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72Y1 -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 Google Patents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72Y1
KR200474272Y1 KR2020120007267U KR20120007267U KR200474272Y1 KR 200474272 Y1 KR200474272 Y1 KR 200474272Y1 KR 2020120007267 U KR2020120007267 U KR 2020120007267U KR 20120007267 U KR20120007267 U KR 20120007267U KR 200474272 Y1 KR200474272 Y1 KR 200474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holding part
present
accessor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2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164U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12000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72Y1/en
Publication of KR20140001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 A47F5/112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hand-folded from sheet material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진열하는데 있어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의 원형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여 전시할 수 있는 접이식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10)와 보조부(20)로 이루어지고, 몸체(10) 내부에 홀딩부(30)로 구성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홀딩부 또는 보조부에 접착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또한 홀딩부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고, 보조부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되, 이 걸이부에 돌출부(11-1)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또한 홀딩부는 관통형 홀딩부(40)이고 보조부에 홀딩부 지지공(4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type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display device which can display a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prototype while exhibiting a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and which can be easily used and displayed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unit comprising a body 10 and a support 20 and a holding unit 30 inside the body 10.
And a hook portion (11) formed on the body, and a bonding portion (34) formed on the holding portion or the auxiliary portion.
The h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fix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and a coupling part 22 formed at the auxiliary par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portion (11) is formed on a body, and a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The h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holding part (40), and a holding part support hole (40-1) is formed in the auxiliary part.

Description

접이식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The foldable precious metal or accessories showcase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본 고안은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진열하는데 있어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의 원형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여 전시할 수 있는 접이식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type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display device which can display a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prototype while exhibiting a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and which can be easily used and displayed by the user.

일반적으로 반지 등과 같은 귀금속 또는 귀걸이 등과 같은 악세사리 등의 제품을 진열하여 판매하고 있다.In general, products such as noble metals such as rings and accessories such as earrings are displayed on the market.

특히, 귀금속점 또는 악세사리 판매점에서의 종래의 제품진열방법은 소정크기를 갖고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진열대에 악세사리 제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진열하거나 투명한 비닐봉투에 제품을 담아 진열대의 진열공간에 배치하여 진열하고 있다.Particularly, in a conventional product display method in a noble metal point or accessory store, accessory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open space on a display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products are placed in a transparent plastic bag and placed in a display space of a shelf It is on display.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세사리 진열방법은 제품을 진열대에 직접 진열하는 경우 소비자가 손으로 직접 제품을 만지게 되지 때문에 제품의 파손 및 분실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이 분류된 제품들이 서로 섞여 진열대를 수시로 정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봉투에 제품을 담아 진열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품이 섞이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더라도 제품의 위치가 바뀔 수 있어 판매자가 진열된 제품을 관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accessory display method, when a product is directly displayed on a shelf, a consumer touches the product directly by hand, so that there is a risk of damage or loss of the product. In addition,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is placed on a shelf in a plastic bag, the position of the product may be changed even if the product is not mixed,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seller to manage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displa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210914호 제품진열용 걸이(이하 '선행기술')는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서 전단부가 소정각도를 갖고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비닐봉투를 꿰어 거는 걸이본체와; 상기 걸이본체의 후단부에 소정크기를 갖고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본체를 설치벽체상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지지판부와; 자체탄성력을 갖는 소정크기의 판형상으로써 상단부는 후방으로 소정각도를 갖는 절곡형성된 자유단이고 하단부는 전반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부의 후면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벽체의 조립공에 조립되어 지지판부를 설치벽체의 전면부에 고정지지하는 탄성편으로 구성되며; 유연성 재질로 성형된 소정크기를 갖는 평판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걸이본체와 끼움조립되는 조립공을 갖고 상기 걸이본체에 꿰어 걸려지는 비닐봉투가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이 본체에 비닐봉투를 꿰어 건 후 상기 걸이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제품진열용 걸이를 선보인바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anger for product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front end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bent upward, A body; A support plate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hook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t right angles to securely support the hook body on the installation wall; The upper end portion is a bent free e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integrally bent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ssembly wall of the installation wall, And an elastic piec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part to the front face of the mounting wall;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ving an assembling hole which is assembled with the hook body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plastic bag which is hooked on the hook body is detached from the hook body, And a release preventing plat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hook main body.

