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27Y1 -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27Y1
KR200474927Y1 KR2020130005073U KR20130005073U KR200474927Y1 KR 200474927 Y1 KR200474927 Y1 KR 200474927Y1 KR 2020130005073 U KR2020130005073 U KR 2020130005073U KR 20130005073 U KR20130005073 U KR 20130005073U KR 200474927 Y1 KR200474927 Y1 KR 200474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variable
strut
safety devic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0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욱
서진용
Original Assignee
서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용 filed Critical 서진용
Priority to KR2020130005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2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서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로 구성된 안전장치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와 가변지주에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장치가 가변지주에 접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를 작업버킷에 접어 고정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사용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안전장치가 지지되는 가변지주가 작업버킷의 후방에 형성한 안전지주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작업버킷(10)의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300)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300)에 작업버킷(10)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110)과 가변안전틀(120)로 구성된 안전장치(100)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110)에 대하여 가변안전틀(120)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안전장치(100)가 지지되는 가변지주(300)가 작업버킷(10)의 후방의 받침지주(600)에 고정한 안전지주(400)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100)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안전지주(400)는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에 직교하게 작업버킷(10)의 후방에 수평으로 고정한 받침지주(600)에 고정되고, 가변지주(300)는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안전지주(400)와 실린더(410)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접혀진 상태에서 가변지주(300)를 안전지주(400)에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a bucket is installed at the tip of a boom of a charging car capable of traveling in a tunnel, and a worker is aboard to form a working bucket capable of carrying out drilling work, And a safety device comprising a base safety frame and a variable safety frame which can be used as a roof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bucket on the variable strut, In order that the safety device can be stably fixed to the foundation post and the variable post of the operation bucket, the safety device can be folded and fixed to the variable post, Thus,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safety device can be folded and fixed to the operation bucket can be minimized, The variable strut supporting the entire apparatus is supported on the safety pillar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and can be folded and lapped so that the safety device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folding can be stably carried o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pparatus and a safety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forming a variable strut 300 capable of vary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 foundation strut 200 of a working bucket 10,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can be moved forward relative to the basic safety frame 110 by forming the safety device 100 composed of the basic safety frame 110 and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which can be used as a roof, A variable strut 300 on which the safety device 100 is supported is secured to a safety strut 600 fixed to a support strut 600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10, 400) and can also be folded The safety pilla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variable bracket 20 of the foundation pillar 200 and the safety pillar 200 of the foundation pillar 200, And the variable strut 30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flow in the variable bracket 20 of the foundation strut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safety strut 300 is fixed to the support strut 600, The variable stanchion 300 can be folded on the safety pillar 400 while the safety device 100 is folded on the variable stanchion 300.

Description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pparatus for a tunnel working apparatus,

본 고안은 터널을 굴착한 후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서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로 구성된 안전장치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와 가변지주에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장치가 가변지주에 접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를 작업버킷에 접어 고정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사용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안전장치가 지지되는 가변지주가 작업버킷의 후방에 형성한 안전지주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tunnel work equipment capable of drilling a tunnel and drilling for loading of a rock and loading gunpow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device for a tunnel work device, A variable post which can be chang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post of the operation bucket is formed in the formation of the operation bucket capable of performing drilling work and gunpowder loading work for loading the rock, It is possible to form a safety device constituted by a basic safety frame and a variable safety frame which can be used as a roof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bucket with the variable strut and to mount the variable safety frame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basic safety fram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afety device can be stably held and fixed to the foundation post and the variable post of the working bucket, The safety buckets can be folded and fixed so as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safety buckets can be fixed to the buckets. Thus, the use area of the operator can be widene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guard apparatus for a tunnel work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support of a safety device and the stable folding of the safety device.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 등의 구조물을 지중에 설치할 수 있도록 지반을 굴착해 터널(tunnel)을 형성하기 위한 터널(tunnel) 공법은 지반 지질이나 지하수의 상황, 터널(tunnel) 단면 형상이나 연장, 그 외의 시행 조건 등을 거울삼아 여러 가지의 시행 방법이 선정된다. Generally, a tunnel method for excavating a ground to excavate a structure such as a road or a railway to form a tunnel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ground geological condition, groundwater condition, And various enforcement methods are selected based on the enforcement conditions.

