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36Y1 -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 Google Patents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36Y1
KR200475736Y1 KR2020130002900U KR20130002900U KR200475736Y1 KR 200475736 Y1 KR200475736 Y1 KR 200475736Y1 KR 2020130002900 U KR2020130002900 U KR 2020130002900U KR 20130002900 U KR20130002900 U KR 20130002900U KR 200475736 Y1 KR200475736 Y1 KR 200475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lder
work
ho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9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5491U (en
Inventor
안석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Priority to KR2020130002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36Y1/en
Publication of KR20140005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9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3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외벽에 도장을 하거나 청소를 하는 등의 외벽 작업시 사용되는 안전판에 관한 것으로, 작업용 로프의 길이 조절에 의하여 좌판이 하강하도록 되는 작업용 안전판에 있어서 좌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연결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를 구비하고 그 홀더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홀에 연결로프를 고정한 후 홀더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샤클에 축 결합하여 작업용 로프와 연결로프가 분리되게 장착되어 작업용 로프와 연결로프가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홀더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서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좌판이 연결로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가 비틀림 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used for outer wall work such as painting or cleaning an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a seat plate is lower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work rope, And a connecting rope is fixed to a mounting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lder. Then, the connecting rope is axially coupled to the shackle u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nd the working rope and the connecting rope are separately mounted, The rope and the connecting rope ar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and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pe is not twisted and the lowering operation is stably performed while the seat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pe .

Description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외벽에 도장을 하거나 청소를 하는 등의 외벽 작업시 사용되는 안전판에 관한 것으로,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작업도구를 쉽게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used for outer wall work such as painting or cleaning an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and is capable of easily holding a work tool while preventing twisting of the rope.

일반적으로 건물은 외관을 수려하게 유지하고 누수를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외벽 도색이나 청소, 검사, 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을 위해서는 건물의 옥상으로부터 로프로 연결하여 내린 작업용 안전판에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층부로부터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작업을 실시한다.Generally, the building is designed to periodically perform painting, clean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n the exterior walls to keep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in order and prevent leaks. For the exterior walls of high-rise buildings, After the worker is boarded on the safety plate, work is carried out from the upper level to the lower level.

이러한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100)에 작업용 로프(200)를 연결하여 작업용 로프(200)를 풀거나 잠그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좌판(100)을 점차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고, 작업용 로프(200)는 샤클(300)에 걸어 작업자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좌판(100)은 모서리가 연결로프(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샤클(300)의 하단에 고정되어 샤클(300)이 작업용 로프(200)를 타고 하강함에 따라서 좌판(100)을 하강시키게 된다.1, a work rope 200 is connected to a seat 100 on which a worker can sit, and the work rope 200 is loosened or lock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ork rope 200, And the work rope 200 is hooked on the shackle 300 so that the work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ork rope 200. The seat 10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pe 110 at the edge, So that the shackle 300 is lowered on the work rope 200 and the seat 100 is lowered.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좌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로프(110)를 직접 샤클(300)에 걸어 고정하게 될 경우 작업용 로프(200) 또는 연결로프(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서 샤클(300)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작업을 하다보면 로프의 비틀림이나 꼬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of this is that when the connecting rope 110 for supporting the seat 100 is directly fastened to the shackle 300, the shackle 30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pplied to the working rope 200 or the connecting rope 110 300 are arbitrarily rotated, and if the work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is state, twisting or twisting of the rope occurs.

즉, 작업용 로프(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판(1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로프를 특정한 형태로 샤클(300)에 매듭으로 걸어 고정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로프의 비틀림이나 꼬임이 발생하면 작업용 로프(200)의 길이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이렇게 작업용 로프(200) 또는 연결로프(110)에 비틀림이나 꼬임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좌판(100)에 탑승한 상태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좌판(100)이 흔들리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lower the seat 10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ork rope 200, the rope is fixed to the shackle 300 by a knot in a specific form. When the rope is twisted or twisted in this state, When the work rope 200 or the connecting rope 110 is twisted or twist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is lowered in a state of being boarded on the seat 100,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problem that the seat 100 is shaken or twisted in the process.

