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76Y1 - Tableware Hacks - Google Patents

Tableware Ha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76Y1
KR200474776Y1 KR2020130006447U KR20130006447U KR200474776Y1 KR 200474776 Y1 KR200474776 Y1 KR 200474776Y1 KR 2020130006447 U KR2020130006447 U KR 2020130006447U KR 20130006447 U KR20130006447 U KR 20130006447U KR 200474776 Y1 KR200474776 Y1 KR 200474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tableware
drying
groove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4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라
Original Assignee
(주)영인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인정공 filed Critical (주)영인정공
Priority to KR2020130006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7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7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식기와 음용을 위한 컵 및 식기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는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다리부재가 구비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건조대 몸체;와 상기 건조대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놓여지도록 저면에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수직절개홈과 수평절개홈이 관통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수직 절개홈에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식기도구 수납부재;와 상기 건조대 몸체의 저면에 위치되어 일측의 고정부는 상기 배수공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어느 한쪽으로 유도해줄 수 있도록 배수홈이 구비된 배수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세척을 마친 식기와 컵 및 식기도구를 건조대에 거치시켜 자연적으로 건조시킴에 있어서, 건조과정에서 흘러내린 물이 개수대를 향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생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dry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p portion is opened so that a tableware, a cup for drinking and utensils and utensils and the like can be housed, a leg member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so as to be separated from a mounting surface, And a vertical cutout groove and a horizontal cutout groov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barrel body. And a lower part of the vertical cutting groove of the cradle is fitt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and the upper part of the cradling tool is housed in the lower part of the cradle body. The fixing pa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radle, And a drain guide member having drainage grooves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to one side It is relev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hwasher, the cup and the utensil tool, which have been cleaned, are mounted on a drying table and dried naturally, so that the water flowing in the drying process can be easily discharged toward the wash bowl, It has the effect of hygienic management.

Description

식기 건조대{Tableware Hacks}Tableware Hood {Tableware Hacks}

본 고안은 세척이 된 식기나 컵 및 식기도구 등의 자연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which is used for natural drying of dishes, cups and utensils which have been washed.

일반적으로 식기나 음용을 위한 컵 등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히터수단을 구비한 후 그러한 히터수단에 송풍팬의 바람을 통과시켜 가열된 공기의 순환으로 물기가 남아 있는 식기나 컵 등을 건조시키는 방법과, 식기나 컵 등을 뒤집어 배열한 후 자연적으로 물이 빠지도록 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Generally, as a method for drying a cup or the like for drinking utensils or drinking, there is a method of drying a cup or the like in which a wind is blown through such a heater means to circulate heated air, And a method of arranging a tableware or a cup, etc., and then drying it by allowing the water to fall off naturally.

이중 식기나 컵 등의 자연적인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식기 건조대의 구성을 보면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강선을 수직, 경사, 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구부려 용접 또는 고정하여 1단 또는 2단의 선반을 만들고, 그러한 선반의 저면에는 물받이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세척된 후 물기가 남아 있는 식기나 컵 등이 올려져 자연적인 물 빠짐을 통해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construction of a tableware dryer used for natural drying such as a tableware or a cup, the steel wire is bent or bent in a vertical, inclined, or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form a certain gap, so that one or two shelves And a water receive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such a shelf. Typically, the shelf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nk, and a tableware, a cup, or the like, on which water is left after being washed, is raised and dried through natural water dropping.

이와 같은 식기 건조대의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실1998-014389호 "식기 건조대"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식기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세척된 식기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한 측부에 복수개의 접시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접시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홀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구성됨에 따라 접시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고, 받침대와 본체가 서로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As a prior art of such a tableware hood, 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1998-014389 has already been disclosed in "tableware hanger", which ha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tableware and a main body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ableware Wherein a plurality of dish fixing membe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vertically set up a plurality of dishes, the base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it is easy to dry the dish, and the pedestal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used convenientl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식기 건조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본체의 경우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이 망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제작의 복잡함은 물론 이러한 본체를 청소함에 있어서 본체의 전,후면에 비하여 틈새의 청소가 어렵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위생적인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since the stainless steel having a constant diameter is formed of a net structure, it is complicated to manufacture, and in cleaning the main body,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gap compar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There was a difficulty of.