상기한 선행기술은 악세사리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제품을 담겨져 있는 비닐봉투를 별도의 제품진열 없이 진열대에 착탈이 매우 용이하게 간단히 걸어 진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벽체에 설치 및 제거도 매우 용이한 제품진열용 걸이를 제공하는 효과는 있기는 하였지만, 실질적으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하는 공정도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하기도 매우 어려웠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capable of easily mounting and dismounting a plastic bag containing a relatively small size product such as an accessory on a display stand without a separate product display,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hanger for a display, but it is not only complicated in construction but also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install.

따라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하는 것도 간편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진열할 수 있는 전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isplay stand that can display precious metals or accessories that are simple in construction and easy to manufacture.

또한 본 고안은 전개된 형태의 전시대를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진열할 때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인 접이식 고조의 전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olding-type display stand, which i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sed when displaying a noble metal or an accessor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eeds,

몸체(10)와 보조부(20)로 이루어지고, 몸체(10) 내부에 홀딩부(30)로 구성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unit comprising a body 10 and a supporting portion 20 and formed of a holding portion 30 inside the body 10.

또한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홀딩부 또는 보조부에 접착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And a hook portion (11) formed on the body, and a bonding portion (34) formed on the holding portion or the auxiliary portion.

또한 홀딩부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고, 보조부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The h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fix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and a coupling part 22 formed at the auxiliary part.

또한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되, 이 걸이부에 돌출부(11-1)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stand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portion (11) is formed on a body, and a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또한 홀딩부는 관통형 홀딩부(40)이고 보조부에 홀딩부 지지공(4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
The h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holding part (40), and a holding part support hole (40-1) is formed in the auxiliary part.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전시대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공정도 매우 간단하여 공정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The folding type exhibi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process convenience because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simp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전시대를 이용하여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전시할 경우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in use when exhibiting precious metals or accessories using a folding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대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대에 귀금속이 거치되는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가 형성된 전시대의 구조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된 전시대의 구조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홀딩부에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도.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홀딩부와 보조부가 스테이플러의 피스에 의해 결합된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대의 홀딩부와 체결부가 체결되는 형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홀딩부와 체결부가 제시된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홀딩부에 반지가 거치된 형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의 구조도.
도 8,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의 작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간단형 전시대의 구조도.
도 11,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간단형 전시대의 작용 상태도.
Fig. 1 is a structural view of the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noble metal being mounted on a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A is a structural view of a display st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structural view of a display stand having another type of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c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joint formed in a h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D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holding part and an assis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joined by a piece of a stapler.
Fig. 4 is a view showing a holding part and a fastening part of the exhibi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other holding part and a fasten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ing is mounted on a h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tructural view of a hanging protruding typ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and Fig. 9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protruding hook typ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ructural view of a simple typ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nd Fig. 12 are operational states of a simple type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고안은 몸체(10)와 보조부(20)로 이루어진 접이식의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unit comprising a body 10 and a support 20.

본 고안에서 몸체(10)는 그 내부에 홀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더불어 걸이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holding portion 30 therein. In addition, the hooking portion 11 can be formed.

본 고안의 몸체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걸어서 유치하는 홀딩부(30)를 지지하면서 또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가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유지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s a function of holding the noble metal or the accessory to hold the holding part 30 by holding it, and also to keep the noble metal or the accessory fixed.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재질은 종이, 고분자 화합물질인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연성을 구비하게 된다.
Th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aper, a polymeric compound material such as plastic or aluminum, and has flexibility.