따라서 최근에는 연결로프(110)를 고정할 수 있는 보조고리를 형성하여 보조고리를 샤클(300)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비틀림이나 꼬임은 발생하며 또한 이러한 보조고리 자체가 주물로 성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약하고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굉장히 위험하고 안전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는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uxiliary rings for fixing the connecting ropes 110 are formed and the auxiliary rings are fixed to the shackle 300. However, in this case, twisting and twisting still occur, Since it is molded into a cas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against the load is very weak and cracks are generated. Therefore, it is very dangerous and the safety is very low, and an alternative is required.

한편, 이러한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은 좌판(100)의 측면에 걸이구를 형성하면 청소도구나 페인트 등의 작업도구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색이나 청소 등의 작업에서는 좌판에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여야 하므로 대부분 좌판(100)의 측면에 걸이구를 형성한다.The safety plate for building outer wall work is constructed such that when a hanger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 100, a work tool such as a cleaning tool or paint can be hung and stored. In a work such as painting or cleaning, So that a hook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t 100 in most cases.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은 도색이나 청소, 검사, 뿐 아니라 보수 작업도 수행하고 있으며, 보수작업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건물의 외벽에 있는 틈을 메꾸는 코킹작업(외벽을 관통하는 배관이나 덕트의 주위, 창틀이나 외벽 타일 사이를 통하여 비가 스며들지 않도록 충전재나 코킹재를 이용하여 보수하는 것으로, 외벽 타일 사이에 틈이 발생하거나 외부 창틀 등의 기존 실리콘이 손상된 경우에 하는 것이고, 마감 상태를 확인 후 상태가 불량한 부분은 제거하고 실리콘을 시공하는 작업)이 있는데, 이 코킹작업에서는 실리콘 주입을 위한 실리콘 총 등의 작업도구를 좌판의 측면에 보관하게 될 경우 작업을 할 때마다 작업자가 몸을 비틀어 작업 도구를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plate for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s also subjected to painting, cleaning, inspection, and repair work. Typical examples of the repair work include a caulking operation (a pipe penetrating the outer wall, This is done by repairing with filler or caulking material so that rain does not permeate around the duct, window frame or outer wall tile, and cracks are created between the outer wall tiles or the existing silicon of the outer window frame is damaged. In this caulking operation, when a work tool such as a silicon gun for silicon injection is to be stored on the side of the seat plate, a worker is required to work on the bod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out a twisting work tool.

특히, 건물 외벽을 보수할 경우에는 매우 빈번하게 코킹용 작업도구를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반복적으로 작업도구를 꺼내어 사용하고 걸어서 보관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다보면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좌판이 흔들려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the caulking work tool is frequently taken out and used frequently. However, it is very inconvenient to take out the work tool repeatedly and use it and keep it on the walk. Not only does this fall, but also the safety of the operator is problematic because the seat is shaken.

또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코킹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걸이구를 좌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코킹작업에서의 작업성은 높일 수 있지만, 기타 다른 청소작업이나 도색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안전판 자체가 코킹 작업용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nd to easily carry out the caulking work, if the hanger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seat, the workability in the caulking operation can be enhanced, but it is inconvenient for other cleaning work or painting oper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plate itself can be used only for caulking work.

따라서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외벽 작업을 위하여 안전판을 사용할 경우에 로프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전판이 안정적으로 하강 되도록 하고, 또한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를 간편하게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작업자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wist of the rope when the safety plate is used for the outer wall work of the high-rise building, so that the safety plate can be lowered stably and the tool used for the work can be easily hung and stored, So that it can be safely operated.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좌판이 작업용 로프가 매듭지어지는 샤클에 연결로프에 의하여 지지되어 작업용 로프의 길이조절에 의하여 층고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연결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고 그 홀더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홀에 연결로프를 고정한 후 홀더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이 샤클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용 로프와 연결로프가 분리되게 장착되어 작업용 로프와 연결로프가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홀더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홀과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이 서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좌판이 연결로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가 비틀림 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plate for a building outer wall work, wherein a seat plate is supported by a connecting rope by a shackle to which a work rope is knotted and can be moved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a work rope, And a connecting rope is fixed to a mounting hol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lder so that a through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lder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hackle so that the working rope and the connecting rope are detachably mounted, So that the connecting rope is not twisted so that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pe is not twisted and the lowering operation is stably performed while the seat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pe It is.

