtu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only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140 needs to be maintained. Therefore, the tub 110 itself is detach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roublesome work and cost loss since the work after the removal of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110 is required.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4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200)의 경우에도 욕조통(210), 스파 모듈(220), 스파 모터(2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210, a spa module 220, a spur motor 2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240)가 위치되는 욕실 벽에는 외장형 작동스위치(240)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물 침투 저지벽체(270)가 마련된다.In this structure, a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270 is provided on the bathroom wall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is located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물 침투 저지벽체(270)는 외장형 작동스위치(24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욕조통(110)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240)로 튀는 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물 침투 저지벽체(270)가 외장형 작동스위치(240)로 향하는 물을 완벽하게 막지는 못하지만 물 침투 저지벽체(270)가 있는 경우, 외장형 작동스위치(240)의 내구성을 종전보다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infiltration inhibiting wall 270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and serves to prevent water splashing from the tub 110 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Of course, when 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270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water flowing toward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but 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270 exists,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can be improved There will be.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2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2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2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2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2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2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2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2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240 only after removing the tub 210 from the tub 210 or removing the lower panel from the tub 2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5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300)의 경우에도 욕조통(310), 스파 모듈(320), 스파 모터(3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310, a spa module 320, a spur motor 3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340)가 위치되는 욕실 벽에는 외장형 작동스위치(340)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물 침투 저지벽체(370)가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물 침투 저지벽체(370)는 슬라이딩 타입으로써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물 침투 저지벽체(370)가 외장형 작동스위치(340)로 향하는 물을 완벽하게 막지는 못하지만 물 침투 저지벽체(370)가 있는 경우, 외장형 작동스위치(340)의 내구성을 종전보다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this structure, a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370 is provided on the bathroom wall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is located. 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ng wall 370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In this embodiment, 370 are sliding type and are adjustable in length. Likewise, if 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on wall 370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water flowing toward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but the water infiltration prevention wall 370 exists,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can be improved There will be.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3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3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3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3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3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3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3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3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340 only after removing the bathtub 310 itself or removing the lower cover plate 310 of the tub 3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6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400)의 경우에도 욕조통(410), 스파 모듈(420), 스파 모터(4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bathtub 410, a spa module 420, a spa motor 4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440)가 위치되는 욕실 벽에는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를 덮어 감싸는 비닐시트(470)가 마련된다.In such a structure, a bathroom seat o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 vinyl seat 470 cover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이때, 비닐시트(470)의 상단부는 욕실 천장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자석(471)이 마련되어 욕실 벽의 금속 플레이트(47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vinyl sheet 470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the magnet 47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inyl seat 470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etal plate 472 of the bathroom wall.

이처럼 비닐시트(470)가 마련될 경우, 비닐시트(470)를 개방한 후,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를 동작시킨 후에 자석(471)을 이용하여 비닐시트(470)로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를 덮어둘 수 있기 때문에 외장형 작동스위치(440)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다.When the vinyl sheet 470 is provided,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is operated after the vinyl sheet 470 is opened, and the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is connected to the vinyl sheet 470 using the magnet 471.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4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4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4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4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4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4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4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4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440 only after removing the tub 410 from the tub 410 or removing the lower cover 430 of the tub 4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7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500)의 경우에도 욕조통(510), 스파 모듈(520), 스파 모터(5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510, a spa module 520, a spa motor 5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540)가 위치되는 욕실 벽에는 외장형 작동스위치(540)가 배치되는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570)가 형성된다. 이처럼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570)를 형성시킨 이후, 이곳에 외장형 작동스위치(540)를 배치시킴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540)로 물이 튀는 현상을 일정부분 저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such a structure, an operation switch placement groove portion 570 i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is disposed is formed on the bathroom wall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is located. By dispos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after the operation switch placement groove 57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henomenon of splashing water 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5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5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5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5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5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5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5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5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540 only after removing the tub 510 of the bathtub 510 or removing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5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8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600)의 경우에도 욕조통(610), 스파 모듈(620), 스파 모터(6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6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610, a spa module 620, a spur motor 6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장형 작동스위치(640)가 위치되는 욕실 벽에는 외장형 작동스위치(640)가 배치되는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670)가 형성되는데, 이때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670)의 개구에는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670)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회동 덮개(680)가 배치된다.In this structure, an operation switch arrangement groove portion 670 i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bathroom wall wher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is located. 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operation switch arrangement groove portion 670 is operated And a rotating lid 680 that rotatab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switch placement groove 670 is disposed.