또한 본 고안의 몸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nd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본 고안에서 홀딩부(30)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걸어서 유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portion 30 means a structure or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holding and noble a noble metal or an accessory.

또한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홀딩부는 원형의 귀금속인 반지(100)를 걸어서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lso, as shown in FIG. 2, the holding par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ring 100, which is a circular noble metal, by hanging it.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홀딩부는 몸체에서 절취되어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홀딩부의 일부분은 몸체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olding part is formed by being cut off from the body, and a part of the hold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따라서 본 고안의 홀딩부가 몸체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본 고안의 몸체에서 홀딩부 형태 그대로 빈 공간부(30')가 형성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hol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ody, the hollow space portion 30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holding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홀딩부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다.Also, the hol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홀딩부 주대(主帶, 31)는 상기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가 걸려져서 전시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holding part main part 31 means a part functioning to be displayed when the above-mentioned noble metal or the accessory is caught.

홀딩부 고정대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가 걸려지고 난 후 보조부와 결합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 또는 2에서 보는 것처럼 망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조부와 서로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된다.
Holder The stand is a part that is engaged with the auxiliary part after the noble metal or the accessory is caught. Therefor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ammer as shown in FIG. 1 or 2,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tructure or a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auxiliary part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홀딩부가 보조부와 결합되는 구조는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is coupled with the auxiliary part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s follows.

도 3d에서 보는 것처럼 홀딩부 고정대가 보조부와 결합되는 구조의 예로서 홀딩부 고정대(32)와 보조부를 통상의 스테이플러(stapler)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즉, 스테이플러의 피스(piece, 34-3)를 박아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3D, 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fixing table is coupled with the auxiliary part,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fixing table 32 and the auxiliary part are coupled using a normal stapler. That is, it means a structure in which a piece 34-3 of a stapler can be inserted and joined.

더욱 바람직하게는 홀딩부에 접착부(34)를 구성하여 보조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홀딩부에 접착부를 구성하는 것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홀딩부 고정대에 위치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adhesive portion 34 is formed in the holding portion and is joined to the auxiliary por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holding portion.

또한 이와 같은 접착부는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보조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Also, such a bon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portion as shown in FIG.

접착부는 통상의 접착제가 구비되어 보조부 또는 홀딩부를 접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의미한다. The bon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adhere the auxiliary portion or the holding portion with a usual adhesive.

따라서 도 3c에서 보는 것처럼 접착부는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거나 접착테이프(34-1)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C, the bonding portion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is formed or an adhesive tape 34-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테이프 위에 이형지(34-2)를 구비하여 이형지를 떼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lease paper 34-2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so that the release paper can be separated and used.

상기한 이형지의 의미는 접착테이프에 접착되어 있되 접착테이프와 접착된 면(面)이 기름종이 등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쉽게 접착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말한다.
The meaning of the releasing paper is that th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is made of oil paper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it from the adhesive tape.

더불어 본 고안의 접착부에 사용되는 접착제용 조성물은 사용의 편이성을 증진시킨 조성물로서 접착하는 공정이 편리하며 접착 후에도 다시 떼어서 붙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used i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which improves the ease of use, and has a function of being convenient in the step of bonding and having a function of releasing the adhesive after bonding.

본 고안에 접착부에 사용하는 접착제용 조성물은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카르복실산 다이안하이드라이드, 디아민, 실록산 구조를 포함하는 디아민, 트리아민 및 테트라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의 폴리아미노 화합물 및 3,4-디아미노벤조익애시드로 이루어진 접착제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used in the adhesive portion is a polymer compound, preferably a single compou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mine, triamine, and tetramine including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diamine and siloxan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position for an adhesive comprising a polyamino compound and a 3,4-diaminobenzoic acid in the above mixed form.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은 테트라카르복실산 다이안하이드라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아민 60~ 100중량부, 실록산 구조를 포함하는 디아민 0.05 내지 40 중량부, 폴리아미노 화합물 0.01 내지 5 중량부 및 3,4-디아미노벤조익애시드 0.03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6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diamine, 0.05 to 40 parts by weight of a diamine containing a siloxane structure, 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polyamino compound, 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a polyamin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 diaminobenzoic acid in an amount of 0.03 to 10 parts by weight.