또한, 상기 홀더는 금속판에 두 개의 구멍을 타공하면서 절곡하여 형성한 후 그 타공부에 원통형의 파이프를 대서 용접으로 제작함으로써 파이프와 철판이 상호 보강되면서 장착홀과 관통홀이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이다.Further, the holder may be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by borehooting two holes and then welding a cylindrical pipe by welding to the tread to thereby reinforce the pipe and the steel plate so that the mount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intersect each other will be.

또한, 상기 좌판의 양측으로는 프레임에 걸이구가 형성된 작동대를 장착하고, 그 작동대가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걸이구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시켜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거나 청소하거나 코킹 작업을 하는 등 작업 상황에 따라서 작업자가 걸이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seat, there is mounted an operation table having a hook in the frame, and the operation table is slidably operated to slide the hooks forward and backward to paint or clea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perform caulking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the work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anger according to the work situation.

따라서 본 고안은 홀더에 의하여 연결로프가 작업용 로프와 분리되어 장착되면서도 홀더에 의하여 샤클과 연결로프가 교차되게 장착되므로 로프 간의 꼬임을 방지함은 물론, 홀더의 관통홀이 샤클의 체결봉에 체결되어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므로 연결로프의 비틀림이나 꼬임을 더욱 방지하면서 좌판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좌판이 하강되어 작업중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작업용 로프의 길이 조절시 방해요소가 없으므로 간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ckle and the connecting ropes are mounted so as to be crossed by the holder while the connecting rope is separated from the working rope by the holder, the twist of the ropes is prevented and the through hole of the holder is fastened to the shackle fastening ro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lting of the connecting rope and prevent the tilting of the tilting plate so that the tilting of the tilting plate of the connecting rope can be prevented stably so that the safety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cidentally caused during the work, Since the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홀더를 형성함에 있어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 장착홀의 하단에 받침면이 형성되고, 연결로프를 면적이 넓은 띠로 사용 가능하며,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holder is formed by bending, a bearing surf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connecting rope can be used as a belt having a large area and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또한, 코킹작업을 할 경우에는 좌판에 형성된 걸이구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도구를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반면에 청소작업이나 도장작업을 할 경우에는 좌판에 형성된 걸이구를 삽입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따라서 간편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aul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hooks formed on the seat panel are pulled forward, so that the work tool can be easily us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enhanc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work or painting work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phere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work, and th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벽 작업용 안전판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도 3은 본 고안의 샤클과 홀더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홀더의 제작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홀더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홀더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홀더의 제작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걸이구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afety plate for building exterior walls
Fig. 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afety plate for outer wall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hackle and the hold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structure of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sectional views of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structure of the holder of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좌판(10)에 작업용 로프(20)가 연결되어 건물 옥상으로부터 하부로 늘어뜨려 사용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이 작업용 로프(20)가 매듭지어지는 샤클(30)에 연결로프(11)에 의하여 지지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용 로프(20)의 길이를 조절하여 하강하면서 작업을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로프(11)를 홀더(40)에 별도로 고정한 후, 그 홀더(40)를 샤클(30)의 축핀(31)에 축 결합함으로써 옥상으로부터 연결되는 작업용 로프(20)와 좌판(10)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로프(11)가 분리되어 서로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in which a work rope 20 is connected to a seat 10 and is used by hanging down from a roof of a building. As shown in FIGS. 2 and 3, a seat 10 is fixed by a work rope 20 The safety plate for a building outer wall work, in which a worker performs work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a work rope (20) while being supported by a connecting rope (11) in a shackle (30) The work rope 20 and the seat 10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roof by axially coupling the holder 40 to the shaft pin 31 of the shackle 30 after separately fixing the connecting rope 11 to the holder 40 So that the connecting ropes 11 for support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twisting.

