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17Y1 - 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 Google Patents

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17Y1
KR200474517Y1 KR2020130001347U KR20130001347U KR200474517Y1 KR 200474517 Y1 KR200474517 Y1 KR 200474517Y1 KR 2020130001347 U KR2020130001347 U KR 2020130001347U KR 20130001347 U KR20130001347 U KR 20130001347U KR 200474517 Y1 KR200474517 Y1 KR 200474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aracter
shape
furniture
outer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3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624U (en
Inventor
유현수
변희섭
Original Assignee
유현수
변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수, 변희섭 filed Critical 유현수
Publication of KR20130005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2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Abstract

본 고안은 한자모양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한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외곽윤곽이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수용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된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수용공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한자는 “口”, “日”, “目”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口”, “日” 또는 “目” 이외의 한자이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수용공이 “口”, “日” 또는 “目”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특정 한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테두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comprising: an outer frame having an outer contour formed to show the shape of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rein said specific character comprises at least one of "mouth", "date" and "eye", wherein said "mouth", "date" or " And the outer frame is arranged in a shape of a mouth, a date, or an eye, and the rim is connected to indicate the shape of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

Description

한자모양 가구{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한자모양의 외관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furniture having a Chinese character appearance.

옷장, 서랍장, 장식장, 책장 등의 가구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각종 수납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가구는 단순히 수납의 용도 뿐만 아니라 실내 내부의 인테리어를 위한 용도로도 이용되어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Furniture such as closets, drawers, cabinets, and bookshelv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homes and offices. In addition, the furniture is used not only for the storage but also for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is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and forms.

그러나, 등록실용 20-0457371호 "가구용 외장패널"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납 가구는 재질을 다양화하거나 표면의 질감 또는 표면의 요철무늬 등을 통해 디자인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외형이 박스형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설계상의 한계가 있었다.
However, as disclosed in Registration No. 20-0457371, "Furniture Exterior Panel ", conventional storage furniture adds design elements by varying materials, surface texture or surface irregularities, but the overall appearance is box-shaped There was a design limitation that could not escape.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의 외관형상을 특정 한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형태의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o provide a furniture having a unique and unique shape b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furnitur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의 목적은 한자모양 가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자모양 가구는, 특정 한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외곽윤곽이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수용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된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수용공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한자는 “口”, “日”, “目”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口”, “日” 또는 “目” 이외의 한자이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수용공이 “口”, “日” 또는 “目”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특정 한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테두리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Chinese character furniture.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frame having an outer contour formed to show a shape of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and having one or more receiving holes form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Wherein said specific character comprises at least one of "mouth", "date" and "eye", wherein said "mouth", "date" or " And the outer frame is arranged in a shape of "mouth", "day", or "eye", and the frame is connected so as to show the shape of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서랍부재가 상기 수용공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drawer members are provid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receiving hole,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부프레임은 좌우 대칭 또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frame is formed to be horizontally symmetrical or vertically symmetrical.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특정 한자의 획 또는 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corative member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roke or point of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frame.

본 고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는 한자의 모양을 모티브로 외관을 설계하므로 외관형상이 종래 가구와 달리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는 이에게 개성적이고 독특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어 장식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is designed by the motif of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 appearance shape can show various forms unlike the conventional furnitu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ive a unique and unique aesthetic feeling to the viewer, thereby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

또한, 나타내고자 하는 한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외부프레임과 서랍부재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어 디자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Further,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and the drawer member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displayed,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esign are possible.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한자모양 가구(100)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한자모양 가구(1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Figs. 3 and 4 Fig. 8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는 전체적인 외관이 중국의 한자를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자모양 가구(100)는 서랍장, 수납장 등 물품을 수납하는 서랍이 구비된 형태의 가구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Chinese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is a furniture in the form of a drawer for storing articles such as a drawer and a storage.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 중 "高"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었다. 이를 위해 한자모양 가구(100)는 한자 "高"의 외관형상을 나타내는 외부프레임(110)과, 외부프레임(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부재(120)를 포함한다.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formed to show the shape of "high" among Chinese characters as shown in Fig. To this end,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includes an outer frame 110 having an outer shape of a Chinese character "high" and a drawer member 120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frame 110.

