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31Y1 -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31Y1
KR200475531Y1 KR2020130004261U KR20130004261U KR200475531Y1 KR 200475531 Y1 KR200475531 Y1 KR 200475531Y1 KR 2020130004261 U KR2020130004261 U KR 2020130004261U KR 20130004261 U KR20130004261 U KR 20130004261U KR 200475531 Y1 KR200475531 Y1 KR 200475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unit
voice
destin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34U (ko
Inventor
송종환
송태환
조미애
Original Assignee
(주) 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인 filed Critical (주) 마인
Priority to KR2020130004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3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90)는,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150)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지팡이(100)와, 상기 지팡이(1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안경(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평소에 착용하는 안경(200)과 소지하는 지팡이(100)에 각각 입력부(130)와 출력부(210)를 장착하기 때문에 따로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Navigation device for blind men}
본 고안은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피에스(GPS)로부터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는 지팡이와 상기 지팡이로부터 음성으로 길안내를 받는 안경으로 구성되어 시각 장애인의 길안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이 되는 선행기술문헌 1의 구성을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각 장애인의 양측 귀에 착용되어 후술하는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보행 안내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무선 헤드셋(100)이 구성된다. 또한, 지피에스(GPS) 위성(400)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서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후술하는 서버(6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600)로부터 음성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100)으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00)는 마이크가 장착되어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전송받아서 보행 안내 신호를 데이터로 연산한 후,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서버(600)가 구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각 장애인이 목표 지점으로 가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무선 헤드셋(100)을 머리에 착용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단말기(200)에 목표 지점을 음성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지피에스 위성(400)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600)로 상기 정보들을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600)는 현재 위치 정보와 목표지점을 입력받고서 시각 장애인이 도보로 걸어가기에 가장 적합한 루트를 연산하여 출력한 후, 음성 안내 신호를 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무선 단말기(200)는 무선 헤드셋(100)으로 음성 안내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헤드셋(100)은 음성 안내 신호를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노선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시각 장애인이 이동할 때 무선 단말기(200)는 상기 지피에스 위성(4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600)로 송출하며, 서버(600)는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출력된 루트와 비교하여 시각 장애인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200)로 음성 안내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헤드셋(100)은 상기 음성 안내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시각 장애인의 길안내가 가능하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1091437 (2011. 12. 01.)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시각 장애인이 양쪽 귀에 헤드셋을 착용하므로 주위 소리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차량이 후방에서 경보음을 울리면서 따라오더라도 시각 장애인은 상기 헤드셋 때문에 경보음을 듣지 못하고 걷다가 교통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무선 단말기와 지피에스(GPS) 위성 사이에 네트워크망과 서버가 개재되므로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 투자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각 장애인에게 지피에스를 통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상기 서버 구축이 전제되어야 하고 시각 장애인은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 수수료를 납부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세째, 시각 장애인이 보행 시, 헤드셋을 항상 소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헤드셋은 길을 보행할 때에는 필요하지만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마땅히 휴대할 방법이 없어서 목에 걸거나 수용이 가능한 가방을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네째, 시각 장애인에게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와 같은 고가의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스크린 상에서 눈에 보이는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경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성 인식이 가능한 고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시각 장애인이 야간에 보행 시, 주행하는 차량을 잘 피하지 못해서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있지만, 배경기술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지팡이와, 상기 지팡이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지팡이는 지면에 닿는 로드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탈착되고 상기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수용 기능을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속에 수용되어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에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로부터 발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연계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통신부가 연계되어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데이터로 전송받고, 후술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로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계되고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서 음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안경의 외측방으로 상기 변환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하부 단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계되어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플러그 및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가 장착되고 상기 안경의 템플 및 테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름을 방지하도록 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엘이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각 장애인들이 평소에 착용하는 안경과 소지하는 지팡이에 각각 입력부와 출력부를 장착하기 때문에 따로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배경기술처럼 시각 장애인의 양쪽 귀를 막아서 차량이 근접하는 소리나 경보음을 듣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무선 단말기와 지피에스(GPS) 위성 사이에 네트워크망과 서버가 개재되지 않고 일대일로 무선연결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조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단순해지고 상기 서버를 설치하는 투자비가 들지 않는다.
세째, 배경기술처럼 부피가 큰 헤드셋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네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와 같은 고가의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저가로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구성되는 케이싱의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름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를 놓쳤더라도 놓친 자리에서 지팡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고안에 구성되는 엘이디로 인해서, 시각 장애인이 야간 보행할 때, 차량 운전자들은 쉽게 구별하게 되므로, 시각 장애인을 미리 피하게 되거나 감속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야간 보행 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출력부가 클램프에 장착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안경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지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지팡이를 구성하는 헤드를 Q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안경에서 클립이 템플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에 구성되는 지팡이에 수용되는 입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에 구성되는 안경에 장착디는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지팡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지팡이를 구성하는 헤드를 Q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성하는 안경에서 클립이 템플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에 구성되는 지팡이에 수용되는 입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에 구성되는 안경에 장착디는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은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지팡이(100)와 안경(200)이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음성을 안내해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150)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지팡이(100)가 구성되고, 상기 지팡이(1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안경(200)을 포함한다.