또한 본체 내부에 놓여지는 식기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은 본체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에 모여지게 되면서 일정한 량이 물이 받침대에 고여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확인 및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ableware placed inside the main body is gathered in the pedestal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water is held in the pedestal by a certain amount,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heck and remove periodically.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식기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개수대에 직접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식기 건조대의 제작 및 사용과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와 관련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and cleaning and to discharge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ableware directly to the sink, This is related to a dishwasher which makes maintenance easier and hygienic.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는 식기와 음용을 위한 컵 및 식기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는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다리부재가 구비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건조대 몸체;와 상기 건조대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놓여지도록 저면에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수직절개홈과 수평절개홈이 관통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수직 절개홈에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식기도구 수납부재;와 상기 건조대 몸체의 저면에 위치되어 일측의 고정구는 상기 배수공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로부터 연장되는 타측에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어느 한쪽으로 유도해줄 수 있도록 배수홈이 구비된 배수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The tablewar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g member that is opened at an upper portion so that a cup and utensil for drinking utensils and drinking utensils can be stored, And a vertical cutout groove and a horizontal cutout groove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radle body, And a lower fixing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base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hole and extending from the fixing hole, And a water discharge guide provided with drainage grooves for guiding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to one side, And the like.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간격유지구는 하측 고정부로부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 상측 연장부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구비되는 다수의 걸림홈에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구가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e-maintaining opening of the cradle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extension portion fixed to the cradle is lifted and lowered from a lower fix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to allow the jaws to be fixed step by step.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홈은 거치대의 대향된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절개홈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것과 관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cutout groov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pposite sides of the cradle, and the vertical cutout groov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ixing grooves.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개홈은 상기 양측 수직절개홈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로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cutout groov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two vertical cutout grooves, and are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바람직하게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는 저면 중앙에는 하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개홈의 고정홈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과 관련된다.Preferably,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is formed with a downwardly protruding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fixed to a fixing groove of the vertical incision groov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drain hole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utensil tool accommodating member .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는 내부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칸막이가 세워져 설치되는 것과 관련된다.More preferably, the utensil tool receiving member is related to a partition provided so as to divide the space insi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칸막이는 하부 중앙에 상기 결합부의 배수구멍으로 함께 끼워지는 제1연장부가 구비된 제1칸막이와 제2연장부가 구비된 제2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칸막이의 하부 중앙에는 하단으로부터 절개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칸막이의 상부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절개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칸막이의 제1끼움홈과 제2칸막이의 제2끼움홈이 십자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More preferably, the partition comprises a first partition hav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partition hav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e first partition hav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which is fitted into the drain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fitting groove cut from the upper end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second partition so that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second partition are formed in a cross shape Lt; / RTI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폭은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경과 상응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부에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가 십자형으로 조립되어 끼워질 때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면과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측면이 억지끼움이 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may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may be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tensil tool receiving member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constrained wh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assembled into a cruciform shape in the interior of the memb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에는 대향된 전후면에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칸막이의 제1끼움홈과 제2칸막이의 제2끼움홈이 십자형으로 결합 될 때 제1칸막이의 제1연장부에 구비되는 제1돌기와 제2칸막이의 제2연장부에 구비되는 제2돌기가 서로 접면되면서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십자형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More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portions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formed with a pair of first projections and second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jections provided on the first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s provided on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hen the second fitting grooves of the second partition are cross- And the cruciform shape of the second compartment can be firmly maintained.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 몸체의 배수공에는 하향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배수유도부재의 고정구는 삼각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의 플랜지부에 상기 고정구가 회전가능하도록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과 관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ownwardly protruding flange portion is formed in the drain hole of the drying base body, the fixture of the drain guide member protrudes upward in a triangular shape and is fixedly fix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drain hole so as to be rotatable .