외부프레임(110)은 테두리를 연결한 한자모양 가구(100)의 외곽윤곽이 한자의 외부형상을 나타내게 형성된다. 여기서, 한자모양 가구(100)가 디자인의 모티브로 설정할 수 있는 한자는 서랍부재(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口", "日", "目"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되, “口”, “日” 또는 “目” 이외의 한자이다. The outer frame 110 is formed such that the outline contour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connected with the frame represents the outer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 Chinese character set by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as a design motif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mouth", "date", and "eye" representi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member 120, , "Day" or "eye".

즉, 한자에서 "口", "日", "目" 부분은 밀폐된 박스 형상으로 외부프레임(110)에 수용공을 형성시키고, "口", "日", "目"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테두리로 연결되어 외부프레임(110)의 형상에 대응된다. 이 때, 외부프레임(110)은 디자인에 따라 한 개의 형태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경우에 따라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hinese character, the mouth, the day, and the eye are formed in a closed box shape in the outer frame 110,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mouth", "day" And is connected to a fram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110. At this time, the outer frame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one form according to the design, or may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in some cases.

또한, 한자의 외관 또는 내부에 형성된 점과 획 등은 경우에 따라 생략되거나 강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한자모양 가구(100)의 경우에도 "高"의 상부에 형성된 점은 삭제되고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형상으로 외부프레임(110)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외부프레임(110)의 형상은 한자모양 가구(100)를 사람이 보았을 때 나타내고자 하는 한자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points and strokes formed in the appearance or inside of a Chinese character may be omitted or emphasized in some cases. In the case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shown in Fig. 1, the poin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igh" is eliminated and the outer frame 110 is designed in a totally integrated shape.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110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of recognizing a Chinese character to be displayed when a person looks at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한편, 한자모양 가구(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110)의 내부에 별도의 독립된 독립수납함(1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프레임(110)은 내부에 서랍부재(120)가 수용되는 수용공(113)이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관통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독립수납함(1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5)이 형성된다. 1 to 3,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independent storage box 130 inside the outer frame 110. In addition, The outer frame 110 includes a receiving space 113 through which the drawer member 120 is received and a receiving space 115 through which the independent receiving box 130 is accommodated .

수용공(113)은 한자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口"을 포함하는 한자는 수용공(113)이 한 개 형성되고, "日"을 포함하는 한자는 수용공(113)이 상하로 적층되게 두 개가 형성되고, "目"을 포함하는 한자는 수용공(113)이 상하로 세 개가 형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용공(113)은 한 개만 형성되고, 복수개의 서랍부재(120)가 적층적으로 결합되어 "口", "日", "目"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3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s. A Chinese character including "mouth" is formed with one acceptance hole 113, a Chinese character including "day" is formed with two acceptance holes 113 stacked up and down, and a Chinese character including "eye" Three receiving holes 113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some cases, only one receiving hole 113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drawer members 120 are laminated and combined to form a shape of "mouth", "day", "eye".

수용공간(115)은 외부프레임(110) 사이에 형성되고, 독립수납함(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외부프레임(110) 내부에 수용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110) 외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독립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가구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accommodation space 115 is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s 110 and the independent storage box 130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frame 110 as shown in Figure 3, (Not shown). With this independent structure, the user can arrange the furniture in various forms, and the interior effect can be enhanced.

한편, 수용공(113)의 내측벽면에는 서랍부재(120)의 전후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레일(111)이 돌출형성되고, 서랍부재(120)의 양측면에는 지지레일(111)에 대응되는 레일수용홈(121)이 함몰형성된다. A support rail 111 for suppor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drawer member 12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hole 113. On both sides of the drawer member 120, The groove 121 is recessed.