상기 지팡이(100)는, 지면에 닿는 로드 형상의 본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탈착되고 상기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헤드(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에 헤드(120)가 탈착되는 일례로서는 도 3에서처럼, 헤드(120)의 하부 둘레에 수나사부(L)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나사부(L)가 체결되는 탭홀(K)이 구성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121)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돌출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5)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상기 헤드(120)가 굴러서 이송하므로 시각 장애인이 찾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엘이디(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례로서 본체(110)의 외측면에 홀이 천공되고 상기 홀에 엘이디(113)가 끼워져서 외측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케이싱(121)의 내측으로는 상기 엘이디(113)에 연결된 전선과 상기 전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헤드(120)는 일례로서, 수용 기능을 가지는 케이싱(121)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21) 속에 수용되어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150)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경(200)에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130)로부터 발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출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30)는 일례로서, 상기 케이싱(121)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31)가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131)는 상기 케이싱(12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121)에 홀(hole)이 천공되므로 소리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131)에 연계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13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부(133)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통신부(140)가 연계되어 지피에스 위성(150)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데이터로 전송받고, 후술하는 데이터 베이스(139)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연산한 후, 상기 경로를 안내하는데 필요한 음성을 데이터 베이스(139)에서 찾아서 조합한 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1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5)로부터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입력받아서 발신하는 발신부(137)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에 연계되고 지도 데이터와 보행 안내에 필요한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와 보행 안내 음성을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35)로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행에 필요한 음성은 일례로서, "똑바로 가시오", "좌회전 하시오", "내리막입니다" 등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21)의 하부 단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35)에 연계되어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플러그(127) 및 소켓(1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업그레이드된 지도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39)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27)는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탭홀(K)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부(210)는 일례로서, 상기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받는 수신부(211)가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211)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213)가 구성되며, 상기 신호 변환부(213)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서 음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안경(200)의 외측방으로 상기 변환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피커(215)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210)는 기판으로 구성되어 안경(200)의 템플(205)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스피커(215)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도록 템플(205)에 홀이 천공됨은 물론이다. 또한, 안경(200)의 템플(205)이 끼워지는 클램프(220)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220)는 일례로서 U 형상으로서 상기 템플(205)이나 테(207)가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때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피커(215)의 소리가 잘 들리도록 가급적이면 시각 장애인의 귀에 근접하도록 출력부(210)의 템플(205)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각 장애인이 목적지까지 도보로 걸어갈 경우, 먼저 상기 안경(200)을 착용한다. 그리고, 상기 지팡이(100)의 헤드(120)에 구성된 마이크(131)에 목적지를 말한다. 그러면 소리가 상기 마이크(131)를 통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음성 인식부(133)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제어부(135)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39)의 지도 정보에서 목적지를 검색해서 유무를 확인한다. 이렇게 해서, 실재하는 목적지인 것이 판명되면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서 지피에스(GPS) 위성(150)에게 현재의 위치를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지피에스 위성(150)은 통신부(140)에게 현재의 위치(위도좌표, 경도좌표)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135)는 통신부(140)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입력받은 후, 상기 지도 정보에서 출발점을 지정한다. 그리고, 시각 장애인이 보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보행 루트를 연산한 후, 상기 루트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을 데이터 베이스(139)에서 찾아내어 조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부(137)를 통해서 발신하면 상기 출력부(210)의 수신부(211)가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 변환부(213)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스피커(215)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서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5)는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지피에스 위성(150)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제공받으므로 시각 장애인이 정해진 루트로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경로를 벗어났다면 다시 경로로 복귀하도록 디지털 신호를 상기 출력부(210)의 수신부(211)로 보내어 스피커(215)를 통해서 알려주도록 한다.