전술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above-described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고안은 식기 건조대의 제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건조대의 청소 또한 간편하게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건조대의 내부에 놓여 지는 식기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식기를 거치대에 효과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of the tableware dryer, and can easily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drying table. Also, the height of the tablewa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ableware placed inside the drying tab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ount the display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또한 식기도구를 별도의 식기도구 수납부재를 통해 구분시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식기나 컵 및 식기도구의 건조과정에서 발생 되는 물을 방향에 관계없이 인접한 개수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조대를 보다 위생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dry the utensil tools through separate utensil tool storage members, and to allow the water generated during the drying of the utensils, cups and utensils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adjacent utensils regardless of the direction, The convenience of the drying hood can be improved and the drying hood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and effectively.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such a design is obvious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regardless of whether the designer perceives it or not, the above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dditionally determine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at even if it is not explicitly sta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such effect If it is an effect, it should be regarded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거치대에 구비되는 간격유지구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거치대에 구비되는 간격유지구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식기도구 수납부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가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ableware dry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ssed portion for illustrating a spacing holder provided in a cradle of a tablewar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ssed portion for illustrating a spacing holder provided in a cradle of a tableware dry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bleware storing member of a tablewar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ableware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ink.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implemen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구성을 보면, 세척된 식기나 컵 등이 수납되는 건조대 몸체와, 건조대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식기나 컵이 놓여지는 거치대와, 식기도구를 식기나 컵과 구분시켜 별도로 수납 및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도구 수납부재와, 건조대 몸체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인접한 개수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유도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1 과 도 2 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dish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machine body in which cleaned dishes or cups are housed, a cradl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machine body, A tableware tool storage member for separately storing and drying separated from a tableware or a cup and a drainage guide member for drain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ying tank body to an adjacent water tank.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건조대 몸체(100)는,The drying base body (100)

세척된 후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식기와 컵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건조대 몸체(100)는 사각 또는 원형 또는 비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고, 건조대 몸체(100)의 상하 높이 또한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없이 수납되는 식기와 컵 등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The drying body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or a non-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drying base body 100 may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dishware and cups to be stored without being limited to any one.

건조대 몸체(100)의 저면 사방에는 건조대 몸체(100)가 설치되는 설치면(도 7 에서 싱크대(500)의 개수대(520) 일측에 형성된 상판(510)으로 예시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될 수 있도록 다리부재(130)가 구비되며, 이러한 다리부재(130)로 인하여 설치면과 건조대 몸체(100)의 저면 사이에 만들어지는 공간은 후술되는 배수유도부재(400)가 건조대 몸체(100)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drying base body 100 is installed (illustrated as an upper plate 5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ink 520 of the sink 500 in FIG. 7) A space form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due to the leg member 130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And is freely rotatable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는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에 건조대 몸체(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수공(120)이 형성됨에 따라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 떨어지는 물이 배수공(120)을 통해 건조대 몸체(100)의 외부로 즉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drain hole 120 is form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base body 100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at a position offset from either the center or the center of the drying base body 100, So that the water falling on the drum 110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body 100 through the drain hole 120.

아울러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은 배수공(12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 떨어지는 물이 경사면을 통해 배수공(120)으로 정확하게 배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base body 10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120 so that the water falling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base body 100 flows into the drain hole 120 through the slope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accurately drained.

거치대(200)는,The holder (200)

전술한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 놓여 지면서 그 상면으로 식기나 컵 및 식기도구 등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면 또는 완만한 경사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경우 청결한 이미지를 높이면서 거치대(200)를 통해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It may have a horizontal plane or a gentle slope structure so that the dishes, cups, utensil tools, and the like may be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bar body 100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opaque or transluc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head body 100 through the cradle 200 while improving the clean image and to perform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more effectively will be.

