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06Y1 -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06Y1
KR200474906Y1 KR2020140003706U KR20140003706U KR200474906Y1 KR 200474906 Y1 KR200474906 Y1 KR 200474906Y1 KR 2020140003706 U KR2020140003706 U KR 2020140003706U KR 20140003706 U KR20140003706 U KR 20140003706U KR 200474906 Y1 KR200474906 Y1 KR 200474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bstrate
chip
microphon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145U (ko
Inventor
양연식
양희범
Original Assignee
와이센테크 주식회사
(주)포러스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센테크 주식회사, (주)포러스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와이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0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가 연결된 기판이 내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기판에 실장되고, 마이크 및 스피커와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비화칩;
상기 몸체의 기판과 연결되고,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단자와 결합하여 휴대폰과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잭은 상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편이 몸체 일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마련되는 돌출편 사이에 힌지 결합하여 힌지를 축으로 몸체 상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cellular phone mounted type secret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보급이 일반화됨에 따라 대다수의 개인이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고, 이를 수시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과거 아날로그 휴대폰은 하나의 채널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는 만큼 도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관련 업체에서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즉,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 등의 디지털 휴대폰을 개발하였으며, 업체에서는 디지털 휴대폰이 주파수 대역이 확산되고 각각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코드를 이용하는 특징에 따라 도청이 불가능한 것으로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업체의 홍보와 다르게 디지털 휴대폰도 아날로그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도청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상기의 이유로 디지털 휴대폰을 사용할지라도 통화시 특별히 비밀을 유지해야 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비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비화장치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여 송신하게 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변조음을 복조하여 수신하게 되므로 타인의 도청이 이루어질 수 없는 비밀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 비화장치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 및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관련 업체에서는 최근 일반 비화장치에 비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어마이크 형태의 비화장치를 개발한바 있다.
그러나, 이어마이크 형태의 비화장치는 케이블로 인한 간섭이 따랐고, 사용시마다 매번 케이블을 휴대폰에 연결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기에 여전히 휴대 및 사용에 번거로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가 개발되었다.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는 이어마이크 형태의 비화장치에 비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으나, 휴대폰에의 장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고, 일정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비화장치 관련 업체에서는 휴대폰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가 휴대폰에의 장착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와, 특정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는,
휴대폰에 직접 장착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 있어서,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가 연결된 기판이 내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기판에 실장되고, 마이크 및 스피커와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비화칩;
상기 몸체의 기판과 연결되고,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단자와 결합하여 휴대폰과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돌출편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잭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어마이크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휴대폰의 간격을 조절하여 휴대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몸체를 상기 휴대폰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주하는 상기 돌출편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힌지를 축으로 상기 몸체상에서 회동하는 연결편을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 외면에는 기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및 비화칩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는 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이고, 몸체 외면에 마련되는 충전단자에 충전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 외면에는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램프 및 비화칩의 작동을 표시하는 램프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는, 몸체 외부에 휴대폰과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이 마련된 것인바, 연결잭을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단자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휴대폰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는, 연결잭이 몸체 상에서 회동하는 것인바, 연결잭을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단자에 결합할 때 몸체 상에서 연결잭을 회동시켜 몸체와 연결잭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휴대폰의 형태 및 크기와 무관하게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가 휴대폰과 결합된 형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서 몸체와 연결잭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서 연결잭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는 몸체(10)와, 비화칩(20)과, 연결잭(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a) 및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11b)가 연결된 기판(11)이 내장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 외면에는 기판(11)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2) 및 비화칩(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 외면에 기판(11)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2)와 비화칩(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13)이 마련됨으로써 몸체(10) 외부에서 전원스위치(12) 조작을 통해 기판(11)으로의 전원 공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동작버튼(13) 조작을 통해 비화칩(20)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 외면에는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램프(14) 및 비화칩(20)의 작동을 표시하는 램프(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 외면에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램프(14) 및 비화칩(20)의 작동을 표시하는 램프(14)가 마련됨으로써 램프(14) 점등을 확인함에 따라 전원 공급과 비화칩(20) 작동 여부의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램프(14)는 전원스위치(12)와 연결되어 전원스위치(12)가 켜짐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비화칩(20)의 작동을 표시하는 램프(14)는 동작버튼(13)과 연결되어 동작버튼(13)이 켜짐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10) 내부에는 배터리(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 내부에 배터리(15)가 마련됨으로써 휴대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배터리(15)는 몸체(10) 외면에 마련되는 충전단자(16)에 충전케이블(도면상 미도시)이 연결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15)가 충전식임으로써, 배터리 교체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 일면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돌출편(17)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 일면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돌출편(17)이 마련됨으로써 연결잭(30)이 돌출편(17)에 힌지(31a) 결합됨에 따라 연결잭(30)이 힌지(31a)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10)의 기판(11)에 연결되는 마이크(11a) 및 스피커(11b)는 소형의 것일 뿐 통상적인 것인바, 마이크(11a) 및 스피커(11b)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비화칩(20)은 몸체(10)의 기판(11)에 실장되는 것이고, 마이크(11a) 및 스피커(11b)와 연결되는 것이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것이다.