상기 헤드(120)는 상기 플러그(127), 소켓(129)을 통해서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다운받아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상기 플러그(127)는 일례로서 유에스비 잭이 될 수 있고, 상기 소켓(129)은 젠더의 플러그가 꽂히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각 장애인들이 평소에 착용하는 안경(200)과 소지하는 지팡이(100)에 각각 입력부(130)와 출력부(210)를 장착하기 때문에 따로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케이싱(121)의 외측면에는 돌출부(125)가 형성되어 구름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100)를 놓쳤더라도 놓친 자리에서 지팡이(10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약, 상기 돌출부(125)가 없다면 지면 위를 굴러서 이송하게 되어 시각 장애인은 쉽게 찾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113)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시각 장애인이 야간에 보행할 경우, 차량 운전자들은 엘이디(113)로 인해서 쉽게 구별하게 되므로, 시각 장애인을 미리 피하게 되거나 감속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야간 보행 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220)에 출력부(210)가 장착되어 구성되므로 평소에 사용하던 안경(200)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90: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100: 지팡이
110: 본체 113: 엘이디
120: 헤드 121: 케이싱
123: 수나사부 125: 돌출부
127: 플러그 129: 소켓
130: 입력부 131: 마이크
133: 음성 인식부 135: 제어부
137: 발신부 139: 데이터 베이스
140: 통신부 150: 지피에스 위성
200: 안경 205: 템플
207: 테 210: 출력부
211: 수신부 213: 신호 변환부
215: 스피커 220: 클램프

Claims (2)

  1. 음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150)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지팡이(100)와,
    상기 지팡이(1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안경(200)을 포함하고,
    상기 지팡이(100)는 지면에 닿는 로드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탈착되고 상기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헤드(12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120)는 수용 기능을 가지는 케이싱(121)과,
    상기 케이싱(121) 속에 수용되어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지피에스(GPS) 위성(150)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입력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200)에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130)로부터 발신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출력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케이싱(121)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목적지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31)와,
    상기 마이크(131)에 연계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133)와,
    상기 음성 인식부(133)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통신부(140)가 연계되어 지피에스 위성(150)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데이터로 전송받고, 후술하는 데이터 베이스(139)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135)와,
    상기 제어부(135)로부터 경로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발신하는 발신부(137)와,
    상기 제어부(135)에 연계되고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139)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210)는 상기 경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받는 수신부(211)와,
    상기 수신부(211)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213)와,
    상기 신호 변환부(213)로부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서 음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안경(200)의 외측방으로 상기 변환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피커(2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21)의 하부 단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35)에 연계되어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플러그(127) 및 소켓(129)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210)가 장착되고 상기 안경(200)의 템플(205) 및 테(207)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클램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21)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구름을 방지하도록 한 돌출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엘이디(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2. 삭제
KR2020130004261U 2013-05-28 2013-05-28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KR200475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1U KR200475531Y1 (ko) 2013-05-28 2013-05-28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61U KR200475531Y1 (ko) 2013-05-28 2013-05-28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4U KR20140006134U (ko) 2014-12-08
KR200475531Y1 true KR200475531Y1 (ko) 2014-12-10

Family

ID=5245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61U KR200475531Y1 (ko) 2013-05-28 2013-05-28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3033A (zh) * 2015-04-16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导航提示的方法和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148B1 (ko) * 2023-07-03 2024-03-05 최서윤 시각장애인을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88B1 (ko) * 2004-11-24 2007-08-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대화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0212A (ko) * 2010-08-27 2012-03-08 김가영 네비게이션이 내장된 장애인용 지팡이
KR20120063467A (ko) * 2012-05-23 2012-06-15 양재천 음성 인식을 통한 위치 알림 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88B1 (ko) * 2004-11-24 2007-08-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대화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0212A (ko) * 2010-08-27 2012-03-08 김가영 네비게이션이 내장된 장애인용 지팡이
KR20120063467A (ko) * 2012-05-23 2012-06-15 양재천 음성 인식을 통한 위치 알림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3033A (zh) * 2015-04-16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导航提示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4U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2527B2 (ja) 画像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に基づいた危険の検出及び警告用の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装置
CN108564949B (zh) 一种腕带式ai语音交互装置及系统
CN103720576A (zh) 一种盲人导航眼镜
US20160255270A1 (en) Guide Spectacle
JP6326573B2 (ja) 多機能イヤホンによる自律型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
CA2936835A1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8593297B2 (en) Walking guidance apparatus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CN109925171B (zh) 一种多功能导航设备
WO2018133323A1 (zh) 无线耳机装置以及人工智能装置
US20150331081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a user with an indication of a direction to a particular destination
CN201182246Y (zh) 可视监控导盲鞋
KR200475531Y1 (ko) 시각 장애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CN104887463A (zh) 智能导盲杖
CN203777272U (zh) 智能导盲杖
CN203365679U (zh) 定位追踪器
JP2018093503A (ja) 音声コンテンツ再生イヤホ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564489U (zh) 一种盲人拐杖
CN110638615A (zh) 一种智能盲人出行导航头盔
CN109925170B (zh) 一种盲人及弱视群体用导航设备
CN114079855B (zh) 一种低功耗定位方法及相关装置
CN115957108A (zh) 一种盲人智能眼镜的控制系统
CN111870430A (zh) 穿戴式引导设备
CN206178150U (zh) 头戴式电子设备
CN111696578A (zh) 一种提醒方法、装置、耳机和耳机收纳装置
CN103622798A (zh) 一种导盲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