거치대(200)는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 접면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서 배수공(120)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식기와 컵 등이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110)에서 이동되는 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mounting table 20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bu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utensil and the cup can be separated from the water mov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to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water mov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to the drain hole 120 So as not to be contacted.

이를 위해 거치대(200)의 저면에 간격유지구(210)를 설치하되, 간격유지구(210)를 거치대(200) 저면의 사방에 설치하거나, 거치대(200)에 놓여지는 식기와 컵 등의 무게 배분을 위하여 저면 사방 및 중앙부위에 간격유지구(210)가 설치될 수도 있다.For this purpose, a spacing holder 21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200. The spacer 210 may be installed on all sides of the bottom of the holder 200 or the weight of the utensil and cup placed on the holder 200 A spacing holder 21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for distribution.

간격유지구(210)는 고정형 또는 길이 가변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 가변형인 경우 도 3a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연장부(211)와 그러한 연장부(211)의 외주면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고정부(2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21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홈(212a)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211)의 외주면에는 고정부(212)의 걸림홈(212a)에 걸리면서 고정부(212)로부터 연장부(211)가 단계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구(211a)를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spacing holder 210 may be fixed or variable in length and may include an extension 211 fixed to the bottom of the cradle 200 as illustrated in FIG.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2a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12 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212a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12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1a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12 so that the extending portion 211 can be lifted and lowered stepwise from the fixing portion 212 while being caught by the fixing groove 212a of the fixing portion 212.

따라서 간격유지구(210)를 통해 거치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212)로부터 거치대(200)와 함께 연장부(211)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고정부(212)와 연장부(211)로 구성된 간격유지구(21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거치대(200)의 높낮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eight of the holder 200 is adjusted through the gap holder 210, the holder 211 is pulled upward together with the holder 200 from the holder 212, The height of the holder 200 can be adjusted in whole or in part by vary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gap holder 210 constituted by the holder 211.

아울러 도 3b 는 간격유지구(21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연장부(211)의 외주면에는 나사선(211b)을 형성하고, 고정부(212)의 내주면에는 나사홈(212b)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부(212)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간격유지구(210)의 전체적인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3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val maintaining hole 210. The screw 211b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211 and the thread groove 212b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212, The overall length of the gap holding tool 210 may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acer 212.

한편, 거치대(200)의 상면에는 도 2 에서와 같이 수직절개홈(220)과 수평절개홈(230)이 형성되며, 수직절개홈(220)은 거치대(200)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형성하되, 수직절개홈(220)의 일측과 타측 및 그 사이에 고정홈(221)을 이격되게 형성하여 이러한 고정홈(221)에 자세히 후술되는 식기도구 수납부재(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2, a vertical cutout groove 220 and a horizontal cutout cutout 2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200. The vertical cutout cutouts 220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cradle 200, The vertical cutout groove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cutout groove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ableware storing member 300 described later can be fixed to the fixing groove 221 in detail.

거치대(200)에는 전술한 수직절개홈(220)과 함께 다수개의 수평절개홈(230)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평절개홈(230)은 식기 중 접시와 같이 납작한 형태의 식기가 경사를 이루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plurality of horizontal cutting grooves 230 are formed in the holder 200 together with the vertical cutting grooves 220. The horizontal cutting grooves 23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such as a dish in a dish, .

이에 따라 거치대(200)의 양쪽 수직절개홈(22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수평절개홈(230)이 형성된 것이며, 이때 수평절개홈(230)의 길이 및 폭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없이 동일 또는 서로 상이한 다수개로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납작한 식기를 용이하게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 plurality of horizontal cutting grooves 230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cutting grooves 220 of the mount 200. The length and width of the horizontal cutting grooves 230 need not be determined to be any on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ones, so that flat flatware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installed.

