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16Y1 - Door of wardrobe - Google Patents

Door of ward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16Y1
KR200474816Y1 KR2020130002061U KR20130002061U KR200474816Y1 KR 200474816 Y1 KR200474816 Y1 KR 200474816Y1 KR 2020130002061 U KR2020130002061 U KR 2020130002061U KR 20130002061 U KR20130002061 U KR 20130002061U KR 200474816 Y1 KR200474816 Y1 KR 200474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df
decorative pattern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5124U (en
Inventor
정선임
Original Assignee
정선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임 filed Critical 정선임
Priority to KR2020130002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16Y1/en
Publication of KR20140005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2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MDF(10)와 외표면의 마감판(20) 사이로 거울(30)을 삽입 적층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표면의 마감판(20)에는 각종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한 구멍(22)에 의해 장식 무늬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장식 무늬부의 구멍(22)을 통해 거울(30)이 부분적으로 반사되도록 하므로 장식 무늬부에 의한 장식 기능과 함께 내측 거울이 무늬부 부분으로만 반사되면서 장식 기능을 배가하여 장롱 문짝을 더 고급스럽게 제조하여 상품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MDF (10) and a finishing plate (20) having an outer surface by inserting a mirror (30) The decorative pattern 21 is formed by the hole 22 formed in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attern so that the mirror 30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he hole 22 of the decorative pattern, The mirror is reflected only on the patterned portion, and the decoration function is doubled, so that the wardrobe door is more luxuriously manufactured and the merchantability is enhanced.

Description

장식 기능을 갖는 장롱 문짝{DOOR OF WARDROBE}{DOOR OF WARDROBE}

본 고안은 장롱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MDF와 외표면의 마감판 사이로 거울(또는 흑경)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마감판에 다양한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된 장식 무늬부에 의한 장식 기능과 함께 내측 거울이 장식 무늬부 부분으로만 반사되면서 장식 기능을 배가하는 장식 기능을 갖는 장롱 문짝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MDF and a mirror plate (or a black plate) formed by laminating mirrors (or black diamonds) between the MDF and the finish plates of the ou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drobe door having an ornamental function of doubling the decorative function while the inner mirror is reflected only on the decorative pattern portion.

일반적으로 장롱은 의류, 침구, 악세사리 등의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가구이다.In general, a wardrobe is a furniture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such as clothes, bedding, and accessories.

이와 같은 장롱은 장롱 본체와 장롱 본체 전면에 개폐 가능한 문짝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장롱의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주로 장롱과 문짝, 특히 문짝에 각종 무늬의 장식을 형성하여 장식 기능을 부여하였다.Such a dressing room is composed of a dressing main body and a doo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whole of the dressing main body. In order to give a sense of a dressing, conventionally, a dressing function is given to various dresses.

그러나 상기 장롱 문짝의 장식은 주로 각종 무늬와 형상, 재질의 조합에 의해 심미감을 부여하는 것이 전부였다.However, the decorations of the wardrobe doors were all provided with a sense of beauty by a combination of various patterns, shapes and materials.

즉, 장롱 문짝의 장식 기능을 더 다양하게 표현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In other words, there were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 decorating function of the wardrobe door more variously.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장롱 문짝의 장식을 종래 기술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개념, 예를 들면 통상 장롱 내부에 마련되는 거울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신 개념의 장식 기능을 부여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sought to provide a decorating function of a new concept that uses the new concept of decorating the above-mentioned wardrobe door in a conventional manner, for example, a mirror which is usually provided inside a wardrob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장롱 문짝을 구성하는 MDF와 외표면의 마감판 사이로 거울(또는 흑경)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마감판에 다양한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된 장식 무늬부에 의한 장식 기능과 함께 내측 거울이 장식 무늬부 부분으로만 반사하면서 장식 기능을 더욱 배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MDF which is constructed by laminating mirrors (or black diamon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oration function by the formed decorative fringe portion and to allow the inner mirror to reflect only to the decorative fringe portion to double the decoration function.

본 고안은 상기 거울(또는 흑경)의 반사판과 반사판 배면의 금속 도금층 사이로 각종 무늬의 인쇄층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의 무늬가 반사판에 투영되어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을 부여하므로 심미감을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printed layers of various patterns between the reflector of the mirror (or blackhead) and the metal plating layer on the backside of the reflector so that the pattern of the printed layer is projected on the reflector to give a three-dimensional feeling like various patterns floating in the air, The purpose is to provide better.

이러한 본 고안은 MDF와 외표면의 마감판를 적층하여 결합한 장롱 문짝에 있어서, 상기 MDF와 외표면의 마감판 사이로 거울을 더 삽입 적층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표면의 마감판에는 각종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한 구멍에 의해 장식 무늬부를 형성하여 상기 장식 무늬부의 구멍을 통해 거울이 부분적으로 반사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The MDF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DF are joined together by lamination of the MDF and the finishing plat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DF and the finishing plate of the outer surface, And a decorative pattern is formed by one hole so that the mirror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he hole of the decorative pattern.