이때, 상기 연결로프(11)는 홀더(40)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홀(41)에 장착하고, 홀더(40)의 상측으로는 관통홀(42)을 형성하여 관통홀(42)을 샤클(30)의 축핀(31)에 축 결합함으로써 홀더(40)가 축핀(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판(10)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에도 홀더(40) 자체가 회동되면서 연결로프(11)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connecting rope 11 is attached to a mounting hole 41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40 and a through hole 42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holder 40 to connect the through hole 42 to the shackle The holder 40 itself is rotated and the connecting rope 11 is twisted when the holder 40 is moved in the state where the holder 40 is fitted in the shaft pin 31 and the movement of the seat 10 occurs .

또한, 상기 홀더(40)에 형성되는 장착홀(41)과 관통홀(42)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면 홀더(40)가 회동 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로프(11)가 삽입되므로 좌판(10)의 좌,우가 연결로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비틀리지 않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좌판(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안전판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ounting hole 41 and the through hole 42 formed in the holder 40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rope 11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40 is rotated, 10 are not twisted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pes, so that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afety plate can be stably performed while preventing the tilting of the left tilting plate 10.

그리고 이러한 홀더(40)의 장착홀(41)과 관통홀(42)이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43)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부(43a)를 형성하고, 금속판 상단의 절곡부에는 두 개의 구멍(43b)을 서로 마주보게 타공하며, 그 마주보는 구멍(43b)에는 원통형의 파이프(44)를 끼워 용접하여 제작함으로써 장착홀(41)과 관통홀(42)이 서로 직교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작한 것이다.In order to form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hole 41 of the holder 40 and the through hole 42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tal plate 43 are bent 43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plate and two holes 43b are formed in the bent por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metal plate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welded to each other through a cylindrical pipe 44, And the through holes 42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구멍(43b)의 직경은 도 6과 같이 파이프(44)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파이프를 절곡부(43a)의 내면에 밀착한 상태로 용접을 하여야 하는 것이고, 도 5와 같이 구멍(43b)의 직경을 파이프(44)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파이프(44)를 구멍(43b)에 삽입 한 후 그 접합부를 용접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멍(43b)의 직경을 파이프(44)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파이프(44)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하중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When the diameter of the hole 43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44 as shown in FIG. 6, the pipe must be we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43a. The diameter of the hole 43b should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44 and the pipe 44 should be inserted into the hole 43b and welded to the join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44 so that the pipe 44 is inserted into the pipe 44 so that the pipe 44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load and durability can be ensured.

따라서 금속판(43)과 파이프(44)가 상호 보강되는 것이고, 장착홀(41)과 관통홀(42)이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홀더(40)가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lthough the metal plate 43 and the pipe 44 are mutually reinforced and the mounting hole 41 and the through hole 42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holder 40 has durability so as to withstand high loads It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43)을 절곡하여 형성함에 따라 장착홀(41)의 하단에 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면(41a)이 형성되면서 그 받침면(41a)의 양측으로 절곡부(43a)가 연장되므로 연결로프(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또한 이렇게 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면(41a)에 의하여 연결로프(11)를 면적이 넓은 띠를 이용하여서도 고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띠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로프(11)가 받침면(41a)에 밀착되는 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므로 좌판(10)의 비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tal plate 43 is folded to form a flat support surface 41a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hole 41, and the bent portion 43a is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41a. The connection rope 11 can be stably supported. Further, the connection rope 11 can be fixed by using a wide band by the support surface 41a formed in the form of a plane, Since the area where the rope 1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surface 41a is made wide, the twisting of the seat 10 can be further prevented.