또한 상기의 접착제용 조성물에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소화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는 점착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며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5~2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The rosin ester resin, the hydrogenated rosin resin, the terpene resin, the coumarone-indene resin, and the alicyclic saturated hydrocarbon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Such a resin exhibit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ackiness and is used by mixing 5 to 2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또한 상기의 접착제용 조성물에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더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Further, a polyurethane polymer composition may be further mixed with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to form an adhesive composition.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고분자 100 중량부에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10중량부로 조성된 조성물을 의미한다.The polyurethane polymer composition means a composition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urethane polymer and 2 to 10 parts by weight of imidazolidinyl urea.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한 접착제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10~30중량부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좋다.The polyurethane polymer composition is preferably prepared by mixing 10 to 3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혼합하여 조성하는 경우 접착부의 플렉서빌러티(flexibility)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When such a polyurethane polymer composition is mixed and prepared,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portion is increased.

접착부의 플렉서빌러티의 의미는 접착부의 접착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접착후에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고 재접착시에도 접착력이 동일하게 유지하는 성능을 의미한다.The flexibility of the bonding portion means not only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onding portion is high but also the ability to easily attach and detach after bonding and maintain the same adhesive force even when re-bonding.

하기할 바와 같이 상기한 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그 혼합력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below, when mixing the above-mentioned polyurethane polymer composition, the mixing power can be increased by using a surfactant.

또한 상기의 접착제용 조성물에 UV 흡수제, 광안정제, 박리 조절제 (peel adjusting agent), 가소제, 연화제, 충진제, 착색제 (안료, 염료 등), 노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Further, the composition for an adhesive may contain a UV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peel adjusting agent, a plasticizer, a softener, a filler, a colorant (pigment, dye, etc.), an antioxidant, a surfactant and the like.

본 고안에서 상기한 홀딩부의 연결부(33)는 몸체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유연한 탄성을 구비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33 of the hold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has a flexible elasticity.

본 고안의 몸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걸이부(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걸이부는 본 고안인 전시대를 진열대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hooking part 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hook part can perform a function of hanging the exhibition stand,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helf.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걸이부는 몸체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진열대에 진열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 된다.As shown in FIG. 1, the hoo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that penetrates the body through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hape or structure that can be displayed on a shelf.

따라서 고리형 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접착부를 형성하여 진열대에 진열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Therefore, it may be constituted by an annular string or may have a structure or a shape that can be displayed on a shelf by forming a bonding portion.

본 고안에서 보조부(20)는 상기한 홀딩부와 접촉하고 결합하여 홀딩부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ortion 20 refers to a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joins with the holding portion and functions to stabilize the holding portion.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보조부는 몸체연결부(21)를 통하여 몸체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uxiliary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the body connecting part 21.

본 고안의 보조부는 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몸체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auxiliar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to the body.

따라서 상기한 몸체연결부가 유연성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보조부가 몸체의 전면이나 배면 방향으로 접혀질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ody connecting portion has a flexible structure, so that the auxiliary portion can be folded in the front or back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보조부는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몸체보다 작은 크기의 4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원형,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몸체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1, the auxiliary par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uxiliary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in a similar size.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홀딩부에 접착부를 부가하지 아니하고 보조부에 홀딩부가 직접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lding part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auxiliary part without attaching the adhesive part to the holding part.

