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67Y1 -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67Y1
KR200475767Y1 KR2020140000157U KR20140000157U KR200475767Y1 KR 200475767 Y1 KR200475767 Y1 KR 200475767Y1 KR 2020140000157 U KR2020140000157 U KR 2020140000157U KR 20140000157 U KR20140000157 U KR 20140000157U KR 200475767 Y1 KR200475767 Y1 KR 200475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andpiece
surgical
procedur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완
이용환
Original Assignee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일기연
Priority to KR2020140000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1Pain-alleviating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는, 작동부와 연결부가 내측에 배치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핸드피스케이스의 상기 연결부측의 단부에는 조립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조립나사에 조립되며 시술용 팁 관통공이 형성된 팁커버와, 상기 팁커버와 손잡이부사이에 배치되며 시술용 팁의 날끝방향의 식별표식이 형성된 시술방향 표시링이 배치되어, 의료행위시 사용되는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핸드피스본체에 설치되어 시술방향 표시링의 식별표식에 의하여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수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핸드피스를 꺼내지 않고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하는 시술상태에 집중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착오가 없이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게 되고 시술의 집중도도 향상되고 시술이 신속하게 된다.

Description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A Medical handpiece }
본 고안은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료행위시 사용되는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수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핸드피스의 연결단부의 표시링의 식별표식을 보고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하는 시술상태에 집중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착오가 없이 보다 안전하게 신속하게 시술이 가능하게 되는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에서 수술을 하거나 치과에서 이상이 있는 치아를 치료하기 위하여서는 각종 시술기구들이 사용되며, 그 중 일예로서 초음파발진부가 내장된 초음파작동 핸드피스가 있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작동 핸드피스의 경우 선단부에 치료에 적절한 여러형태의 수술기구를 선별하여 결합한 다음 초음파발진부로 핸드피스를 발진시켜, 이상이 있는 치아에 필요한 치료를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시술시 치조골을 천공하고, 천공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거나, 치아의 근관치료시 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속의 신경조직을 제거하는 시술등 치과적 치료시에 이러한 핸드피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치과수술시만이 아니라 외과수술이나 기타의 의료행위에서도 이러한 핸드피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핸드피스가 수술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시술되는 시술용 팁의 각 날끝의 방향이 제조사마다 다르게 되고, 시술용 팁내에 형성된 나사산에 따라 다르므로, 핸드피스에 장착되는 시술팁의 날끝의 방향은 항상 다르게 되므로, 시술하는 시술자는 항상 핸드피스에 장착된 시술용 팁의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시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에 대한 정신적인 압박감이 크게 되고, 시술시에 내시경에 의한 시술을 수행하면서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핸드피스를 다시 꺼내서 확인을 하고 다시 시술부위에 삽입하여 시술하는 경우가 항상 시술시에 발생되고 있어 시술시에 집중도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술용 팁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지만 일례로, 연마를 위한 시술용 팁은 통상 45°의 각도를 가지며, 절개를 위한 시술용 팁용 절개날에 따라서 사용되는 각도가 다르므로, 이러한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의 인지는 각각의 시술용 팁마다 다르므로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복잡한 시술용 팁의 날끝이 복잡하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시술하는 시술용 팁의 방향이 반대방향임에도 불구하고 과로나 피로에 의하여 시술용 팁을 착각하여 많이 사용하던 시술용 팁의 방향으로 시술을 수행하게 되어 손상되지 않을 부위도 잘못된 시술로 인하여 확대되어 손상되게 되는 우려가 다분히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번호 10-2012-0068056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행위시 사용되는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시술방향 표시링의 식별표식에 의하여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수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핸드피스본체에 설치된 표시링의 식별표식을 통하여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핸드피스를 꺼내지 않고도 확인할 수가 있게 되므로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하는 시술상태에 집중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착오가 없이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게 되고 시술의 집중도도 향상되고 시술이 신속하게 