한편, 비화칩(20)을 통한 변조 및 복조는 통상의 어떠한 비화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므로 비화칩(20)을 통한 변조 및 복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연결잭(30)은 몸체(10)의 기판(11)과 연결되는 것이고, 휴대폰(100)의 이어마이크단자(110)와 결합하여 휴대폰(100)과 기판(11)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잭(30)의 상단부에는 몸체(10)의 돌출편(17)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편(3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잭(30)의 상단부에 몸체(10)의 돌출편(17)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편(31)이 마련됨으로써 연결편(31)과 돌출편(17) 사이에 종방향으로 힌지(31a)가 관통함에 따라 몸체(10)에 연결잭(3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잭(30) 자체는 휴대폰(100)의 이어마이크단자(110)에 결합하는 통상의 이어마이크(도면상 미도시)에 마련되는 연결잭(도면상 미도시)과 동일한 것이므로 연결잭(30)의 형태 및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몸체(10)의 배면에는 몸체(10)에 내장되는 기판(11)과 휴대폰(100)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3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잭(30)을 휴대폰(100)의 이어마이크단자(110)에 삽입시키게 되면 몸체(10)에 내장되는 기판(11)과 휴대폰(100)이 연결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연결잭(30)에 의해 몸체(10)가 지지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상에 몸체(10)의 고정 즉,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몸체(10)와 연결잭(3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면 두께가 두꺼운 휴대폰(100)의 경우 이어마이크단자(110)에의 연결잭(30) 결합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연결잭(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연결편(31)이 몸체(10)의 돌출편(17)에 힌지(31a) 결합된 것인바, 몸체(10) 상에서 연결잭(3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잭(30)을 회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잭(30)이 돌출편(17) 일측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도록 하면 몸체(10)와 연결잭(30)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100)의 두께에 따라 연결잭(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휴대폰(100)의 형태 및 규격과 무관하게 연결잭(3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가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100)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잭(30)과 휴대폰(100)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 연결잭(30)을 회동시켜 연결잭(30)을 돌출편(17) 중간으로부터 일측으로 향하도록 하면 몸체(10)와 연결잭(30)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좁혀지며 휴대폰(100)에 장착 완료된 몸체(10)가 휴대폰(100)에 밀착될 수 있게 되므로 휴대폰(100)으로부터 몸체(10)가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의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 과정 이후 몸체(10) 외면에 마련되는 전원스위치(12)를 조작하여 몸체(10)에 내장된 기판(11)에 전원을 공급하고 휴대폰(100)으로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사용자 음성은 몸체(10)의 마이크(11a)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대방 음성은 몸체(10)의 스피커(11b)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비화칩(20)은 미작동 상태이므로 통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사용자 음성 변조 및 수신음 복조는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 통화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에 마련되는 동작버튼(13)을 조작하게 되면 일반 통화 상태에서 곧바로 비밀 통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비화칩(20) 미작동 상태에서 동작버튼(13)을 조작하여 비화칩(20)을 동작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사용자 음성은 몸체(10)에 마련된 마이크(11a)를 거쳐 비화칩(20)으로 전달되어 변조된 후 본인의 휴대폰(100)으로 통해 송신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상대방(사용자와 마찬가지로 비화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임)으로부터의 변조된 수신음은 휴대폰(100)에 수신된 후 비화칩(20)을 거쳐 복조되어 몸체(10)에 마련된 스피커(11b)를 통해 전달되므로 사용자와 상대방 양자 간에 비밀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A)는, 몸체(10) 외부에 휴대폰(100)과 기판(11)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30)이 마련된 것인바, 연결잭(30)을 휴대폰(100)의 이어마이크단자(11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휴대폰(100)에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연결잭(30)이 몸체(10) 상에서 회동하는 것인바, 연결잭(30)을 휴대폰(100)의 이어마이크단자(110)에 결합할 때 몸체(10) 상에서 연결잭(30)을 회동시켜 몸체(10)와 연결잭(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휴대폰(100)의 형태 및 크기와 무관하게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휴대폰(100)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a : 마이크