홀딩부가 보조부와 직접 결합되는 구조는 홀딩부의 홀딩부 고정대가 보조부의 체결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is directly coupled with the auxiliary part mean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ding part fixing part of the holding pa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auxiliary part.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부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As shown in FIG. 3A, a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fastening portion 22 is formed in the auxiliar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부의 체결부(22)는 홀딩부 고정대가 걸려서 홀딩부가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part 22 of the auxiliary part has a structure or a shap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holding part by fastening the holding part.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실시예는 홀딩부 고정대가 망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망치형의 홀딩부 고정대가 걸려질 수 있는 형태의 U 또는 V 자형 체결부를 보여주고 있다. 이 U 또는 V 자형 체결부는 망치형인 홀딩부 고정대가 걸려서 홀딩부와 보조부가 결합되게 되는 구조이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shows a U or V-shaped fastening part in which a holding part fixing base is formed in a hammer shape so that a hammer type fixing part can be caught. The U or V-shaped fastening p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ding part and ancillary part are coupled by a hammer-type holding part.

또 다른 보조부 체결부로서 도 3b에서 보는 것처럼 보조부 체결부가 철(凸)형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망치형 홀딩부 고정대가 철형 보조부 체결부에 걸려서 홀딩부와 보조부가 결합되게 되는 구조이다.
As another assistant fastening portion, as shown in Fig. 3B, the auxiliary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convex shape. In this case, the hammer-type holding part is engaged with the iron-type auxiliary part and the holding part and the auxiliary part are combined.

이와 같이 보조부 체결부가 홀딩부 고정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홀딩부의 길이와 보조부 체결부의 길이의 수치를 정하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t the numerical values of the length of the hold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auxiliary part so that the auxiliary part is combined with the holding part.

다만 이와 같은 보조부 체결부는 하나의 예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However, since such an ancillary fastening portion is an example,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홀딩부 고정대(32)가 일자(一字)형으로 된 경우에는 보조부에 일자(一字)형 홈 형태의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일자형 홀딩부 고정대가 일자형 홈 형태의 보조부 체결부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 질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holding part fixing base 32 is in the shape of a letter, a fastening part 22 in the form of a one-letter type groove is formed in the auxiliary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groove-shaped auxiliary coupling por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부 체결부(22)는 홀딩부 고정대(32)에 구조 또는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홀딩부 고정대에 의한 보조부 체결부의 자유로운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ncillary fastening portion 2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structure or shape to the holding portion fastener 32, and the free deformation of the fastener fastening portion by the holding portion fastener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에 의하여 귀금속인 반지(100)를 거치하여 전시해 놓은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ring 100, which is a noble metal, is mounted on a noble metal or an accessory displa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구성들이 평면 형태로 되어 있다고 접혀져서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전시할 수 있는 전시대로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constru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lded into a flat form, so that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exhibits capable of exhibiting precious metals or accessories.

즉, 본 고안이 구성인 몸체(10), 보조부(20), 몸체(10)의 홀딩부(30), 걸이부(11) 등이 평면 형태로 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접혀져서 전시대로 변형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body 10, the auxiliary part 20, the holding part 30 of the body 10, the hook part 11, etc., which are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lat and folded at the time of use, .

도 7에서 보는 것처럼 본 고안은 보조부(20)가 몸체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로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art 2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s shown in FIG.

앞서 설명한 보조부가 몸체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와의 차이점은 걸이부(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difference from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por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is the technical feature that the hook portion 11 can be protruded.

따라서 본 고안의 접이형 전시대가 접혀져서 전시대로 형성한 경우 걸이부(11)에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진열대에 진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folding type display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formed as an exhibition stand, the protruding portion 11-1 is formed on the hanging portion 11 to have a function of displaying it on the shelf.

도 7 및 8에서 보는 것처럼 걸이부(11)는 돌출부(11-1)의 테두리(11-2)가 몸체부에 분절된 형태로 되어 있고 돌출부의 일부가 몸체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7 and 8, the hook portion 11 has a structure or a shape in which the rim 11-2 of the protruding portion 11-1 is divided into a body portion and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body have.