이때, 상기 홀더(4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측으로 절곡부(45a)가 형성되면서 절곡부에 구멍(45b)이 마주보게 타공된 보조 금속판(45)이 덧대어 금속판(43)의 외면을 보강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홀더(40)가 금속판(43)과 보조 금속판(45)에 의하여 이중으로 지지되면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7 and 8, a bent portion 45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40, and an auxiliary metal plate 45 having a hole 45b formed in the bent portion thereof is formed facing the metal plate 43 The holder 40 can be doubly supported by the metal plate 43 and the auxiliary metal plate 45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holder 40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좌판(10)에는 걸이구(12)가 형성되어 작업도구를 걸어 보관하도록 되는데, 이러한 좌판(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프레임(13)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작동프레임(14)이 장착하면서 그 작동프레임(14)의 전단부에 걸이구(12)를 장착하면 작동프레임(14)을 전,후방으로 작동시켜 걸이구(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작동프레임(14)은 도 9와 같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수평바(14a)의 전단에 수직면(14b)이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고, 수평바(14a)에는 가이드홀(14c)을 형성하여 작동프레임(14)이 프레임(13)에 결합되는 조임수단(15)에 의하여 조임되도록 하면 작동프레임(14)을 전,후방으로 작동시키면서 슬라이드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 hooking hole 12 is formed in the seat panel 10 so as to hang the work tool. An operation frame (not shown) tha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s attached to a frame 13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eat panel 10 When the hook 12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frame 14 while the operation frame 14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hook 12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frame 14 backward and forward. 9, the operation frame 14 is formed by bending the vertical frame 14b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 14a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horizontal frame 14a is formed with a guide hole 14c, When the frame 14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15 coupled to the frame 13,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frame 14 can be controlled back and forth while the slide operation is controlle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상기 작동프레임(14)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전,후방으로만 일직선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프레임(13)에 레일홈(미도시)를 형성하거나, 또는 수평바(14a)의 양측을 절곡하여 프레임(13)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작동프레임(14)이 전,후방으로만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작동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frame 14 does not flow left and right, but only linear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For this purpose, a rail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rame 13, The operation frame 14 can be stably operated on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frame 14a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3. [

따라서 작업자가 걸이구(12)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시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거나 청소하거나 코킹 작업을 하는 등 작업 상황에 따라서 작업자가 걸이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since the operator can slide the hooks 12 back and forth to move the positions,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oks according to the work situation, such as painting, cleaning or caulk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be performed.

이때, 상기 걸이구(12)는 장착면(12a)과 걸이부(12b)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동프레임(14)의 전단부에 장착하면 걸이구(12)의 장착면(12a)과 걸이부(12b)가 각각 작동프레임의 수평바(14a)와 수직면(14b)에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두 개의 면이 서로 맞닿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지지되어 높은 하중에도 걸이구(12)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도구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ooking part 12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frame 14 so that the mounting surface 12a and the hooking part 12b are bent and the mounting surface 12a of the hooking part 12 is hooked, (12a, 12b) are supported by the horizontal bar (14a) and the vertical surface (14b) of the operation frame,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us mounting the two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ork tool 12 can be stably fixed with no damage to the hook 12 even under a load.

10: 좌판 11: 연결로프
12: 걸이구 13: 프레임
14: 작동프레임 15: 조임수단
20: 작업용 로프
30: 샤클 31: 축핀
40: 홀더 41: 장착홀
42: 관통홀 43: 금속판
44: 파이프 45: 보조 금속판
10: seat plate 11: connecting rope
12: Hook 13: Frame
14: operating frame 15: tightening means
20: Working rope
30: Shackle 31: Shaft pin
40: holder 41: mounting hole
42: through hole 43: metal plate
44: pipe 45: auxiliary metal plate

Claims (6)