그리고 특히 연암으로부터 경암에 이르는 암반의 굴착 공법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폭파에 의한 이른바 발파 공법이나, 터널(tunnel) 볼링(bowling) 머신, 브레이커 등(contact breaker)의 각종의 암반 굴착 기계를 이용한 기계 굴착 공법이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as a method of excavating rocks ranging from soft rocks to soft rocks, there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 so-called blasting technique by blowing, a mechanical excavation using various rock excavation machines such as a tunnel bowling machine and a contact breaker The construction method is known.

또한, 암반에 대한 터널(tunnel)의 굴착 공사는 특히 큰 단면의 터널(tunnel)을 굴착 형성 하는 경우에는, 그 굴착 단면을 한 번에 굴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단면을 정해진 형상에 분할하는 것과 동시에 걸리는 큰 단면의 굴착 작업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굴착 공법, 갱도 굴착 공법 등, 순서에 따라서 각 분할한 단면을 순차적으로 굴착한다. 그 후, 점보(drill carriage) 드릴이 작동해 암반에 장약구멍이나 록 볼트구멍 등을 삭공 한다. 그리고 장약 구멍에 화약(다이너마이트)이 장전 된 후, 굴착 장치(rig) 등은 퇴피 장소까지 퇴피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cavate a tunnel with respect to a rock, in particular, when a tunnel having a large cross section is excavated, it is difficult to excavate the excavated cross section at once, In order to efficiently carry out a large cross-section excavation work simultaneously, the sectioned sections are sequentially exca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such as excavation method, tunnel excavation method, and the like. After that, a drill carriage drill is activated to drill holes and lock bolt holes in the rock. Then, after the gunpowder (dynamite) is loaded into the charge hole, the rig or the like is retreated to the retreating place.

위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작업은 터널의 천정을 포함하는 전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터널의 천정 부근까지 용이한 작업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작업위치로 근접시키기 위한 장비인 차징카가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including the ceiling of the tunnel, a charging car, which is an apparatus for bringing the operator closer to the working position, is used in order to perform an easy operation up to the ceiling of the tunnel.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출원 제20-2011-914호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이 선출원에서는 차징카(1)의 붐(5)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10)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버킷(10)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기초지주(200)와 가변지주(300)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지주(300)의 직교방향으로 작업버킷(10)의 지붕에 해당하는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형성되는 ㄱ자형상의 안전장치(10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작업버킷(10)에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가변지주(300)가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초안전틀(400)과 가변안전틀(500)이 설치된 가변지주(300)가 기초지주(200)에 수직방향에서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혀지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변지주(300)에 직교방향으로 레일홈(430)을 가지는 기초안전틀(400)이 고정되고, 상기 기초안전틀(400)의 레일홈(43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도록 되어, 상기 기초안전틀(400)로부터 튀어나와 설치될 수 있는 가변안전틀(500)이 형성되어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the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1-914 in which the operator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boom 5 of the charging car 1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for charging the r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tunnel work machine formed on a work bucket 10 capable of performing a work or the like on the work bucket 10. The work machine is provided with a foundation post 200 and a variable post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Shaped safety device 100 in which the base safety frame 400 and the variable safety frame 500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operation bucket 10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ariable strut 300, A variable strut 300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bucket 10 so as to be foldable about the hinge shaft 30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strut 200 so that the foundation safety frame 400 and the variable safety frame 500 are installed The variable strut 300 may be tilted rearwardly of the work bucket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ndation post 200 And a base safety frame 400 having a rail groove 430 is fixed to the variable strut 3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ariable strut 300 and is slidable in a rail groove 430 of the base safety frame 400 And a variable safety frame 500 protruding from the base safety frame 400 is formed.