또한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는 상기한 바처럼 몸체에 형성된 홀딩부(30)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홀딩부 고정대에 접착부(34)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part of the hanger protruding type display unit includes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fix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formed in the body. In addition, a bonding portion 34 may be provided on the holding portion fixing base.

또한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의 보조부도 상기한 바처럼 접착부 또는 보조부 체결부(2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uxiliary part of the hanging protruding type display stand may be formed with the adhesive part or the auxiliary part fastening part 22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걸이부 돌출형 전시대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거치하여 진열대에 전시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Such a hanging protruding type display stand creates effects that can be displayed on a shelf by mounting a precious metal or an accessory.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전시대를 극도로 간소화시킨 간단형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stand that greatly simplifies the above-mentioned display stand.

간단형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는 몸체(10)와 보조부(20)로 구성되어 있고,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simple type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stand is composed of the body 10 and the auxiliary portion 20, and the hook portion 11 can be formed on the body.

도 10 또는 11에서 보는 것처럼 몸체에 홀딩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통형태로 이루어진 관통형 홀딩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0 or 11, the body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holding part 40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through-hole.

그리고 관통형 홀딩부는 보조부에 홀딩부 지지공(40-1)이 형성되어 있어 주로 귀고리(110) 등과 같은 봉형의 지지대(111)가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봉형의 지지대를 관통형 홀딩부와 홀딩부 지지공에 삽입하여 전시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The through-hole hol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holding portion support hole 40-1 at the auxiliary porti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nail or the like having the rod-like support portion 111 such as the earlobe 1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It can be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and displayed.

도 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형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에 귀고리를 삽입하여 전시한 상태를 보여준다.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ear-rings are inserted and displayed on a simple noble metal or an accessory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구성의 간단형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를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provide a simple noble metal or accessory display unit of such a configu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를 접어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매우 쉽게 전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접이형 전시대를 제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ing type display stand having a function of folding a noble metal or an accessory very conveniently and displaying it very easily, by a user.

본 고안은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에 관한 생산, 유통,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This invention is a very useful tool for industries that produce, distribute and sell precious metals or accessories.

또한 본 고안은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전시하기 위한 전시대를 생산, 유통,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The design is also very useful for industries that produce, distribute and sell displays for exhibiting precious metals or accessories.

10 : 몸체 11 : 걸이부
11-1 : 돌출부 11-2 : 테두리
20 : 보조부
21 : 몸체연결부 22 : 체결부
30 : 홀딩부 30' : 공간부
31 : 홀딩부 주대 32 : 홀딩부 고정대
33 : 연결부
34 : 접착부 34-3 : 스테이플러의 피스(piece)
34-1 : 접착테이프 34-2 : 이형지
100 : 반지
110 : 귀고리
10: body 11:
11-1: protrusion 11-2: rim
20:
21: body connecting part 22: fastening part
30: Holding part 30 ': Space part
31: holding part main table 32: holding table fixing table
33: Connection
34: Adhesive part 34-3: Piece of stapler
34-1: Adhesive tape 34-2: Release paper
100: Ring
110: Earrings

Claims (5)