본 고안 상기 마감판은 무늬목이나 힌색 하이그로시 판재 중에 어느 하나인 것임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plate is one of a vignetting board and a hinged high-gloss board.

본 고안 상기 거울은 유리 거울, 아크릴 거울, 흑경 중에 어느 하나인 것임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rror is any one of a glass mirror, an acrylic mirror, and a black mirror.

본 고안 상기 거울은 반사판과 반사판 배면의 금속 도금층 사이로 각종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의 각종 무늬가 반사판에 투영되어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printed layer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prin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metal pla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so that various patterns of the print layer are projected on the reflection plate to give a three- .

이러한 본 고안은 장롱 문짝을 구성하는 MDF와 외표면의 마감판 사이로 거울(또는 흑경)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마감판에 다양한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된 장식 무늬부에 의한 장식 기능과 함께 내측 거울이 장식 무늬부 부분으로만 반사하면서 장식 기능을 배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irror (or a black mirror) is laminated between an MDF and a finishing plate on the outer surface, and a decoration function is formed by a decorative pattern formed in various shapes on the finishing plate. It has the effect of doubling the decorative function while reflecting only on the pattern portion.

또한, 상기 거울(또는 흑경)의 반사판과 반사판 배면의 금속 도금층 사이로 각종 무늬의 인쇄층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의 무늬가 반사판에 투영되어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을 부여하므로 심미감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a print layer of various patterns is form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of the mirror (or the black spot) and the metal plating lay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so that the pattern of the print layer is projected on the reflection plate to give a three- It has an excellent effect.

즉, 본 고안은 종래 장롱 문짝과 달리 장식 무늬부와 거울을 조합한 새로운 개념의 장식 기능으로 다양한 심미감을 부여하여 장롱을 더 고급스럽게 제조하여 상품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hance the merchantability by providing a variety of aesthetics with a decorative function of a new concept that combines a decorative pattern part and a mirror,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wardrobe door.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롱 문짝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롱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ardrobe do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a wardrob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장롱 문짝(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F(10)와 외표면의 마감판(20) 사이에 거울(30)을 적층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표면의 마감판(20)에는 각종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한 구멍(22)에 의해 장식 무늬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장식 무늬부의 구멍(22)을 통해 거울(30)이 부분적으로 반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1 to 5, a mirror door 30 is stacked between a MDF 10 and a finishing plate 20 of an outer surface of the MDF 10, The decorative pattern 21 is formed in the plate 20 by holes 22 formed in various shapes so that the mirror 30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he holes 22 of the decorative pattern.

이때, 상기 마감판(20)은 무늬목 또는 힌색 하이그로시 판을 사용하거나 그 밖에 다양한 소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plate 20 may be formed of a vignetting board or a hinged high-gloss board, or may form various other materials.

또한, 상기 거울(30)은 반사판의 재질에 따라 유리 거울이나 아크릴 거울 또는 흑경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mirror 30 may be a glass mirror, an acrylic mirror, or a black mirror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reflection plate.

또한, 상기 거울(30)은 도 4에서와 같이 반사판(31)과 반사판 배면의 금속 도금층(32)(통상은 은 도금층) 사이로 각종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3)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의 각종 무늬가 반사판에 투영되어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4, the mirror 30 further includes a printed layer 33 on which various patterns are prin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31 and the metal plating layer 32 (usually a silver pla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And various patterns are projected on the reflection plate to give a three-dimensional feeling as if various patterns are floating in the air.

한편, 본 고안에서 MDF(10)는 장롱 문짝에서 주로 사용하는 재질로서 이와 같은 소재는 MDF가 아닌 다른 원목이나 합판 등의 소재로 대체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순 소재의 변경 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DF (10) is a material mainly used in a long wall door, and such a material can be replaced by a material other than MDF such as a wood or a plywood. .

미설명부호로서, 200은 장롱을 나타내는 것이다.As an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wardrobe.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고안의 장롱 문짝은 MDF(10)와 외표면의 마감판(20) 사이에 거울(30)을 더 적층하여 결합 구성한 것이다.First, a mirror door 30 is further laminated between the MDF 10 and the finishing plate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pparatus.

이때 상기 마감판(20)에는 각종 모양으로 레이져 가공기에 의해 파내어 형성한 구멍(22)에 의해 나뭇잎, 물방울과 같은 각종 모양과 무늬의 장식 무늬부(21)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장식 무늬부(21) 자체로 장식 기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식 무늬부의 구멍(22)을 통해 내측 거울(30)이 투영되면서 단순한 거울이 아닌 복합적인 장식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decorative pattern 21 of various shapes and patterns such as leaves and water drops is formed in the finishing plate 20 by the hole 22 formed by laser processing machine in various shapes, the decorative pattern 21 The interior mirror 30 is projected through the hole 22 of the decorative fringe so as to give a complex decorative effect rather than a simple mirror.

즉, 상기 장롱 문짝의 장식 무늬부(21)에 의한 장식 기능과 함께 장식 무늬부의 구멍(22)을 통해 내측 거울(30)이 부분적으로 반사되면서 종래 장롱 문짝과 전혀 다른 신 개념의 장식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terior mirror 30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he opening 22 of the decorative pattern portion together with the decorative function of the decorative pattern portion 21 of the wardrobe door, thereby giving a decorative effect of a new concept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wardrobe door .