11b : 스피커 12 : 전원스위치
13 : 동작버튼 14 : 램프
15 : 배터리 16 : 충전단자
17 : 돌출편 20 : 비화칩
30 : 연결잭 31 : 연결편
31a : 힌지 100 : 휴대폰
110 : 이어마이크단자 A : 비화장치

Claims (5)

  1. 휴대폰에 직접 장착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에 있어서,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가 연결된 기판이 내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기판에 실장되고, 마이크 및 스피커와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비화칩; 및, 상기 몸체의 기판과 연결되고,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단자와 결합하여 휴대폰과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잭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돌출편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잭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어마이크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휴대폰의 간격을 조절하여 휴대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몸체를 상기 휴대폰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주하는 상기 돌출편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힌지를 축으로 상기 몸체상에서 회동하는 연결편을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면에는 기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및 비화칩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는 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이고, 몸체 외면에 마련되는 충전단자에 충전케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면에는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램프 및 비화칩의 작동을 표시하는 램프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KR2020140003706U 2014-05-13 2014-05-13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KR200474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06U KR200474906Y1 (ko) 2014-05-13 2014-05-13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06U KR200474906Y1 (ko) 2014-05-13 2014-05-13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248A Division KR20140030731A (ko) 2012-09-03 2012-09-03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45U KR20140004145U (ko) 2014-07-07
KR200474906Y1 true KR200474906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06U KR200474906Y1 (ko) 2014-05-13 2014-05-13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0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477A (ko) * 1999-08-11 2001-03-05 김윤석 암호키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보안 장치
KR20100100170A (ko) * 2009-03-05 2010-09-15 전병구 보안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477A (ko) * 1999-08-11 2001-03-05 김윤석 암호키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보안 장치
KR20100100170A (ko) * 2009-03-05 2010-09-15 전병구 보안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45U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7024B2 (en) Programmable wireless headset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20090061926A1 (en) Cell Phone with Bluetooth Inside
WO2003079169A3 (en) Flexible foldable keyboard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TW201427370A (zh) 手機保護殼及具有該保護殼
TWI275287B (en) Bluetooth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bluetooth earpiece
KR200474906Y1 (ko)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US20170245118A1 (en) Mobile phone case with wireless intercom
JP2008167213A (ja) カード型電話機
KR20140030731A (ko) 휴대폰 장착형 비화장치
CN205105275U (zh) 一种多功能智能指环及移动终端
KR101331962B1 (ko) 휴대폰 커버형 비화장치
KR2001931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이어마이크
CN103731522A (zh) 手机挂绳天线及其实现方法
KR200241236Y1 (ko) 휴대형 무선전화기 모국
KR200400686Y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
KR100635352B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KR100631707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02152371A (ja) 携帯電話機
KR200214977Y1 (ko) 손전등 겸용 무선통신기기
KR200392048Y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CN204836487U (zh) 多功能降噪蓝牙耳机
KR101026516B1 (ko) 이동식 저장장치 겸용 인터넷 전화기
KR200166554Y1 (ko) 원터치 감김방식을 갖는 통신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