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77Y1 -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77Y1
KR200474477Y1 KR2020100004767U KR20100004767U KR200474477Y1 KR 200474477 Y1 KR200474477 Y1 KR 200474477Y1 KR 2020100004767 U KR2020100004767 U KR 2020100004767U KR 20100004767 U KR20100004767 U KR 20100004767U KR 200474477 Y1 KR200474477 Y1 KR 200474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circuit breaker
air circuit
switchboard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7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0600U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4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77Y1/en
Publication of KR20110010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60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 및 그를 갖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면에 차단기 본체가 인출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로서, 배전반의 장착면과 마주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및 상기 측면의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of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 cradle of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and an opening for allowing a breaker body to be drawn in and out, A bottom surface facing; At least two s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Description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 및 그를 갖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f a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 pull-out air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 및 그를 갖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단기 본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작동되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내부에서 차단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f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and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ccommodat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inside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operated when a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pulled in or pulled out.

기중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배전반 내에 차단기 본체가 배전반 패널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차단기와, 차단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크래들이라는 외함이 상기 배전반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본체가 상기 크래들 내에 수용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출형 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다.The air circuit breaker generally includes a fixed circuit breaker in which a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fixedly installed in an electric cabinet panel in an electric cabinet, and an enclosure called a cradle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panel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circuit breaker, And a draw-out type breaker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drawn out.

상기 크래들은 외부 전력계통 회로의 전원 측 전로와 부하 측 전로를 접속하는 단자 부를 구비한다. 차단기 본체는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 조작되어 상기 크래들의 단자 부에 접속하여 외부 전력계통 회로의 전원 측 전로 및 부하 측 전로에 접속되는 투입 위치(connected position)와, 차단기 본체를 시험하기 위해서 제어 전원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 부로 분리되어 상기 외부 전력계통 회로의 전원 측 전로 및 부하 측전로로부터 차단된 시험 위치(test position)와,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외부 전력계통 회로와 모두 분리된 차단 위치(disconnected position)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The cradle includes a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side converter and a load side converter of the external power system circuit.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ide converter and a load side converter of the external power system circuit by being transported by a separate transfer device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radle, A test position separated from the power source side circuit and the load side current path of the external power system circuit by being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disconnected position).

도 1은 이러한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중 차단기(1)는 상 별 가동 접촉자 및 고정접촉자와 이들 상별 가동 및 고정접촉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 격벽을 주요 구성부품으로 하는 차단기 본체(1a)와, 차단기 본체(1a)를 수용하고 외부 전력계통 회로의 전원 측 및 부하 측 전로가 접속되는 단자 부가 후방에 구비되는 크래들(cradle)(2)과, 차단기 본체(1a) 내의 상기 가동 접촉자들(미 도시)을 동시 개폐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기구(10)와, 상기 크래들(2)의 전면 하단부에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기중 차단기의 조작을 위한 접근 수단을 제공하는 거더(girder)(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such a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1, the air circuit breaker 1 includes a breaker main body 1a having as main components an insulating partition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nd the electrically operated fixed contacts of each phase, A cradle 2 accommodating a power source side power supply circuit and a power source side power supply side circuit and a terminal portion to which a load side power supply side circuit of the external power system circuit is connected is provided at a rear side thereof and a cradle 2 which accommodates the movable contacts (1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cradle (2), and a girder (3) provided across the front lower end of the cradle (2) to provide a user with access means for operating the air circuit breaker .

도 1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H는 차단기 본체(1a)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수동 회전력을 기중 차단기(1)에 제공하기 위해 접속하는 핸들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H is a handle connected to provide a manual rotational force to the air circuit breaker 1 for pulling in or pulling out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2)은 개략적으로 배전반의 바닥면과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측면(2a) 및 상기 배전반의 바닥면과 접하게 되는 바닥면(2b)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래들(2)의 바닥면(2b)은 상기 배전반(30)의 바닥면과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크래들(2)의 바닥면(2b)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공(4)을 통해서 볼트를 체결하여 배전반(30)에 크래들(2)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기 크래들(2)의 내부에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크래들(2)을 상기 배전반(3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배전반과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크래들(2)의 조립 또는 분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인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Referring to FIG. 2, the cradle 2 generally includes two side surfaces 2a extend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and a bottom surface 2b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2b of the cradle 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30 by bolts.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2b of the cradle 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2b of the cradle 2, The cradle 2 can be stably fixed to the switchboard 30 by fastening the bolt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4. [ Therefore,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drawn into the cradle 2,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cradle 2 from the switchboard 30 or to connect the switchboard 2 to the switchboard. Therefore, in order to assemble or disassemble the cradle 2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breaker main body must be completely drawn out.