더우기, 상기 마감판(20)은 무늬목으로 형성하거나 힌색 하이그로시 판을 사용하므로 마감판 자체가 미려한 무늬와 색상으로 장식성을 갖게 되고, 또한 상기 거울(30)도 일반적인 유리 거울은 물론 파손 방지 및 유리 거울에 비해 은은하게 사물을 반사시키는 아크릴 거울, 또는 유리 거울이나 아크릴 거울에 비해 좀더 중후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흑경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nishing plate 20 is made of a veneer or a hinge of high-gloss high-gloss plate is used, the finishing plate itself is decorated with a beautiful pattern and color, and the mirror 30 is also made of a general glass mirror, An acrylic mirror that reflects things gently compared to a mirror, or a black mirror that can produce a more profound and luxurious atmosphere than a glass mirror or an acrylic mirror can be selected and used.

그 밖에 본 고안은 상기 거울(30)을 구성하는 반사판(31)과 금속 도금층(32) 사이, 즉 반사판(31)의 배면으로 각종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3)을 더 형성하여서 상기 인쇄층의 각종 무늬가 반사판(31)에 투영되므로 전방에서 식별할 때 거울 내부에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으로 반사되므로 더욱 세밀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inting layer 33 on which various patterns are prin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31 and the metal plating layer 32 constituting the mirror 30,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31, The various patterns are projected on the reflection plate 31. Therefore, when discriminating from the front, various patterns are reflected in the inside of the mirror as if they are floating in the air, so that more detailed aesthetics can be given.

10: MDF 20: 마감판
30: 거울 21: 장식 무늬부
22: 구멍 31: 반사판
32: 금속 도금층
33: 인쇄층
10: MDF 20: Finishing plate
30: mirror 21: decorative pattern
22: hole 31: reflector
32: metal plating layer
33: Printed layer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MDF(10)와 외표면의 마감판(20) 사이로 거울(30)을 더 삽입 적층하여 결합 구성하되,
상기 외표면의 마감판(20)에는 각종 모양으로 파내어 형성한 구멍(22)에 의해 장식 무늬부(21)를 형성하여 상기 장식 무늬부의 구멍(22)을 통해 거울(30)이 부분적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장식 기능을 갖는 장롱 문짝에 있어서,
상기 거울(30)은 반사판(31)과 반사판 배면의 금속 도금층(32) 사이로 각종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3)을 더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의 각종 무늬가 반사판에 투영되어 각종 무늬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기능을 갖는 장롱 문짝.
A mirror 30 is inserted between the MDF 10 and the finishing plate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DF 10,
A decorative pattern 21 is formed in the finishing plate 20 on the outer surface by punched holes 22 so that the mirror 30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he holes 22 of the decorative pattern. In a wardrobe door having an ornamental function,
The mirror 30 further includes a printed layer 33 on which various patterns are printed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31 and the metal plating layer 32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so that various patterns of the print layer are projected on the reflection plate, And a decorative effect is imparted to the living room door.
KR2020130002061U 2013-03-20 2013-03-20 Door of wardrobe KR2004748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61U KR200474816Y1 (en) 2013-03-20 2013-03-20 Door of ward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61U KR200474816Y1 (en) 2013-03-20 2013-03-20 Door of ward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24U KR20140005124U (en) 2014-09-30
KR200474816Y1 true KR200474816Y1 (en) 2014-10-15

Family

ID=5200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61U KR200474816Y1 (en) 2013-03-20 2013-03-20 Door of ward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16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24U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998B2 (en) Composite toilet lid and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200474816Y1 (en) Door of wardrobe
KR200420652Y1 (en) A pattern accessories
KR20200134422A (en) jangsig gineung-eul baegahan janglongmunjjag jejag
US7845743B2 (en) Applied molding for texturizing exterior surfaces of furniture
KR101647667B1 (en) Duplex Window Glass with Solid Decoration
JP3126839U (en) Colored decorative plywood combining different tree species.
JP2023161095A (en) Decorative molding product
KR20210045711A (en) Color plywood
KR101010820B1 (en) Wrapping process method of furniture
CN219191540U (en) Composite facing artificial board for full-class movable home decoration
KR200343979Y1 (en) A door for the funiture or sink
CN216256239U (en) Locally-inlaid furniture decorative panel and antique furniture
USD990294S1 (en) Double-sided over door hook
CN210018405U (en) Interior cabinet
USD892527S1 (en) Bed frame
KR100887586B1 (en) Ornamental pannel with nacre patter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120050174A (en) Cover profile assembly of sliding windows
KR200314961Y1 (en) Furniture including ornamental cloth
KR200303963Y1 (en) Ornamental plate
KR101253299B1 (en) Interior panel
KR100579818B1 (en) Handle for furniture
KR200344357Y1 (en) The leaf of a door with bamboo
KR100568688B1 (en) Covered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rdiman Olivia Bos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