상기 안전장치(100)가 기초안전틀(400)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할 수 있는 가변안전틀(500)을 형성하여, 작업버킷(10)의 지붕의 폭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자의 위쪽으로 떨어지는 낙석 등을 보호할 수 있으나, 상기 안전장치(100)가 작업버킷(10)의 기초지주(200)에 유동가능한 가변지주(300)에 고정되어, 대략 ㄱ자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기초지주(200)를 기초부로 하여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고정된채로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장착하여, 작업버킷(10)에서 ㄱ자형상의 안전장치(100)를 사용이 필요치 않는 경우, 기초안전틀(400)에 가변안전틀(5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버킷의 후방으로 젖혀서 ㄱ자형상의 안전장치(100)에 의하여 작업버킷(10)으로부터 작업자의 작업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dth of the roof of the operation bucket 10 by providing the variable safety frame 500 which can prevent the safety device 100 from protruding from the base safety frame 400, The safety device 100 is fixed to the variable strut 300 which is movable in the base struts 200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is mounted in a substantially ㄱ shape. The safety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base support 200 so as to be able to be tilted rearward of the operation bucket 10 while being fixed to the variable strut 300, When the variable safety frame 500 is fixed to the base safety frame 400 while the safety buckets 100 are not required to be u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ork of the operator.

그러나, 기초안전틀(400)에 가변안전틀(500)이 고정된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고정되어 ㄱ자형상으로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접혀지기 때문에, 안전장치(100)가 작업버킷(10)의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가 ㄴ자형상으로 튀어나와, 작업버킷(10)을 후방으로의 이동시에 다른 장애물에 부딪치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변지주(300)의 기초부가 기초지주(200)에 힌지에 의하여 유동되고 또한 고정구멍에 핀을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안전장치(100)가 고정된 가변지주(300)의 자체 무게가 기초지주(200)의 연결부위인 힌지와 고정구멍에 집중되어 피로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훼손될 수 있어서 안전장치(100)가 고정된 가변지주(300)를 받쳐 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However, since the safety device 100 having the variable safety frame 500 fixed to the basic safety frame 400 is fixed to the variable strut 300 and folded back to the rear of the operation bucket 10, 100 of the safety buckets 10 are projected in a rearwardly bent shape to cause a safety accident that bumps against the other obstacles when the work bucket 10 is moved backward, Since the base portion of the variable strut 300 is moved by the hinge to the base struts 200 and the pin is kept in the engaged state in the fix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device 100 is fixed to the variable strut 300, The variable weights 300 of the variable strut 300 are concentrated on the hinges and the fixing holes which are the connecting parts of the foundation struts 200 and the connecting parts can be damaged due to fatigue so that the variable strut 300, We need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it.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장카의 지붕을 구성하는 안전장치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의 가변지주에 ㄱ자형상으로 장착하도록 하되, 가변지주에 대하여 안전장치가 경첩을 중심으로 접혔다 펼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전장치가 가변지주에 대하여 받침대에 의하여 받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the safety device constituting the roof of the car from being mounted on the variable strut of the base strut of the working bucket, It is intended to allow the safety device to be supported by the pedestal against the variable strut and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고안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의 가변지주에 대하여 안전장치가 경첩을 중심으로 접혔다 펼 수 있도록 되어, 안전장치가 필요치 않는 경우, 작업버킷의 한컨에 접어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버킷에서 작업자의 활동공간의 면적을 넓혀 효율적인 작업으로 작업능률을 올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afety device to be folded and unfolded around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strut of the base strut of the working bucket, so that when the safety device is not required, it can be fold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ing buc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area of the activity space of the worker so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by efficient work.