좌판(10)이 작업용 로프(20)가 매듭지어지는 샤클(30)에 연결로프(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작업용 로프(20)의 길이조절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작업을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로프(11)는 장착홀(41)이 형성된 홀더(40)에 고정되고, 홀더(40)는 하부에 장착홀(41)이 형성되면서 상부에는 관통홀(42)이 형성되고, 관통홀(42)이 샤클(30)의 축핀(31)에 축 결합되어 홀더(40)가 축핀(31)에 끼워져 회동가능케 되며, 금속판(43)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부(43a)가 형성되면서 상단의 절곡부에는 구멍(43b)이 타공되고 그 마주보는 구멍(43b)에는 원통형의 파이프(44)가 용접되어 장착홀(41)과 관통홀(42)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홀더(40)가 회동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로프(11)가 장착되어 좌판(10)이 연결로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
A safety plate for a building outer wall work wherein the seat plate (10) is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by a connecting rope (11) to a shackle (30) to which the work rope (20) is knotted and is lower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ork rope (20)
The connecting rope 11 for mounting the seat 10 is fixed to a holder 40 having a mounting hole 41. The holder 40 has a mounting hole 41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42 is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pin 31 of the shackle 30 so that the holder 40 can be pivoted by being pinched by the shaft pin 31.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tal plate 43 The bending portion 43a is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portion 43a and the hole 43b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at the upper end and the cylindrical pipe 44 is welded to the opposed hole 43b so that the mounting hole 41 and the through hole 42 are form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rope 11 is moun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40 is pivoted and the lower plate 10 is stably supported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ope Where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ormed of a metal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0)는 상측으로 절곡부(45a)가 형성되면서 절곡부에 구멍(45b)이 형성된 보조 금속판(45)이 덧대어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40) has a bent portion (45a)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n auxiliary metal plate (45) having a hole (45b) formed in the bent portion is padded and reinforced. safety val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은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프레임(13)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작동프레임(14)이 장착되면서 그 작동프레임(14)의 전단부에 걸이구(12)가 형성되어 걸이구(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The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10) is mounted on a frame (13) formed at both side ends thereof with an operating frame (14)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12) are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ger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프레임(14)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수평바(14a)의 전단에 수직면(14b)이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수평바(14a)는 가이드홀(14c)이 형성되어 프레임(13)에 결합되는 조임수단(15)에 의하여 작동프레임(14)의 슬라이드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 작업용 안전판.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frame (14) is formed so that a vertical surface (14b)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a horizontal bar (14a)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horizontal bar (14a) (14) is controlled by means of a tightening means (15) coupled to the frame (13).
KR2020130002900U 2013-04-15 2013-04-15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KR2004757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00U KR200475736Y1 (en) 2013-04-15 2013-04-15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900U KR200475736Y1 (en) 2013-04-15 2013-04-15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91U KR20140005491U (en) 2014-10-23
KR200475736Y1 true KR200475736Y1 (en) 2014-12-29

Family

ID=5245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900U KR200475736Y1 (en) 2013-04-15 2013-04-15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36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993A (en) * 1995-04-28 1996-11-19 Nisso Ind Co Ltd Suspended scaffold device
KR20040087473A (en) * 2003-04-08 2004-10-14 고인석 footboard for scaffold
KR200419403Y1 (en) * 2006-04-11 2006-06-20 신기현 Safety board of outer wall work
KR20130001291U (en)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2993A (en) * 1995-04-28 1996-11-19 Nisso Ind Co Ltd Suspended scaffold device
KR20040087473A (en) * 2003-04-08 2004-10-14 고인석 footboard for scaffold
KR200419403Y1 (en) * 2006-04-11 2006-06-20 신기현 Safety board of outer wall work
KR20130001291U (en)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91U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29B2 (en) Master rope support for truck and master rope erection device
JP4307235B2 (en) Overhead wire lifting device
JP6404583B2 (en) Ceiling hanging bolt, ceiling material mounting device and universal joint
JP6312109B1 (en) Safety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KR200491862Y1 (en) Rope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building railing
KR200475736Y1 (en) safety seat for working outer wall of building
CN204201296U (en) Vertical pump line fixing frame
KR101169218B1 (en) Hanging scaffold work chair
CN205857670U (en) A kind of external wall construction hanging basket is encorbelmented device
KR101761056B1 (en) Prefabricated framework scaffolding capable of extending ladder rail
CN215457726U (en) Curtain wall cleaning tool system
CN205348817U (en) Safety belt pendant
KR100984871B1 (en) Safety ladder of folding type located near ventilating hole in common tunnel
KR20120043894A (en) Automatic painting device of the skyscraper wall which uses a hanging scaffold
JP2012057305A (en) Pole work bench
KR200419926Y1 (en) Working box of scissors lift, which can load long construction materials
CN110259089A (en) Frame and its triangular support frame body
JP2016156159A (en) Simple step for temporary scaffold turning
CA2910141C (en) Deck for a shoring tower
KR100706527B1 (en) shifting system of rooftop ring of store apartment
CN115591142B (en) Movable safety belt fix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KR102558801B1 (en) Safety net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15441185U (en) Wire rope buckle inserting and weaving tool
CN217886832U (en) Device for preventing high falling
KR20140006046U (en) Hose hanger for PC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