몸체(10)와 보조부(20)로 이루어지고, 몸체(10) 내부에 홀딩부(30)로 구성되되,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딩부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보조부에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부 고정대(32)는 망치형 홀딩부 고정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22)는 U 또는 V 자형 체결부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
A body 10 and a supporting part 20 and a holding part 30 inside the body 10,
A hook portion 11 is formed on the body,
The holding part comprises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fix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A fastening part 22 is formed on the auxiliary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part (32) is constituted by a mallet-type hold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22) comprises a U or V-shaped fastening part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홀딩부 또는 보조부에 접착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bonding portion (34) is formed on the holding portion or the auxiliary portion.
삭제delete 몸체(10)와 보조부(20)로 이루어지고, 몸체(10) 내부에 홀딩부(30)로 구성되되,
상기 홀딩부는 홀딩부 주대(31), 홀딩부 고정대(32) 및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홀딩부 고정대(32)는 망치형 홀딩부 고정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에 걸이부(11)가 형성되어 있되, 이 걸이부에 돌출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 보조부(20), 홀딩부(30), 걸이부(11)가 평면 형태로 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접혀져서 전시대로 변형되는 구조로 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 전시대.
A body 10 and a supporting part 20 and a holding part 30 inside the body 10,
The holding part comprises a holding part base 31, a holding part fixing part 32 and a connecting part 33,
The holding part 32 includes a hammer holding part,
A hook portion (11) is formed on the body, a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hook portion,
Wherein the body (10), the auxiliary part (20), the holding part (30), and the hook part (11) are flat and folded at the time of use so as to be trans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삭제delete
KR2020120007267U 2012-08-16 2012-08-16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KR2004742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67U KR200474272Y1 (en) 2012-08-16 2012-08-16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67U KR200474272Y1 (en) 2012-08-16 2012-08-16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64U KR20140001164U (en) 2014-02-26
KR200474272Y1 true KR200474272Y1 (en) 2014-09-02

Family

ID=5200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267U KR200474272Y1 (en) 2012-08-16 2012-08-16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7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772A (en) 2021-11-04 2023-05-11 서지영 Fixing holde for packaging orna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723B1 (en) * 2015-02-06 2017-02-01 구진욱 Sticker hanger
KR101719449B1 (en) * 2016-01-15 2017-03-23 (주) 삼덕티엠피 Case for accessories
KR200485523Y1 (en) * 2016-02-28 2018-01-22 양용은 T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973U (en) * 1981-12-16 1983-06-22 藤岡 広吉朗 Core board for personal accessories display stand
JPS6131120U (en) * 1984-07-30 1986-02-25 ダイイチ商事株式会社 ring display holder
JPS63185666U (en) * 1987-05-25 1988-11-29
JPH09294657A (en) * 1996-05-01 1997-11-18 Okui Kk Hook for small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973U (en) * 1981-12-16 1983-06-22 藤岡 広吉朗 Core board for personal accessories display stand
JPS6131120U (en) * 1984-07-30 1986-02-25 ダイイチ商事株式会社 ring display holder
JPS63185666U (en) * 1987-05-25 1988-11-29
JPH09294657A (en) * 1996-05-01 1997-11-18 Okui Kk Hook for small art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772A (en) 2021-11-04 2023-05-11 서지영 Fixing holde for packaging orna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64U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272Y1 (en) the foldable displaying device of both jewelry and accessory
CN105263721B (en) Removable wall fitting external member, system and method
JP6267847B2 (en) Collar fixing device
US7814692B2 (en) Outrigger
US10136706B2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fastener member, and the kit and method for placing, holding and mounting such devices using at least one hook and one loop of fastener technology
US20100122399A1 (en) Sports hat side clip
US20080040963A1 (en) Clip for displaying indicia
KR200461459Y1 (en) P.O.P. Holder for dispaly rack
WO2012111371A1 (en) Clothes hanger
JP2010142387A (en) Decorative article attachment tool
KR200466898Y1 (en) soap support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US20070193196A1 (en) Clips for mounting decorations on corrugated core twinwall panels
CN104333988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fixation device which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fast and conveniently and has decoration function
US20060117629A1 (en) Reusable decorative display for foliage and decorative items
US20110277503A1 (en) Stud and wire post assembly
US20140305014A1 (en) Graduation Mortarboard Display Holder
KR200390449Y1 (en) sticker for decoration
KR101394236B1 (en) Airbag type holder for mounting ornament
JP3112936U (en) Flat curtain
JP3138661U (en) Price card with IC tag
JP3118561U (en) Earring stopper
JP3162372U (en) Tissue box holder
JP3172673U (en) Panel stand
CN201641254U (en) Detachable model head positio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6