또한,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고정된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의 가변지주가 안전지주에 실린더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에 집중될 수 있는 하중을 분산시키어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의 피로를 감소시키어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ariable strut of the foundation post of the fixed work bucket to be retained by the cylinder in the safety post, thereby dispersing the load that can be concentrated in the foundation post of the operation bucket,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로 구성된 안전장치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안전장치가 지지되는 가변지주가 작업버킷의 후방의 받침지주에 고정한 안전지주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comprising a base frame and a variable safety frame that can be used as a roof by forming a variable strut which can be vari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strut of the operation bucket, And a variable safety frame supported on the rear support frame of the operation bucket so as to be secured to the base safety frame so that the variable safety frame can be protruded forward, So that it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and folded, so that the support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folding can be stably performe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삭제delete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안전지주는 기초지주의 가변브라켓에 직교하게 작업버킷의 후방의 받침지주에 연결 고정되고, 가변지주는 기초지주의 가변브라켓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안전지주와 실린더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장치가 가변지주에 접혀진 상태에서 가변지주를 안전지주에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afety str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nnected to a support post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perpendicularly to the variable bracket of the base strut. The variable strut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variable bracket of the foundation strut, So that the variable strut can be folded on the safety strut while the safety device is folded on the variable strut.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터널내를 주행할 수 있는 차징카의 붐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의 형성에서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에 작업버킷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과 가변안전틀로 구성된 안전장치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에 대하여 가변안전틀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가 작업버킷의 기초지주와 가변지주에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장치가 가변지주에 접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를 작업버킷에 접어 고정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사용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안전장치가 지지되는 가변지주가 작업버킷의 후방에 형성한 안전지주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in the formation of a working bucket which is installed at the tip of a boom of a charging car capable of traveling in a tunnel and on which a worker is aboard to carry out boring work and powder- A variable stanchion that can be vari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stanchion of the variable stanchion is formed and a safety device composed of an initial safety stanchion and a variable safety stanchion which can be used as a roof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bucket with the variable stanchion is formed, In order to enable the safety device to be mounted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safety fram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afety device can be stably fixed to the base post and the variable post of the operation bucket, the safety device is folded into the variable post This minimizes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safety device can be folded and fixed to the work bucket, thus expanding the operator's area of use. And the variable pillar supported by the safety device is supported on the safety pillar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and can be folded and lapped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afety device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도 1 은 본 고안의 차징카와 작업버킷의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가 안전지주에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가 안전지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가 가변지주로부터 분리되는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가변지주에 대하여 안전장치가 직교하게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의 가변안전틀이 고정안전틀로부터 추출된 상태의 측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charging car and a working bu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the safety pillar,
Fig. 4 is a side view of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variable strut,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device is orthogonally fixed to the variable strut of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safety frame of the safety device of the tunnel work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ed from the fixed safety frame.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징카(1)는 차량으로 운전석(2)과 엔진부(3) 및 유압부(4) 등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전면에 붐(5)이 형성되고, 붐(5)의 첨단에 작업버킷(10)이 형성된다. 상기 작업버킷(10)은 작업자(7)가 탑승하여 터널면(8)의 암반에 장약구멍 및 화약 장전 및 기타 안전점검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1, the charging car 1 has a driver's seat 2, an engine section 3, a hydraulic section 4, and the like formed on the vehicle, a boom 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The working bucket 10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working bucket 5. The work bucket 10 is capable of carrying work such as charging holes, explosives loading, and other safety checks on the rock surface of the tunnel surface 8 by the worker 7.

차징카(1)의 붐(5)의 첨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암반의 장약을 위한 천공작업 및 화약장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는 작업버킷(10)에 형성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버킷(10)은 둘레면에 수직지주(11)들이 형성되어 안전망(12) 및 도어(도시생략) 등이 설치되어, 작업자(7)가 출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버킷(10)은 붐(5)의 첨단에서 작동부재(6)들에 의하여 일정각도로 유지 및 고정할 수 있다. A safety device for a tunnel work equipment installed on a working bucket 10 installed at the tip of a boom 5 of a charging car 1 and capable of carrying out a drilling operation and a gunpowder charging operation for loading a rock by an operator The work bucket 10 is formed with vertical pillars 11 on its peripheral surface and a safety net 12 and a door (not shown) are installed to allow the worker 7 to go in and out. In addition, the operation bucket 10 can be held and fixed at an angle by the operating members 6 at the tip of the boom 5.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버킷(10)의 후방에 2개의 수직지주(11)에 연장하여 수직방향으로 기초지주(200)의 기초부가 용접 고정되고, 또한 상기 기초지주(200)의 첨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구멍(210)과 힌지구멍(번호생략)이 형성된 준 사각형상의 가변브라켓(20)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undation of the foundation pillars 200 is welded and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to two vertical pillars 11 at the rear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a quadrangular-shaped variable bracket 20 formed with a fixing hole 210 and a hinge hole (not number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tip of the fixing bracket 200 are welded and fixed.

또한,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의 힌지구멍에 가변지주(300)와 본 고안의 안전지주(400)가 힌지핀(220)으로 결합되어 힌지핀(22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The variable strut 300 and the safety stru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the hinge hole of the variable bracket 20 of the base strut 200 by the hinge pin 220, Respectively.

상기 안전지주(400)는 작업버킷(10)의 후방의 수직지주(11)들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유지하는 받침지주(600)에 고정된다. The safety pillar 400 is fixed to the support pillars 600 which are fixed to the vertical pillars 11 at the back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held horizontally.