서랍부재(120)는 양측면이 지지레일(111)에 구속된 상태로 외부프레임(110)의 수용공에 삽입되고,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면 전후로 이동하며 외부로 개방되거나 내부로 수납된다. The drawer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of the outer frame 110 while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confined to the supporting rail 111.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the drawer member 120 moves back and forth and is opened to the outside or stored inside.

서랍부재(120)는 수용공(113)의 내부에 한 개가 결합되도록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 동일한 수용공(113)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이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한 개는 수용공(113)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삽입되고, 나머지 한 개는 수용공(113)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된다. 두 개의 서랍부재(120)는 수용공(113)의 가운데 부분에서 서로 접촉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One of the drawer members 1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le 113, or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the receiving hole 113 inserted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same. That is, one is inserted from the front of the receiving hole 113 rearward, and the other i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receiving hole 113 toward the front. The two drawer members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eceiving hole 113 and fixed in position.

이 때, 서랍부재(120)와 외부프레임(110)의 전면에는 손잡이부재(미도시) 또는 장식부재(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부재(미도시)와 장식부재(미도시)의 형상도 한자의 모티브에 벗어나지 않도록 동일 형상의 한자 또는 "口", "日" 또는 "目"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손잡이부재(미도시) 또는 장식부재(미도시)는 특정 한자의 획 또는 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handle member (not shown) or a decorative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member 120 and the outer frame 110.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member (not shown) and the decorative member (not shown) may also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hinese character or "mouth", "day", or "eye" of the same shape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motif of Chinese characters. In some cases, the handle member (not shown) or the decorative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oke or point of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한편, 독립수납함(130)에도 개폐가능한 문부재(140)를 결합시켜,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문부재(140)는 서랍부재(120)와 같이 전후 이동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형태로 형성되거나, 여닫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member 14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also coupled to the independent storage box 130, so that the article can be stored therein. At this time, the door member 140 may be form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like the drawer member 120, or may be formed as a sliding door as shown in FIG. 3, or may be formed as a hinged door.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a)는 "門"의 형상을 나타낸 가구이다. 이 경우, 외부프레임(110a)은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랍부재(120a)는 외부프레임(110a)의 수용공에 수용된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urniture showing the shape of a "gate". In this case, the outer frame 110a is formed in a bilaterally symmetrical shape, and the drawer member 120a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of the outer frame 110a.

이 때, "門"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하부영역에 여백공간이 많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이 공간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問"의 형태로 변형하여 "口"자 형상의 독립수납함 또는 의자 등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 of the "gate ", a large amount of blank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area, so that the user can further utilize the space. Depending on the case, it is possible to use a "mouth" shaped disposable storage box or chair by deforming it in the form of "Q".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門"의 형상을 모티브로 하더라도 외부프레임(110b)의 판면에 변형을 주어 차별화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외부프레임(110b)의 판면에 연결다리(117) 형상을 두어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6, even if the shape of the "gate" is the motif, the plate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0b may be deformed to form a differentiated shape. In this way, the shape of the connecting leg 117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0b to enhance the decoration effect.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c)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100c)는 "貴"를 모티브로 한 가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자모양 가구(100c)는 외부프레임(110c)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고 연결부재(119)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띈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furniture with the motif of "nob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frame 110c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00c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119. [

여기서, 외부프레임과 서랍부재는 서로 동일한 부재로 제작되거나 서로 다른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프레임은 목재로 제조되고 서랍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Here, the outer frame and the drawer member may be made of the same member or made of different members. As an example, the outer frame may be made of wood and the drawer member may be made of plastic.

또한, 외부프레임과 서랍부재는 동일한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Further, the outer frame and the drawer member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color or different colors.

그리고, 외부프레임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거나,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frame may be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symmetrically.