이처럼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670)를 형성시킨 이후, 이곳에 외장형 작동스위치(640)를 배치시키고, 이어 작동스위치 배치용 홈부(670)의 개구에 회동 덮개(680)를 적용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640)가 물에 젖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operation switch placement groove portion 67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is disposed here, and the rotation cover 680 is applied to the opening of the operation switch placement groove portion 670, 64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wetted with water.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6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6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6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6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6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6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6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6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640 only after removing the bathtub 610 itself or removing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6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9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700)의 경우에도 욕조통(710), 스파 모듈(720), 스파 모터(7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7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710, a spa module 720, a spa motor 7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욕실 벽에는 욕실장(740)이 마련되는데, 이 욕실장(740) 내에 외장형 작동스위치(740)가 배치될 수 있다. 실제, 욕실장(740)은 욕실에 흔히 있는 가구이므로 이러한 욕실장(740)을 이용하여 외장형 작동스위치(740)를 배치시킴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740)의 물에 의한 소손을 예방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a bathing room 740 is provided on the bathroom wall, and the external operating switch 740 can be disposed in the bathing room 740. Actually, since the bathroom unit 740 is a common furniture in the bathroom, by dispos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by using the bathroom unit 7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from being burned by water.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7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7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7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7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7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7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7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even if the functional bath 7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740 only after removing the bathtub 710 itself or removing the lower cover plate 710 of the tub 7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도 10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의 시공 구조도이다.10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unctional bath having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욕조(800)의 경우에도 욕조통(810), 스파 모듈(820), 스파 모터(830), 그리고 외장형 작동스위치(8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unctional tub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tub 810, a spa module 820, a spur motor 830, and an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욕실 벽에는 포켓(870)이 형성되는데, 이 포켓(870) 내에 외장형 작동스위치(840)가 수용된다. 물론, 이 경우, 외장형 작동스위치(84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무선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 structure, a pocket 870 is formed in the bathroom wall, and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870. Of course, in this cas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is preferably a wireless switch,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능성 욕조(800)가 적용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840)에 물이 쉽게 침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장형 작동스위치(8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사 외장형 작동스위치(840)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외장형 작동스위치(840)만을 유지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욕조통(810) 자체를 탈거하거나 혹은 욕조통(810)의 하부 가림판 등을 탈거한 후에 작업을 해야 해서 번거로움과 비용 손실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Even if the functional bathtub 8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by preventing water from easily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840 only after removing the tub 810 itself or removing the lower cover plate of the tub 8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기능성 욕조 110 : 욕조통
120 : 스파 모듈 130 : 스파 모터
140 : 외장형 작동스위치 160 : 컨트롤러
100: functional bathtub 110: tub bathtub
120: Spa module 130: Spa motor
140: External operation switch 160: Controller

Claims (8)