또한, 상기 가변지주(300)와 안전지주(400)는 대략 ㄷ자형상의 속이빈 비임이며, 상기 가변지주(300)는 기초지주(200)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안전지주(400)는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variable strut 300 and the safety strut 400 are substantially U-shaped hollow beams. The variable strut 300 can be vertically erected around the foundation strut 200, 400 can be held horizontally at right angles to the base post 200.

상기 안전지주(400)는 작업버킷(10)의 후방의 수직지주(11)들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유지하는 받침지주(600)에 고정된다. The safety pillar 400 is fixed to the support pillars 600 which are fixed to the vertical pillars 11 at the back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held horizontally.

그리고, 본 고안의 가변지주(300)에는 기초안전틀(110)과 가변안전틀(120)로 구성된 안전장치(100)가 도 4,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첩(310)으로 연결되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변지주(300)의 길이방향으로 받침레일(510)이 고정되어, 받침레일(510)의 레일구멍(번호생략)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받침대(500)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500)의 타단은 안전장치(100)의 기초안전틀(110)의 고정축(520)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지주(300)로부터 안전장치(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받침대(500)가 받침레일(510)의 구속홈(530)에 걸려져 유지하게 된다. 4, 5 and 6, the safety device 100 including the basic safety frame 110 and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u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hinge 310, Respectively. The support rail 510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riable strut 300 so that a pedestal 500 capable of sliding movement is coupled to a rail hole (not numbered) of the support rail 510,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able to flow in the fixed shaft 520 of the base safety frame 110 of the safety device 100 so that the safety device 100 is unfolded from the variable strut 300 as shown in Fig. 500 are caught and held by the restraining grooves 530 of the support rail 510.

따라서, 도 3과 같이 안전장치(100)를 작업버킷(10)의 한컨에 접어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버킷(10)에서 작업자(7)의 활동공간의 면적을 넓혀 효율적인 작업으로 작업능률을 올릴 수 있다.3,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fold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10, thereby widening the area of the activity space of the worker 7 in the operation bucket 10, You can raise.

상기 안전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안전틀(110)로부터 가변안전틀(120)을 출몰시킬 수 있다.The safety device 100 may cause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to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basic safety frame 11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가변지주(300)는 기초지주(200)의 힌지핀(220)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가변지주(300)와 안전지주(400)의 사이에 실린더(410)가 서로 연결되어, 도 3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10)는 유압 또는 가스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기성품으로서, 실린더(410)의 로드(420)가 실린더본체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지주(400)와 가변지주(300)가 직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variable strut 300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hinge pin 220 of the base strut 200 and the cylinders 4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variable strut 300 and the safety strut 400 , And is mounted so as to be maintained in the state of FIG. 4 in the state of FIG. The cylinder 410 is a ready-made product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gas pressure and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rod 420 of the cylinder 410 is pulled out from the cylinder body.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300 can maintain a right angle.

따라서, 상기 안전지주(400)는 받침지주(600)에 유지되어 작업버킷(10)의 기초지주(200)에 집중될 수 있는 하중을 분산시키어 작업버킷(10)의 기초지주(200)의 피로를 감소시키어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afety pillar 4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llar 600 to disperse the loads that can be concentrated on the foundation pillar 200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foundation pillar 200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3은 작업버킷(10)의 받침지주(600)에 가변지주(300), 안전지주(400) 및 안전장치(100)가 접혀진 상태로써, 작업버킷(10)의 바깥쪽으로 안전장치(100)가 장착되어 걸리적 거리는 일이없어, 작업버킷(10)내에서 작업자가 구조물에 부딪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3 shows the safety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strut 300, the safety strut 400 and the safety device 100 are collapsed in the support post 600 of the operation bucket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 hitting the structure in the work bucket 10.

상기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지주(300)를 기초지주(200)의 수직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지주(400)로부터 가변지주(300)를 세우면 가변지주(300)는 기초지주(200)의 힌지핀(220)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또한 안전지주(400)와 실린더(410)로 연결되어, 실린더(410)는 실린더로드(420)가 실린더본체로부터 추출하려는 부세력에 의하여 가변지주(300)가 기초지주(20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4, when the variable strut 300 is installed from the safety strut 400 so as to keep the variable strut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undation strut 200, The cylinder 410 is connected to the safety strut 400 and the cylinder 410 while the cylinder rod 420 is vertically moved about the hinge pin 220 of the cylinder rod 420 by the urging force It is easy for the pillars 300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undation pillars 200.