식기도구 수납부재(300)는,The tableware tool housing member (300)

음식의 섭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식기도구 수납부재(300)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면서 단면이 비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함체의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is opened as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need not be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section, But may be deformed into a shape of a hollow body having a non-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a constant height.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저면 중앙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는 결합부(310)가 구비됨에 따라 이러한 결합부(310)는 전술한 거치대(200)에 형성된 수직절개홈(220)의 고정홈(221)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고정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coupling portion 3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and the coupling portion 31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utting groove 220 And can be easily used while vary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결합부(310)에는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에 수납되는 식기도구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구멍(311)이 형성되며, 아울러 이러한 결합부(310)의 배수구멍(311)을 이용하여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에 칸막이(3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drain hole 311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10 so that water flowing out of the dishwasher accommodated in the dishwasher housing member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housing member 300, The partition 320 can be fixed inside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by using the drain hole 311 of the partition 310. [

즉,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에는 종류가 다른 식기도구가 서로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칸막이(32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십자형태의 칸막이(320)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ishwasher housing memb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320 having various shapes so that different kinds of utensils may be housed separate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320 are provided.

여기서 십자형태의 칸막이(3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조립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그 일 예로 칸막이(320)는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로 구분되고,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의 좌우 폭은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경과 상응하며, 상하의 길이는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거나 필요에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3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321 and a second partition 322, and the partition 3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321 and a second partition 322,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and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inner vertical length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As shown in FIG.

그리고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의 중앙 하단에는 제1연장부(321b)와 제2연장부(322b)가 각각 돌출 형성됨에 따라 그러한 제1연장부(321b)와 제2연장부(322b)가 전술한 배수구멍(311)에 함께 억지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321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b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nd the extended portion 322b can be fixedly held together with the drain hole 311 described above

또한 제1칸막이(321)의 하부 중앙에는 하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절개되는 제1끼움홈(321a)이 형성되며, 제2칸막이(322)의 상부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절개되는 제2끼움홈(322a)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제1끼움홈(321a)과 제2끼움홈(322a)을 이용하여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를 수직 교차되게 끼워 연결함으로써 십자형태의 칸막이(320)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의 제1연장부(321b) 및 제2연장부(322b) 또한 십자형태를 이루면서 결합부(310)의 배수구멍(311)에 함께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partition 321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321a cut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321. A second fitting groove 321b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econd partition 322,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vertically intersect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first fitting groove 321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322a so that a cross- The first extension part 321b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b of the first partition part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part 322 may also be formed in a cross shape, And can be fixed together in the drain hole 311.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칸막이(320)가 십자형태로 구성되면서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공간이 4등분 되도록 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칸막이(320)의 개수를 조절하여 2등분 또는 6등분 이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320 is formed in a cross shap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However, if necessary, the number of the partitioning parts 320 may be adjusted, As shown in FIG.

아울러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에 칸막이(3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경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의 좌우 폭 또한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경과 상응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게 되면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가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부에 끼워질 때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내면과 제1칸막이(321) 및 제2칸막이(322)의 외측면이 서로 억지끼움이 되면서 결합이 견고해져 칸막이(320)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artition 320 is installed inside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the first partition 321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also inclin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s of the utensil tool receiving member 300,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arranged in the interior The inner surface of the utensil tool receiving member 3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firmly engage with each other to prevent unnecessary flow of the partition 320 It will be possible.

또한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의 제1연장부(321b) 및 제2연장부(322b)에는 대향된 전후면에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돌기(321c)와 제2돌기(322c)를 각각 형성함에 따라 제1칸막이(321)와 제2칸막이(322)가 십자형으로 결합될 때 제1칸막이(321)의 제1연장부(321b)에 형성된 제1돌기(321c) 사이로 제2칸막이(322)의 제2연장부(322b)가 끼워지면 제1칸막이(321)의 제1돌기(321c)와 제2칸막이(322)의 제2돌기(322c)가 서로 접면되어 제1칸막이(321) 또는 제2칸막이(322)가 불필요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extension 321b and the second extension 322b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projections 321c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coupled in a cross shape by forming the second protrusions 322c, the first protrusion 321b formed on the first extended portion 321b of the first partition 321 The first protrusion 321c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rotrusion 322c of the second partition 32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extended portion 322b of the second partition 322 is fitt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321c and the second partition 322c, So that the first partition 321 or the second partition 322 can be prevented from unnecessarily rotating.