욕조통; 상기 욕조통의 하부로 배치되는 스파 모듈; 상기 욕조통의 상부인 욕실 천장 내에 배치되며, 제1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듈과 연결되는 스파 모터; 및 상기 욕조통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전선에 의해 상기 스파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스파 모터를 구동시키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는 상기 욕조통이 배치되는 욕실 벽에 배치되고,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가 위치되는 상기 욕실 벽에는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해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덮어 감싸는 비닐시트가 마련되며, 상기 비닐시트의 상단부는 상기 욕실 천장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욕실 벽의 금속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
Bath tub; A spa module disposed below the tub; A spa motor disposed within the bathroom ceiling abov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 module by a first wire; And an external operating switch disposed outside the tub and connected to the spa motor by a second electric wire to drive the spa motor,
Wherein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in a bathroom wall where the tub is disposed,
Wherein the bathroom wall o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 vinyl seat covering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the upper end of the vinyl seat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a magnet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tub, and the tub is detachably attached to a metal plate of a bathroom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파 모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파 모터의 온/오프(o/off) 동작, 상기 스파 모터의 타이머(time) 동작, 상기 스파 모듈의 세기 동작이 선택적으로 컨트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selectivel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the timer operation of the spark motor, and the intensity operation of the spark modul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가 위치되는 상기 욕실 벽에는 상기 외장형 작동스위치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물 침투 저지벽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hroom wall in which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 water infiltration prevention wall which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external operation switc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 침투 저지벽체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작동스위치를 갖는 기능성 욕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ater penetration preventing wall is adjustable in length. ≪ RTI ID = 0.0 > 8.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40006804U 2014-09-18 2014-09-18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KR2004761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04U KR200476182Y1 (en) 2014-09-18 2014-09-18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04U KR200476182Y1 (en) 2014-09-18 2014-09-18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82Y1 true KR200476182Y1 (en) 2015-02-05

Family

ID=5259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04U KR200476182Y1 (en) 2014-09-18 2014-09-18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82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997A (en) * 1991-08-29 1993-03-09 Toto Ltd Foam bathtub
JPH0662430U (en) * 1993-02-12 1994-09-02 ヤマックス株式会社 Decorative panel for switch
KR100583941B1 (en) 2004-02-05 2006-05-29 남춘호 Electrical Outlet Cove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KR101087496B1 (en) * 2008-03-07 2011-11-29 강영주 Outer Outlet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997A (en) * 1991-08-29 1993-03-09 Toto Ltd Foam bathtub
JPH0662430U (en) * 1993-02-12 1994-09-02 ヤマックス株式会社 Decorative panel for switch
KR100583941B1 (en) 2004-02-05 2006-05-29 남춘호 Electrical Outlet Cove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KR101087496B1 (en) * 2008-03-07 2011-11-29 강영주 Outer Outlet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161B2 (en) Combination spa system with water chilling assembly
JP3139249U (en) Display device
CN203841594U (en) Intelligent bathing machine
KR101292178B1 (en) Automatic bath machine
KR200476182Y1 (en) Functional bathtub with external type switch
WO2018041039A1 (en) Bathroom having combined shower and sauna
CN210961718U (en) Bathroom bath equipment is used in family life
CN103356107A (en) Automatic bathroom back rubbing device with massage function
CN104074373A (en) Novel shower room
CN206120189U (en) Shower is with device of giving a rubdown with a damp towel
KR200413042Y1 (en) Hand bath regulated according to arm length
JP6902920B2 (en) Bathroom unit
KR200399348Y1 (en) Semi-bath instrument for bathing foot and hand
CN203354888U (en) Bathtub type hydrotherapy machine
KR200388868Y1 (en) Semi-bath instrument for bathing foot and hand
KR200278878Y1 (en) bathtub having automatically massaging for pet
KR200314489Y1 (en) Shower frams for body shower cabinet
JP3115982U (en) Foot bath machine
KR200401438Y1 (en) Multifunctional Foot bath machine
JP2004261501A (en) Warm bubble bathing apparatus
JP2008264068A (en) Bedrock bathing apparatus with bathtub and portable unit house with the same
RU69402U1 (en) BALNEOLOGICAL BATH "COMFORT"
KR200314487Y1 (en) Shower frams for body shower cabinet
CN207453540U (en) A kind of compact space bathroom urinal
KR200422028Y1 (en) bath device for warming hand and fo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