그리고, 기초지주(200)에 가변지주(3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의 고정구멍(210)과 가변지주(300)의 수직유지구멍(도시생략)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도시생략)을 끼워 넣는 것으로 기초지주(200)에 가변지주(300)의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variable strut 300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base strut 200, the vertical hole (not shown) of the fixed strut 210 and the variable strut 300 of the variable bracket 20 of the base strut 200, The variable strut 300 is kept vertical to the base strut 200 by inserting a fixing pin (not shown).

다음, 상기 상태에서 가변지주(300)로부터 안전장치(100)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안전장치(100)는 가변지주(300)의 경첩(3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또한 받침대(500)의 일단은 안전장치(100)의 기초안전틀(110)의 고정축(520)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대(500)의 타단은 가변지주(300)의 받침레일(510)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레일(510)의 최상단의 구속홈(530)에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가변지주(300)에 대하여 안전장치(100)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다.5, the safety device 100 pivots about the hinge 310 of the variable strut 300, and the safety device 100 is also rotated about the hinge 310 of the variable strut 300. Further, when the safety device 100 is moved from the variable strut 300 to the safety device 100, The other end of the pedestal 5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ail 510 of the variable strut 300 while the other end of the pedestal 500 is fixed to the fixed shaft 520 of the foundation safety frame 110 of the safety device 100,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hel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strut 300 by allowing the variable strut 300 to be sli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ail 510 and to be held in the uppermost constraint groove 530 of the support rail 510 as shown in Fig.

즉, 가변지주(300)에 대하여 안전장치(100)가 경첩을 중심으로 접혔다 펼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대하여 받침대(500)에 의하여 받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pedestal 500 relative to the variable strut 300 while allowing the safety device 100 to be folded and unfolded around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strut 300 have.

이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지주(300)에 유지된 안전장치(100)는 기초안전틀(110)로부터 가변안전틀(120)이 일정길이로 추출할 수 있다. 7, the safety device 100 held in the variable strut 300 can extract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from the basic safety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상태에서 안전장치(100)를 작업버킷(10)에 접어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내용의 반대로 작동하면 된다. When the safety device 100 is to be folded and held on the operation bucket 10 in the above-described stat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afety device 100 in the opposite manner as described above.

1 : 차징카 5 : 붐
10 : 작업버킷 20 : 가변브라켓
100 : 안전장치 200 : 기초지주
210 : 고정구멍 220 : 힌지핀
300 : 가변지주 310 : 경첩
400 : 안전지주 410 : 실린더
420 : 실린더로드 420,520 : 안전망
430 : 레일홈 500 : 받침대
510 : 받침레일 520 : 고정축
600 : 받침지주
1: Charged Car 5: Boom
10: Operation bucket 20: Adjustable bracket
100: safety device 200: foundation holding
210: fixing hole 220: hinge pin
300: variable strut 310: hinges
400: safety post 410: cylinder
420: cylinder rod 420, 520: safety net
430: rail groove 500: pedestal
510: Supporting rail 520: Fixing shaft
600: Support bearing

Claims (3)

삭제delete 작업버킷(10)의 기초지주(20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지주(300)를 형성하고, 또한 가변지주(300)에 작업버킷(10)의 위쪽을 씌워 지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안전틀(110)과 가변안전틀(120)로 구성된 안전장치(100)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안전틀(110)에 대하여 가변안전틀(120)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안전장치(100)가 지지되는 가변지주(300)가 작업버킷(10)의 후방의 받침지주(600)에 고정한 안전지주(400)에 받쳐지고 또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장치(100)의 지지와 또한 접혀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It is possible to form a variable strut 300 capable of vary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oundation strut 200 of the operation bucket 10 and to use the variable strut 300 as a roof by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10 It is possible to form the safety device 100 constituted by the basic safety frame 110 and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so that the variable safety frame 120 can be mounted on the basic safety frame 110 so as to protrude forward A safety device for a tunnel work equipment,
The variable strut 300 on which the safety device 100 is supported can be supported and folded on the safety strut 400 fixed to the support strut 600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ucket 10, Wherein the support and the folding are stably mad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주(400)는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에 직교하게 작업버킷(10)의 후방의 받침지주(600)에 연결 고정되고, 가변지주(300)는 기초지주(200)의 가변브라켓(20)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안전지주(400)와 실린더(410)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장치(100)가 가변지주(300)에 접혀진 상태에서 가변지주(300)를 안전지주(400)에 접을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장비의 안전장치.
The safety strut 40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upport post 600 at the rear of the operation bucket 10 perpendicularly to the variable bracket 20 of the foundation strut 200, The safety column 40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column bracket 20 of the foundation column 200 and is connected to the safety column 400 and the cylinder 410 so that the safety column 100 is deformed in the variable column 300, And the pillar (300) can be folded on the safety pillar (400).
KR2020130005073U 2013-06-24 2013-06-24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KR2004749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73U KR200474927Y1 (en) 2013-06-24 2013-06-24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73U KR200474927Y1 (en) 2013-06-24 2013-06-24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27Y1 true KR200474927Y1 (en) 2014-10-22