되는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일단부에는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시술용 팁 연결부가 설치된 의료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와 연결부가 내측에 배치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핸드피스케이스의 상기 연결부측의 단부에는 조립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조립나사에 조립되며 시술용 팁 관통공이 형성된 팁커버와, 상기 팁커버와 손잡이부사이에 배치되며 시술용 팁의 날끝방향의 식별표식이 형성된 시술방향 표시링이 배치된 본 고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는, 작동부와 연결부가 내측에 배치되게 중공부가 형성된 핸드피스케이스의 상기 연결부측의 단부에는 조립나사부가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조립나사에 조립되며 시술용 팁 관통공이 형성된 팁커버와, 상기 팁커버와 손잡이부사이에 배치되며 시술용 팁의 날끝방향의 식별표식이 형성된 시술방향 표시링이 배치되어, 의료행위시 사용되는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핸드피스본체에 설치되어 시술방향 표시링의 식별표식에 의하여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수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핸드피스를 꺼내지 않고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하는 시술상태에 집중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착오가 없이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게 되고 시술의 집중도도 향상되고 시술이 신속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시의 개략적인 사시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는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시술용 팁(22)이 고정되는 팁연결부(23)가 설치된 핸드피스케이스(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의료용 핸드피스(A)의 상기 핸드피스케이스(1)는, 상기 작동부(21)와 팁연결부(23)가 내측에 배치되게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드피스케이스(1)의 상기 팁연결부(23)측의 핸드피스본체에는 조립나사부(12)가 형성된 손잡이부(13)와, 상기 손잡이부(13)의 조립나사부(12)에 조립되며 시술용 팁(22)의 관통공(14)이 형성된 팁커버(15)와, 상기 팁커버(15)와 손잡이부(13)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팁커버(15)의 나사연장부(15a)상에 삽입고정되며 시술용 팁(22)의 날끝(22a)방향의 발광표식(16)이 형성된 시술방향 표시링(17)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3)의 내부의 중공부(11)에는 작동부(21)가 삽입고정되고 시술용 팁(22)이 고정되는 팁연결부(23)가 설치되어 시술용 팁(22)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나 이에 대한 것은 본 고안의 청구사항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손잡이부(13)의 팁연결부(23)에 근접하게 일측단부는 조립나사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팁커버(15)와의 조립을 해제하고 핸드피스(A)의 내부를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시술용 팁(22)이 삽입 및 이탈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된 팁커버(15)의 상기 조립나사부(12)측의 단부에는 상기 조립나사부(12)에 조립되게 나사가 형성된 나사연장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연장부(15a)의 관통공(14)방향의 단부에는 걸림턱(15b)이 형성되어, 상기 시술방향 표시링(17)이 나사연장부(15a)상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술방향 표시링(17)이 나사연장부(15a)상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팁커버(15)와 손잡이부(13)사이에 협지되는 구조도 당연히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시술방향 표시링(17)은 식별표식(16)이 표면에 45°의 간격으로 45, 90, 135, 180 과 같이 360도를 기준으로 둥글게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표식(16)은 시술용 팁(22)의 제조사마다 다른 기준이 있으므로, 다른 방법의 식별표식(16), 예를 들면, 거의 대부분이 따르고 있는 시술용 팁(22)의 날끝(22a)과 동일한 방향인 경우와 날끝(22a)과 반대방향인 경우의 2 종류로 설정되어 날끝(22a)과 동일한 방향인 경우는 "I" 로 표기되고, 날끝(22a)과 반대방향인 경우는 "B" 로 표기되게 설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A)의 작동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시술할 환자의 시술부위가 정해지면, 피부의 절개가 최소로 되는 부위를 선택하여 절개를 수행하고 시술용 팁(22)이 장착된 핸드피스(A)를 삽입하고 시술할 뼈부위를 찾아서 시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 시술용 팁(22)에 근접한 부위에 설치된 시술방향 표시링(17)에서 시술용 팁(22)의 날끝(22a)의 방향을 표시하게 되며, 이러한 시술방향 표시링(17)이 피부의 외측에서도 식별표식(16)이 보이게 되므로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쉽게 시술팁의 날끝의 방향을 인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시술을 중단하지 않고 시술에 대하여 집중력을 발휘하면서 시술을 수행하게 되므로 집중력이 있고 시술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시술시간이 작게 걸리게 신속하게 시술이 수행되게 되며 시줄자의 시술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A)의 사용은, 의료행위시 사용되는 의료용 핸드피스의 시술용 팁이 고정되는 핸드피스본체에 설치되어 시술방향 표시링의 식별표식에 의하여 시술용 팁의 날끝의 방향을 수술을 시행하는 시술자가 시술의 중단이 없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내시경을 통하여 시술하는 시술상태에 집중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착오가 없이 보다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는 일반적인 수술용 핸드피스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핸드피스케이스 11. 중공부 12. 조립나사부
13. 손잡이부 14. 관통공 15. 팁커버
16. 식별표식 17. 표시링 21. 작동부
22. 시술용 팁 23. 팁연결부