또한, 나타내고자 하는 한자의 형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프레임의 외곽형상을 직선을 사선으로 변경하거나 곡선으로 변경하여 설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ine shape of the outer frame can be designed by changing the straight line to a diagonal line or changing it to a curve within a range not largely deviating from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display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한자모양 가구는 한자의 모양을 모티브로 외관을 설계하므로 외관형상이 종래 가구와 달리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는 이에게 개성적이고 독특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어 장식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furniture because the appearance is designed with the motif of the Chinese character shap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ive a unique and unique aesthetic feeling to the viewer, thereby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

또한, 나타내고자 하는 한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외부프레임과 서랍부재의 형상을 가변할 수 있어 디자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Further,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and the drawer member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displayed,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esign ar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한자모양 가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Chinese character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한자모양 가구 110 : 외부프레임
120 : 서랍부재 130 : 독립수납함
140 : 문부재
100: Chinese character furniture 110: Outer frame
120: Drawer member 130: Independent storage box
140:

Claims (1)

한자모양 가구에 있어서,
특정 한자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외곽윤곽이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수용공이 한 개 이상 형성된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수용공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한자는 “口”, “日”, “目”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口”, “日” 또는 “目” 이외의 한자인 “高”, “門” 또는 “貴” 이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수용공이 “口”, “日” 또는 “目”의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高”, “門” 또는 “貴”의 형상을 나타내도록 테두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모양 가구.
For Chinese character furniture,
An outer frame having an outer contour formed to show the shape of a specific Chinese character and having one or more receiving holes form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a drawer member inserted in the receiving hole of the outer frame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particular Chinese character is at least one of "mouth", "day", "eye" and is a "high", "gate" or "noble", a Chinese character other than "mouth"
Wherein the outer frame is arranged in a shape of a "mouth", a "day" or an "eye", and a rim is connected to form a shape of the "high", "gate" furniture.
KR2020130001347U 2012-03-14 2013-02-21 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KR200474517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6079 2012-03-14
KR1020120026079 2012-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24U KR20130005624U (en) 2013-09-25
KR200474517Y1 true KR200474517Y1 (en) 2014-09-30

Family

ID=5199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347U KR200474517Y1 (en) 2012-03-14 2013-02-21 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17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66B1 (en) 2001-10-20 2004-12-03 정영진 Mult-functional cabinet for laboratory
KR20080063006A (en) * 2006-12-29 2008-07-03 조정환 A frame variable furniture for dec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66B1 (en) 2001-10-20 2004-12-03 정영진 Mult-functional cabinet for laboratory
KR20080063006A (en) * 2006-12-29 2008-07-03 조정환 A frame variable furniture for dec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24U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4015S1 (en) Divider panel
USD592422S1 (en) Cabinet
USD522270S1 (en) Chest of drawers with normally concealed internal shelf
USD525790S1 (en) Under furniture storage unit
CA111018S (en) Product container
CA125613S (en) Wall mountable jewelry rack assembly
USD664803S1 (en) Glass rimmer
CA110065S (en) Cabinet
USD636619S1 (en) Furniture base
CA114923S (en) Cabinet
KR101914900B1 (en) Frame for Storage furniture
KR200474517Y1 (en) Chinese charater shape furniture
USD525455S1 (en) Four open sided shelving with a depressed top and a bottom drawer
USD983576S1 (en) Cabinet
USD965353S1 (en) Cabinet
USD559580S1 (en) Pedestal desk
CN209185994U (en) A kind of liftable concealed dressing table
USD869205S1 (en) Display and storage cabinet
CN206107792U (en) A portable combination paper matrix type for storing articles article
CN201767444U (en) Simple and convenient handle structure
USD564791S1 (en) Multi-drawer chest
KR20100112794A (en) A drawer chest
CN204743221U (en) But cupboard post line structure of storing
CA114779S (en) Cabinet
KR20130002748U (en) Display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