특히, 차단기가 400A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에는 그 크기 및 부피가 상당하므로 이동 및 인출입이 매우 곤란하기에 상기 크래들로부터 이러한 대용량의 차단기를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다. 아울러, 배전반 내에 2단 이상의 차단기가 탑재되는 경우에는 배전반 상단에 먼저 크래들을 들어올려 조립한 후 차단기 본체를 들어올려 상기 크래들 내에 인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곤란해지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breaker has a large capacity of 400 A or more, since the size and the volume of the breaker are large,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and pull out the breaker.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pull in or out the breaker of such a large capacity from the cradle.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breakers are mounted in the switchboard, the cradle must first be lifted up to the top of the switchboard, and then the breaker main body must be lifted up and pulled into the crad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단기 본체를 인출하지 않아도 크래들을 배전반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배전반 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인출형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및 그를 이용한 인출형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A cradle for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capable of separating a cradle from a switchboard or mounting the cradle in an electric switchboard without withdraw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withdrawable air circuit breaker using the cradle are provided. Which is a technical problem.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면에 차단기 본체가 인출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로서, 배전반의 장착면과 마주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및 상기 측면의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of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ning for receiving a breaker body on a front surface thereof, the cradle including: a bottom surface facing a mounting surface of the switchboard; At least two s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w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본 고안의 상기 측면에서는 크래들에서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부분을 상기 측면의 외측으로 배치하여 크래들 내에 차단기 본체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이를 분리할 필요없이 크래들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out disassembling the cradle in a state where the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cradle.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xtended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The extens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surface. In this case, the extension may be bent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배전반; 상기 배전반에 고정 설치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 내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로서, 상기 배전반에는 상기 크래들의 측면과 대향하여 상기 크래들과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기중 차단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board; A cradle fixedly installed on the switchboard; And a breaker main body installed in the cradle so as to be drawn in and out, wherein the switchboard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which is opposed to a side surface of the cradle and is engaged with the cradle.

여기서, 상기 크래들과 고정부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cradle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bolted togethe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크래들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체결공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radle, and a bolt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with the cradle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또한, 한 쌍의 고정부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래들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fix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ixing portions may be set to be equal to the left-right width of the cradl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측면들에 의하면, 차단기 본체를 외부로 인출하지 않아도 크래들을 배전반에 고정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cradle can be fixedly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switchboard without taking out the breaker main body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breaker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Lt; / RTI >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인출식 기중 차단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크래들과 배전반 사이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 상당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 상당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 상당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radle and the switchboar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radle for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radle for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및 그를 이용한 기중 차단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radle for an air circuit breaker and an air circuit break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의 제1 실시예가 배전반의 상부에 높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기 본체 및 상기 크래들의 기능 및 구조를 종래의 것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크래들과 상기 배전반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기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ircuit breaker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witchboard.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and the cradl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radle and the switchboard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2)의 측면(2a)으로부터 돌출되어 한 쌍의 연장부(2c)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연장부(2c)는 상기 크래들(2)의 바닥면(2b)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크래들에 비해서 바닥면이 좌우로 또는 전후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 pair of extended portions 2c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2a of the cradle 2 are formed. The extended portion 2c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2b of the cradle 2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extends laterally or back and for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radle.

상기 연장부(2c)의 전후 길이는 상기 바닥면(2c)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되며, 표면에는 각각 두 개의 볼트 체결공(4)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장부(2c)의 형태는 반드시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 체결공(4)이 상기 측면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트 체결공이 위치하는 부분에만 연장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extended portion 2c are set to be the same as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ottom surface 2c, and two bolt fastening holes 4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course, the shape of the extension portion 2c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includes any shape that allows the bolt fastening hole 4 to be located outside the side surface. Concret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i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only in the portion where the bolt fastening hole is loc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 체결공(4)이 상기 크래들(2)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크래들의 내부에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크래들(2)을 배전반(30)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배전반의 바닥면(32)에 형성되는 또 다른 볼트 체결공(미도시)과 상기 볼트 체결공(4)을 볼트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의 외부에서 볼트의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해지므로 차단기 본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크래들(2)의 분해 또는 조립 작업이 가능해진다.Since the bolt fastening hole 4 is located outside the cradle 2 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2 is fixed to or separated from the switchboard 30 even when the breaker main body is drawn into the cradle It becomes possible. That is, in bolting the bolt fastening hole 4 with another bolt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witchboard,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f the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cradle 2 The cradle 2 can be disassembled or assemble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breaker main body.