Family

ID=5200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073U KR200474927Y1 (en) 2013-06-24 2013-06-24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2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703A (en) * 2019-02-21 2019-05-10 代晓劲 A kind of tunnel punch
KR20230023921A (en) * 2021-08-11 2023-02-20 (주)프라임렌탈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Falling Obje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12A (en) 1999-08-05 2001-02-20 Kumagai Gumi Co Ltd Mobile scaffold device for inspection in tunnel construction work
JP2002097897A (en) 2000-09-22 2002-04-05 Taisei Corp Method of installing floor slab in tunnel
KR101043784B1 (en) * 2008-11-26 2011-06-22 김종근 post structure
KR20120005694U (en) * 2011-01-31 2012-08-08 서진용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012A (en) 1999-08-05 2001-02-20 Kumagai Gumi Co Ltd Mobile scaffold device for inspection in tunnel construction work
JP2002097897A (en) 2000-09-22 2002-04-05 Taisei Corp Method of installing floor slab in tunnel
KR101043784B1 (en) * 2008-11-26 2011-06-22 김종근 post structure
KR20120005694U (en) * 2011-01-31 2012-08-08 서진용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703A (en) * 2019-02-21 2019-05-10 代晓劲 A kind of tunnel punch
KR20230023921A (en) * 2021-08-11 2023-02-20 (주)프라임렌탈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Falling Objects
KR102570179B1 (en) * 2021-08-11 2023-08-25 (주)프라임렌탈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Falling Obj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8543B (en) Foreset device
US9568295B2 (en) Method and related devices for carrying out TBM excavation and expansion blasting using a blast protector and a cart
CN103643959B (en) A kind of novel tunnel heading equipment
CN107060857B (en) Advanced support device of tunneling and anchoring integrated comprehensive tunneling machine
CN102704929A (en) Digging and anchoring machine integrated with digging, anchoring and drilling
CN104533489A (en) On-board advance support device of heading machine
KR200474927Y1 (en)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CN103277107A (en) Shield type roadway heading machine
KR102195905B1 (en) Rock splitting system having multi-directional plasma-oil pressure rock splitter, and continuous rock split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425214A (en) Full-section quick vertical anchoring and protecting tunneling and anchoring machine
CN106677807B (en) A kind of folding steel arch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N215369687U (en) Auxiliary supporting mechanism for drilling of multi-row anchor rods
KR20210007555A (en) Rock splitting system of non-vibration and anti-noise, and continuous rock split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3097920U (en) Track-type fully hydraulic leading shoring equipment
CN115822667B (en) Tunnel anchor rod transfer unit and anchor protection construction method
CN211598712U (en) Track self-moving type advance support
KR200472098Y1 (en) Safety apparatus of tunnel working device
CN107642372B (en) Tunneling support with forepoling bar
CN109736801B (en) Tunneling and anchoring integrated machine
KR20120094318A (en) A small pro-apparatus for mine
CN203114308U (en) Gantry self-propelled anchoring and supporting machine
JP6106326B1 (en) Rockfall guard device
CN117167038A (en) Pressure relief protection structure of roadway affected by mining and construction method
CN217028958U (en) All-round machine-mounted temporary support device of low tunnel for heading machine
CN220551138U (en) Supporting device and anchor rod drill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