배수유도부재(400)는,The drainage inducing member (400)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에 모여지는 물을 건조대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수유도부재(400)의 일측 고정구(410)는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된 건조대 몸체(100) 저면의 배수공(120)에 결합되며, 그러한 고정구(410)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타측은 배수공(120)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정확하게 유도되어 원하는 지점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함몰된 형태의 배수홈(420)이 구비된 것이다.As a means for discharging the water collected inside the drying base body 100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the one side fixing member 410 of the drainage inducing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other side extending from the fixing member 4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20 on the bottom sid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20 is accurately guided and drained to a desired point. And a drainage groove 420 that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배수유도부재(400)의 고정구(410)는 삼각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건조대 몸체(100)의 배수공(12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이때 건조대 몸체(100)의 배수공(120)에는 하향 돌출된 플랜지부(121)를 구비함으로써, 그러한 플랜지부(121)에 배수유도부재(400)의 고정구(410)가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도 6 에서와 같이 배수유도부재(400)가 건조대 몸체(100)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ixture 410 of the drainage inducing member 400 is protruded upward in a triangular shape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drain hole 120 of the drying head body 100 so that the drain hole 120 of the drying hall body 100 can be rotated. The drain guide member 400 is provided on the flange portion 121 so that the fixture 410 of the drain guide member 400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flange portion 121. Thus, So that it can freely rotate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이와 같이 배수유도부재(400)가 건조대 몸체(100)의 배수공(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도 7 에서와 같이 싱크대(500)의 개수대(520)와 인접하여 있는 상판(510)에 건조대 몸체(100)를 올려놓고 사용함에 있어서, 건조대 몸체(100)가 상판(510)의 어느 쪽에 위치하더라도 배수유도부재(400)의 회전을 통해 건조대 몸체(100)의 물을 개수대(520) 쪽으로 정확히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며,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배수유도부재(400)를 건조대 몸체(100)의 안쪽으로 회전시켜 배수유도부재(400)가 건조대 몸체(100)의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상 보기 좋게 하면서 싱크대(5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배수유도부재(400)와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7, the drainage guide member 4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20 of the drying base body 100. The drainage guide member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510 adjacent to the sink 520 of the sink 500, The water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can be precisely directed toward the sink table 52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water discharge guide member 400 even if the drying table body 100 is positioned on either side of the upper plate 510 The water drainage guide member 400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so that the water drainage guide member 40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base body 100 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sink 500 can be prevented from unnecessari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ain guide member 400 while being apparently good in appearance.

이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verall method of using the dish ra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즉, 각종 식기와 음용에 사용된 컵과 음식 섭취 등에 사용된 식기도구 등을 세척 후 건조대 몸체(100)에 놓여 진 거치대(200)와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에 골고루 배치하면 식기와 컵과 식기도구가 자연적으로 건조되며, 건조되는 과정에서 식기와 컵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건조대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떨어진 후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배수공(120)으로 배수되고, 식기도구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식기도구 수납부재(300)의 배수구멍(311)을 통해 건조대 몸체(100)의 바닥면(110)에 떨어진 후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배수공(120)으로 배수되면 배수되는 물은 개수대(520)쪽으로 미리 회전시켜놓은 배수유도부재(400)의 배수홈(420)을 거쳐 개수대(520)에 정확하게 배수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ups used for various dishes and drinks and the utensils used for food ingestion and the like are evenly placed on the table 200 and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300 placed on the drying table body 100, The tableware is naturally dried and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tableware and the cup in the course of drying is moved to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base body 100 and then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drained to the drainage hole 120, The falling water is dropped o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drying table body 100 through the drain hole 311 of the tableware tool housing member 300 and then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drained to the drain hole 120. Then, (520) by way of the drain groove (420) of the drain guide member (400) previously rotated toward the drainage guide member (520).