상기 제1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상기 연장부(2c)는 상기 바닥면(2b)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c')가 상기 측면(2a)과 일체로 형성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2c')는 측면(2a)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2b)과 평행하게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3, the extended portion 2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2b. However, the extended portion 2c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surface 2a as shown in FIG. 4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extended portion 2c 'is formed by being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2a an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2b.

아울러, 상기 연장부를 크래들에 형성하는 것 외에도, 상기 배전반(30)에 이러한 연장부의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forming the extension portion on the cradle,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in which a component functioning as the extension portion is added to the switchboard 30.

도 5는 배전반(30)에 연장부의 기능을 하는 고정부(34)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전반(30)에 형성된 고정부(34)는 상기 크래들(2)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배전반(3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크래들(2)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고정부 사이에 크래들(2)이 장착되면 고정부와 크래들의 측면이 서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래들(2)은 그 좌우측면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이 원활해지게 된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gear 30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34 functioning as an extended portion. 5, a pair of fixing portions 34 formed on the switchboard 30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3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cradle 2. The gap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cradle 2. As a result, when the cradle 2 is mounted between the fixing portions, the side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cradl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radle 2 are supported by the fixed portion, the movement of the cradle 2 is smooth.

아울러, 상기 각각의 고정부(34)에는 볼트 체결공(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 체결공(4')을 통해서 체결되는 볼트는 상기 크래들의 측면(2a)에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이 상기 배전반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 사이의 간격이 상기 크래들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하므로 볼트 체결과정에서 상기 크래들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부에 의해 크래들이 지지되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볼트 체결작업의 난이도를 낮추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bolt fastening holes 4 'ar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s 34, respectively. A bolt fastened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 4 'is coupled to the side 2a of the cradle so that the cradle is fixed to the switchboard. Sinc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34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cradle as described abov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radle during the bolt fastening process, the cradle is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 This serves to lower the difficulty of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and improve the assemblability.

Claims (7)

전면에 차단기 본체가 인출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로서,
배전반의 장착면과 마주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및
상기 배전반의 장착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크래들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A cradle of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ning for allowing a breaker body to be drawn in and out,
A bottom surface facing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witchboard;
At least two s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nd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radle so as to face a mounting surface of the switchboard, the bolt fastening hole being formed in the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용 크래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ension is bent to exten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00004767U 2010-05-06 2010-05-06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KR2004744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67U KR200474477Y1 (en) 2010-05-06 2010-05-06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67U KR200474477Y1 (en) 2010-05-06 2010-05-06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00U KR20110010600U (en) 2011-11-14
KR200474477Y1 true KR200474477Y1 (en) 2014-09-19

Family

ID=5200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767U KR200474477Y1 (en) 2010-05-06 2010-05-06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77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61Y1 (en) * 2003-05-06 2003-08-14 주식회사 스타이십일 circuit breaker switch controller of distributing switch
KR20030080745A (en) * 2002-04-10 2003-10-17 엘지산전 주식회사 Devise operating shutter of cradl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20100101989A (en) * 2009-03-10 2010-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cradle having movable shu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745A (en) * 2002-04-10 2003-10-17 엘지산전 주식회사 Devise operating shutter of cradl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200322661Y1 (en) * 2003-05-06 2003-08-14 주식회사 스타이십일 circuit breaker switch controller of distributing switch
KR20100101989A (en) * 2009-03-10 2010-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cradle having movable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00U (en)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1067B (en) For the auxiliary decoupler of circuit breaker drawout system
KR100910100B1 (en)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US8710390B2 (en) Interlock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8921713B2 (en) Auxiliary contact block
US8681481B2 (en) Bushing assembly for draw-out circuit breaker
CN101339865A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ccessory module and strain relief mechanism therefor
CA2953095C (en) A switching device with a suspended mobile contact assembly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JP2001045618A (en) Disconnecting device of switch gear
KR200474477Y1 (en) Cradle for an draw-out type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with the same
CN210669066U (en) High-voltage switch cabinet with circuit breaker framework convenient to disassemble
US9954345B2 (en) Panelboard, and switchgear assembly and stab assembly therefor
KR101551908B1 (en) Contact of busbar connector for bucket of distribution panel
JP6190620B2 (en) switchboard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TWI639174B (en) Drawer type circuit breaker
JP5837163B2 (en) Vacuum circuit breaker
JPH07123536A (en) Gas insulated cubicle
KR200478315Y1 (en) Terminal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209963617U (en) Chassis car of auxiliary switch modularization installation
KR200188762Y1 (en) A case of a air circuit breaker
JP3891942B2 (en) Electrical equipment
KR101570103B1 (en) Magnetic contactor
JP2003174707A (en) Closed switchboard
KR20100005998U (en) Single-phase magnetic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