Claims (2)

  1.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A)에 있어서,
    상기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A)는, 일단부에는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부(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시술용 팁(22)이 고정되는 팁연결부(23)가 설치된 핸드피스케이스(1)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케이스(1)는, 상기 작동부(21)와 팁연결부(23)가 내측에 배치되게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핸드피스케이스(1)의 상기 팁연결부(23)측의 핸드피스본체에는 조립나사부(12)가 형성된 손잡이부(13)와,
    상기 손잡이부(13)의 조립나사부(12)에 조립되며 시술용 팁(22)의 관통공(14)이 형성된 팁커버(15)와,
    상기 팁커버(15)와 손잡이부(13)사이에 배치되며 시술용 팁(22)의 날끝(22a)방향의 식별표식(16)이 형성된 시술방향 표시링(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방향 표시링(17)의 식별표식(16)이 , 360도를 기준으로 둥글게 표시되거나,
    상기 식별표식(16)은 시술용 팁(22)의 날끝(22a)과 동일한 방향과 날끝(22a)과 반대방향의 2종류로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KR2020140000157U 2014-01-08 2014-01-08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KR200475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57U KR200475767Y1 (ko) 2014-01-08 2014-01-08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57U KR200475767Y1 (ko) 2014-01-08 2014-01-08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67Y1 true KR200475767Y1 (ko) 2015-01-06

Family

ID=5258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157U KR200475767Y1 (ko) 2014-01-08 2014-01-08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6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87Y2 (ja) * 1989-03-09 1994-10-19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ハンドピース
JP2007267913A (ja) 2006-03-31 2007-10-18 Yoshida Dental Mfg Co Ltd 根管長測定機能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11110246A (ja) 2009-11-27 2011-06-09 Nakanishi:Kk 振動子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87Y2 (ja) * 1989-03-09 1994-10-19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ハンドピース
JP2007267913A (ja) 2006-03-31 2007-10-18 Yoshida Dental Mfg Co Ltd 根管長測定機能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11110246A (ja) 2009-11-27 2011-06-09 Nakanishi:Kk 振動子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955A (ko) 초음파 수술기기
BR102014030921B1 (pt) Dispositivo cirúrgico de corte e método de cortar tecido
US10663375B2 (en) Medical cutting device comprising a rotating knife
WO2012074084A1 (ja) 医療用器具
WO2016177271A1 (zh) 一种治疗椎管狭窄的微创手术器械
US8562614B2 (en) Disposable cartilage cutter
CN104127222B (zh) 一种用于外科手术的微创手术刀
US9072574B2 (en) Periosteal elevator and implant spacing instrument
JP6013672B1 (ja) 内視鏡システム
EP3357440B1 (en) Surgical cutting instrument with extended blades
KR200475767Y1 (ko) 시술방향 표시링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KR20180011441A (ko)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US10888313B2 (en) Reusable implant delivery devices
US10806481B2 (en) Surgical device for use in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endoscopic cubital tunnel release (ECuTR), and endoscopic plantar fasciitis release (EPFR)
US6482219B1 (en) Stricture scalpel
KR101741071B1 (ko) 치근용 탈구기구
WO2021083987A3 (de) Chirurgisches instrumentenhandstück
US20120323166A1 (en) Phacoemulsification irrigation sleeve with an alignment mark
JP3194580U (ja) 吸引鈎
US20210106352A1 (en) Surgical device for use in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endoscopic cubital tunnel release (ecutr), and endoscopic plantar fasciitis release (epfr)
JP5957166B2 (ja) 経皮的内視鏡用骨切りノミ
US20230076813A1 (en) Method for using a surgical device to transect a transverse carpal ligament
US11253284B2 (en) Instrument with a detachable motor drive assembly, telescope and cutter tube assembly
US9572633B2 (en) Instrument holder
US10932881B2 (en) Guide for surgical purp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