아울러 다양한 싱크대(500)의 구조에 따른 개수대(520)의 위치에 따라 배수유도부재(400)를 개수대(520)쪽으로 간단히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식기도구 수납부재(300)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건조대 몸체(100)의 내부에서 다양한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시켜 놓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 guiding member 400 can be simply rotated toward the water sink 5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ater sink 520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various sinks 500, Accordingly, various positions can be selected and fixed in the interior of the drying base body 100 and effectively used.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Belongs to.

100 : 건조대 몸체 110 : 바닥면
120 : 배수공 121 : 플랜지부
130 : 다리부재 200 : 거치대
210 : 간격유지구 211 : 연장부
211a : 걸림구 211b : 나선부
212 : 고정부 212a : 걸림홈
212b : 나사홈 220 : 수직절개홈
221 : 고정홈 230 : 수평절개홈
300 : 식기도구 수납부재 310 : 결합부
311 : 배수구멍 320 : 칸막이
321 : 제1칸막이 321a : 제1끼움홈
321b : 제1연장부 321c : 제1돌기
322 : 제1칸막이 322a : 제2끼움홈
322b : 제2연장부 322c : 제2돌기
400 : 배수유도부재 410 : 고정구
420 : 배수홈 500 : 싱크대
510 : 상판 520 : 개수대
100: drying frame body 110: bottom surface
120: drain hole 121: flange portion
130: leg member 200: cradle
210: spacing holder 211: extension
211a: latching hole 211b:
212: fixing part 212a:
212b: screw groove 220: vertical incision groove
221: fixing groove 230: horizontal cutting groove
300: Tool holder storage member 310:
311: drain hole 320: partition
321: first partition 321a: first fitting groove
321b: first extension part 321c: first projection
322: first partition 322a: second fitting groove
322b: second extension part 322c: second projection
400: drainage inducing member 410: fastener
420: drainage groove 500: sink
510: top plate 520: sink

Claims (10)

식기와 음용을 위한 컵 및 식기도구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는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다리부재가 구비되며, 내부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건조대 몸체;
상기 건조대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놓여지도록 저면에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수직절개홈과 수평절개홈이 관통 형성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수직 절개홈에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식기도구 수납부재; 및
상기 건조대 몸체의 저면에 위치되어 일측의 고정구는 상기 배수공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로부터 연장되는 타측에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어느 한쪽으로 유도해줄 수 있도록 배수홈이 구비된 배수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간격유지구는 하측 고정부로부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 상측 연장부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구비되는 다수의 걸림홈에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구가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A drying unit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such that a cup and a utensil for drinking utensils and drinking utensils can be housed and a leg member for allowing the utensil to be separated from an installation surface at the bottom,
And a vertical cutout groove and a horizontal cutout groove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a lower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vertical cutout groove of the cradle,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And a drain port provided at a lower surface of the drying table body and having a drain hole for guiding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to the other side extending from the fixing hole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hole, And a guide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latching opening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in a stepwise manner, So as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개홈은,
거치대의 대향된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절개홈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incis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vertical cutout groo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개홈은,
상기 양측 수직절개홈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cut-
And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two vertical incision grooves and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는,
저면 중앙에는 하향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개홈의 고정홈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ableware-
Wherein a downwardly protruding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of the vertical incision groove, and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ableware accommodating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는,
내부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칸막이가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bleware-
Wherein a partition is provided so as to divide an internal space of the dishwas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하부 중앙에 상기 결합부의 배수구멍으로 함께 끼워지는 제1연장부가 구비된 제1칸막이와 제2연장부가 구비된 제2칸막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칸막이의 하부 중앙에는 하단으로부터 절개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칸막이의 상부 중앙에는 상단으로부터 절개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칸막이의 제1끼움홈과 제2칸막이의 제2끼움홈이 십자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having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extension, the first partition having a first extension part that is fitted together with a drainage hole of the coupling part at a lower center thereof, and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fitting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second partition so as to be cut from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second partition are cross- Tablewa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폭은 상기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경과 상응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어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부에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가 십자형으로 조립되어 끼워질 때 식기도구 수납부재의 내면과 제1칸막이 및 제2칸막이의 측면이 억지끼움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inclin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Wherein wh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assembled into a cruciform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utensil tool storage member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re forcedly fit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에는 대향된 전후면에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칸막이의 제1끼움홈과 제2칸막이의 제2끼움홈이 십자형으로 결합 될 때 제1칸막이의 제1연장부에 구비되는 제1돌기와 제2칸막이의 제2연장부에 구비되는 제2돌기가 서로 접면되면서 제1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십자형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8. The method of claim 7,
A pair of first projections and second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opposite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When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partition is coupled in a cross shape, the first projection provided on the first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provided on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ross shape of the partition can be firmly mainta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 몸체의 배수공에는 하향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배수유도부재의 고정구는 삼각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의 플랜지부에 상기 고정구가 회전가능하도록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an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a drain hole of the drying base body, and the fixture of the drain guide member protrudes upward in a triangular shape and is fixedly fix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drain hole so as to be rotatable.


KR2020130006447U 2013-08-02 2013-08-02 Tableware Hacks KR2004747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47U KR200474776Y1 (en) 2013-08-02 2013-08-02 Tableware Ha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47U KR200474776Y1 (en) 2013-08-02 2013-08-02 Tableware Ha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776Y1 true KR200474776Y1 (en) 2014-10-14

Family

ID=519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447U KR200474776Y1 (en) 2013-08-02 2013-08-02 Tableware Ha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7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26B1 (en) * 2023-07-13 2024-01-18 주식회사 디자인캐인 Kitchen furni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940A (en) * 2008-06-19 2008-07-10 최충식 Flatware drying rack
KR20110099350A (en) * 2010-01-28 2011-09-08 최충식 Flatware drying rack, using method of the flatware drying rack
KR20120005358U (en) * 2011-01-14 2012-07-24 (주)씨엠코퍼레이션 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940A (en) * 2008-06-19 2008-07-10 최충식 Flatware drying rack
KR20110099350A (en) * 2010-01-28 2011-09-08 최충식 Flatware drying rack, using method of the flatware drying rack
KR20120005358U (en) * 2011-01-14 2012-07-24 (주)씨엠코퍼레이션 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26B1 (en) * 2023-07-13 2024-01-18 주식회사 디자인캐인 Kitchen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582A (en) Upright dish draining device
US8973763B2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US5485927A (en) Draining and drying device for utensils
US20070131629A1 (en) Drying storage rack
US20090211994A1 (en) Dish rack
US20080185352A1 (en) Stemware Drying Rack
US10694922B1 (en) Drinking straw cleaning caddy
EP2252194A2 (en) Dish rack
US10709295B2 (en) Drying storage unit
KR200473078Y1 (en) Tableware Dryer
KR20190009552A (en) Dish Drying Rack
KR200474776Y1 (en) Tableware Hacks
KR200471944Y1 (en) Tableware Dryer
KR200481055Y1 (en) Drying apparatus for baby bottles and Dish
KR20060100702A (en) Dish washer equipped with untensil holder
KR200464755Y1 (en) 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KR20110099350A (en) Flatware drying rack, using method of the flatware drying rack
CN214549331U (en) Knife and fork tray bottom net structure, knife and fork tray and dish washing machine
CN214549322U (en) Knife and fork tray and dish washing machine
CN106725219B (en) Multifunctional draining basket
CN214965259U (en) Knife and fork tray and dish washing machine
CN110870752A (en) Chopstick cage of dish washing machine, use method of chopstick cage and dish washing machine
CN216394005U (en) Chopsticks cage
CN218165077U (en) Draining basket, draining basket assembly and water tank
CN220494969U (en) Household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